KR20190030524A -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524A
KR20190030524A KR1020170118066A KR20170118066A KR20190030524A KR 20190030524 A KR20190030524 A KR 20190030524A KR 1020170118066 A KR1020170118066 A KR 1020170118066A KR 20170118066 A KR20170118066 A KR 20170118066A KR 20190030524 A KR20190030524 A KR 2019003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polarizing plate
adhesive film
acrylate
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048B1 (ko
Inventor
남이리나
한인천
김대윤
최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48B1/ko
Priority to CN201810728650.6A priority patent/CN109207103B/zh
Publication of KR2019003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식 1과 식 2를 만족하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액정 패널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판용 점착필름에 의해 액정 패널에 부착된다.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이형 필름 상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 후 건조시켜 제조된다.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이형 필름, 편광판용 점착 필름, 및 이형 필름이 적층되어 포장, 보관 및/또는 운송된다. 이형 필름은 편광판용 점착 필름이 외부 이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편광판용 점착 필름의 포장, 보관, 운송 중에 외부의 고형 입자와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 필름의 눌림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점착 필름의 눌림을 덴트(dent)라고 부른다.
비록 이형 필름이 점착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점착 필름의 눌림을 해소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눌림이 형성된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화면 품질을 좋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편광판에 점착된 후 절단된 후 가공된다. 이 과정에서도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 필름의 눌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형 입자 등에 의한 점착 필름의 눌림이 없게 하거나 설령 눌림이 생겼더라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는 점착 필름이 요구된다.
점착 필름의 덴트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경화제의 함량을 높이거나 점착 필름 중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경화제의 함량을 높일 경우 고온에서 편광판의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 경우에도 고온에서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5-010192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 필름의 가공, 절단, 포장 및/또는 보관시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및/또는 고형 입자에 의해 형성된 눌림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 편광판(편광자)의 수축에 의한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 편광자의 수축을 완화시켜 탁월한 빛샘 억제 효과가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ITO 필름을 포함하는 금속 피착제에 점착시 부식 억제 효과 및 리워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0.20 ≤ tanδ2 ≤ 0.40
<식 2>
tanδ2 - tanδ1 ≤ 0.04
(상기 식 1과 식 2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의 80℃에서의 tan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0.20 ≤ tanδ2 ≤ 0.40
<식 2>
tanδ2 - tanδ1 ≤ 0.04
(상기 식 1과 식 2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필름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 필름의 가공, 절단, 포장 및/또는 보관시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및/또는 고형 입자에 의해 형성된 눌림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가공, 절단, 포장 및/또는 보관시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 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및/또는 고형 입자에 의해 형성된 눌림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킬 수 있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편광자의 수축을 완화시켜 탁월한 빛샘 억제 효과가 있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ITO 필름을 포함하는 금속 피착제에 점착시 부식 억제 효과 및 리워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점착 필름을 제공하였다.
첨부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판용 점착 필름",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각각 "점착 필름", "점착제 조성물"로 표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0.20 ≤ tanδ2 ≤ 0.40
<식 2>
tanδ2 - tanδ1 ≤ 0.04
(상기 식 1과 식 2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상기 식 1과 상기 식 2를 충족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가공, 절단, 포장 및/또는 보관시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및/또는 고형 입자에 의해 형성된 눌림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식 1을 만족하더라도 상기 식 2의 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점착필름은 고온에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휨을 억제하는 효과가 없거나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눌림을 회복시키는 속도가 느려서 점착필름의 가공성 등이 떨어졌다. 일 구체예에서, 점착 필름은 상기 식 1과 식 2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덴트(dent) 값이 18㎛ 이하, 예를 들면 9㎛ 이하, 예를 들면 8㎛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의 눌림이 없거나 눌림이 생기는 정도가 미약해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덴트는 점착 필름의 눌림 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필름에서 tanδ2는 0.21 내지 0.38, 더 바람직하게는 tanδ2는 0.23 내지 0.35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2의 값 tanδ2 - tanδ1은 -0.20 내지 0.02가 될 수 있다. tanδ1은 0.10 내지 0.50,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45, 더 바람직하게는 0.18 내지 0.4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식 1의 값과 식 2의 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점착 필름은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tanδ2 / tanδ1 < 1.1
(상기 식 3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점착 필름은 상기 식 3을 만족함으로써 카르복시산기를 포함하지 않은 점착필름에 있어서 고온에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휨을 억제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고 눌림을 회복시키는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의 값 tanδ2 / tanδ1(tanδ1에 대한 tanδ2의 비)은 0.50 내지 1.05가 될 수 있다.
점착 필름은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 필름의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점착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단량체 혼합물 중 다른 성분이 적정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수산기를 갖지 않는 비-수산기 단량체로서,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45℃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량체 혼합물 중 다른 성분들과 함께 상기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 혼합물 중 40몰% 내지 78몰%, 바람직하게는 43몰% 내지 78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경화제와 반응함으로써 점착필름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 혼합물 중 0.1몰% 내지 20몰%, 0.1몰% 내지 15몰%, 바람직하게는 1몰% 내지 10몰%, 더 바람직하게는 1몰% 내지 5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고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단량체 혼합물 중 10몰% 내지 40몰%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필름은 상기 식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고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5℃ 내지 150℃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점착 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5℃ 내지 50℃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량체 혼합물 중 0몰% 내지 40몰%, 예를 들면 1몰% 내지 40몰%, 5몰% 내지 40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포함하는 모르폴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200℃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포함하는 모르폴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몰% 내지 40몰%, 예를 들면 1몰% 내지 40몰%, 1몰% 내지 20몰%, 예를 들면 1몰% 내지 15몰%, 예를 들면 5몰% 내지 15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 1 및 식 2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3차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 속도를 개선하고 점착 필름의 숙성 속도를 높일 수 있다.
3차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3차 아민기 함유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알킬아미노아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차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mol% 내지 15mol%, 0.001mol% 내지 15mol%, 구체적으로 0.01mol% 내지 10mol%, 구체적으로 0.01mol% 내지 1mol%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또는 그의 건조물의 상온에서 숙성 속도가 높아지고, 경화 반응 속도가 증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점착 필름에 대해 빛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은 단량체 혼합물 중 0몰% 내지 20몰%, 예를 들면 0.001mol% 내지 20mol%, 예를 들면 5mol% 내지 20mol%, 예를 들면 10mol% 내지 15mo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빛샘을 개선할 수 있다.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탄소수 5 내지 탄소수 20의 단일환 또는 복소환의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점착 필름은 비-카르복시산계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금속 피착체에 대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산가가 5mgKOH/g 이하, 더 구체적으로 1mgKOH/g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착체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식 방지 억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장쇄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장쇄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장쇄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10 내지 탄소수 25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13℃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덴트를 낮추고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g/mol 내지 150만g/mol, 바람직하게는 50만g/mol 내지 100만g/mol, 더 바람직하게는 70만g/mol 내지 100만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덴트를 낮추고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을 통상의 중합 방법으로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중합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개시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공중합체 중합 예를 들면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 중합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65℃ 내지 70℃, 중합 시간은 6시간 내지 8시간이 될 수 있다. 개시제는 아조계 중합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과 같은 과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반응하여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경화제는 열경화제, 광경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 효과를 내고, 과량 사용으로 인한 투명성 저하 등을 막을 수 있다.
열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열중합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관능 이상 바람직하게는 2관능 내지 6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4,4'-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메틸렌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는 알루미늄 등의 다가 금속의 배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는 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알루미늄,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알루미늄디이소프로필레이트,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킬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는 아조계 화합물, 과산화물계 화합물 또는 레독스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산화물계 화합물의 예로는 과유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무기 과산화물; 또는 디아실 퍼옥시드,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퍼옥시 에스테르,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dicetyl)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dimyristyl)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peroxypivalate),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시드, 디메틸 히드록시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pivalate),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라우릴 퍼옥시드, 디라우로일(dilauroyl)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벤조일 퍼옥시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시드 등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 효과를 내고, 과량 사용으로 인한 투명성 저하 등을 막을 수 있다.
광경화제는 2관능 내지 6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과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내지 6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내지 6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 효과를 내고, 과량 사용으로 인한 투명성 저하 등을 막을 수 있다.
광개시제는 광 조사에 의한 라디칼 생성으로 경화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 효과를 내고, 과량 사용으로 인한 투명성 저하 등을 막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성을 좋게 하고, 점착제 조성물의 자체 경화 반응을 저지할 수 있다. 용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제는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 리워크제(reworking agent), 경화 촉매, 대전방지제, 경화 촉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실란커플링제는 유리와 같은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높은 점착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는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커플링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내구 신뢰성이 우수하며, 시간에 의한 성분 및 물성의 변화가 적을 수 있다.
리워크제는 점착필름의 리워크성을 높이는 것으로, 폴리실록산 올리고머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리워크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05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리워크성을 높일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점착필름의 리워크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통상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1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전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경화 촉매는 보론계 화합물, 예를 들면,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boron trifuloride) 복합체, 구체적으로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의 에서레이트(etherate),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복합체(BF3-THF),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의 아닐린 복합체(BF3-Aniline), 구체적으로 BF3·O(CH3)2(boron trifluoride dimethyl etherate), BF3·O(C2H5)2(boron trifluoride diethyl etherate); 포스핀계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p-메틸페닐)포스핀, 트리(노닐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트리페닐보레이트, 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벤질디에틸아민 또는 벤질디메틸아민과 같은 알파-3차 아민 화합물(예:KH-30, Kukdo); 이미다졸계 화합물, 예를 들면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또는 2-페닐-4-메틸이미다졸 등; 술폰산계 화합물, 예를 들면 파라톨루엔술폰산, 벤젠도데실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나프탈렌 디술폰산, 메탄술폰산, 메탄디술폰산, 페놀술폰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매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5중량부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화 속도 단축 효과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1,000cPs 내지 4,000cP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할 수 있고, 점착필름에 얼룩이 없으며, 코팅면이 균일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점착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하여, 광학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 필름은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광 투과도가 85% 이상 더 구체적으로 85% 내지 95%가 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두께가 100㎛ 이하, 구체적으로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킨 후, 25℃ 내지 35℃ 및 상대습도 30% 내지 60%의 항온 항습에서 숙성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광학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판의 일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점착시키거나 또는 편광판의 일면에 상술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코팅한 후 숙성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점착필름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플렉시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광학필름, 및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광학필름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내용에 의한다. 편광판은 두께가 25㎛ 내지 100㎛, 구체적으로 50㎛ 내지 8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광학필름, 상기 광학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아크릴 필름,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IPS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제조예 1:(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가 설치된 1L의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6.975mol%, 메틸아크릴레이트(MA) 20mol%,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 10mol%,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3mol%,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EA) 0.025mol%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를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틸에틸케톤의 혼합물을 상기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30분 동안 투입하여 반응기를 치환시킨 후 반응기 내부 온도를 65℃로 유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한 후 개시제로 V601(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테이트) 0.06중량부를 투입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기 내부 온도를 65℃로 올리고 상기 개시제를 더 첨가하였다. 70℃에서 2시간 더 반응시킨 후 냉각시키고, 메틸에틸케톤을 첨가하여 25 중량%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13: ( 메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에서 단량체 혼합물 중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0과 제조예 11 제조시 중합 시간을 서로 달리하였다.
제조예 BA MA CHA IBXA BzA ACMO 4-HBA AA DMAEA Mw Tg
1 66.975 20 - - - 10 3 - 0.025 836,678 -21
2 56.975 30 - - - 10 3 - 0.025 836,678 -13
3 75.475 - 11.5 - - 10 3 - 0.025 837,916 -22
4 66.975 5 - - 15 10 3 - 0.025 820,300 -20
5 56.975 40 - - - - 3 - 0.025 985,085 -22
6 54.975 27 15 - - - 3 - 0.025 931,651 -21
7 71.975 10 - 15 - - 3 - 0.025 929,688 -22
8 43.975 38 - - 15 - 3 - 0.025 864,196 -21
9 67 20 - - - 10 3 - - 855,273 -21
10 99 - - - - - 1 - - 1,600,000 -46
11 99 - - - - - 1 - - 727,652 -46
12 98.8 - - - - - 1 0.2 - 745,061 -44
13 78.8 - - - 20 - 0.2 1 - 739,346 -34
*표 1에서, BA:n-부틸아크릴레이트, MA:메틸아크릴레이트, CHA: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IBXA: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BzA: 벤질아크릴레이트, ACMO:아크릴로일모르폴린, 4-HBA: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AA:아크릴산, DMAEA: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표 1에서, Mw: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단위:g/mol), Tg: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단위:℃).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상기 표 1의 제조예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B)경화제:
(B1)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TD-75, Soken, 고형분 75 wt.%)
(B2)금속킬레이트 경화제: M-12AT, 고형분 10 wt.%
(B3)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B4)PET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B5)IRGACURE-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6)TPO: 2,4-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C)경화 촉매: S촉진제(Soken)
(D)실란커플링제: A-50(Soken)
(E)대전방지제: FC-4400(3M, USA)
(F)리워크제: MAC-2101(Soken)
실시예 1
(A1)(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7중량부에 대하여, (B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02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리고, 경화 촉매가 0.01중량부, 실란커플링제가 0.05중량부, 대전방지제가 0.75중량부, 리워크제가 0.05중량부가 되도록 (C)경화 촉매(S촉진제, Soken), (D)실란커플링제(A-50, Soken), (E)대전방지제(FC-4400, 3M, USA), (F)리워크제(MAC-2101, Soken)를 각각 혼합하고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중량대비 용제로 메틸에틸케톤을 4배 중량 혼합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함량은 용매 등을 제외한 고형분 기준의 함량이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종류 및/또는 함량, 경화제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2(단위:중량부)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종류 및/또는 함량, 경화제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B1) (B2) (B3) (B4) (B5) (B6) (C) (D) (E) (F)
제조예
실시예 1 1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2 2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3 3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4 4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5 5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6 6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7 7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8 8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9 9 17 0.025 - - - - - 0.02 0.05 0.75 0.05
실시예 10 2 17 0.025 - - - - - 0.01 0.05 0.75 0.05
실시예 11 9 17 - - 0.15 - 0.1 0.1 - 0.05 0.75 0.05
실시예 12 9 17 - - - 0.13 0.1 0.1 - 0.05 0.75 0.05
비교예 1 10 17 0.02 - - - - - 0.01 0.05 0.75 -
비교예 2 11 17 0.028 0.08 - - - - 0.01 0.05 0.75 -
비교예 3 12 17 0.028 0.08 - - - - 0.01 0.05 0.75 -
비교예 4 13 17 0.028 0.08 - - - - 0.01 0.05 0.75 -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하기 표 3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내구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두께:23㎛)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자의 일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80㎛)을 접착시키고,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2㎛)을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점착 시트를 상기 제조한 편광판 중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2㎛)의 일면에 부착시키고, 23℃ 및 55%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편광판을 가로 x 세로(100mm x 80mm) (편광자의 MD 방향 x 편광자의 TD 방향)의 크기로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였다. 그런 다음, 절단된 상기 편광판을 무알칼리 유리판(가로 x 세로, 110mm x 90mm)에 상기 점착 시트를 매개로 점착시켜 내구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50℃에서 1000초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내구성 평가용 편광판이 유리판에 적층된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은 시편을 85℃에서 500시간 방치하거나, 또는 시편을 60℃ 및 95% 상대습도에서 500시간 방치하고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들뜸, 끌림, 및 기포발생이 없음
△:들뜸, 끌림, 기포발생 중 하나 이상이 미세하게 발생하고 기포 크기가 100㎛ 미만.
X:들뜸, 끌림 및 기포 발생이 많이 있고 기포 크기가 100㎛ 이상.
(2)휨: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켰다. 얻은 점착 필름의 두께는 25㎛이었다.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 접착된 편광판을 제조하고, 상기 편광판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2㎛) 일면에 상기 제조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고 23℃ 및 상대습도 5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점착 필름을 갖는 상기 편광판을 길이 x 폭 (210mm x 25mm, 편광자의 MD 방향 x 편광자의 TD 방향)의 직사각형 크기로 절단한 다음, 길이 x 폭 x 두께 (210mm x 25mm x 0.5mm)의 무알칼리 유리판에 상기 점착 필름을 매개로 점착시키고, 50℃에서 1000초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휨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얻은 시편을 85℃의 오븐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오븐에서 시편을 꺼내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시편을 편평한 평면에 놓고 상기 시편의 폭 중 한 쪽 끝을 상기 평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시편의 폭 중 다른 쪽 끝과 상기 평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5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휨 값으로 기록하였다.
(3)덴트: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 필름(두께: 38㎛)에 코팅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키고, 두께 25㎛의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이 접착된 편광판을 제조하고, 상기 편광판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42㎛) 일면에 상기 제조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고 23℃ 및 상대습도 55%에서 24시간 숙성시켰다. 점착 필름을 갖는 상기 편광판을 길이 x 폭 (50mm x 10mm)으로 절단하였다. 상기 절단한 편광판을 이형 필름이 맨 위로 향하도록 소다라임 유리판(두께: 1mm)에 놓고 테이프로 고정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덴트는 25℃에서 TA Instrument (TEXTURE ANALYZER TA.XT PLUS, 로드셀 5kg, EKO Instruments)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 중 이형 필름 상에 TA Instrument의 구형 스테인레스 팁(직경 1mm)을 높이 1 mm 높이에 위치시켰다. 하중 50gf로 상기 구형 스테인레스 팁을 15초 동안 이형 필름을 누른 다음, 상기 구형 스테인레스 팁을 이형 필름으로부터 제거한 후 하기 표 4의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점착 필름 상에 형성된 눌림 흔적을 3D 광학 프로파일러로 관찰하여 눌림 흔적의 최대 깊이를 기록하였다.
(4)tanδ값: 점착 필름에 대해 Anton Paar Physica MCR300를 사용해서 온도 스윕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0℃ 내지 120℃까지 온도 상승 속도 10℃/분의 속도로 온도를 높이면서 측정하였다. 점착 필름은 두께 600 내지 1000㎛로 평가하였다.
내구성 내구성
(mm)
덴트
(㎛)
tanδ1 tanδ2 tanδ2-tanδ1 tanδ2/tanδ1

85℃

60℃/95%RH
실시예 1 O O 11.5 4.9 0.31 0.23 -0.08 0.74
실시예 2 O O 13.0 3.8 0.39 0.23 -0.16 0.59
실시예 3 O O 11.5 5.5 0.41 0.31 -0.10 0.75
실시예 4 O O 12.5 5.9 0.33 0.32 -0.01 0.96
실시예 5 O O 12.0 14.5 0.27 0.28 0.01 1.04
실시예 6 O O 12.0 17.7 0.32 0.27 -0.05 0.85
실시예 7 O O 11.5 12.3 0.34 0.31 -0.03 0.89
실시예 8 O O 11.5 16.0 0.28 0.30 0.02 1.05
실시예 9 O O 11.5 4.8 0.34 0.32 -0.02 0.94
실시예 10 O O 11.5 4.5 0.30 0.23 -0.07 0.78
실시예 11 O O 12.0 5.1 0.30 0.31 0.01 1.02
실시예 12 O O 11.5 5.0 0.30 0.29 -0.01 0.95
비교예 1 O O 13.5 19.5 0.17 0.24 0.07 1.39
비교예 2 X X 13.5 24.5 0.44 0.49 0.05 1.11
비교예 3 X X 14 23.5 0.42 0.48 0.06 1.14
비교예 4 X X 13.5 24.5 0.42 0.48 0.06 1.14
*표 3에서 tanδ1은 23℃에서 점착필름의 tanδ 값, tanδ2는 80℃에서 점착필름의 tanδ 값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휨을 억제하고 덴트 값이 낮아서 점착필름의 가공, 절단, 포장 및 보관시 고형 입자에 의한 점착필름의 눌림을 억제하거나 및/또는 고형 입자에 의해 형성된 눌림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킬 수 있는 점착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식 1과 식 2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덴트 값이 높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7)

  1.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편광판용 점착 필름:
    <식 1>
    0.20 ≤ tanδ2 ≤ 0.40
    <식 2>
    tanδ2 - tanδ1 ≤ 0.04
    (상기 식 1과 식 2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2의 tanδ2 - tanδ1은 -0.20 내지 0.02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식 3>
    tanδ2 / tanδ1 < 1.1
    (상기 식 3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40몰% 내지 78몰%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0몰% 내지 40몰%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10몰% 내지 40몰%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모르폴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장쇄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3차 아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28℃ 내지 -1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g/mol 내지 150만g/mol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2관능 내지 6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점착 필름은 덴트 값이 18㎛ 이하인 것인, 편광판용 점착 필름.
  15. 탄소수 4 내지 탄소수 8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이고,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은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식 1>
    0.20 ≤ tanδ2 ≤ 0.40
    <식 2>
    tanδ2 - tanδ1 ≤ 0.04
    (상기 식 1과 식 2에서, tanδ1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23℃에서의 tanδ,
    tanδ2는 상기 편광판용 점착필름의 80℃에서의 tan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점착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17. 제16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70118066A 2017-07-04 2017-09-14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2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66A KR102126048B1 (ko) 2017-09-14 2017-09-14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201810728650.6A CN109207103B (zh) 2017-07-04 2018-07-04 用于偏光板的粘合膜和粘合剂组合物、包含粘合膜的偏光板以及包含偏光板的光学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66A KR102126048B1 (ko) 2017-09-14 2017-09-14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24A true KR20190030524A (ko) 2019-03-22
KR102126048B1 KR102126048B1 (ko) 2020-06-23

Family

ID=6594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66A KR102126048B1 (ko) 2017-07-04 2017-09-14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387A (ko) * 2004-04-26 2005-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51151A (ko) * 2009-11-09 2011-05-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 시트
KR20140075519A (ko) * 2012-12-11 2014-06-19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20140085299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387A (ko) * 2004-04-26 2005-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51151A (ko) * 2009-11-09 2011-05-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 시트
KR20140075519A (ko) * 2012-12-11 2014-06-19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20140085299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48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7899B2 (ja) 光学用粘着材樹脂組成物、光学用粘着材シート、画像表示装置、光学用粘着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542633B1 (ko) 점착제, 광학 부재용 점착제, 광학 부재 및 일시 표면 보호용 점착제
KR101340540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점착제를 이용한 광학부재
US11781040B2 (en) Adhesive film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TW202116961A (zh) 黏著劑層及黏著膜
KR102253710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광학 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102253711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1822698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CN109207103B (zh) 用于偏光板的粘合膜和粘合剂组合物、包含粘合膜的偏光板以及包含偏光板的光学显示器
KR102352953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4015435A (ja) 粘着剤層、タッチパネル用粘着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101908175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8871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25370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광학 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101023845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95576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43694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56591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126048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210255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0327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점착제층, 광학 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101882572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5659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23919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