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57900A2 -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57900A2
WO2012157900A2 PCT/KR2012/003713 KR2012003713W WO2012157900A2 WO 2012157900 A2 WO2012157900 A2 WO 2012157900A2 KR 2012003713 W KR2012003713 W KR 2012003713W WO 2012157900 A2 WO2012157900 A2 WO 201215790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yl
formula
compound
phenyl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37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57900A3 (ko
Inventor
지대윤
이병세
박찬수
이민형
차효진
조우진
강희원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280023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608337B/zh
Priority to US14/117,271 priority patent/US9505799B2/en
Publication of WO201215790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7900A2/ko
Publication of WO201215790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5790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3/00Normal steroids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or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07J43/003Normal steroids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or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not conden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04Lipids, e.g. triglycerides; Polycationic carriers
    • A61K51/0406Amines, polyamines, e.g. spermine, spermidine, amino acids, (bis)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93Steroids, e.g. cholesterol, testoster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9/00Introduction of isotopes of elements into organic compounds ; Labelled organic compounds per se
    • C07B59/007Ster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1/00Preparation of esters of nitric or nitrous acid or of compounds containing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1/06Preparation of nitro compounds
    • C07C201/12Preparation of nitro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nitr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5/00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5/27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 C07C205/35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having nitro groups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05/36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having nitro groups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same condensed ring system
    • C07C205/37Compounds containing nitr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having nitro groups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being part of the same condensed ring system the oxy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s being further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3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at least one amino group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2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2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4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26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esters of sulfonic acids
    • C07C303/3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esters of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esterified sulf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63Esters of sulfonic acids
    • C07C309/64Esters of sulfonic acids having sulfur atoms of esterified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65Esters of sulfonic acids having sulfur atoms of esterified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66Methanesulf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22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troduction of halogens;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25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07D249/06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with ar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07J1/0051Estrane derivatives
    • C07J1/0059Estra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y a keto group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18 F in a single step b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relates to a precurs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the radiopharmaceutical, and more particularly 4 precursor having an organic salt of depar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is
  •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desired 18 F-labeled PET radiopharmaceutical with high radiochemical yield within a short manufacturing time.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 nuclear medicine molecular imaging technique for real-time imaging of the human body, is an effective human imaging technique that can detect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human body that occur early in the disease.
  • the market is showing steep growth.
  • 11 C a positron emitting radioisotope, is used because it is relatively easy to label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 basic skeleton of organic matter. 11 C, however, has a short half-life of 20 minutes, making it unsuitable for commercial use.
  • 18 F another radioisotope
  • 18 F has several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being easily mass-produced from cyclotron, and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commercially available nuclide due to its relatively long half-life of 110 minutes.
  • the 11 C-labeled compounds developed to replace existing or newly developed disease with 18 F- labeled compounds - introducing profile functional as a way to introduce 18 F in the target compound as a [18 F] fluoro How to do is generalized.
  • radiopharmaceuticals incorporating [ 18 F] fluoropropyl functional groups have a tendency to decrease the binding force to the target material, increase in lipophilic intake in some tissues, increased selectivity due to increased non-specific bi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is ba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introducing a [ 18 F] fluoromethyl group structurally similar to the [ 11 C] methyl group instead of the [ 18 F] fluoropropyl functional group.
  • An existing method for introducing [ 18 F] fluoromethyl groups is to use [ 18 F] fluoromethylation reagents.
  • Such reagents can generally be obtained by labeling 18 F with methan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leaving groups.
  • the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with the precursor may produce a radiopharmaceutical into which a desired [ 18 F] fluoromethyl group is introduced.
  • this method requires a two-step synthesis process for the 18 F label,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Complex manufacturing processes make it difficult to implement automated synthesis systems that are essential to commercializ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precursor for preparing an 18 F-labeled PET radiopharmaceutic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 us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precurs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cursor compris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leaving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is -X-CH 2 at the 18 F radiotracer the cover - as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s 18 F, C 1 -C 1000 and a hydrocarbon group, the group is a C 1 carbon of the main chain hydrocarbon -C oxygen 1000,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nitrogen, sulfur, phosphorus or a combination thereof, hydrogen in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 X is oxygen, sulfur, or -C (O)-
  • the leaving group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tetravalent ammonium salt of C 2 -C 50 .
  • R 1 is a C 1 -C 200 hydrocarbon group, the C 1 -C 200 hydrocarbon group may b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xygen, nitrogen, sulfur, phosphorus or a combination of carbon in the main chain, hydrogen of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 X is oxygen, sulfur, or -C (O)-
  • A, B, C, D and E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nitrogen, oxygen, sulfur or carbon,
  • hydrogen of each carbo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R 2 or R 3 ,
  • R 2 or R 3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 R 2 and R 3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C 1 -C 20 hydrocarbon group in which carbon in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oxygen, nitrogen, sulfur,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hydrogen in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n be exchanged,
  • Y is a halogen anion, a sulfonate anion, BF 4 -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PF 6 -, SbF 6 -, N (SO 2 CF 3) 2 - and N (CN) 2
  • n 0 or 1
  • R 1 is a C 1 -C 100 hydrocarbon group, the C 1 -C 100 hydrocarbon group may b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xygen, nitrogen, sulfur, phosphorus or a combination of carbon of the main chain, hydrogen of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 X is oxygen, sulfur, or -C (O)-
  • R 3 One nitrogen in the ring of the tetravalent cation is substituted with R 3 and each carbon can be independentl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R 2 ,
  • R 2 and R 3 are C 1 -C 20 hydrocarbon groups, carbon of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oxygen, nitrogen, sulfur or a combination thereof, hydrogen of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
  • Y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fluoromethanesulfonate (CF 3 SO 3 ⁇ ), paratoluenesulfonate, methanesulfonate and paranitrobenzenesulfonate.
  • R 1 is , , ,
  • X is oxygen, sulfur, or -C (O)-
  • R 4 is a nitrogen in a ring of the cation substituted with R 3 may b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n each carbon is independently R 2 together, R 2 and R 3 are independently C 1-4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with each other For example, methyl, ethyl, n-propyl, iso-propyl, n-butyl, iso-butyl, t-butyl and the like, phenyl, , , A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Y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fluoromethanesulfonate (CF 3 SO 3 ⁇ ), paratoluenesulfonate, methanesulfonate and paranitrobenzenesulfonate.
  •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3-acetonaphthyl-1-methylimidazolium.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recursor contain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leaving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may be provided b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sub-concept of the formula (1), specifically to be provided by the following methods 1 to 4 Can be.
  • R 1 , R 2 , R 3 and Y are as defined above and Z is chlorine, bromine, iodine, R 4 SO 3 ⁇ .
  • R 4 is a C 1 -C 20 hydrocarbon group where carbon in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oxygen, nitrogen, sulfur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hydrogen in the main chain may b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 Step 1 of Scheme 1 is a step of synthesizing the azido compound of Formula 3 from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and reacts with the reagent used herein
  • the solvent may use an organic chemical reaction that is commonly applied.
  • Step 2 of Scheme 1 is a copper (I) -catalyzed alkyne / azide [3 + 2] cycloaddition reaction between the azido compound of Formula 3 obtained in Step 1 and the alky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Copper (I ) -catalyzed Alkyne / Azide [3 + 2] Cycloaddition (CuAAC) to synthesize compounds of formula 5 under mild conditions, wherein the compounds of formulas 2 and 3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synthesized by conventional methods.
  • CuAAC Cycloaddition
  • reaction solvent used may be a solv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alkyne / azide [3 + 2] cycloaddition reaction under the copper (I) -catalyst between the azido compound and the alkyne compound.
  • Step 3 of Scheme 1 is a step of synthesizing an organic salt of Formula 1-a using an alkylating reagent represented by Formula 1 to 1,2,3-triazole compound of Formula 5 obtained in Step 2, wherein Formula 6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is a compound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synthesized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reaction solvent used may be a solvent commonly used in organic salt production reaction.
  • step 2 of synthesizing an organic salt of Formula 1-b using an alkylation reagent represented by Formula 6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5 obtained in Step 1.
  • R 1 , R 2 , R 3 , A, B, C, D, E, X, Y and n are as defined above, Z is as defined in Preparation Method 1 above.
  • Step 1 of Scheme 2 is carried out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7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8 Synthesis of the compound of Formula 5, wherein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s 7 and 8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synthesized by conventional methods, the reaction solvent used is a solvent commonly used in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Can be used.
  • Step 2 of Scheme 2 is a step of synthesizing an organic salt of Formula 1-b using an alkylation reagent represented by Formula 6 to the compound of Formula 5 obtained in Step 1, wherei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6 is commercially purchased Is a compound which can be synthesized by a conventional method or available, and the reaction solvent used may be a solvent commonly used in organic salt preparation reaction.
  •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of Formula 1-b comprising the step (step 1) of synthesizing the compound of Formula 1-b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7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9.
  • R 1 , R 2 , R 3 , A, B, C, D, E, X, Y and n are as defined above, and Z is as defined in Preparation Method 1 above.
  • Step 1 of Scheme 3 is carried out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7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9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9)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8)
  • the reaction solvent used in step 1 may be a solvent commonly used in organic salt preparation reaction.
  •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of Formula 1-b comprising the step (step 1) of synthesizing the compound of Formula 1-b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0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 R 1 , R 2 , R 3 , A, B, C, D, E, X, Y and n are as defined above.
  • Step 1 of Scheme 4 is carried out through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0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 the reaction solvent used is usually in the organic salt production reaction The solvent used can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18 F-labeled comp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und contain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leaving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the fluorine salt represented by the formula MF as shown in Scheme 5 Nuclear fluorination reaction) and an 18 F-label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2.
  • R 1 , X and leaving groups are as defined in Formula 1, M is a metal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 Na, K, Rb and Cs; Tetravalent ammonium cation; Or a tetravalent phosphonium cation, F is 18 F.
  • Compounds containing tetravalent organic salt leaving groups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precursors in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s with fluoride anions in the form of various metal salts or organic salts, as shown in FIG.
  • the intermediate compound is formed by the reaction of a tetravalent organic salt precursor with a fluoride anion in the form of a metal salt or an organic salt, resulting in anion exchange, which is a fast product of Formula 12, which is a product through an intramolecular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 Converted to a labeled compound.
  • the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 (F is 18 F) can be carried out under reaction conditions that are commonly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18 F-labeled compound which is the product of Scheme 5.
  • Precur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roduce 18 F-fluoromethyl groups into radiopharmaceuticals in a simple one step tablet.
  • a tetravalent organic salt to the precursor leaving the activated leaving group to produce 18 F-fluoromethyl group in one step,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existing multi-step complex synthesis.
  • the tetravalent organic salt contained in the leaving group of the precursor acts as a phase transfer catalyst, an additional excess phase transfer catalyst required for a general nucleophilic [ 18 F] fluorination reaction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separation.
  • phase transfer catalysis by tetravalent organic salts in such precursors induces intramolecular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 and has a much faster reaction rate than general intermolecular nucleophilic fluorination reaction. This feature is well suited for mass production of [ 18 F] radiopharmaceuticals by automated synthesis systems.
  • 1 is a scheme for preparing an 18 F-labeled compound in a single step using a precursor having a tetravalent organic salt leaving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racted ethyl acetate solution was treated with anhydrous sodium sulfate and then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20% ethyl acetate / n -hexane) to obtain a sulfide intermediate ( 13 , 410 mg, 25%).
  • 2-bromoacetophenone ( 10a , 1.97 g, 10.0 mmol)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40 mL), and sodium azide (NaN 3 , 650 mg, 11.0 mmo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for 12 hours. Water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 organic compound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The extracted dichloromethane solution was treated with anhydrous sodium sulfate and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10% ethyl acetate / n -hexane) to obtain 2- azidoacetophenone ( 3b , 2.11 g, 100%) as a target compound.
  • Bromomethyl phenyl sulfide ( 10b , 1.58 g, 10.0 mmol) was dissolved in dimethylformamide (40 mL), and sodium azide (NaN 3 , 1.3 g, 20.0 mmo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for 12 hours. Water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 organic compound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The extracted ethyl acetate solution was treated with anhydrous sodium sulfate and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1% ethyl acetate / n -hexane) to obtain azidomethyl phenyl sulfide ( 3c , 1.62g, 98%) as a target compound.
  • 4-tert-butyl-1-((2-naphthoxy) methyl) -1,2,3-triazole ( 5a , 477 mg, 1.69 mmol)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7.0 mL) and methyl tri Fluoromethanesulfonate ( 6a , MeOTf, 0.278 mL, 2.5 mmol) was added, stirred at 0 ° C. for 30 minutes, and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compound 4-tert-butyl-3-methyl-1- ( (2-naphthoxy) methyl) -1,2,3-tri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1a , 580 mg, 77%) was obtained.
  • step 1 4-phenyl-1- (2-phenylethane-2-one-1-yl) -1,2,3-triazole ( 5e , 520 mg, 1.67 mmol) obtained in step 1 was added to acetonitrile (7.0 mL). After dissolving, methyl trifluoromethanesulfonate ( 6a , MeOTf, 0.278 mL, 2.5 mmol) was added thereto, stirred at 0 ° C.
  • 2-naphthol ( 7a , 720 mg, 5.0 mmol) and potassium carbonate (2.07 g, 15 mmol) were dissolved in acetonitrile (20 mL), and then 1- (chloromethyl) -4-phenyl-1,2,3- Triazole ( 8a , 1.45 g, 7.5 mmol) was added and stirred at 80 ° C. for 5 hours. Water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n the organic compound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 4-phenyl-1-((2-naphthoxy) methyl) -1,2,3-triazole ( 5 g , 1.13 g, 3.75 mmol)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15.0 mL) and methyl trifluoro Methanesulfonate ( 6a , MeOTf, 0.618 mL, 5.63 mmol) was added, stirred at 0 ° C. for 30 minutes, and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afford the desired compound 4-phenyl-3-methyl-1-((2-naph). Methoxy) methyl) -1,2,3-tri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1 g , 1.68 g, 96%) was obtained.
  • step 1 1- [3- (2-naphthoxy) -n -propyl] oxymethyl-4-phenyl-1,2,3-triazole ( 5h , 1.25 mg, 3.5 mmol) obtained in step 1 was purified by acetonitrile (14.0 mL ), Methyl trifluoromethanesulfonate ( 6a , MeOTf, 0.57 mL, 5.25 mmol) was added, stirred at 0 ° C.
  • N-BOC-L-tyrosine tert-butyl ester ( 7e, 0.79 g, 2.35 mmol) was dissolved in acetone (23 mL), followed by cesium carbonate (2.00 g, 5.87 mmol), 1- (chloromethyl) -4-phenyl -1,2,3-triazole ( 8a , 0.46 g, 2.59 mmol) was added sequentially and stirred at 50 ° C. for 6 hours. The reaction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diluted with ethyl acetate and filtered. The filtrate is washed with 1.0 normal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ter and saturated aqueous sodium chloride solution in that order.
  • 2-naphthol ( 7a , 720 mg, 5.0 mmol) and potassium carbonate (2.07 g, 15 mmol) were dissolved in acetonitrile (20 mL) and then 1- (chloromethyl) -4-phenyl-imidazole ( 8b, 1.44 g, 7.5 mmol) was added, followed by stirring for 5 hours at 80 ° C. heating conditions. Water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n the organic compound was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 step 1 4-phenyl-1-((2-naphthoxy) methyl) imidazole ( 5l , 931 mg, 3.10 mmol)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15.0 mL) and methyl trifluoromethanesulfonate ( 6a , MeOTf , 0.51 mL, 4.65 mmol) was added, followed by stirring at 0 ° C. for 30 minutes, and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yield the desired compound 4-phenyl-3-methyl-1-((2-naphthoxy) methyl) imid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1L , 734 mg, 51%) was obtained.
  • 2-naphthol ( 7a , 288 mg, 2.0 mmol) and potassium carbonate (829 mg, 6.0 mmol) were dissolved in acetonitrile (8 mL), and then 1- (chloromethyl) -4-phenyl-3-methyl-1, 2,3-tri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9a , 858 mg, 2.4 mmol) was added, followed by stirring at 80 ° C. for 5 hours. Water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n the organic compound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 estrone ( 7k , 811 mg, 3.0 mmol) instead of 2-naphthol ( 7a ) used in Example 12 and proceeding with 1- (3- O -estronyl) methyl-3- Methyl-4-phenyl-1,2,3-tri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1r , 1.26 g, 71%) was obtained.
  • Example 2 4-tert-butyl-3-methyl-1-((2-naphthoxy) methyl) -1,2,3-tri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 1a , 0.5 mmol) obtained in Example 1 was used.
  • the fluorin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using cesium fluoride instead of tetrabutylammonium fluoride as the fluorination reagent.
  • the reaction time was confirmed for each reaction and the amount of 2-fluoromethoxynaphthalene which was a product for the fluorination reaction was measured. The measur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용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그 제조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가 유기염의 이탈기를 갖는 전구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단일 단계로 18F를 도입함으로써 짧은 제조시간 내에 원하는 PET 방사성의약품을 높은 방사화학적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는 기존의 다단계의 복잡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단일 단계로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과량의 상전이 촉매가 필요 없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반응 후 화합물 분리가 용이하고, 반응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자동화 합성 시스템에 의한 PET 방사성의약품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그 제조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가 유기염의 이탈기를 갖는 전구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단일 단계로 18F를 도입함으로써 짧은 제조시간 내에 원하는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을 높은 방사화학적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핵의학 분자영상 기법인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은 질병 초기에 일어나는 인체 내 생화학적, 생리학적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체영상 기법으로 의료영상 시장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새로운 질병에 대한 초기 PET 의약품 연구에서 양전자방출 방사성 동위원소인 11C이 사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표지가 용이하고 유기물의 기본 골격인 탄소이라는 장점을 보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1C는 반감기가 20분으로 짧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사용하기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인 18F은 싸이클로트론으로부터 쉽게 대량 생산 가능하다는 점 등의 여러 우수한 특성들이 있고, 특히 110분의 비교적 긴 반감기로 인해 최근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핵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18F의 유용성 때문에, 기존에 개발된 11C 표지 화합물을 18F-표지 화합물로 대체하거나, 새롭게 개발된 질병-표적 화합물에 18F을 도입하는 방안으로 [18F]플루오로프로필 작용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18F]플루오로프로필 작용기가 도입된 방사성의약품은 표적 물질에 대한 결합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친유성의 증가로 일부 조직에서 높은 섭취가 이루어지고, 비특이적 결합의 증가로 선택성이 감소되어 영상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18F]플루오로프로필 작용기 대신 [11C]메틸기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18F]플루오로메틸기를 도입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18F]플루오로메틸기를 도입하는 기존의 방법은 [18F]플루오로메틸화 시약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약은 일반적으로 이탈기를 두 개 이상 갖는 메탄 화합물에 18F을 표지함으로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전구체와 친핵성 치환반응시키면 원하는 [18F]플루오로메틸기가 도입된 방사성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18F 표지에 두 단계의 합성 과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조 과정이 복잡하면 상업화에 필수적 요소인 자동화 합성 시스템 구현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위한 4가 유기염 전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위한 4가 유기염 전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가 유기염 전구체를 이용하는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가 유기염 전구체의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을 통해 제조한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18F이 표지된 방사성추적자에서 -X-CH2-18F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C1-C10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10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50의 4가 암모늄염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에서,
R1은 C1-C2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2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2
이고, 상기 이탈기에서,
A, B, C, D 및 E는 서로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황 또는 탄소로서,
(i) 각 탄소의 수소는 R2 또는 R3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ii) 각 질소의 경우, R2 또는 R3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와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의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Y는 할로겐 음이온, 설포네이트 음이온, BF4 -, PF6 -, SbF6 -, N(SO2CF3)2 - 및 N(CN)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에서,
R1은 C1-C1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1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i)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3
또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4
중에서 선택되는 4가 양이온; 및 (ii) Y인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염이고,
4가 양이온의 고리 내 하나의 질소가 R3으로 치환되며 각 탄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R2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 및 R3는 C1-C20의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Y는 서로 독립적으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 -),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파라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에서,
R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5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6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7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8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09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0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1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2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3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4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5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6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i)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7
또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8
중에서 선택되는 4가 양이온; 및 (ii) Y인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염이고,
4가 양이온의 고리 내 하나의 질소가 R3으로 치환되며 각 탄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R2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1-4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iso-부틸, t-부틸 등, 페닐,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19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0
, 및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1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서로 독립적으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 -),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파라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구체는,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메톡시카보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4-메톡시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tert-부틸-3-메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메틸설포닐옥시-3-(2-나프틸)-2-옥시프로필]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2-나프틸)메틸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이미다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브로모-2-메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3,4-디메톡시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4-니트로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아세틸아미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및
3-아세토나프틸-1-메틸이미다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1의 하위 개념에 따라 여러 가지 제법으로 제공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제법 1 내지 4로 제공될 수 있다.
제법 1: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킨 화합물간의 [3+2]고리화첨가반응을 통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2);
단계 2에서 얻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a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3)를 포함하는 화학식 1-a의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2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및 Y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염소, 브롬, 요오드, R4SO3 - 이다. 여기서 R4는 C1-C20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사용되는 시약과 반응용매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유기화학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2는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킨 화합물간의 구리(I)-촉매하의 알킨/아자이드 [3+2]고리화첨가반응 (Copper(I)-catalyzed Alkyne/Azide [3+2]Cycloaddition, CuAAC)을 통해 온화한 조건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2와 3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아지도 화합물과 알킨 화합물간의 구리(I)-촉매하의 알킨/아자이드 [3+2]고리화첨가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3은 단계 2에서 얻은 화학식 5의 1,2,3-트리아졸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a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유기염 제조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 2: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 및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b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3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상기 제법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전구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2의 단계 1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7과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친핵성 치환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2의 단계 2는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b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유기염 제조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 3: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3]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4
상기 반응식 3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상기 제법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전구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3의 단계 1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제법 2의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과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유기염 제조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제법 4: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 4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4]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5
상기 반응식 4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전구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4의 단계 1은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b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이고, 여기서 화학식 10과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매가 가능하거나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이 가능한 화합물이고, 사용되는 반응용매는 유기염 제조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5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화학식 MF로 표시되는 플루오르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F-표지 화합물의 제조방법(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과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18F-표지 화합물을 제공한다.
[반응식 5]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6
상기 반응식 5에서, R1, X 및 이탈기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Li, Na, K, Rb 및 C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 4가 암모늄 양이온이고; 또는 4가 포스포늄 양이온이고, F는 18F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금속염 또는 유기염 형태의 플루오라이드 음이온과의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에서 전구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중간체 화합물은 4가 유기염 전구체가 금속염 또는 유기염 형태의 플루오라이드 음이온과 상호작용하여 음이온 교환이 일어나 생성되며, 이는 분자 내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을 통해 빠르게 생성물인 화학식 12의 F-표지 화합물로 전환된다. 여기서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F가 18F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반응식 5의 생성물인 18F-표지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구체는 18F-플루오로메틸기를 간단한 한 단계 정으로 방사성 의약품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4가 유기염을 활성화된 이탈기를 전구체에 도입하여 한 단계 공정으로 18F-플루오로메틸기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다단계의 복잡한 합성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구체의 이탈기에 포함된 4가 유기염이 상전이 촉매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친핵성 [18F]플루오르화 반응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과량의 상전이 촉매가 필요 없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반응 후 화합물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구체 내의 4가 유기염에 의한 상전이 촉매 작용은 분자내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을 유도하여 일반적인 분자간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에 비해 반응속도가 훨씬 빠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자동화 합성 시스템에 의한 [18F]방사성의약품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4가 유기염 이탈기를 갖는 전구체를 이용하여 단일 단계로 18F-표지화합물을 제조하는 반응식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와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2-(아지도메톡시)나프탈렌(3a)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7
단계 1:
2-나프톨 (7a, 1.15 g, 8.0 mmol)을 헥사메틸포스포라마이드 (hexamethylphosphoramide, HMPA, 40 mL)에 녹인 후, 소듐하이드라이드 (NaH, 352 mg, 8.8 mmol)을 첨가한 뒤 3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클로로메틸-메틸 설파이드 (0.737 mL, 8.8.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설파이드 중간체(13, 410 mg, 25%)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26 (s, 3H), 5.22 (s, 2H), 7.20-7.16 (m, 2H), 7.34 (t, J = 7.6 Hz, 1H), 7.43 (t, J = 7.6 Hz, 1H), 7.73 (m, 3H).
단계 2:
단계 1에서 얻어진 설파이드 화합물 (13, 410 mg, 2.0 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뒤 설퍼릴클로라이드 (1.0 M SO2Cl2/CH2Cl2 용액, 2.4 mL, 2.4 mmol)를 천천히 가해준 뒤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용매와 반응 잔여물을 감압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유기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에 다시 녹인 후 소듐 아자이드(NaN3, 650 mg, 10 mmol)을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인 2-(아지도메톡시)나프탈렌 (3a, 279 mg, 70%)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27 (s, 2H), 7.21 (dd, J = 9.0 Hz, J = 2.5 Hz, 2H), 7.30 (d, J = 2.5 Hz, 1H), 7.40-7.37 (m, 1H), 7.48-7.45 (m, 2H), 7.75 (d, J = 8.0 Hz, 1H), 7.79 (d, J = 9.0 Hz, 2H).
제조예 2: 2-아지도아세토페논 (3b)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8
2-브로모아세토페논 (10a, 1.97 g, 10.0 mmol)을 아세토니트릴 (40 mL)에 녹인 후 소듐 아자이드 (NaN3, 650 mg, 11.0 mmol)을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인 2-아지도아세토페논 (3b, 2.11 g, 100%)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56 (s, 2H), 7.49 (t, J = 6.2 Hz, 2H), 7.62 (t, J = 6.0 Hz, 1H), 7.90 (d, J = 7.6 Hz, 2H).
제조예 3: 아지도메틸 페닐 설파이드 (3c)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29
브로모메틸 페닐 설파이드 (10b, 1.58 g, 10.0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0 mL)에 녹인 후 소듐 아자이드 (NaN3, 1.3 g, 20.0 mmol)을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인 아지도메틸 페닐 설파이드 (3c, 1.62g, 98%)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54 (s, 2H), 7.37-7.25 (m, 3H), 7.45 (d, J = 8.0 Hz, 2H).
실시예 1: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0
단계 1:
상기 제조예 1의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2-(아지도메톡시)나프탈렌 (3a, 390 mg, 2.0 mmol)과 3,3-다이메틸-1-부틴 (4a, 246 mg, 3.0 mmol)을 아세토니트릴 (8 mL)에 녹인 후 요오드화 구리 (77 mg, 0.4 mmol)와 트리에틸아민 (0.056 mL, 0.4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여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 메탄올/디클로로메탄)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 4-tert-부틸-1-((2-나프톡시)메틸) -1,2,3-트리아졸 (5a, 477 mg, 85%)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1.35 (s, 9H), 6.30 (s, 2H), 7.19 (dd, J = 9.0 Hz, J = 2.5 Hz, 1H), 7.40-7.38 (m, 1H), 7.46-7.44 (m, 2H), 7.51 (s, 1H), 7.76 (t, J = 8.0 Hz, 3H);
13C NMR (125 MHz, CDCl3) δ 158.8, 154.3, 134.3, 130.14, 130.05, 127.8, 127.5, 126.9, 124.9, 118.7, 118.6, 109.9, 76.2, 31.0, 30.4.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4-tert-부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a, 477 mg, 1.69 mmol)을 아세토니트릴 (7.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278 mL, 2.5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목적화합물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580 mg, 77%)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1.46 (s, 9H), 4.35 (s, 3H), 6.60 (s, 2H), 7.22 (dd, J = 9.0, 2.5 Hz, 1H), 7.42-7.39 (m, 1H), 7.49-7.45 (m, 2H), 7.77 (d, J = 8.0 Hz, 1H), 7.80 (t, J = 8.5 Hz, 2H), 8.60 (s, 1H);
13C NMR (125 MHz, CDCl3) d 153.1, 152.3, 134.1, 130.6, 130.4, 128.4, 127.8, 127.6, 127.2, 125.4, 120.8 (q, J = 319 Hz), 118.0, 110.2, 79.2, 40.9, 31.6, 28.4.
실시예 2: 4-메톡시카보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b)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1
단계 1: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3,3-다이메틸-1-부틴 (4a) 대신에 메틸프로피오레이트 (4b, 252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메톡시카보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b, 346 mg, 61%)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94 (s, 3H), 6.41 (s, 2H), 7.17 (dd, J = 9.0 Hz, J = 2.5 Hz, 1H), 7.36 (d, J = 2.5 Hz, 1 H), 7.42-7.39 (m, 1H), 7.49-7.45 (m, 1H), 7.73 (d, J = 8.0 Hz, 1H), 7.79-7.77 (m, 2H), 8.34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61.0, 153.6, 141.0, 134.1, 130.5, 130.3, 127.9, 127.6, 127.4, 127.1, 125.2, 118.3, 110.2, 76.7, 52.5.
단계 2: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사용한 4-tert-부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a) 대신에 4-메톡시카보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b, 346 mg, 1.2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메톡시카보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b, 513 mg, 94%)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96 (s, 3H), 4.35 (s, 3H), 6.70 (s, 2H), 7.22 (dd, J = 9.0 Hz, 2.5 Hz, 1H), 7.41 (td, J = 7.8, 1.2 Hz, 1H), 7.47 (td, J = 7.3, 1.3 Hz, 1H), 7.51 (d, J = 2.5 Hz, 1H), 7.76 (d, J = 8.0 Hz, 1H), 7.80 (t, J = 9.0 Hz, 2H), 9.26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5.4, 152.9, 134.1, 133.8, 133.3, 130.8, 130.7, 127.8, 127.7, 127.3, 125.6, 120.7 (t, J = 318 Hz), 118.0, 110.9, 80.3, 54.3, 41.5.
실시예 3: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c)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2
단계 1: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3,3-다이메틸-1-부틴 (4a) 대신에 1-에틴일-3,5-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벤젠 (4c, 530㎕,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c, 700 mg, 80%)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6.45 (s, 2H), 7.20 (dd, J = 9.0 Hz, J = 2.5 Hz, 1H), 7.41-7.38 (m, 1H), 7.43 (d, J = 2.5 Hz, 1 H), 7.49-7.45 (m, 1H), 7.80-7.75 (m, 3H), 7.83 (s, 1H), 8.19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34.2, 132.6, 132.4, 132.3, 130.4, 130.2, 127.9, 127.4, 127.1, 125.9, 125.2, 124.4, 122.2, 122.1, 120.7, 118.4, 109.9, 76.5.
단계 2: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사용한 4-tert-부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a) 대신에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c, 700 mg, 1.6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c, 860 mg, 89%)을 얻었다.
1H NMR (500 MHz, MeOD) δ 4.36 (s, 3H), 6.81 (s, 2H), 7.35 (dd J = 9.0 Hz, 2.5 Hz, 1H), 7.43 (td, J = 7.0 Hz, 1.0 Hz, 1H), 7.50 (td, J = 7.0 Hz, 1.0 Hz, 1H), 7.64 (d, J = 2.5 Hz, 1H), 7.85 (t, J = 7.0 Hz, 2H), 7.73 (d, J = 9.0 Hz, 1H), 8.33 (s, 1H), 8.36 (s, 2H);
13C NMR (125 MHz, MeOD) δ 153.2, 141.2, 134.2, 132.7 (q, J = 34 Hz), 130.6, 130.4 (d, J = 3 Hz), 130.2, 127.4, 127.1, 126.7, 125.4 (q, J = 4 Hz), 125.0, 124.9, 123.9, 121.8, 120.4 (q, J = 317 Hz), 117.8, 110.7, 79.8, 38.4.
실시예 4: 4-(4-메톡시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d)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3
단계 1: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사용한 3,3-다이메틸-1-부틴 (4a) 대신에 4-에틴일아니솔 (4d, 252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4-메톡시페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d, 391 mg, 59%)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83 (s, 3H), 6.39 (s, 2H), 7.00-6.93 (m, 2H), 7.20 (dd, J = 9.0 Hz, J = 2.5 Hz, 1H), 7.27 (d, J = 9.0 Hz, 1 H), 7.40-7.37 (m, 1H), 7.47-7.44 (m, 2H), 7.78-7.72 (m, 5H), 7.93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34.3, 133.9, 130.3, 130.2, 129.9, 127.8, 127.5, 127.4, 127.3, 127.0, 125.0, 123.0, 118.7, 118.6, 114.5, 110.1, 76.5, 55.5.
단계 2: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사용한 4-tert-부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a) 대신에 4-(4-메톡시페닐)-1-((2-나프톡시)메틸) -1,2,3-트리아졸 (5d, 391 mg, 1.1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4-메톡시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d, 521 mg, 89%)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82 (s, 3H), 4.25 (s, 3H), 6.65 (s, 2H), 7.03-7.00 (m, 2H), 7.25 (dd, J = 9.0, 2.5 Hz, 1H), 7.42 (td, J = 7.5, 1.0 Hz, 1H), 7.53-7.47 (m, 4H), 7.79 (d, J = 8.5 Hz, 1H), 7.83 (t, J = 9.0 Hz, 2H), 8.76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62.7, 153.1, 144.1, 134.2, 131.3, 130.8, 130.6, 128.5, 127.8, 127.7, 118.0, 115.5, 113.5, 110.5, 79.6, 55.7, 38.9.
실시예 5: 3-메틸-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e)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4
단계 1:
2-아지도아세토페논 (3b, 322 mg, 2.0 mmol)과 페닐아세틸렌 (4e, 225 mg, 2.2 mmol)을 아세토니트릴 (8 mL)에 녹인 후 요오드화 구리 (77 mg, 0.4 mmol)와 트리에틸아민 (0.056 mL, 0.4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하여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 메탄올/디클로로메탄)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 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 (5e, 520 mg, 8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90 (s, 2H), 7.35 (t, J = 7.4 Hz, 1H), 7.44 (t, J = 7.4 Hz, 2H), 7.55 (t, J = 7.8Hz, 2H), 7.68 (t, J = 7.4 Hz, 1H), 7.87 (d, J = 8.4 Hz, 2H), 7.95 (s, 1H), 8.03 (t, J = 8.4 Hz, 2H).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 (5e, 520 mg, 1.67 mmol)을 아세토니트릴 (7.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278 mL, 2.5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감압하여 목적화합물 3-메틸-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e, 694 mg, 87%)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31 (s, 3H), 6.43 (s, 2H), 7.55-7.72 (m, 8H), 8.04 (d, J = 6.0 Hz, 2H), 8.76 (s, 1H).
실시예 6: 4-tert-부틸-3-메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f)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5
단계 1: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화합물 아지도메틸 페닐 설파이드 (3c, 330 mg, 2.0 mmol)과 3,3-다이메틸-1-부틴 (4a, 246 mg, 3.0 mmol)을 아세토니트릴 (8 mL)에 녹인 후 요오드화 구리 (77 mg, 0.4 mmol)와 트리에틸아민 (0.056 mL, 0.4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감압하여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 메탄올/디클로로메탄)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 4-tert-부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라이아졸 (5f, 411 mg, 8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3 (s, 9H), 5.90 (s, 2H), 7.45-7.34 (m, 5H), 7.76 (s, 1H).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4-tert-부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라이아졸 (5f, 411 mg, 1.66 mmol)을 아세토니트릴 (7.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278 mL, 2.5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감압하여 목적화합물 4-tert-부틸-3-메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f, 615 mg, 90%)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1.46 (s, 9H), 4.28 (s, 3H), 5.93 (s, 2H), 7.43-7.38 (m, 5H), 8.17 (s, 1H).
실시예 7: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g)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6
단계 1:
2-나프톨 (7a, 720 mg, 5.0 mmol)과 포타슘카보네이트 (2.07 g, 15 mmol)을 아세토니트릴 (20 mL)에 녹인 후, 1-(클로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8a, 1.45 g, 7.5 mmol)을 첨가한 뒤 80도 가열조건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3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4-페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g, 1.13 g, 75%)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6.40 (s, 2H), 7.20 (dd, J = 9.0 Hz, J = 2.5 Hz, 1H), 7.26 (d, J = 9.5 Hz, 1H), 7.47-7.31 (m, 6H), 7.79-7.76 (m, 3H), 7.83-7.81 (m, 2H), 8.01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34.2, 133.9, 130.3, 130.2, 129.9, 129.0, 128.6, 127.8, 127.5, 127.0, 126.03, 125.94, 125.0, 119.6, 118.5, 110.1, 76.5.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4-페닐-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 (5g, 1.13 g, 3.75 mmol)을 아세토니트릴 (15.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618 mL, 5.63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목적화합물 4-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g, 1.68 g, 96%)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d 3.81 (s, 3H), 6.35 (s, 2H), 7.22 (dd, J = 9. 0 Hz, 2. 0 Hz, 1H), 7.40-7.35 (m, 3H), 7.54-7.43 (m, 6H), 7.75 (d, J = 8.0 Hz, 1H), 7.78 (d, J = 9.0 Hz, 1H), 7.85 (t, J = 8.5 Hz, 1H), 9.63 (s, 1H);
13C NMR (125 MHz, CDCl3) d 152.8, 138.3, 136.6, 134.3, 131.1, 130.6, 130.4, 129.64, 129.60, 127.7, 127.2, 125.3, 124.5, 120.9 (d, J = 319 Hz), 118.4, 118.1, 110.3, 76.0, 35.1.
실시예 8: 3-메틸-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h)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7
단계 1:
3-(2-나프톡시)프로판올 (7b, 1.01 g, 5.0 mmol)과 포타슘-tert-부톡사이드 (1.69 g, 15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녹인 후, 1-(클로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8a, 1.16 g, 6.0 mmol)을 첨가한 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3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5h, 1.25 g, 70%)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10 (q, J = 6.0 Hz, 2H), 3.79 (t, J = 6.3 Hz, 2H), 4.12 (t, J = 6.3 Hz, 2H), 5.74 (s, 2H), 7.05 (dd, J = 9.0 Hz, J = 2.5 Hz, 1H), 7.09 (d, J = 2.5 Hz, 1H), 7.38-7.31 (m, 4H), 7.44-7.41 (m, 1H), 7.65 (d, J = 8.5 Hz, 1H), 7.68 (d, J = 8.5 Hz, 1H), 7.76-7.73 (m, 3H), 7.87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6.9, 148.9, 134.7, 130.4, 129.6, 129.2, 129.0, 128.5, 127.8, 126.9, 126.5, 126.0, 123.8, 119.3, 118.9, 106.8, 79.3, 66.5, 64.2, 29.3.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5h, 1.25 mg, 3.5 mmol)을 아세토니트릴 (14.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57 mL, 5.25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목적화합물 3-메틸-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h, 1.4 g, 76%)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d 2.11 (q, J = 5.8 Hz, 2H), 4.01-3.99 (m, 5H), 4.08 (t, J = 5.5 Hz, 2H), 5.95 (s, 2H), 7.01 (dd, J = 9.0, 2.5 Hz, 1H), 7.07 (d, J = 2.5 Hz, 1H), 7.44-7.26 (m, 7H), 7.51-7.48 (m, 1H), 7.62 (d, J = 9.0 Hz, 1H), 7.67 (d, J = 8.0 Hz, 1H), 7.71 (d, J = 8.0 Hz, 1H), 8.68 (s, 1H),;
13C NMR (125 MHz, CDCl3) d 156.7, 143.8, 134.7, 132.0, 129.71, 129.66, 129.5, 129.1, 128.3, 127.8, 126.9, 126.8, 12.0, 121.7, 120.8 (d, J = 318 Hz), 118.6, 106.8, 83.6, 68.2, 63.7, 38.7, 29.1
실시예 9: 1-[1-메틸설포닐옥시-3-(2-나프틸)-2-옥시프로필]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i)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8
실시예 8에서 사용한 3-(2-나프톡시)프로판올 (7b) 대신에 2-하이드록시-3-(2-나프탈렌일옥시)프로필 메탄설포네이트 (7c, 889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1-메틸설포닐옥시-3-(2-나프틸)-2-옥시프로필]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i, 1.39 g, 75%)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99 (s, 3H), 4.15 (s, 3H), 4.31-4.22 (m, 2H), 4.43 (d, J = 5.5 Hz, 2H), 4.69-4.67 (m, 1H), 6.22 (q, J = 9.3 Hz, 2H), 7.07 (dd, J = 8.8, 2.8 Hz, 1H), 7.13 (d, J = 2.5 Hz, 1H), 7.43 (td, J = 7.5 Hz, 1.0 Hz, 1H), 7.52-7.48 (m, 4H), 7.57-7.54 (m, 1H), 7.69 (d, J = 9.0 Hz, 2H), 7.23 (t, J = 8.0 Hz, 2H), 8.91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5.9, 143.9, 134.5, 132.1, 129.9, 129.8, 129.6, 129.5, 128.8, 127.8, 127.2, 126.9, 124.4, 122.0, 120.9 (d, J = 319 Hz), 118.3, 107.5, 82.8, 78.5, 69.7, 67.2, 38.8, 37.4.
실시예 10: 3-메틸-(2-나프틸)메틸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j)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39
실시예 8에서 사용한 3-(2-나프톡시)프로판올 (7b) 대신에 나프탈렌메탄올 (7d, 475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3-메틸-(2-나프틸)메틸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j, 1.09 g, 76%)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96 (s, 3H), 4.88 (s, 2H), 5.94 (s, 2H), 7.24 (d, J = 7.5 Hz, 2H), 7.45-7.32 (m, 6H), 7.68 (d, J = 8.5 Hz, 1H), 7.76-7.71 (m, 3H), 8.48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43.39, 143.38, 133.1, 132.9, 131.8, 129.5, 129.3, 128.3, 128.2, 128.1, 127.69, 127.67, 126.61, 126.55, 125.9, 124.6, 121.59, 121.58, 120.8 (q, J = 319 Hz), 82.7, 73.9, 38.5.
실시예 11: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k)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0
단계 1:
N-BOC-L-타이로신 tert-부틸 에스터 (7e, 0.79 g, 2.35 mmol)를 아세톤 (23 mL) 에 용해시킨 후 세슘카보네이트 (2.00g, 5.87 mmol), 1-(클로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8a, 0.46 g, 2.59 mmol)를 차례로 가하고 5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감압증류 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뒤 여과한다. 그 여액을 1.0 노르말 염산 수용액, 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순으로 세척한다. 세척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20% 에틸아세테이트/헥산)를 시행하여 흰색 고체 화합물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오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5k, 1.07 g, 2.16 mmol, 9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38 (s, 18H), 2.99 (s, 2H), 4.39 (d, J = 6.4 Hz, 1H), 5.03 (d, J = 8 Hz, 1H), 6.23 (s, 3H), 7.09 (d, J = 8 Hz, 2H), 7.33 (d, J = 6.4 Hz, 1H), 7.41 (t, J = 7.6 Hz, 1H), 7.82 (d, J = 7.6 Hz, 2H), 7.97 (s, 1H),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오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 (5k, 0.47 g, 0.96 mmol)를 아세토니트릴 (2.5mL)에 녹인 후 메틸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6a, 53 ㎕, 0.48 mmol) 을 가하고 9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다. 이 반응물을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를 시행하여 목적화합물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k, 0.22 g, 0.34 mmol, 70%)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0 (s, 18H), 3.04-2.98 (m, 2H), 4.30 (s, 3H) 4.37 (d, J = 6.0 Hz, 1H), 5.00 (d ,J = 8.0 Hz, 1H), 6.54 (s,2H), 7.03 (d, J = 8.8 Hz, 1H), 7.14 (d, J = 8.4 Hz, 2H), 7.61-7.54 (m, 5H), 8.70 (s,1H).
실시예 12: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이미다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l)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1
단계 1:
2-나프톨 (7a, 720 mg, 5.0 mmol)과 포타슘카보네이트 (2.07 g, 15 mmol)을 아세토니트릴 (20 mL)에 녹인 후, 1-(클로로메틸)-4-페닐-이미다졸 (8b, 1.44 g, 7.5 mmol)을 첨가한 뒤 80℃ 가열조건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0% 에틸아세테이트/n-헥산)를 수행하여 4-페닐-1-((2-나프톡시)메틸)이미다졸 (5l, 931 mg, 62%)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94 (s, 2H), 7.13 (dd, J = 9.2 Hz, J = 2.4 Hz, 1H), 7.28-7.24 (m, 2H), 7.43-7.36 (m, 4H), 7.48 (td, J = 7.4 Hz, J = 1.2 Hz, 1H), 7.71 (d, J = 1.2 HZ, 1H), 7.74 (d, J = 8.0 Hz, 1H), 7.81-7.77 (m, 4H).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4-페닐-1-((2-나프톡시)메틸)이미다졸 (5l, 931 mg, 3.10 mmol)을 아세토니트릴 (15.0 mL)에 녹이고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6a, MeOTf, 0.51 mL, 4.65 mmol)를 가한 뒤, 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목적화합물 4-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이미다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l, 734 mg, 51%)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d 3.78 (s, 3H), 6.33 (s, 2H), 7.21 (dd, J = 8.8, 2.3 Hz, 1H),7.38-7.34 (m, 3H), 7.52-7.41 (m, 6H), 7.73 (d, J = 8.0 Hz, 1H), 7.76 (d, J = 9.0 Hz, 1H), 7.84 (d, J = 8.0 Hz, 1H), 9.57 (s, 1H);
13C NMR (125 MHz, CDCl3) d 152.9, 138.1, 136.5, 134.3, 131.0, 130.6, 130.3, 129.6, 129.5, 127.72, 127.69, 127.1, 125.2, 124.5, 120.9 (q, J = 319 Hz), 118.5, 118.2, 110.3, 76.0, 35.1.
실시예 13: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g)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2
2-나프톨 (7a, 288 mg, 2.0 mmol)과 포타슘카보네이트 (829 mg, 6.0 mmol)을 아세토니트릴 (8 mL)에 녹인 후, 1-(클로로메틸)-4-페닐-3-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9a, 858 mg, 2.4 mmol)을 첨가한 뒤 80℃ 가열조건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를 수행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목적화합물 4-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g, 577 mg, 62%)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d 3.81 (s, 3H), 6.35 (s, 2H), 7.22 (dd, J = 9. 0 Hz, 2. 0 Hz, 1H), 7.40-7.35 (m, 3H), 7.54-7.43 (m, 6H), 7.75 (d, J = 8.0 Hz, 1H), 7.78 (d, J = 9.0 Hz, 1H), 7.85 (t, J = 8.5 Hz, 1H), 9.63 (s, 1H);
13C NMR (125 MHz, CDCl3) d 152.8, 138.3, 136.6, 134.3, 131.1, 130.6, 130.4, 129.64, 129.60, 127.7, 127.2, 125.3, 124.5, 120.9 (d, J = 319), 118.4, 118.1, 110.3, 76.0, 35.1.
실시예 14: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m)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3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4-페닐페놀 (7f, 510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m, 1.28 g, 87%)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26 (s, 3H), 6.56 (s, 2H), 7.19 (q, J = 5.0 Hz, 1H), 7.19 (d, J = 9.0 Hz, 1H), 7.32 (td, J = 7.5, 1.3 Hz, 1H), 7.41 (t, J = 7.8 Hz, 2H), 7.61-7.50 (m, 9H), 7.80 (t, J = 8.5 Hz, 2H), 8.79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4.8, 144.0, 140.0, 137.4, 132.3, 129.9, 129.7, 129.0, 128.9, 128.8, 127., 121.7, 120.8 (q, J = 319 Hz), 116.6, 79.7, 39.1.
실시예 15: 1-(4-브로모-2-메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n)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4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4-브로모-2-메틸페놀 (7g, 561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n, 1.14 g, 75%)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20 (s, 3H), 4.28 (s, 3H), 7.04 (d, J = 9.5 Hz, 2H), 7.31-7.27 (m, 2H), 7.61-7.53 (m, 5H), 8.83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2.8, 144.0, 134.5, 132.3, 130.5, 130.4, 129.9, 129.7, 128.9, 121.7, 120.7 (q, J = 319 Hz), 116.6, 115.3, 79.6, 39.1, 16.1.
실시예 16: 1-(3,4-디메톡시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o)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5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3,4-디메톡시페놀 (7h, 462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3,4-디메톡시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o, 927 mg, 65%)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79 (s, 3H), 3.82 (s, 3H), 4.24 (s, 3H), 6.43 (s, 2H), 6.62 (dd, J = 8.5, 2.8 Hz, 1H), 6.68 (s, 1H), 6.76 (d, J = 8.5 Hz, 1H), 7.58-7.48 (m, 5H), 8.72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05.2, 149.4, 146.0, 143.8, 132.2, 129.8, 129.5, 128.6, 121.7, 120.7 (q, J = 319 Hz), 111.7, 106.8, 102.4, 80.6, 56.3, 56.2, 39.0.
실시예 17: 3-메틸-1-(4-니트로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p)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6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4-니트로페놀 (7i, 417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3-메틸-1-(4-니트로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p, 898 mg, 65%)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36 (s, 3H), 6.79 (s, 2H), 7.41 (d, J = 9.5 Hz, 2H), 7.72-7.64 (m, 5H), 8.30 (d, J = 9.5 Hz, 2H);
13C NMR (125 MHz, CDCl3) δ 160.1, 144.2, 143.8, 131.8, 129.4, 129.2, 125.7, 122.1, 120.4 (d, J = 317 Hz, only two peaks of quartet of CF3-C were shown), 116.3, 78.5, 38.3.
실시예 18: 1-(4-아세틸아미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q)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7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3-아세트아미노페놀 (7j, 453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4-아세틸아미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q, 1.08 g, 76%)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09 (s, 3H), 6.41 (s, 2H) 4.26 (s, 3H), 6.72 (dd, J = 8.3, 2.3 Hz, 1H), 7.20-7.15 (m, 2H), 7.63-7.49 (m, 5H), 7.66 (d, J = 8.0 Hz, 1H), 8.70 (s, 1H), 8.93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70.0, 155.4, 144.1, 140.9, 132.5, 130.8, 130.0, 129.7, 128.3, 121.7, 120.7 (q, J = 318 Hz), 116.0, 112.5, 106.6, 80.1, 39.2, 24.5.
실시예 19: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r)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8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2-나프톨 (7a) 대신에 에스트론 (7k, 811 mg, 3.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r, 1.26 g, 71%)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9 (s, 3H), 1.64-1.39 (m, 6H), 1.95-1.93 (m, 1H), 2.16-1.98 (m, 4H), 2.24-2.20 (m, 1H), 2.37-2.35 (m, 1H), 2.49 (dd, J = 19.0, 8.5 Hz, 2H), 2.92-2.90 (m, 2H), 4.27 (s, 3H), 6.50 (s, 2H), 6.88-6.87 (m, 2H), 7.24 (d, J = 9.5 Hz, 1H), 7.62-7.55 (m, 5H), 8.70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220.7, 153.5, 144.0, 139.3, 136.1, 132.3, 129.9, 129.7, 128.7, 127.2, 121.8, 120.8 (q, J = 319 Hz), 116.3, 113.5, 80.0, 50.6, 48.1, 44.2, 39.0, 38.3, 36.0, 31.7, 29.6, 26.5, 26.0, 21.7, 14.0.
실시예 20: 3-아세트나프틸-1-메틸이미다졸륨 (1s)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49
2-브로모-2-아세토나프톤 (10a, 2.49 g, 10 mmol)을 아세토니트릴 (50 mL)에 녹인 후, 메틸이미다졸 (11a, 0.836 mL, 10.5 mmol)을 첨가한 뒤 80도 가열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10%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 3-아세트나프틸-1-메틸이미다졸륨 (1s, 3.08 g, 93%)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02 (s, 3H), 6.15 (s, 2H), 7.68 (m, 4H), 7.99 (m, 4H), 8.74 (s, 1H), 9.01 (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91.3, 139.5, 137.7, 134.0, 132.5, 130.9, 130.5, 130.0, 129.4, 129.0,128.7, 125.4, 124.6, 124.3, 56.3, 36.8.
실시예 21: 친핵성 플루오르화 반응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0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0.5 mmol)와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AF, 0.75 mmol)을 반응용기에 넣은 다음 아세토니트릴 (2.0 mL)을 가하여 녹인 뒤 80℃ 가열 조건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처리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2% 에틸아세테이트/헥산)를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인 2-플루오로메톡시나프탈렌의 (12a, 78 mg, 89%)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85 (d, J = 55.0 Hz, 2H), 7.29 (dd, J = 9.0, 2.5 Hz, 1H), 7.44 (t, J = 7.3 Hz, 1H), 7.52-7.49 (m, 2H), 7.81 (d, J = 8.5 Hz, 1H), 7.83 (d, J = 9.0 Hz, 2H);
13C NMR (125 MHz, CDCl3) δ 154.9, 134.5, 130.5, 130.1, 128.0, 127.6, 126.9, 125.1, 118.8, 111.4, 101.1 (d, J = 218 Hz).
실시예 22: 다양한 유기용매 조건하에서 플루오르화 반응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0.5 mmol)와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AF, 196 mg, 0.75 mmol)을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용매 대신에 tert-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같은 다양한 유기용매 (2.0 mL)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루오르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각각의 반응에 대해 반응시간을 확인하였으며 플루오르화 반응에 대한 생성물인 2-플루오로메톡시나프탈렌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1
표 1
용매 시간 (분) 수율 (%)
MeCN 60 89
t-BuOH 60 81
THF 40 85
DMF 20 79
실시예 23: 다양한 플루오로화 시약을 사용한 반응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0.5 mmol)을 사용하고 플루오로화 시약으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대신에 세슘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루오르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각각의 반응에 대해 반응시간을 확인하였으며 플루오르화 반응에 대한 생성물인 2-플루오로메톡시나프탈렌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2
표 2
MF (당량) 시간 수율 (%)
CsF (3.0) 24 시간 38
TBAF (1.5) 60 분 89
실시예 24: 2-(3-플루오르메톡시-n-프로폭시)나프탈렌 (12b)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3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3-메틸-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h, 262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2-(3-플루오르메톡시-n-프로폭시)나프탈렌 (12b, 90 mg, 77%)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19 (q, J = 6.1 Hz, 2H), 3.98 (td, J = 6.3, 2.0 Hz, 2H), 4.21 (t, J = 6.0 Hz, 2H), 5.30 (d, J = 56.0 Hz, 2H), 7.16-7.14 (m, 2H), 7.34 (td, J = 7.5, 1.2 Hz, 1H), 7.45 (td, J = 7.5, 2.0 Hz, 1H), 7.78-7.72 (m, 3H);
13C NMR (125 MHz, CDCl3) δ 154.9, 134.5, 130.5, 130.1, 128.0, 127.6, 126.9, 125.1, 118.8, 111.4, 101.1 (d, J = 218 Hz).
실시예 25: 2-(2-플루오르메톡시-3-메탄설포닐옥시-n-프로폭시)나프탈렌 (12c)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4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1-메틸설포닐옥시-3-(2-나프틸)-2-옥시프로필]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i, 310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2-(2-플루오르메톡시-3-메탄설포닐옥시-n-프로폭시)나프탈렌 (12c, 110 mg, 67%)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06 (s, 3H), 4.37-4.23 (m, 3H), 4.58-4.49 (m, 2H), 5.46 (ddd, J = 55.8, 17.5, 3.0 Hz, 2H), 7.16-7.14 (m, 2H), 7.37 (td, J = 8.0, 1.0 Hz, 1H), 7.47 (td, J = 8.3, 1.3 Hz, 1H), 7.76 (q, J = 9.00 Hz, 3H);
13C NMR (125 MHz, CDCl3) δ 156.1, 134.6, 130.0, 129.5, 127.9, 127.1, 126.9, 124.4, 118.7, 107.2, 103.8 (d, J = 216 Hz), 69.1, 67.0, 37.8.
실시예 26: (2-플루오르메톡시)-2-메틸나프탈렌 (12d)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5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3-메틸-(2-나프틸)메틸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j, 240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2-플루오르메톡시)-2-메틸나프탈렌 (12d, 75 mg, 79%)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4.95 (s, 2H), 5.40 (d, J = 56.4 Hz, 2H), 7.75 Hz, 2H), 7.51-7.47 (m, 3H), 7.87-7.83 (m, 4H);
13C NMR (125 MHz, CDCl3) δ 134.0, 133.4, 133.3, 128.6, 128.1, 127.9, 127.2, 126.5, 126.4, 125.9, 102.9 (d, J = 213 Hz), 72.0.
실시예 27: O-플루오로메틸-N-BOC-L-티로신-tert-부틸 에스터 (12e)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6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옥시 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k, 0.22g, 0.36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O-플루오로메틸-N-BOC-L-티로신-tert-부틸 에스터 (12e, 75 mg, 6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42 (d, J = 4.0 Hz, 18H), 3.01-3.04 (m, 2H), 4.42 (d, J = 6.8 Hz, 1H), 4.98 (d, J = 6.8 Hz, 1H), 5.62 (s, 1H), 5.76 (s, 1H), 7.00 (d, J= 8.4 Hz, 2H), 7.13 (d, J = 8.4 Hz, 2H).
실시예 28: 4-플루오르메톡시바이페닐 (12e)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7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m, 246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플루오르메톡시바이페닐 (12f, 74 mg, 7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78 (d, J = 55.0 Hz, 2H), 7.21 (d, J = 9.0 Hz, 2H), 7.39 (td, J = 7.5, 1.0 Hz, 1H), 7.49 (t, J = 7.8 Hz, 2H), 7.61 (d, J = 8.5 Hz, 4H);
13C NMR (125 MHz, CDCl3) δ 156.59, 156.57, 140.7, 136.9, 129.1, 128.7, 127.4, 127.2, 117.23, 117.22, 101.0 (d, J = 218 Hz).
실시예 29: 5-브로모-2-플루오르메톡시톨루엔 (12g)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58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4-브로모-2-메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n, 254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5-브로모-2-플루오르메톡시톨루엔 (12g, 91 mg, 8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24 (s, 3H), 5.70 (d, J = 54.5 Hz, 2H), 6.95 (d, J = 8.5 Hz, 1H) 7.31 (m, 2H);
13C NMR (125 MHz, CDCl3) δ 154.4, 133.9, 130.5, 130.0, 116.6, 116.0, 101.0 (d, J = 218 Hz), 16.2.
실시예 30: 4-플루오르메톡시-1,2-디메톡시벤젠 (12h)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3,4-디메톡시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o, 238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플루오르메톡시-1,2-디메톡시벤젠 (12h, 70 mg, 75%)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3.84 (s, 3H), 3.85 (s, 3H), 5.64 (d, J = 55.0 Hz, 2H), 6.65-6.61 (m, 2H), 6.78 (d, J = 8.5 Hz,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51.3, 149.8, 145.5, 111.6, 107.6, 102.6, 101.8 (d, J = 217 Hz), 56.4, 56.0.
실시예 31: 4-플루오르메톡시-1-니트로벤젠 (12i)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0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3-메틸-1-(4-니트로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p, 230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4-플루오르메톡시-1-니트로벤젠 (12i, 62 mg, 72%)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5.79 (d, J = 53.0 Hz, 2H), 7.18-7.17 (m, 2H), 8.26-8.24 (m, 2H);
13C NMR (125 MHz, CDCl3) δ 161.3, 143.7, 126.1, 116.6, 99.8 (d, J = 221 Hz).
실시예 32: N-(3-플루오르메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12j)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1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4-아세틸아미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q, 236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N-(3-플루오르메톡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12j, 70 mg, 76%)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2.20 (s, 3H), 5.72 (d, J = 54.5 Hz, 2H), 6.85 (d, J = 7.0 Hz, 1H), 7.20 (d, J = 7.5 Hz, 1H), 7.29-7.26 (m, 1H), 7.41 (s, 1H), 7.46 (bs, 1H);
13C NMR (125 MHz, CDCl3) δ 168.7, 157.4, 139.5, 130.2, 115.0, 112.5, 108.7, 100.9 (d, J = 218 Hz), 24.9.
실시예 33: 3-O-플루오르메틸에스트론 (12j)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2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a) 대신에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r, 296 mg, 0.5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3-O-플루오르메틸에스트론 (12k, 125 mg, 83%)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9 (s, 3H), 1.66-1.39 (m, 7H), 2.16-1.93 (m, 5H), 2.25-2.20 (m, 1H), 2.40-2.36 (m, 1H), 2.48 (dd, J = 19.0, 8.5 Hz, 1H), 2.89 (t, J = 4.3 Hz, 2H), 5.66 (d, J = 55.0 Hz, 2H), 6.81 (d, J = 2.5 Hz, 1H), 6.86 (dd, J = 8.5, 2.5 Hz, 1H), 7.22 (d, J = 8.5 Hz, 4H);
13C NMR (125 MHz, CDCl3) δ 220.9, 155.1, 138.4, 135.2, 126.8, 117.0, 114.3, 101.1 (d, J = 217 Hz), 50.6, 48.2, 44.2, 38.4, 36.1, 31.8, 29.8, 26.7, 21.8, 14.1.
실시예 34: 3-O-[18F]-플루오르메틸에스트론 ([18F]12k)의 제조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3
크로마픽스 (Chromafix®)에 증류수 (2.0 mL)와 0.2 M 소듐 메탄설포네이트 수용액 (2.0 mL)을 차례대로 흘려주고 다시 증류수 (2.0 mL)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싸이클로트론에서 생산된 [18F]플루오라이드 [18O]H2O 용액(1-10 mCi)을 서서히 흘려준 뒤 증류수(2.0 mL)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18F]플루오라이드가 잡힌 카트리지에 메탄올(2.0 mL)을 흘려주어 수분을 제거하고 0.1 M 테트라부틸암모늄 메탄설포네이트 용액 (0.5 mL)을 흘려주어 [18F]플루오라이드 이온을 용출해 내었다. 100 oC로 가열하며 질소를 불어주어 용매를 제거한 뒤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r, 5 mg)을 아세토니트릴 혹은 t-아밀알코올에 녹여 넣어준 다음 포타슘카보네이트 (3 mg)을 넣고 120도 가열조건에서 20분간 교반시켰다. Radio-TLC를 이용하여 각 반응의 수율을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아세토니트릴 t-아밀알코올
Radio-TLC (%) 100 82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화학식 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4
    상기 화학식 1에서,
    R118F이 표지된 방사성추적자에서 -X-CH2-18F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C1-C10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10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50의 4가 암모늄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2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2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5
    이고, 상기 이탈기에서,
    A, B, C, D 및 E는 서로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황 또는 탄소로서,
    (i) 각 탄소의 수소는 R2 또는 R3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ii) 각 질소의 경우, R2 또는 R3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와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의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Y는 할로겐 음이온, 설포네이트 음이온, BF4 -, PF6 -, SbF6 -, N(SO2CF3)2 - 및 N(CN)2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100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C1-C100의 탄화수소기는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i)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6
    또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7
    중에서 선택되는 4가 양이온; 및
    (ii) Y인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염이고,
    상기 4가 양이온의 고리 내 하나의 질소가 R3으로 치환되며 각 탄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R2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 및 R3는 C1-C20의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Y는 서로 독립적으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 -),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파라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8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69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0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1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2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3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4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5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6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7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8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79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산소, 황, 또는 -C(O)-이고,
    이탈기는
    (i)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0
    또는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1
    중에서 선택되는 4가 양이온; 및
    (ii) Y인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염이고,
    상기 4가 양이온의 고리 내 하나의 질소가 R3으로 치환되며 각 탄소는 서로 독립적으로 R2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C1-4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페닐,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2
    ,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3
    , 및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4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
    Y는 서로 독립적으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 -), 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파라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구체가,
    4-tert-부틸-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메톡시카보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3,5-디(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4-메톡시페닐)-3-메틸-1-((2-나프톡시)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4-페닐-1-(2-페닐에테인-2-온-1-일)-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4-tert-부틸-3-메틸-1-[(페닐싸이오)메틸]-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3-(2-나프톡시)-n-프로필]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1-메틸설포닐옥시-3-(2-나프틸)-2-옥시프로필]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2-나프틸)메틸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2-나프톡시)메틸)-4-페닐이미다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S)-1-(4-(2-BOC-아미노-2-(t-부톡시카보닐)에틸)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바이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브로모-2-메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3,4-디메톡시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3-메틸-1-(4-니트로페닐)옥시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4-아세틸아미노페닐)옥시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1-(3-O-에스트로닐)메틸-3-메틸-4-페닐-1,2,3-트리아졸륨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및
    3-아세토나프틸-1-메틸이미다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
  6.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3의 아지도 화합물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킨 화합물간의 [3+2]고리화첨가반응을 통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2);
    단계 2에서 얻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a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3)를 포함하는 화학식 1-a의 화합물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5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및 Y는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R4SO3 - 이다. 여기서 R4는 C1-C20 탄화수소기로서 주쇄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주쇄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7.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 및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알킬화 시약을 이용하여 화학식 1-b의 유기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6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제6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하기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3]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7
    상기 반응식 3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Z는 제6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하기 반응식 4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간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해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단계 (단계 1)를 포함하는 화학식 1-b의 화합물 제조방법.
    [반응식 4]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8
    상기 반응식 4에서, R1, R2, R3, A, B, C, D, E, X, Y 및 n은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0. 하기 반응식 5과 같이,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화학식 MF로 표시되는 플루오르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F-표지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5]
    Figure PCTKR2012003713-appb-I000089
    상기 반응식 5에서, R1, X 및 이탈기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Li, Na, K, Rb 및 C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양이온; 4가 암모늄 양이온; 또는 4가 포스포늄 양이온이고,
    F는 18F이다.
  11.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4가 유기염 이탈기를 포함하는 전구체로부터 합성되는 18F-표지 화합물.
PCT/KR2012/003713 2011-05-13 2012-05-11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2157900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23659.8A CN103608337B (zh) 2011-05-13 2012-05-11 Pet放射性医疗用品的18f-标记前体及其制备方法
US14/117,271 US9505799B2 (en) 2011-05-13 2012-05-11 18F-labeled precursor of PET radioactive medical suppli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5390 2011-05-13
KR10-2011-0045390 2011-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7900A2 true WO2012157900A2 (ko) 2012-11-22
WO2012157900A3 WO2012157900A3 (ko) 2013-01-17

Family

ID=4717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3713 WO2012157900A2 (ko) 2011-05-13 2012-05-11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5799B2 (ko)
KR (1) KR101879181B1 (ko)
CN (1) CN103608337B (ko)
WO (1) WO201215790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3258A1 (en) * 2013-09-13 2016-09-15 Bio Imaging Korea Co., Ltd. Radiotracer introduced [18F]fluoromethyl group targeting neuroinflammation for PET imaging and Synthesis of Radiotracer and its biological evaluation Method for Radiotra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0345B (zh) * 2015-12-17 2020-09-01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靶向线粒体的造影剂分子作为t2造影剂的用途
KR102137001B1 (ko) * 2018-09-21 2020-07-24 주식회사 비아이케이테라퓨틱스 선택적 아자이드 치환반응과 전구체 제거화를 이용한 플루오린-18이 표지 된 플루오르메틸 치환 방사성의약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213B1 (ko) * 2003-01-15 2006-02-03 학교법인 인하학원 플루오린-18로 표지된 유기플루오로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06065038A1 (en) * 2004-12-15 2006-06-22 Futurechem Co.,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ofluoro compounds in alcohol solvents
US20100111864A1 (en) * 2007-04-11 2010-05-06 Merck Eprova Ag 18f-labelled folat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966A1 (en) * 2003-07-22 2006-01-26 Lin Victor S Antimicrobial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GB0512770D0 (en) * 2005-06-23 2005-07-27 Hammersmith Imanet Ltd Imaging compounds
CN100560548C (zh) * 2006-06-01 2009-11-18 郭启勇 采用离子液体作为相转移催化剂合成18f标记正电子放射性示踪剂的方法
EP1897885A1 (en) * 2006-09-08 2008-03-12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Compounds and methods for F labelled agents
JP2011506468A (ja) * 2007-12-11 2011-03-0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コロラド,ア ボディー コーポレイト ヘテロアリール塩ならびにその同一物を生成および使用するための方法
KR20110017407A (ko) * 2008-05-30 2011-02-21 포스터 휠러 에너지아 오와이 순산소 연소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방법과 시스템
GB0812923D0 (en) * 2008-07-15 2008-08-20 Isis Innovation Preparation of flourine-labelled compounds
WO2010096426A2 (en) * 2009-02-20 2010-08-26 Emory University Compounds, compositions, methods of synthesis,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1478140B1 (ko) * 2011-05-13 2014-12-31 (주)퓨쳐켐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213B1 (ko) * 2003-01-15 2006-02-03 학교법인 인하학원 플루오린-18로 표지된 유기플루오로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06065038A1 (en) * 2004-12-15 2006-06-22 Futurechem Co.,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ofluoro compounds in alcohol solvents
US20100111864A1 (en) * 2007-04-11 2010-05-06 Merck Eprova Ag 18f-labelled folat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ON, BYUNG SUK ET AL.: 'A Novel Aromatic Fluorine-18 Labeling Method Using Lodonium Salts Precursor'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ol. 43, no. 1, 2009, ISSN 1869-3482 pages 1 - 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63258A1 (en) * 2013-09-13 2016-09-15 Bio Imaging Korea Co., Ltd. Radiotracer introduced [18F]fluoromethyl group targeting neuroinflammation for PET imaging and Synthesis of Radiotracer and its biological evaluation Method for Radiotracer
JP2016531155A (ja) * 2013-09-13 2016-10-06 バイオ イメージング コリア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18f]フルオロメチル基が導入された脳神経炎症標的陽子放出断層撮影放射性追跡子、これらの合成及びそれを用いた生物学的結果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7900A3 (ko) 2013-01-17
US9505799B2 (en) 2016-11-29
CN103608337B (zh) 2016-07-06
US20140194620A1 (en) 2014-07-10
KR101879181B1 (ko) 2018-07-17
KR20140113622A (ko) 2014-09-24
CN103608337A (zh)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64082A2 (ko) 신규한 아미노알킬벤조티아제핀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2081880A2 (ko) 18f 방사성의약품 제조를 위한 고체 지지체에 연결된 전구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응용
WO2021187886A1 (ko) Glp-1 수용체 효능제,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32120A1 (ko) 신규한 아미노-페닐-설포닐-아세테이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3048177A2 (ko) 셀레노펜-접합 방향족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176522A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 제조방법
WO2018066872A1 (ko) 3-페닐-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합성 방법
WO2019074241A1 (ko) 페닐아세틸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pd-1과 pd-l1의 상호작용 억제제
WO2012157900A2 (ko) 18f-표지 pet 방사성의약품의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7146397A1 (ko) 신규한 아민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2045825A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중수소화 반응 조성물
WO2012153991A2 (ko) 스트레커 반응용 촉매를 사용하는 키랄성 α-아미노나이트릴의 제조방법
WO2020036382A1 (ko) Sglt 저해제의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의 제조
WO2012033374A2 (ko) 1,2,3-트리아졸륨 염을 갖는 설포네이트 전구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분자내 친핵성 플루오르화반응
WO2010032986A2 (ko) 신규 5-(4-아미노페닐)-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 키나제의 과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37665A1 (ko) Hsp90 억제제로서의 1,2,3-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6072801A1 (ko) 유기 플루오르화 지방족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정제방법
WO2022045838A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중수소화 반응 조성물
WO2021141165A1 (ko) 아미노알콜-보론-바이놀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광학활성 아미노알콜 유도체의 제조방법
WO2013180415A1 (ko)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6076479A1 (en) Method of preparing silylative-reduced n-heterocyclic compound using organoboron catalyst
WO2023043292A1 (ko) 피리미딘-2-아민 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20040614A1 (ko) (3r,5r)-7-[2-(4-플루오로페닐)-5-이소프로필-3-페닐-4-[(4-히드록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피롤-1-일]-3,5-디히드록시 헵탄산 헤미칼슘염의 제조방법,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 및 중간체의 제조방법
WO2018021762A1 (ko)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7135638A1 (ko) 설폰아미드기 또는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 복분해 반응용 전이금속 착물 및 이의 응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727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857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