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53314A2 -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53314A2
WO2010053314A2 PCT/KR2009/006523 KR2009006523W WO2010053314A2 WO 2010053314 A2 WO2010053314 A2 WO 2010053314A2 KR 2009006523 W KR2009006523 W KR 2009006523W WO 2010053314 A2 WO2010053314 A2 WO 201005331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ncer
cambium
cell line
ginseng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65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53314A3 (ko
Inventor
진영우
이은경
임민정
장미옥
홍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운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운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운화바이오텍
Priority to CN200980144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09550B/zh
Priority to BRPI0916043A priority patent/BRPI0916043A2/pt
Priority to CA2742950A priority patent/CA2742950A1/en
Priority to US13/127,750 priority patent/US9314492B2/en
Priority to AU2009311799A priority patent/AU2009311799A1/en
Priority to RU2011122688/15A priority patent/RU2520625C2/ru
Priority to EP09824997A priority patent/EP2353603A4/en
Priority to JP2011535513A priority patent/JP5690984B2/ja
Publication of WO201005331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3314A2/ko
Publication of WO201005331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5331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or its culture as an active ingredient.
  • Cancer is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mortality in modern people. Normal cancer is caused by mutations in genes due to various causes, and it is malignant among tumors that do not follow normal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patterns.
  • cancer which is a malignant tumor
  • surgical surgery is a method of removing most of the diseased tissue, which is very effective for removing tumors located in certain areas, such as the breast, colon, and skin, but in some areas such as the spine.
  • a problem in that it is inadequate to treat tumors or to treat dispersible tumors, and in some cases it is impossible to prevent side effects and metastasis, such as the need to remove organs.
  • Radiation therapy is used for acute inflammatory diseases, benign or malignant tumors, endocrine dysfunction, and allergic diseases, and is generally used effectively for malignant tumors consisting of rapidly dividing cells. Loss, treatment of skin disease in the treatment area after treatment and development of organs can lead to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delayed intelligence development or bone development disorder, and the patient suffers from treatment.
  • chemotherapy is widely used to treat cancers of breast, lung, and testis by disrupting the replication or metabolism of cancer cells.
  • anticancer drugs act only on cancer cells and are toxic to normal cells of patients. have.
  • Most of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are severe, requiring hospitalization or painkillers to treat pa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efforts to develop a natural product-derived anticancer composition exhibiting excellent anticancer activity by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existing anticancer agents and participating in cancer development mechanisms.
  • homogeneous cell lines derived from the formation layer of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and ginseng It was confirmed that the lysate, the extract, and the culture medium exhibited cancer cell killing activity,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induced in the cambium of Panax ginseng ,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solution Provide a composition fo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anc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use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any one or more of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pplying any one or more of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duction process of the cell lin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b) A) and ginseng cotyledon-derived callus cell line (Bio Resource Center, KCTC PC10224).
  • Figure 2 shows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eight types of cancer cell lines of the ginseng cambium-derived cell line (U2) and wild ginseng cultured root extract as an EC50 value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Not evaluated).
  • FIG. 3 is a PET-CT photograph taken before (A and C) and after (B and D)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forming layer-derived cell lines in lymph cancer patients.
  • FIG. 4 is a graph showing leukocyte and platelet level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period of wild ginseng-forming layer-derived cell lines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 5 is a PET-CT photograph taken before (A) and after (B)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forming layer-derived cell line in lung cancer patients.
  • FIG. 6 is a PET-CT photograph taken before (A) and after (B)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forming layer-derived cell line in rectal cancer patients.
  • FIG. 7 is a photograph taken with a gastro-fiberscope before ((a)) and after ((b)) administration of a ginseng forming layer-derived cell line in gastric cancer patients.
  • a "cambium” is a tissue that thickens the stems and roots of a plant so that the plant can grow in volume. It is reported that the cambium is a meristem in which cell division is most active and that high-speed and mass production of cells is possible when used as an explant of plant tissue culture (Korean Patent No. 0533120).
  • crushed material refers to a cell lysate obtained by crushing a cell by a chemical method or a physical method using a detergent or the like.
  • extract of a cell line is a material obtained by dissolving the cell in a solvent and using distillation or evaporation. Can be concentrated.
  • the cell line is a concept including all cell lines that are differentiated by culture conditions or have improved production and / or secretion capacity of useful substances.
  • culture medium is a culture medium of cells, and then the remaining cell culture solution except for the cells. it means.
  • innately undifferentiated refers to maintaining a pre-differentiation state, rather than being present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through a dedifferentiation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of Panax ginseng ,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as an active ingredient.
  • Panax ginseng includes wild ginseng or ginseng (Lian ML et al., J. Plant Biology , 45: 201, 2002; Han JY et al., J.
  • the wild ginseng or ginseng includes noji ginseng or tissue cultured ginseng (e.g., sarcophagus and sinus root-derived cell lines).
  •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of ginseng is (a) innately undifferentiated; And (c) morphological features having a plurality of vacuoles.
  • the cell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ogeneous cell line (homogeneous cell line).
  • the cell li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obtained by the separation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the osmotic stress is applied to the cambium-containing tissue during the culturing or before or after the culturing;
  • the osmotic stress process is to induce cell lines specifically in the cambium, preferably before the culture in the medium containing the IAA or IBA, the general tissue other than the cambium, that is, In the cortex, phloem, xylem, and pith, the cleavage ability is lost and later necrosis is performed when cultured with schizophrenic specific hormones such as IAA or IBA.
  • the osmotic agent is treated with a content of 0.5 ⁇ 2M, and refrigerated or subjected to osmotic stress for 16 to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to remove the treated osmotic stress, the concentration of the osmagent, treatment time and temperature i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each plant, tissu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AA or IBA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content of 0.1 ⁇ 5mg / l.
  • step (c) is preferably the growth of the induced cambium-derived cell line in a medium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2,4-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picloram and IBA
  •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is recovered.
  • any one of the 2,4-D, picloram and IBA is preferably used in the amount of 1 ⁇ 5mg / L, more preferably 2mg / L.
  • the med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um for cultivating conventional plant tissue, for example, N6 medium, SH medium, MS medium, AA medium, LS medium, B5 medium, WPM medium, LP medium, White medium, GD medium, DKW medium , DCR medium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tracted using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such as distilled water, lower alcohol, acetone, DMSO (Dimethyl Sulfoxid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 alcohol such as distilled water, lower alcohol, acetone, DMSO (Dimethyl Sulfoxid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lower alcohol means alcohol having 1 to 5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 the extract of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extract of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to pancreatic cancer cell line, lung cancer cell line, liver cancer cell line, colon cancer cell line, breast cancer cell line, cervical cancer cell line, skin cancer cell line and prostate cancer cell line. It has been found to have a killing effect on the st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killing effect on the breast cancer cell line and pancreatic cancer cell line of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culture medium of the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ell-derived cell line derived from the ginseng layer Has been shown to have the effect of inhibiting or reducing tumor formation and growth by killing cancer cell lines in living organisms (eg, patients), and measuring blood levels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leukemia patients. Confirmed recovery.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ancreatic cancer, liver cancer, colon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skin cancer, prostate cancer, lymph cancer, leukemia, lung cancer, rectal cancer and gastric cancer.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ell line lysate shows the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effect of cancer, as described above, the cell line, the extract and the culture medium are a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ell line lys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effects of cancer can be exhibited.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the abov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alon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wherein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or its culture may be of disease and its severity, age, weight,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I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n appropriat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depending on the sex,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composition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normally cause an allergic reaction,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zziness, or the like when administered to a human.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iller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an also be formulate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 the formulations may be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emulsions, syrups, aerosols, soft or hard gelatin capsule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terile powder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ancer containing any one or more of the cell line derived from the cambium of the ginseng,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 the term "functional food” as used herein means that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is improved by adding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ushed product or an extract of the cell line to the general food.
  • the ginseng cambium-derived cell line, its extracts, and its cultures have been shown to prevent and inhibit cancer.
  •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even by using crushed cell lines.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 a of Figure 1 (a) shows a typical appearance of wild ginse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il or other contaminants on the surface were removed with running water to use the root of the ginseng, and the surface of the root was washed with a liquid detergent and left in running water.
  • the washed tissue was placed in a sterile flask prepared in a clean bench and sterilized for 30 seconds to 1 minute with 70% ethanol. After rinsing with sterile water and using a 1% to 1.5% sodium hypochlorite (Junsei, Japan) was treated with disinfectant solution for 5 to 15 minutes.
  •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BIM used are shown in Table 1.
  • the salt concentration is added only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1/4 of the total.
  • FIG. 1 (a) is a state in which the slice is cut to the size so that the forming layer is included in the main root of wild ginseng.
  • the differentiated tissues ie, the dead quarter, the neck, the water, and the like, were necrotic and treated with osmotic stress to survive only the cambium, which is the meristem.
  • the section containing the formation layer was bloated on a filter paper-coated prepositional medium (Medium 1, Table 3) and placed in a flask containing 1M sucrose (Duchefa, Netherland) solution for 16 to 24 hours in a cold state. After the osmotic stress was treated for 5 minutes in a 0.05M sucrose solution (5 minutes), 0.1M sucrose solution for 5 minutes to release the stress by a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The osmotic stress-releasing formed layer-containing fragments were then placed on a filter paper-coated prephase medium (medium 1) to remove water.
  • Example 1-2 In order to induce homogenous cell lines with dividing ability of cambium layer origin, the osmotic stress treated fragments in Example 1-2 were dentured in cell line induction medium (medium 2, Table 4). The medium used on the teeth is as listed in Table 5 below. The toothed sections were incubated at 22 ⁇ 1 ° C dark conditions.
  • Prolifer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homogenous cell line having a dividing capacity of cambium origin derived in Examples 1-3.
  • Medium was used as the optimal medium for propagation of homogenous cell lines having a dividing capacity of cambium origin as shown in Table 7 based on the basic salt composition shown in Table 6.
  • 2,4-D was used for the propagation of homogenous cell lines derived from the cambium of Noji mountain ginseng
  • IBA was used for the propagation of homogeneous cell lines derived from the wild ginseng root muscle.
  • the homogeneous cell line derived from the wild ginseng forming layer was placed in a flask containing the liquid medium of the following ⁇ Table 8> and incubated in a rotary shaker at 100 rpm at 25 ⁇ 1 ° C. under dark conditions. The subculture period was fixed at 2 weeks so that the cultured cells could always maintain high vitality in the algebraic state.
  • 2,4-D was used for the culture of homogenous cell lines derived from the cambium of Noji mountain ginseng
  • IBA was used for the culture of homogeneous cell lines derived from the wild ginseng root muscle.
  • callus derived from the cotyledons of ginseng was also cultured in medium 4 of ⁇ Table 8> and compared with the homogenous cell lines derived from wild ginseng form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oubling time of the cotyledon-derived culture of ginseng was 21 days in the flask, whereas the doubling time was 28 days in the reactor.
  • the homogeneous cell line derived from the camb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high growth rate of 3 to 5 times higher in growth rate than the cell lines derived from the tissues other than the cambium.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line shows a high growth rate of 5 to 9 times compared to the cell lines derived from tissues other than the cambium. This was attributed to the rapid decrease in cell viability due to the generation of growth rings in the reactor and the cohesiveness of the plant culture during the cultivation and the rigidity of the cell wall.
  • the doubling time of the homogenous cell culture derived from the cambium of 2,4-D treated Nojisan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3 to 4 days, and the doubling time of the homogenous cell culture derived from the cambium of the wild ginseng parotid muscle treated with IBA was 5 days.
  • the homogenous cell culture derived from the cambium formed a very small growth ring area in the bioreactor, and the ring of the inner wall was easily resolved by applying a simple stimulus to the incubator to move the medium.
  • the aggregation was small and had many vacuoles, which resulted in a weak sensitivity to shear, which did not lead to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 the homogeneous cell line derived from the camb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sensitivity to shear stress due to the stirring action in the bioreactor for mass culture,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rapid mass growth is possible in the bioreact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ambium-derived homogeneous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5 to 9 times lower sensitivity to shear stress than the cell-derived cell lines other than the cambium.
  • cryopreservation was performed on heterogeneous cell lines, callus (cotyledon) -derived callus (Bio Resources Center, KCTC PC10224) and homogeneous cell lines derived from cambium.
  • Suspension culture is used for 6 to 8 days of culture, cryopreservative is a medium containing 0.5M glycerol (DUCHEFA, The Netherlands) and 0.5M DMSO (DUCHEFA, The Netherlands) and 1M sucrose (DUCHEFA, The Netherlands) , 5 ml cryovial (Duran, USA).
  • the amount of cell inoculation treated with cryopreservative is 200 mg / ml.
  • the cryopreservative treated suspension cells were kept in a freezer for 30 minutes and then stored in a deep freezer for 3 hours and then frozen by immersion in liquid nitrogen.
  • the cultured cells kept in liquid nitrogen for 20 minutes or more were taken out for thawing and thawed in a 40 ° C.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for 1 to 2 minutes.
  • the cell suspension was used aseptic funnel and filter paper. The filtered cells were applied on solid growth media containing filter paper, stabiliz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fresh solid growth media.
  • the heterogeneous cell lines derived from cotyledons of Ginseng did not regenerate, whereas the homogenous cell lines derived from cambium showed proliferation starting from the regeneration field after 4 weeks and showed no difference before and after cryopreservation in the growth rate.
  • Example 2 drying and extract preparation of cell lines derived from cambium of wild ginseng
  • the inhibitory efficiency was measured by adding the methanol extract of Example 4 (4) to eight cancer cell lines.
  • the cell lin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sPC-1 (pancreatic cancer), A549 (lung cancer), SK-Hep1 (liver cancer), HT-29 (colon cancer) and MDA-MB-231 (breast) provided by the Korea Cell Line Bank (KCLB). cancer), HeLa (cervical cancer), A375P (skin melanoma), and DU-145 (prostate cancer) were used.
  • the culture medium was RPMI1640 and DMEM medium containing 10% calf serum.
  • each cell line was seeded in a 96-well plat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the cells, and then cultured at 37 ° C. for 16 to 24 hours, and then the wild ginseng as a control and the methanol extract of Example (4)
  • the culture root extract was treated by step dilution to 12 doses. Wild ginseng culture root extract is for comparing the effect of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conventional wild ginseng tissue.
  • the lyophilized wild ginseng culture root was used to prepare a methanol extrac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 the extract of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of the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eight cancer cell lines at a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wild ginseng root muscle extract.
  • the extract of wild ginseng cultured root extract of the ginseng cambium-derived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proliferatio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colon cancer cell line in which the EC 50 was not obtained due to the weak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activity even at high concentrations.
  • the cambium-derived cell line of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cancer cell lin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wild ginseng culture root extract,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n excellent anticancer agent.
  • the culture medium removed when preparing the cell line extract of Example 4 was used, and as cancer cell lines, MDA-MB-231 (breast cancer) and AsPC-1 (pancreatic cancer) provided by the Korea Cell Line Bank (KCLB). Culture medium was used RPMI1640 and DMEM medium containing 10% calf serum.
  • EC 50 values of> 7.57 mg / ml and> 1.0 mg / ml were obtained for MDA-MB-231 (breast cancer) and AsPC-1 (pancreatic cancer), respectively.
  • the culture medium of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killing effect on the cancer cell line.
  • the dry cell line pulverized product prepared in Example 2 (1) was administered in powder form to a patient diagnosed with cancer.
  • the dose was administered orally in the form of 1g three times a day (morning, lunch and dinner) in water, specific dosages and duration are as follow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de effect during the administration.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by killing cancer cells.
  • liver and kidney values were regularly measured as follows.
  • T. Bil, ALP, AST, ALT, and LDH were liver level measurers
  • BUN and CRE were kidney measurers, all measured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 BUN and CRE were measured by serum creatine measurement method (Folin-Wu method)
  • AST, ALT and LDH were measured using ATBA-200FR
  • HITACHI 7170 Auto Analyze ALP was measured by serum (serum) method
  • T.Bil was measured using an assay solu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arsenite bilirubin.
  • the leukocyte count before the administration was 2,000 / mm 3
  • the leukocyte count increased rapidly after 9 days of administration.
  • Normally observed leukocyte count range: 4,000 to 10,000 / mm 3
  • Platelet normal range 141,000 to 316,000 / mm 3 .
  • the administration of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treating leukemia and alleviating its symptoms.
  • leukemia In leukemia, one stage of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s stopped and immature cells proliferate without differentiation, thereby proliferating immature cells with a constant immunological phenotype (Hospitality, Medical postgraduates 33, 2005).
  • acute lymphocytic leukemia decreases normal blood cells by cancerous proliferation of immature cells, leukocyte progenitors, and this leads to anemia, bleeding, and infections.
  • the enlargement of the spleen, etc. appears and will cause long-term damage.
  • the hemoglobin level before administration was only 3.6 gm / dl, which indicates that the patient was in extreme anemia.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moglobin level increased to a normal value of 12.8 gm / dl. Can be.
  • the administration of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eviating the symptoms of leukemia.
  • the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oral administration. However, since the chemotherapy was performed continuously after the initial leukemia diagnosis before the cell line administration, the chemotherapy did not affect the comparison of the data before or after the administration. .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by killing cancer cells.
  • the tumor size decreased from 7 cm to 5.6 cm before administration.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f killing cancer.
  • PET-CT was taken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fore and after 49 days of administration, and contrast observation was performed.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by killing cancer cells.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cancer by killing the cancer cell line.
  • the lyophilized cell line pulverized product prepared in Example (1) of the lung cancer patient was additionally administered in powder form.
  • the dose was administered orally three times a day (morning, lunch and dinner) in water dissolved form. There were no side effects from the administration.
  • the homogeneous cell line derived from the cambium of ginse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reating and preventing cance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ancer mass.
  • 100 mg of the cell line extract prepared in Example 2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preparation method by mixing 100 mg of corn starch, 100 mg of lactose and 2 mg of magnesium stearate.
  • 500 mg of the cell line extract prepared in Example 2 was filled into a soft gelatin capsule to prepare a capsule.
  • 100 ml of syrup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preparing a liquid formulation in the content of 1 g of the cell line prepared in Example 1, 10 g of isomerized sugar, 5 g of mannitol,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purified water.
  • 200 mg of the cell line extract prepared in Example 2 was heat-dissolved in 200 mg of physiological saline containing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ro oil to prepare an injection containing the mixed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0.1%.
  • the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and its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atural-derived compositions that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existing drug treatments and are safe for the human body, while effectively inducing cancer cell death in vivo. It is useful for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alleviation of cancer because it exhibits anticancer activity that inhibits or reduces tumor formation and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하는 인삼류(Panax ginseng)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서 기존 약물 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암의 성장에 직접 관여하여 생체내에서 암세포 사멸시킴으로써 종양 형성 및 성장을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항암활성을 나타내므로, 암의 예방, 치료 및 증상완화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현대인의 사망원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질환 중 하나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정상세포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발생하며, 정상적인 세포의 분화, 성장 형태를 따르지 않는 종양 중 악성인 것을 말한다.
현재까지 악성종양인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3가지 치료법 즉, 외과적인 수술, 방사선 치료 및 화학요법 중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치료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과적 수술은 질병 조직을 대부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외과적 수술은 특정 부위, 예를 들면 유방, 결장 및 피부에 위치한 종양을 제거하는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척추와 같은 일부 부위에 있는 종양을 치료하거나 분산성 종양을 치료하기에는 부적절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부작용과 전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방사선 치료는 급성염증성 질환, 양성 또는 악성 종양, 내분비기능장애 및 알레르기성 질환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급속히 분열하는 세포로 구성된 악성종양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방사선의 치료에 따라 정상조직의 기능 약화 또는 상실, 치료 후 치료부위에 피부질환 발생우려 및 장기의 발육이 진행되는 소아의 경우 지능발달 지연 또는 골 발육 장애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치료시 환자의 고통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화학요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암세포의 복제 또는 대사를 교란시킴으로써 유방, 폐 및 정소의 암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항암제가 암세포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환자의 정상세포에도 독성을 발휘하는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화학요법의 부작용 중 대부분은 심한 경우, 입원을 요하거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진통제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암의 성장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항암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약물연구 및 제재개발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특히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의 항암물질의 개발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암의 발전 메카니즘에 관여하여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항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산삼 및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에서 유도된 동질적인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이 암세포 사멸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암 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한 암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류(Panax ginseng)의 형성층에서 유도되고, 다음의 특성을 가지는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선천적 미분화 상태 (innately undifferentiated)임; 및
(b)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구현예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의 유도과정(a)과, 산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b)A) 및 인삼의 자엽 유래 캘러스세포주(생물자원센터, KCTC PC10224)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U2)와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8종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증식억제활성을 EC50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Not evaluated).
도 3은 림프암 환자에 있어서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 전(A 및 C)과 투여 후(B 및 D)의 PET-CT 촬영 사진이다.
도 4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 있어서,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기간에 따른 백혈구 및 혈소판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폐암 환자에 있어서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 전(A)과 투여 후(B)의 PET-CT 촬영 사진이다.
도 6은 직장암 환자에 있어서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 전(A)과 투여 후(B)의 PET-CT 촬영 사진이다.
도 7은 위암 환자에 있어서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 전((a))과 투여 후((b))의 gastro-fiberscope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본원에서 “형성층(cambium)”이란 식물의 줄기와 뿌리를 굵어지게 해서 식물이 부피생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이다. 형성층은 세포분열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분열조직으로써 식물조직배양의 절편체로 사용 시 세포의 고속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33120호).
본원에서 “파쇄물”이란 세포를 detergent 등을 이용한 화학적 방법 또는 물리적 방법 등으로 파쇄하여 얻은 세포 용해물을 의미하며, 세포주의 “추출물”이란 세포를 용매에 녹여 분리한 물질로, 증류 또는 증발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세포주는 배양조건에 의하여 분화되거나 유용물질의 생산능 및/또는 분비능이 향상된 세포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세포주의 “배양액”이란 세포를 배양시킨 다음, 세포를 제외하고 남은 세포 배양용액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선천적인 미분화 상태(innately undifferentiated)”란 탈분화 과정을 거쳐 미분화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본래부터 분화 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인삼류(Panax ginseng)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류(Panax ginseng)는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하며 (Lian M.L. et al., J. Plant Biology, 45: 201, 2002; Han J.Y. et al., J. Plant Biology, 49:26, 2006; Teng W.L. et al., Tissue and Organ Culture, 68:233, 2002),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산삼 또는 인삼은 노지삼 또는 조직배양삼류(부정근 및 부정근 유래 세포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는 (a) 선천적 미분화 상태(innately undifferentiated)임; 및 (c)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a) 현탁배양 시 단세포 수준으로 존재함; (b)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의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shear stress)에 대해 낮은 민감성을 가짐; 및 (c)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안정하게 배양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포주는 동질적인 세포주(homogeneous cell line)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인삼류의 형성층 함유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조직을 IAA(Indole-3-acetic acid) 또는 IBA(Indole-3-butyric acid)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유도하는 단계,
이때, 상기 배양의 수행 중 또는 배양 전단계 또는 후단계에서 상기 형성층 함유 조직에 삼투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및
(c) 상기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단계.
이때,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삼투 스트레스 공정은 형성층 특이적으로 세포주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IAA 또는 IBA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기 전에 수행하여 형성층 이외의 일반 조직, 즉, 피층(cortex), 사부(phloem), 목부(xylem), 수(pith)에서는 분열능을 잃어 추후 IAA 또는 IBA와 같이 형성층분열 특이적인 호르몬을 처리하여 배양하는 경우 괴사되도록 한다. 이때 삼투제는 0.5~2M의 함량으로 처리하고, 냉장 또는 상온에서 1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삼투 스트레스를 가한 후, 처리한 삼투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삼투제의 농도, 처리 시간 및 온도는 식물체별, 조직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IAA 또는 IBA는 0.1~5㎎/ℓ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 피클로람(picloram) 및 IB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증식시킨 다음,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2,4-D, 피클로람 및 IBA 중 어느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1~5mg/L, 더욱 바람직하게는 2mg/L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배지는 통상의 식물 조직 배양을 위한 배지로써, 일례로 N6배지, SH배지, MS 배지, AA 배지, LS 배지, B5배지, WPM 배지, LP배지, White배지, GD배지, DKW배지, DCR 배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 저급알코올 등 알코올, 아세톤, DMSO (Dimethyl Sulfoxide)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저급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등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코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추출물을 췌장암 세포주, 폐암세포주, 간암세포주, 대장암 세포주, 유방암 세포주, 자궁경부암 세포주, 피부암 세포주 및 전립선암 세포주에 처리하여 상기 모든 암세포주에 대하여 사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배양액의 유방암 세포주와 췌장암 세포주에 대하여 사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림프암, 폐암, 직장암 및 위암 등의 암환자에게 경구투여한 후 PET-CT를 촬영한 결과,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가 생체(예를 들어, 환자) 내에서 암세포주를 사멸시킴으로써 종양형성 및 성장을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백혈병 환자에게 경구투여 후 혈액수치를 측정한 결과, 혈액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췌장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전립선암, 림프암, 백혈병, 폐암, 직장암 및 위암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포주 파쇄물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암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제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가 없다 하더라도,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세포주, 그 추출물 및 배양액이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한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파쇄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에도 암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또는 그 배양액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 기간 등에 따라 적절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톤,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 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그 세포주의 파쇄물 또는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산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의 암의 예방 및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상기 세포주의 파쇄물을 사용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1: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제조
1-1: 식물재료의 준비
(1) 도 1의 (a)의 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산삼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산삼을 준비한 다음, 산삼의 주근부를 사용하기 위해 흐르는 물로 겉표면에 묻어 있는 흙이나 그 외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주근의 표면을 씻어 준 다음, 흐르는 물에 방치를 하였다. 깨끗하게 씻은 조직은 클린벤치 내에 준비된 멸균된 플라스크에 넣고 70% 에탄올로 30초 내지 1분 정도 살균하였다. 그 후 멸균수로 헹궈 주고 1% 내지 1.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Junsei, Japan)을 이용하여 5분 내지 15분 정도로 소독액을 처리하였다. 이때, 소독액이 효과적으로 조직 내로 침투하게 하기 위해 TWEEN 20(Polyoxyethylenesorbitan monolaurate, Junsei, Japan)을 몇 방울 정도 떨어뜨려 처리하였다. 이 과정이 마쳐지면 멸균수로 3회 내지 5회 정도로 헹궈 주었다. 이 후에 살균 처리한 조직의 갈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가 포함된 BIM(browning inhibition medium)에 살균된 주근을 넣고 30분 내지 1시간 정도 진탕배양하고 멸균된 여과지에 놓고 물기를 제거하였다.
사용된 BIM의 조성 및 사용농도는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1
여기서, 염농도는 전체의 1/4에 해당하는 양만 첨가한다.
그 후, 상기 재료를 갈변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가 포함된 CS solution (cutting sloution, 표 3)이 담긴 멸균 접시에 놓고, 겉껍질을 얇게 벗겨 내고 반으로 갈라 각 부분에서 분열능이 왕성한 형성층 부분이 포함되게 해서 가로×세로×높이 = 0.5~0.7cm × 0.5~0.7cm × 0.2~0.5mm의 크기로 절단을 하였다. 도 1의 (a)의 B는 산삼의 주근부에서 형성층이 포함되도록 상기 크기로 절단을 하여 절편체를 제조한 모습이다.
표 2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2
(2) 생물반응기(bioreactor)에서 유지 중인 100년 된 산삼부정근을 준비하고 역시 표 2의 CS solution이 담긴 멸균접시에 놓고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층을 포함하는 절편체를 수득하였다.
1-2: 산삼 주근부 형성층 포함 절편체에의 삼투제의 처리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절편체에서, 분화된 조직 즉, 사부, 목부, 수 등은 괴사시키고 분열조직인 형성층만을 생존시키기 위해 삼투 스트레스를 처리하였다. 상기 형성층 포함 절편체를 여과지가 깔린 전치상 배지(배지 1, 표 3)에 블로팅(blotting)을 하여 1M 수크로오즈(Duchefa, Netherland) 용액이 담긴 플라스크에 넣어 냉장상태에서 16~24시간 동안 삼투스트레스를 처리한 후 0.05M 수크로오즈 용액(sucrose solution)에서 5분간, 0.1M sucrose 용액에서 5분간 처리하여 고농도의 sucrose에 의한 스트레스를 해제하였다. 그 후 상기 삼투 스트레스가 해제된 형성층 포함 절편체를 여과지가 깔린 전치상 배지(배지 1)에 올려서 물기를 제거하였다.
표 3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3
1-3: 산삼의 형성층 포함 절편체에서 형성층 기원의 동질적인 세포주 유도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를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에서 삼투 스트레스를 처리한 절편체를 세포주 유도 배지 (배지 2, 표 4)에 치상하였다. 치상에 사용된 배지는 하기 <표 5>에 수록된 바와 같다. 치상된 절편체는 22±1℃ 암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표 4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4
이때, 삼투 처리를 하지 않고 바로 동질적인 세포주 유도배지에 치상한 절편체에서는 <표 5>에 수록된 바와 같이 치상 초기(2~3일 내)에 빠르게 형성층 중심으로 노랗게 반응을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절편체 전체가 노랗게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형성층 중심의 노란 반응을 보인 절편체를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 분리 및 증식 최적 배지(배지 3)에 계대를 하여 계속적인 동질적인 세포주 유도 및 증식을 시도하였으나 갈변 양상이 심화되었고, 시간이 경과해도 갈변 반응외에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삼투 처리를 하고 해제를 한 후 동질적인 세포주 유도배지에 치상한 절편체는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조직에서는 세포가 유도되지 않고 형성층에서만 특이적으로 동질적인 세포가 유도됨이 관찰되었다. 즉, 삼투 처리를 한 후, 해제를 하여 치상한 절편체에서는 배양 3~7일 사이에 절편체의 형성층 부위가 연노랑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이로부터 약 7~14일 후 연노랑색으로 변한 부위에서 동글동글한 세포주가 유도됨을 관찰하였다. 이때, 노지산삼의 형성층 포함 절편체 및 산삼부정근의 형성층 포함 절편체 모두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도 1의 (a)의 C는 산삼의 형성층 포함 절편체 중 형성층 특이적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가 유도된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삼투 처리를 한 절편체를 형성층 특이적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 유도배지가 아닌 통상적인 인삼, 산삼 등 인삼류 배양에서 사용하는 2,4-D를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였을 때는 배양 7~10일 사이에 절편체의 전체 부분이 노랑색으로 변하기 시작해서 이로부터 약 7~14일 후 전체 절단면에서 세포가 유도됨이 관찰되었다.
표 5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5
1-4: 분리된 산삼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의 증식
상기 실시예 1-3에서 유도된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를 이용하여 증식에 사용하였다. 배지는 하기 <표 6>에 제시된 기본 염(salt) 조성을 바탕으로 <표 7>에 제시된 대로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의 증식 최적 배지를 사용하였다. 이때, <표 7>에서 2,4-D는 노지산삼의 형성층으로부터 유도된 동질적인 세포주의 증식에, IBA는 산삼부정근으로부터 유도된 동질적인 세포주의 증식에 사용하였다.
표 6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6
표 7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7
도 1의 (a)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투 스트레스 처리와 배지 2를 사용하여 형성층에서만 특이적으로 동질적인 세포가 유도된 후, <표 7>에 제시된 배지 3으로 계대한 결과,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가 계속적으로 분열?증식하여 배양 약 10~20일 후에 형성층 기원의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이렇게 분리된 산삼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를 동일 배지에서 배양하여 분열능을 갖는 동질적인 세포주를 다시 증식시켰다. 도 1의 (a)의 D는 분리된 형성층 특이적 동질적인 세포주를 <표 7>에 제시된 배지 3에서 증식시킨 모습이다.
1-5: 분리된 세포주의 특성관찰
상기 산삼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를 하기 <표 8>의 액상 배지가 함유된 플라스크에 넣어 암조건에서 25±1℃에서 100rpm의 회전 교반기(shaker)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 주기는 2주일로 고정함으로써 배양세포가 항상 대수생장기 상태에서 높은 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표 8>에서 2,4-D는 노지산삼의 형성층으로부터 유도된 동질적인 세포주의 배양에, IBA는 산삼부정근으로부터 유도된 동질적인 세포주의 배양에 사용하였다.
한편, 인삼의 자엽 유래 캘러스(callus)도 <표 8>의 배지 4에서 배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삼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와 비교하였다.
표 8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8
먼저 세포 응집정도(biological microscope CX31, Olympus, Japan)를 살펴 볼 때, <표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4-D를 처리한 노지산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는 현탁배양 시 95%이상의 단세포 수준으로 존재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본 발명에 따른 IBA를 처리한 부정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역시 60%이상이 단세포 수준으로 존재함을 관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현탁배양 시 단세포 수준으로 존재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b)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2,4-D를 처리한 노지산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및 IBA를 처리한 부정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모두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미분화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인삼 자엽 유래 캘러스 (callus, 생물자원센터 KCTC PC10224)를 관찰한 결과, 도 1(b)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액포가 관찰되지 않고 하나의 큰 액포가 관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09
한편, 대량 배양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L의 내용적을 갖는 공기 부양식 생물반응기(airlift bioreactor, 성원사이텍, Korea)에서 인삼의 자엽(cotyledon) 유래 캘러스와 본 발명에 따른 산삼의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지는 <표 8>의 액상배지를 사용하였고, 암조건에서 25±1°C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그 결과,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의 자엽(cotyledon) 유래 배양물의 배가시간(doubling time)은 플라스크에서는 21일인데 반해 반응기(reactor)에서는 28일로 길어졌다. 즉, 플라스크에서 배양 시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가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장속도에서도 3~5배 정도의 높은 증식율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대량 반응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가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5~9배의 높은 증식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반응기 내에서의 생장고리 생성과 배양중의 식물 배양체 응집성과 세포벽이 단단하여 전단에 대한 민감성으로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이 급격히 감소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4-D를 처리한 노지산삼의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 배양물의 배가시간은 3~4일로, IBA를 처리한 산삼부정근의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 배양물의 배가시간은 5~6일로, 모두 플라스크와 반응기 사이에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단축되었다.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 배양물은 생물반응기 내의 생장고리 면적을 아주 작게 형성하고, 배양기에 간단한 자극을 주어 배지를 움직여주면 내벽의 링(ring)이 간단하게 해소되었다. 또한 응집이 작고, 많은 액포(vacuole)를 가지고 있어 전단에 대한 민감성이 약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의 감소를 가져오지 않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는 대량배양을 위한 생물 반응기에서 교반작용에 따른 전단 스트레스에 대하여 낮은 민감성을 가지므로, 생물반응기 내에서 급속 대량 생장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가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전단스트레스에 대하여 5~9배의 낮은 민감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표 10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10
한편, 이질적인 세포주인 인삼 자엽(cotyledon) 유래 캘러스(생물자원센터, KCTC PC10224)와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에 대하여 동결보존을 실시하였다. 현탁배양물은 배양 6일에서 8일 된 것을 사용하며, 동결보존제는 0.5M glycerol(DUCHEFA, The Netherlands)과 0.5M DMSO(DUCHEFA, The Netherlands)와 1M sucrose(DUCHEFA, The Netherlands) 포함된 배지이고, 5ml cryovial(Duran, USA)에 옮겼다. 동결보존제에 처리되는 세포 접종량은 200mg/ml 이다. 동결보존제 처리된 현탁세포는 30분간 냉동고에 유지한 다음 deep freezer에 3시간 보관 후 액체질소에 침지시켜 냉동시켰다.
그 후 해빙을 위하여 액체질소에 20분 이상 유지된 배양세포를 꺼내어 40℃ 항온수조에 넣고 1~2분간 해동시켰다. 세포 재생장을 위해, 세포 현탁액을 무균상태의 깔때기 및 여과지를 사용하였다. 여과된 세포는 filter paper가 포함된 고형생장배지상에 적용시키고 30분간 실온에서 안정화 시킨 다음, 다시 신선한 고형생장배지로 다시 옮겨졌다.
그 결과, 인삼 자엽 유래 이질적인 세포주는 재생장을 하지 않는 반면,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는 4주 후 재생장을 시작하여 증식하는 양상을 보였고 증식률 상에 있어서 동결보존 전 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산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건조 및 추출물 제조
실시예 1의 산삼부정근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로부터 다음과 같이 건조 및 추출하였다.
(1) 건조 세포주의 제조
(i) 배양액을 제거시킨 세포주를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 하였다.
(ii) 상기 건조된 세포주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얻었다.
(2) 증류수 추출물의 제조
(i) 배양액을 제거시킨 세포주 및 열풍건조, 동결건조 세포주 500g에 5000ml의 증류수를 가하여 24시간 교반시키면서 추출하여 얻었다.
(ii)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증류수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iii) 상기에서 얻은 증류수 가용성물질을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3)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i) 배양액을 제거시킨 세포주 및 열풍건조, 동결건조 세포주 500g에 5000ml의 에탄올를 가하여 24시간 교반시키면서 추출하여 얻었다.
(ii)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에탄올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iii) 상기에서 얻은 에탄올 가용성물질을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4)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i) 배양액을 제거시킨 세포주 및 열풍건조, 동결건조 세포주 500g에 5000ml의 메탄올를 가하여 24시간 교반시키면서 추출하여 얻었다.
(ii) 상기 용해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을 취함으로써 메탄올 가용성물질을 얻었다.
(iii) 상기에서 얻은 메탄올 가용성물질을 회전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실험예 1: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in vitro 세포증식억제효과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암세포주의 증식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암세포주 8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의 (4)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억제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제공된 AsPC-1 (pancreatic cancer), A549 (lung cancer), SK-Hep1 (liver cancer), HT-29 (colon cancer), MDA-MB-231 (breast cancer), HeLa (cervical cancer), A375P (skin melanoma), DU-145 (prostate cancer)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은 10%의 송아지 혈청을 함유한 RPMI1640 과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각 세포주를 세포의 성장속도에 따라서 농도를 다르게 96-well plate에 seeding한 다음, 16~24시간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4)의 메탄올 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산삼배양근 추출물을 12가지 dose로 단계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산삼배양근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와 통상의 산삼조직과의 효과 비교를 위한 것으로 동결건조한 산삼배양근을 상기 실시예 2의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72시간 후에 각 well에 15 ㎕ MTT dye solution (Promega)을 넣은 후 37℃에서 4시간 방치한 뒤 solublization solution/stop mix을 한 well당 100 ㎕씩 처리해 37℃에 밤새도록 두었다. 생성된 colored formazan product가 완벽히 solublization됨을 확인한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흡광도는 용매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용매처리군과 비교할 때 50%의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검체의 농도(EC50)로 표시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추출물은 산삼부정근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은 농도에서 8종의 암세포주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경우 고농도에서도 세포 증식저해 활성이 미약하여 EC50을 구할 수 없었던 대장암 세포주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추출물은 증식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는 산삼배양근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암세포주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실험예 2: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배양액의 in vitro 세포증식억제효과 (2)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 배양액의 암세포주에 대한 사멸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료로는 상기 실시예 2의 (4)의 세포주 추출물 제조 시 제거한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암세포주로는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제공된 MDA-MB-231 (breast cancer)과 AsPC-1 (pancreatic cancer)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은 10%의 송아지 혈청을 함유한 RPMI1640 과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2종의 암세포주를 세포의 성장속도에 따라서 농도를 다르게 96-well plate에 seeding한 다음, 16~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상기 배양액을 12가지 dose로 단계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72시간 후에 각 well에 15 ㎕ MTT dye solution (Promega)을 넣은 후 37℃에서 4시간 방치한 뒤 solublization solution/stop mix을 한 well당 100 ㎕씩 처리해 37℃에 밤새도록 두었다. 생성된 colored formazan product가 완벽히 solublization됨을 확인한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흡광도는 용매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용매처리군과 비교할 때 50%의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검체의 농도(EC50)로 표시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MDA-MB-231 (breast cancer)과 AsPC-1 (pancreatic cancer)에 대하여 각각 >7.57mg/ml, >1.0 mg/ml의 EC50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의 배양액 역시 암세포주에 대한 사멸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암 예방 및 치료 효과의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암으로 진단된 환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의 (1)에서 제조된 건조 세포주 분쇄물을 파우더 형태로 투여하였다. 복용은 하루에 세 번(아침, 점심 및 저녁) 1g씩 물에 용해한 형태로 경구투여하였으며, 구체적인 투여량 및 기간은 이하와 같다. 한편, 투약 중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1: 림프암 환자에 대한 투여
2004년 1월 9일자 림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김**씨, 1957년생, 여)에 대하여 2개월간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기간 중 다른 항암치료는 병행하지 않았다. 인체 내에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2개월 후 각각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PET-CT를 촬영하여 대비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 전 시트 촬영 결과 좌측 복강 및 골반강에서 광범위하게 비정상적으로 대사가 증가된 부분이 나타나고 오른쪽 신장과 심막 및 복막에서 악성종양(malignant)가 확인된 것 (도 3 A, C)과 달리, 2개월간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를 투여한 후 촬영한 결과 광범위한 비정상적으로 대사가 증가된 부위가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B, D).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암세포를 사멸시켜 암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항암제 복용 시 항암제 독성에 의해 간수치와 신장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부작용이 보고되는바, 상기 투여기간 동안 다음과 같이 정기적으로 간수치 및 신장수치를 측정하였다. 표 11에서 T. Bil, ALP, AST, ALT, LDH는 간수치 측정자이고, BUN, CRE는 신장수치 측정자로 모두 한양대병원에서 측정되었다. 이때, BUN 및 CRE는 세럼 크레아틴 측정법(Folin-Wu 법)에 의하여 측정되었으며, AST, ALT 및 LDH는 ATBA-200FR, HITACHI 7170 Auto Analyz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ALP는 세럼 (serum) 측정방법으로, T.Bil는 아산셋트 빌리루빈 측정용 시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1
그 결과,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복용시 간 및 신장 수치가 정상적으로 유지가 된 것으로 관찰된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 대한 투여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이**씨, 1995년생, 여)에 대하여 8개월간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인체 내에서 암을 치료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1개월 후 각각 백혈구치 및 혈소판치를 celldyn3000 자동 혈액 측정기(Abbott, wiesbaden, Germany)를 이용하여 제조사가 제시한 설명서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 12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12
그 결과, 도 4 및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 전 백혈구의 수치가 2,000/mm3이었음에 반하여 투여 9일 후 백혈구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여 투여 약 1개월 후에는 백혈구 수치와 혈소판치 모두 정상범위내로 관찰되었다 (백혈구 수치 정상범위: 4,000~10,000 /mm3; 혈소판치 정상범위: 141,000~316,000/mm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의 투여가 백혈병을 치료하고 그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급성림프구 백혈병 환자에 대한 투여
급성림프구 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최**씨, 2001년생, 남)에 대하여 14개월간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인체 내에서 암을 치료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14개월 후 각각 혈색소치를 celldyn3000 자동 혈액 측정기(Abbott, wiesbaden, Germany)를 이용하여 제조사가 제시한 설명서의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 13
Figure PCTKR2009006523-appb-T000013
그 결과,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 전에 비하여 혈색소치가 모두 증가하여 정상범위로 나타났다.
백혈병은 분화과정의 한 단계가 정지되어 분화되지 않고 미성숙 세포가 증식하는 것으로, 이에 면역학적 표현형이 일정한 미성숙세포가 증식한다 (전인상, Medical postgraduates 33, 2005). 이에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백혈구 전구세포인 미성숙 세포의 암성증식(癌性增殖)에 의해 정상혈구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빈혈, 출혈, 감염 등이 흔히 나타나고, 장기에 침윤하여 뼈의 통증, 간 및 비장의 비대 등이 나타나며 장기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 투여 전 혈색소치가 3.6gm/dl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바, 이는 환자가 극심한 빈혈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의 투여 후 12.8gm/dl의 정상치로 증가한바 백혈병으로 인한 증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의 투여가 백혈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경구투여 시 항암치료가 병행하여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투여 전인 최초 백혈병 진단 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항암치료가 투여 전 또는 투여 후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 있어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4: 폐암환자에 대한 투여
(1) 2006년 7월 3일자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윤**씨, 1939년생, 여)에 대하여 약 13개월간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기간 중 다른 항암치료는 병행하지 않았다. 인체 내에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13개월 후 각각 서울대병원에서 PET-CT를 촬영하여 대비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 전(도 5A) 및 투여 후(도 5B)를 대비한 결과 투여에 따라 불투명도(opacity)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종양의 넓이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암세포를 사멸시켜 암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2) 추가적으로 항암제(아바스틴, 제넨텍)를 투여 중인 62세의 폐암환자 (J***씨, 1946년생, 남)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를 1일 3g씩 약 3개월간 투여하였다. 암세포주 사멸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CT 촬영으로 종양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양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투여 전 7㎝에서 5.6㎝로 종양의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암을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경구투여 시 항암제인 아바스틴의 투여가 병행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투여 전인 아바스틴 단독 투여 시 종양이 계속적으로 크기가 증가한바, 항암치료가 투여 전 또는 투여 후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 있어 영향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3-5: 직장암환자에 대한 투여
2007년 11월 13일자 직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권**씨, 1949년생, 여)에 대하여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기간 중 다른 항암치료는 병행하지 않았다. 인체 내에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49일 후 각각 전북대 병원에서 PET-CT를 촬영하여 대비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 전(도 6A) 및 투여 후(도 6B)를 대비한 결과 투여에 따라 투여 전 사진의 붉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불투명도(opacity)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암세포주가 사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암세포를 사멸시켜 암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3-6: 위암 환자에 대한 투여
2007년 10월 5일자 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이**씨, 1967년생, 남)에 대하여 1일 3g씩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기간 중 다른 항암치료는 병행하지 않았다. 인체 내에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여 전 및 투여 4개월 후 각각 울산병원에서 gastro-fiberscope로 확인하여 투여 전 및 투여 후의 종양의 크기를 대비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여개시 시(도 7 (a)) 종양의 크기는 7㎝이었으나, 투여 4개월 후(도 7 (b)) 측정한 결과 2㎝로 측정되어 종양의 크기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가 암세포주를 사멸시켜 암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암 예방 및 치료 효과의 확인 (2)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폐암 환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의 (1)에서 제조된 동결건조 세포주 분쇄물을 파우더 형태로 투여하였다. 복용은 하루에 세 번 (아침, 점심 및 저녁) 1g씩 물에 용해한 형태로 경구투여하였다. 투여로 인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7월 1일 투여를 시작한 다음, 1년여 후인 2009년 7월 15일 산삼 형성층 유래 세포주의 투여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흉부 CT를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 투여 전 26×20mm의 크기이었던 LLL lateral basal segment에 관찰되던 침상형의 종괴(spiculated mass) 크기가 14×14mm의 크기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양쪽 폐에서 다수의 전이성 결절(multiple metastatic nodules)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동질적인 세포주는 암종괴의 크기를 감소시켜 암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약학제제 제조예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포주 추출물 100㎎을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하여 통상의 정제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포주 추출물 500㎎을 연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시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포주 1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적량의 정제수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액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00㎖의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세포주 추출물 200㎎을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카스트로 오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 200㎎에 가열 용해시켜 혼합 추출물을 0.1%의 농도로 함유하는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기능성 식품의 제조 - 기능성 음료의 제조
제조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포주 200㎎을 96㎖의 물에 용해시킨 후 보조제로서 비타민 C 500㎎, 교미제로서 구연산, 올리고당을 각각 1g 가하고, 보존재로서 나트륨벤조에이트 0.05g을 가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로 만들어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세포주 추출물 200㎎을 96㎖의 물에 용해시킨 후 보조제로서 비타민 C 500㎎, 교미제로서 구연산, 올리고당을 각각 1g 가하고, 보존재로서 나트륨벤조에이트 0.05g을 가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로 만들어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서 기존 약물 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암의 성장에 직접 관여하여 생체내에서 암세포 사멸시킴으로써 종양 형성 및 성장을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항암활성을 나타내므로, 암의 예방, 치료 및 증상완화에 유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삼류(Panax ginseng)의 형성층에서 유도되고, 다음의 특성을 가지는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선천적 미분화 상태 (innately undifferentiated)임; 및
    (b)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다음의 특성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현탁배양 시 단세포 상태로 존재함;
    (b)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의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 (shear stress)에 대해 낮은 민감성을 가짐; 및
    (c)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안정하게 배양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인삼류의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을 IAA(Indole-3-acetic acid) 또는 IBA(Indole-3-butyric acid)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유도하는 단계,
    이때, 상기 배양의 수행 중 또는 배양 전단계 또는 후단계에서 상기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에 삼투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및
    (c) 상기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단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 피클로람(picloram) 및 IB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증식시킨 다음,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증류수, 알코올, 아세톤, DMSO (Dimethyl Sulfoxide)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췌장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전립선암, 림프암, 백혈병, 폐암, 직장암 및 위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인삼류의 형성층에서 유도되고, 다음의 특성을 가지는 세포주, 그 파쇄물, 그 추출물 및 그 배양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a) 선천적 미분화 상태 (innately undifferentiated)임; 및
    (b) 다수개의 액포(vacuole)를 가지는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다음의 특성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a) 현탁배양 시 단세포 상태로 존재함;
    (b)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의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전단 스트레스 (shear stress)에 대해 낮은 민감성을 가짐; 및
    (c) 인삼류의 형성층 이외 조직 유래 세포주에 비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안정하게 배양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a) 인삼류의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을 IAA(Indole-3-acetic acid) 또는 IBA(Indole-3-butyric acid)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유도하는 단계,
    이때, 상기 배양의 수행 중 또는 배양 전단계 또는 후단계에서 상기 형성층 함유 저장근 조직에 삼투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및
    (c) 상기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유도된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 피클로람(picloram) 및 IB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증식시킨 다음, 형성층 유래 세포주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PCT/KR2009/006523 2008-11-06 2009-11-06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53314A2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441850A CN102209550B (zh) 2008-11-06 2009-11-06 含有来自包括野山参或人参的人参类形成层的植物干细胞系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癌症的组成物
BRPI0916043A BRPI0916043A2 (pt) 2008-11-06 2009-11-06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alimento funcional para prevenir ou tratar câncer
CA2742950A CA2742950A1 (en) 2008-11-06 2009-11-06 Composition for cancer prevention or treatment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of panax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or ginseng
US13/127,750 US9314492B2 (en) 2008-11-06 2009-11-06 Composition for cancer prevention or treatment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plant stem cell line dervied from cambium of Panax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or ginseng
AU2009311799A AU2009311799A1 (en) 2008-11-06 2009-11-06 Composition for cancer prevention or treatment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of Panax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or ginseng
RU2011122688/15A RU2520625C2 (ru) 2008-11-06 2009-11-06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содержащая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линию стволов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клеток, полученных из камбия panax ginseng, включая дикий женьшень или женьшень
EP09824997A EP2353603A4 (en) 2008-11-06 2009-11-06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A CELL LINE OF VEGETABLE STEM CELLS EXTRACTED FROM PANAX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OR GINSENG
JP2011535513A JP5690984B2 (ja) 2008-11-06 2009-11-06 天然高麗人参または高麗人参を含む高麗人参類の形成層由来植物幹細胞株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癌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0086 2008-11-06
KR10-2008-0110086 2008-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3314A2 true WO2010053314A2 (ko) 2010-05-14
WO2010053314A3 WO2010053314A3 (ko) 2010-08-12

Family

ID=4215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6523 WO2010053314A2 (ko) 2008-11-06 2009-11-06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14492B2 (ko)
EP (1) EP2353603A4 (ko)
JP (1) JP5690984B2 (ko)
KR (1) KR101128953B1 (ko)
CN (1) CN102209550B (ko)
AU (1) AU2009311799A1 (ko)
BR (1) BRPI0916043A2 (ko)
CA (1) CA2742950A1 (ko)
RU (1) RU2520625C2 (ko)
WO (1) WO201005331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2854A2 (en) * 2010-10-23 2012-04-26 Unhwa Corporation Plant cell lines and methods of isol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3238B2 (en) 2005-10-31 2011-11-08 Unhwa Corporation Isolated population of plant single cell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064518B1 (ko) * 2007-09-21 2011-09-19 주식회사 운화 저장근을 가지는 초본식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179171B1 (ko) 2008-08-14 2012-09-03 주식회사 운화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10217273A1 (en) * 2008-09-30 2011-09-08 Unhwa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IDS Containing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of Panax Ginseng Including Wild Ginseng or Ginseng as Active Ingredient
CN103509749A (zh) * 2012-06-29 2014-01-15 鹭港生物药业有限公司 人参形成层干细胞分离及培养方法
JP6483240B2 (ja) * 2014-08-22 2019-03-13 ウェルキ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Wellkey Holdings Limited 希少ジンセノサイドを高含量で含有する、山参もしくは高麗人参を含む高麗人参類の抽出物または高麗人参類の形成層由来植物幹細胞もしくはその抽出物の製造方法
KR101951194B1 (ko) * 2015-04-30 2019-02-25 주식회사 씨엔에이치코퍼레이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소화기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022343B (zh) * 2017-06-12 2021-10-08 厦门鹭港兆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人参干细胞的制备方法
CN111135219A (zh) * 2020-01-15 2020-05-12 好牧人干细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溶通血栓消解癌变细胞、肿瘤的植物干细胞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120B1 (ko) 2003-06-16 2005-12-14 주식회사 운화 바이오텍 형성층을 이용한 식물세포배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732A (ja) * 1984-10-31 1986-05-28 Wakunaga Seiyaku Kk 殺腫瘍性物質誘発剤
US4795742A (en) * 1985-09-24 1989-01-03 Yaguang Liu Therapeutic composition from plant extracts
JPH1052295A (ja) * 1996-08-09 1998-02-24 Nippon Oil Co Ltd タキサン類化合物の製造方法(ii)
US6555527B1 (en) * 1999-08-27 2003-04-29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Hematopoietic, myeloprotecting, antitumor immune cells generating and radiosensitizing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WO2002078722A1 (fr) * 2001-04-02 2002-10-10 Hongfen Li Medicament antineoplasique
KR100478213B1 (ko) 2002-01-23 2005-03-22 손성호 인삼류의 잎과 줄기를 이용한 캘러스 및 부정근 유도와 그증식방법
AU2003202159A1 (en) * 2002-04-08 2003-10-27 Ginseng Science Inc. Extract of processed panax genus plant,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0594353B1 (ko) * 2002-05-28 2006-07-03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신규한 인삼잎 및 줄기 다당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및 항암보조제 조성물
JP2004290082A (ja) * 2003-03-27 2004-10-21 Nitto Denko Corp 薬用人参カルスの培養方法
KR100456089B1 (ko) 2004-07-15 2004-11-09 박용진 항암 활성을 갖는 산삼 추출정제액을 정제하는 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8053238B2 (en) * 2005-10-31 2011-11-08 Unhwa Corporation Isolated population of plant single cell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1297028B (zh) * 2005-10-31 2016-01-20 云火公司 通过同步化植物细胞培养的次级代谢产物批量生产的稳定化方法
KR101068971B1 (ko) * 2007-09-21 2011-09-30 주식회사 운화 분열지연중심부 유래 식물줄기세포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064518B1 (ko) * 2007-09-21 2011-09-19 주식회사 운화 저장근을 가지는 초본식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 및 이의 분리방법
AU2008202078B2 (en) * 2007-10-10 2012-05-31 Wellkey Holdings Limited Stability of secondary metabolite mass production through synchronized plant cell cultures
KR101100867B1 (ko) * 2008-05-14 2012-01-02 주식회사 운화 주목의 형성층 또는 전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120B1 (ko) 2003-06-16 2005-12-14 주식회사 운화 바이오텍 형성층을 이용한 식물세포배양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J.Y. ET AL., J. PLANT BIOLOGY, vol. 49, 2006, pages 26
IN-SANG CHUN, MEDICAL POSTGRADUATES, vol. 33, 2005
LIAN M.L. ET AL., J. PLANT BIOLOGY, vol. 45, 2002, pages 201
See also references of EP2353603A4
TENG W.L. ET AL., TISSUE AND ORGAN CULTURE, vol. 68, 2002, pages 23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2854A2 (en) * 2010-10-23 2012-04-26 Unhwa Corporation Plant cell lines and methods of isolating the same
WO2012052854A3 (en) * 2010-10-23 2012-08-02 Unhwa Corporation Plant cell lines and methods of isol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3314A3 (ko) 2010-08-12
RU2011122688A (ru) 2012-12-20
AU2009311799A1 (en) 2010-05-14
EP2353603A2 (en) 2011-08-10
JP5690984B2 (ja) 2015-04-01
US9314492B2 (en) 2016-04-19
EP2353603A4 (en) 2012-08-01
JP2012507579A (ja) 2012-03-29
KR20100051032A (ko) 2010-05-14
RU2520625C2 (ru) 2014-06-27
US20110229443A1 (en) 2011-09-22
BRPI0916043A2 (pt) 2015-11-10
KR101128953B1 (ko) 2012-03-22
CN102209550A (zh) 2011-10-05
CA2742950A1 (en) 2010-04-14
CN102209550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53314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95911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09151302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2033378A2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0038991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00340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5111832A1 (ko)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84616A1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34172A2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129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18106002A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52377A (ko) 캠퍼롤 및 에티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3613A2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088264A2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16201841B2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04479A1 (ko) 포도잎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맥순환 장애 개선용 조성물
WO2016144125A2 (ko) 용규 추출물의 신규 용도
WO2011019153A2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04989A1 (ko) 김치를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45245A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4126269A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73375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WO2015009047A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슐린저항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44185.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4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742950

Country of ref document: CA

Ref document number: 3085/CHENP/2011

Country of ref document: I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35513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311799

Country of ref document: AU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24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311799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091106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122688

Country of ref document: RU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2775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PI0916043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