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44553A2 -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44553A2
WO2010044553A2 PCT/KR2009/005406 KR2009005406W WO2010044553A2 WO 2010044553 A2 WO2010044553 A2 WO 2010044553A2 KR 2009005406 W KR2009005406 W KR 2009005406W WO 2010044553 A2 WO2010044553 A2 WO 201004455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refrigerant
module assembly
battery
coo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4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44553A3 (ko
Inventor
이진규
신용식
윤희수
이범현
강달모
윤종문
여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0980139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171884A/zh
Priority to US13/122,210 priority patent/US8846233B2/en
Priority to EP09820703.8A priority patent/EP2337143B1/en
Priority to ES09820703.8T priority patent/ES2549907T3/es
Priority to RU2011112810/07A priority patent/RU2479895C2/ru
Priority to JP2011530935A priority patent/JP5431486B2/ja
Publication of WO201004455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4553A2/ko
Publication of WO201004455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4455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built in a module cas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oling member which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and includes a cooling conduit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 the secondary battery is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that has been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of existing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such as (Plug-In HEV).
  • One or two or four battery cells are used for small mobile devices, whereas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used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due to the necessity of high output capacity.
  •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 the rectangular battery, the pouch-type battery, etc. which can be charg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of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 a pouch-type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advantages such as low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form deformation.
  •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 order for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by a given device or device, it is necessary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and maintain a stable structure against external force.
  •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s composed of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If this is not effectively removed, thermal buildup occurs and consequently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the unit cell, and in some cases there is a risk of fire or explosion. Therefore, a vehicle battery pack that is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battery requir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battery cells embedded therein.
  • the hybrid electric vehicle uses the power of the battery pack when starting, and because it uses oil such as gasoline while driving, the heat generation is relatively large, so the vehicle battery pack applied to the hybrid electric vehicle has a cooling system using air. Mainly used.
  • th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uses the power of the battery pack for the vehicle not only for starting but also during initial driving, the size of the battery pack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cycles is relatively increased, resulting in a large amount of heat gen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urprisingly, when the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assembly, surprisingl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is greatly improved, which is a battery module assemb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ifespan and reliability of the battery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embedded in a module cas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while being electrically interconnected. And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us cooling efficiency is improved compared to a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a conventional air-cooled cooling system. Can be increased significantly.
  • the cool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ttery modules and / or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
  • the cooling member is mounted on all of the interfaces between the battery modules, or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 or mounted on both the interface between the battery modul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 as needed. Can be.
  •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oling member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desired cooling level .
  • the cool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refrigerant conduits are installed on a plate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 one or more refrigerant conduits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body as needed, and the cooling system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may be flexib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ch refrigerant conduits.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late body and the refrigerant condu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mutual coupling.
  • a continuous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frigerant condu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body.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be fixed to the inserted form.
  • the refrigerant conduit has a refrigerant inlet and a refrigerant outlet protruding from the plate body, so that the refrigerant can easily flow into the refrigerant inlet from the outside, and the introduced liquid refrigerant flows along the refrigerant conduit. Cooling of the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refrigerant condui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located outside.
  • the positions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may var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device on which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may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or in opposite directions. have.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 portion that is bent while forming a repetitive shape.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be bent in a repetitive shape to maximize the interfacial area with the adjacent battery module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 the shape of the repetitive refrigerant conduit may be, for example, bent in a zigzag shape on the plane, or a coil shape of the electric field plate.
  • one or two or more thermally conductive fixtur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onduit. Since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has a structu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ttery module, the low temperature of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ondui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attery module.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for fixing the refrigerant conduit to the groove of the plate body.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easily fixes the refrigerant conduit to the groove of the plate body. can do.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easily fix the refrigerant conduit.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body is formed on a plate-shaped plate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conduit.
  • the elastic body is made of a ring structur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it can be more effective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plate body while wrapping the refrigerant conduit elastically.
  • the plat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indentation for mounting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s corresponding to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s, so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s can be inserted into the indentation of the plate body to secure the mutual coupling.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according to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desired battery module assembly, and in general,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condu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is more suitable for the battery module.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cool effectively.
  • the refrigerant conduits may be independent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plates, and the inlets and the outlets of the refrigerant conduits may b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or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conduits are formed independently on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enables flexible design of the cool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cold discharge outlet can be made flexible.
  • the plate body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or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 the plate body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can be kept insulated from the battery module, and the plate body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can easily conduct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thereby effectively cool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done.
  • the rubber material is preferable because it serves to insulate between the battery modules and at the same time can elastically protect the battery module assembly from external force.
  • the refrigerant condu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material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 the liquid refriger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lows easily in the refrigerant conduit and is excellent in cooling property.
  • the liquid refrigerant may be made of inexpensive water.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may include two or more cooling members, and the cooling members may include refrigerant conduits of the cooling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one cooling member may continuously flow into another cooling member.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conduits are interconnected may be 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efrigerant conduits, such as one refrigerant inlet and one refrigerant outlet, or one refrigerant inlet and two refrigerant outlets.
  • the cooling system of the module assembly can be flexibly constructed.
  • the battery cell may be a plate-shaped battery cell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relatively wide width and length so as to minimize the overall size when the battery cell is charg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odule.
  •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electrode terminals protrude from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specifically, a pouch typ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the case.
  • a secondary battery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a pouch type battery cell.
  • battery module refers to a structure of a battery system capable of mechanically coupling two or more charge / discharge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nd simultaneously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to provide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electricity. As it is meant to be inclusive, it includes all cases that constitute one device per se or a part of a large device.
  • a large battery module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mall battery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 modules having a small number of battery cells may be connected.
  • the structure of the unit module can be made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 preferred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unit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plate-shaped battery cells having electrode terminals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two or more battery cells having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electrode terminals are bent, and the Excluding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gh-strength cell cover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s.
  • These battery cells can be configured as a unit module in a structure wrapped in a high-strength cell cover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n two or more units, the high-strength cell cover is charged and discharged while protecting the battery cell with low mechanical rigidity It prevents the sealing part of the battery cell from being separated by suppressing the change of repeti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ring the tim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which is more excellent ultimately safety.
  • the battery cells in the unit module or between the module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with the battery cells arranged longitudinally in series so that their electrode terminals are continuously adjacent to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unit modules may be manufactured by folding the battery cells in two or more unit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wrapping the cells in a predetermined unit by the cell cover.
  • Coupling of the electrode terminal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welding, soldering, mechanical fastening, preferably by welding.
  •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are interconnected and filled with high density, may be vertically mounted in a vertically separated case coupled to a prefabricated fastening structure to form the rectangular battery module.
  • the battery module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the battery module to the cooling member, the battery modul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member extending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cooling member.
  •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may be in the shape of a metal plate.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achieve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the high temperature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seriously raised in terms of safety It can be preferably used for a power source such as.
  • th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uses a power sour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for the vehicle not only for starting but also during initial driving, so that the number of charge / discharge increases relatively, resulting in a large amount of heat generation. Therefore, sinc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cooled structur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has excellent cooling performance and can easily solve the above calorific value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in an electrically interconnected state, and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a liquid refrigerant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a liquid refrigerant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 the cooling member including the refrigerant condui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battery cells by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 the refrigerant condui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ling member moun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to cool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 the cooling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tinuous groove is formed in a plate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and the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is fixed in the groove. It may be made of.
  • the cooling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s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ar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conduit so as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to the cooling member. It can be configured as.
  • such a thermally conductive fixture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modul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module.
  • the refrigerant condu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inlet port and the refrigerant outlet port protrude from the plate body,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inlet protruding from the plate main body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conduits protruding from the plate main body through the refrigerant condu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main body to cool the battery cell or the battery module. do.
  •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oling member of FIG. 1;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and 5 are schematic views of a structure in which refrigerant conduits are connec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1;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ure 4.
  • FIG. 7 i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of FIG. 4.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100 includes two battery modules 110 and 120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and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s 110 and 120. It consists of three cooling members 200 mounted on the.
  • the cooling members 200 are moun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ttery modules 110 and 12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include a refrigerant conduit 250 for the 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have.
  •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oling member of FIG.
  • the cooling member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body 230 having two refrigerant conduits 210 and 22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120, respectively.
  • the coolant inlet 260 and the coolant outlet 270 are located at opposite ends of the coolant conduit 250 so as to protrude from the plate body 230 to the outside.
  • the refrigerant conduit 25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4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body 230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frigerant conduit 250, the refrigerant conduit 250 and the plate body 230 In order to maximize the interfacial area of), it includes a bent portion that forms a repetitive shape, which is planar 'c'.
  • the bent portion (not shown) of the plate body 230 is formed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300,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s 300 are grooves of the plate body 230 ( The bent portion of the refrigerant conduit 250 inserted in 240 is fixed.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300 has a structu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120,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the battery modules 110 and 120 to the cooling member 230 may be increased.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rigerant inlet 222 and the refrigerant outlet 224 is the same as that of FIG. 2 except that the refrigerant inlet 22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refrigerant conduit 252 in the same direction.
  • FIG. 4 and 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refrigerant conduits are connect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of FIG. 1.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400 includes two battery modules 110 and 120 and three cooling members 230, and refrigerants of the respective cooling members 232 and 242. Conduits 420 and 410 are interconnected. In addition, the coolant inlet 430 and the coolant outlet 450 ar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upper right and lower end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400, respectively.
  • the liquid refrigerant is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430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400, and is locat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most battery module 110 and at the interface of the battery modules 110 and 120.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fter passing sequentially along the refrigerant conduit (not shown) of the cooling member 242, the battery module assembly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conduit 410 of the cooling member 232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most battery module 12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450 located at the lower right of the 400.
  • the coolant inlet 510 and the coolant outlet 520 are position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500, respectively.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the battery module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eight battery cells 1210 are stacked on the side of the module case 1220 without an air gap and mounted on the module case 1220.
  • the 20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most battery cell.
  • the battery module 120 may be provid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plate 1230 extending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cooling member 200.
  • 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of FIG. 4.
  • the thermally conductive fastener 300 is mounted on the plate-shaped plate 310 with an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conduit 440 of FIG. 4, and the elastic body is on one side in a vertical cross section. It consists of a ring 320 with an opening 330 formed therein.
  • the ring 320 wraps the refrigerant conduit 440 through the opening 330 and secures the refrigerant conduit to the groove of the plate body 232.
  •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mounting a cooling member including a refrigerant conduit for the flow of liquid refrigera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s a result, the life and reli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cooling system of the flexible battery module assembly can be easily config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본 발명은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대형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는 바,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단위전지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단위전지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인 차량용 전지팩에는 그것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시동을 거는 경우 전지팩의 전원을 사용하고, 운행중에는 가솔린과 같은 유류를 사용하므로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차량용 전지팩에는 공기를 이용한 냉각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시동뿐만 아니라 초기 주행시에도 차량용 전지팩의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지팩의 크기가 커지고 충방전 횟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발열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차량용 전지팩에 포함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를 장착하는 경우, 놀랍게도, 전지모듈의 냉각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이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수명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냉매 도관의 구조 또는 개수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의 배치를 다양화시킬 수 있고,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시스템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전지모듈의 외면에는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장착되어 있어서, 종래의 공냉식 냉각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비해 냉각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모듈의 발열량 수준에 따라 냉매 도관 부위의 면적을 변경시키고, 액상 냉매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유연한 냉각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모듈들 사이의 계면 및/또는 최외각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냉각부재는 필요에 따라 전지모듈들 사이의 계면 모두에 장착되거나, 또는 최외각 전지모듈의 외면에만 장착되거나,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의 계면 및 최외각 전지모듈의 외면 모두에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재의 장착구조는 소망하는 냉각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매 도관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냉매 도관은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 본체의 외면에 하나 또는 다 수 개가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도관의 개수에 따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 시스템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플레이트 본체와 냉매 도관의 결합 구조는 상호 결합이 용이한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플레이트 본체의 외면에는 냉매 도관의 폭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에 냉매 도관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매 도관은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냉매를 냉매 유입구로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고, 또한 유입된 액상 냉매는 냉매 도관을 따라 유동하면서 냉매 도관에 인접한 전지모듈을 냉각시키고 외부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외부 디바이스의 구조에 따라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 도관은 반복적인 형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도관은 인접한 전지모듈과의 계면적을 최대화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반복적인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냉매 도관의 형상은 예를 들어, 평면상 'ㄷ'자 형상이 지그재그로 절곡되거나, 전기장판의 코일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지모듈과 접촉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전도성 고정구가 냉매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열전도성 고정구는 전지모듈과 직접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냉매 도관에 흐르는 액상 냉매의 저온을 전지모듈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하나의 예로서, 열전도성 고정구는 플레이트 본체의 그루브에 대해 냉매 도관을 고정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부재의 플레이트 본체상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에 냉매 도관을 삽입하고, 열전도성 고정구를 냉매 도관의 상부로부터 장착하는 과정에서 열전도성 고정구는 냉매 도관을 플레이트 본체의 그루브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고정구는 냉매 도관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판상형 플레이트상에 상기 냉매 도관의 적어도 일부 외면을 감싸는 형상의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탄성체는 수직 단면상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링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냉매 도관을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플레이트 본체의 그루브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는 열전도성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만입부가 열도전성 고정구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열도전성 고정구는 플레이트 본체의 만입부에 삽입되어 상호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도관은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냉매 도관은 소망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 온도에 따라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 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냉매 도관이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 면에 설치되는 구조가 전지모듈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서, 냉매 도관은 절연성 플레이트들의 양측 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매 도관들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냉매 도관이 플레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구조는, 냉매 유입구와 냉배 배출구의 배치를 유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 구조의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전기 절연성 소재 또는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본체는 전지모듈과 상호 절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본체는 전지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용이하게 전도할 수 있으므로 전지모듈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소재는 전지모듈간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탄력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 도관은 열전도성이 뛰어난 소재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상 냉매는 냉매 도관에서 용이하게 흐르면서 냉각성이 뛰어난 냉매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비용이 저렴한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냉각부재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냉각부재들은 하나의 냉각부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다른 냉각부재에 연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부재들의 냉매 도관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냉매 도관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는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각각 하나씩 있거나, 냉매 유입구는 하나이고 냉매 배출구는 2개인 경우 등 냉매 도관들을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 시스템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의 구성을 위해 충적되었을 때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와 상대적으로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판상형 전지셀일 수 있다. 그러한 바람직한 예로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하 양단부에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차전지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칭하기도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충방전 전지셀들 또는 단위모듈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고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므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또는 대형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대형 전지모듈의 구성도 가능하고, 전지셀들을 소수 연결한 구조의 단위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위모듈의 구조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단위모듈은 전극단자들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들이 직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전극단자들의 연결부가 절곡되어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2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강도 셀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들은 2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고강도 셀 커버에 감싸인 구조로 하나의 단위모듈을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고강도 셀 커버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을 보호하면서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실링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더욱 안전성이 우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제조가 가능해 진다.
단위모듈 내부 또는 단위모듈 상호간의 전지셀들은 직렬 및/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예에서, 전지셀들을 그것의 전극단자들이 연속적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열한 상태에서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킨 뒤, 2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중첩되게 접고 소정의 단위로 셀 커버에 의해 감쌈으로써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들의 결합은 용접, 솔더링, 기계적 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높은 밀집도로 충적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은, 바람직하게는, 조립식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상하 분리형의 케이스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상기 장방형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단위모듈과 이러한 단위모듈 다수 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장방형 전지모듈의 더욱 구체적인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6-45443호와 제2006-4544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지모듈에는 적어도 냉각부재에 접하는 부위로 연장되어 있는 열전도성의 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부재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판재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고출력 대용량의 달성을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함으로써, 충방전시 발생하는 고열이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등의 전원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동뿐만 아니라 초기 주행시에도 차량용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원을 사용하므로, 충방전 횟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발열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수냉식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냉각 성능이 우수하여 상기와 같은 발열량 문제를 용이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셀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와 같이 전지셀들로만 구성된 전지모듈에서, 전지셀의 외면에는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냉매 도관 내부에서 유동되는 액상 냉매에 의해 전지셀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는 냉각부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에 연속적인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에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냉각 부재는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과 접촉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전도성 고정구가 냉매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열전도성 고정구는 전지모듈과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지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냉매 도관은 플레이트 본체부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돌출된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상 냉매는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돌출된 냉매 유입구로 유입되어 플레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냉매 도관을 경유하여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돌출된 냉매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써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매 도관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모식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열전도성 고정구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2 개의 전지모듈(110, 120)과, 전지모듈들(110, 120)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3 개의 냉각 부재들(200)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부재들(200)은 전지모듈들(110, 120) 사이의 계면과 최외각 전지모듈(110, 120)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25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는 도 1의 냉각부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냉각부재(200)는 2 개의 냉매 도관(210, 220)이 전지모듈(12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본체(230)의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냉매 유입구(260)와 냉매 배출구(270)는 냉매 도관(250)의 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로, 플레이트 본체(230)로부터 각각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냉매 도관(250)은 냉매 도관(250)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플레이트 본체(23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240)에 삽입되어 있고, 냉매 도관(250)과 플레이트 본체(230)의 계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평면상 'ㄷ'자인 반복적 형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플레이트 본체(230)의 절곡 부위에는 만입부(도시하지 않음)가 열도전성 고정구(30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열전도성 고정구들(300)은 플레이트 본체(230)의 그루브(240)에 삽입된 냉매 도관(250)의 절곡부위를 고정시키고 있다.
더욱이, 열전도성 고정구(300)는 전지모듈(120)의 외면과 직접 접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모듈들(110, 120)로부터 냉각부재(230)로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냉매 유입구(222)와 냉매 배출구(224)가 냉매 도관(252)의 단부에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1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냉매 도관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전지모듈 어셈블리(400)는 2 개의 전지모듈들(110, 120)과 3 개의 냉각부재들(230)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냉각부재들(232, 242)의 냉매 도관들(420, 410)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냉매 유입구(430)와 냉매 배출구(450)는 전지모듈 어셈블리(400)의 우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액상 냉매는 전지모듈 어셈블리(4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430)를 통해 유입되고, 제 1 최외각 전지모듈(110)의 외면 및 전지모듈들(110, 120)의 계면에 위치한 냉각부재(242)의 냉매 도관(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2 최외각 전지모듈(120)의 외면에 위치한 냉각부재(232)의 냉매 도관(410)을 통과하여 전지모듈 어셈블리(400)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450)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전지모듈 어셈블리(500)를 참조하면, 냉매 유입구(510)와 냉매 배출구(520)는 전지모듈 어셈블리(500)의 좌측과 우측 일부 부위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6에는 도 1의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전지모듈(120)은 8 개의 전지셀들(1210)을 에어 갭 없이 측면으로 적층하여 모듈 케이스(1220)에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도 2의 냉각부재(200)를 최외각 전지셀의 외면에 부착하게 된다. 냉각부재(200)로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지모듈(120)에는 적어도 냉각부재(200)에 접하는 부위로 연장되어 있는 열전도성의 판재(12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4의 열전도성 고정구의 측면도 및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열전도성 고정구(300)는 판상형 플레이트(310) 상에 도 4의 냉매 도관(440)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의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고, 탄성체는 수직 단면상 일측에 개구(330)가 형성된 링(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링(320)은 개구(330)를 통해 냉매 도관(440)을 감싸면서 플레이트 본체(232)의 그루브에 대해 냉매 도관을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를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지모듈의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수명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 도관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유연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냉각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6)

  1.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모듈들 사이의 계면 및/또는 최외각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냉매 도관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외면에는 냉매 도관의 폭에 대응하는 연속적인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에 냉매 도관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반복적인 형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지모듈과 접촉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전도성 고정구가 냉매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고정구는 플레이트 본체의 그루브에 대해 냉매 도관을 고정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고정구는 판상형 플레이트상에 상기 냉매 도관에 대응하는 형상의 탄성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수직 단면상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에는 열전도성 고정구를 장착하기 위한 만입부가 열도전성 고정구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절연성 플레이트들의 양측 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매 도관들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절연성 소재 또는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냉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냉각부재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냉각부재들은 하나의 냉각부재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다른 냉각부재에 연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부재들의 냉매 도관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판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전지모듈에는 적어도 냉각부재에 접하는 부위로 연장되어 있는 열전도성의 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23.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을 포함하는 냉각부재가 상기 전지셀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4.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장착되는 냉각부재로서, 상기 냉각부재는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에 연속적인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루브에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부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로부터 냉각부재로의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과 접촉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전도성 고정구가 냉매 도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부재.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도관은 플레이트 본체부터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가 돌출된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부재.
PCT/KR2009/005406 2008-10-14 2009-09-23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0044553A2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393467A CN102171884A (zh) 2008-10-14 2009-09-23 具有提高的冷却效率的电池模块组件
US13/122,210 US8846233B2 (en) 2008-10-14 2009-09-23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EP09820703.8A EP2337143B1 (en) 2008-10-14 2009-09-23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ES09820703.8T ES2549907T3 (es) 2008-10-14 2009-09-23 Conjunto de módulo de batería con eficiencia de refrigeración mejorada
RU2011112810/07A RU2479895C2 (ru) 2008-10-14 2009-09-23 Модульная сборка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с повышенн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охлаждения
JP2011530935A JP5431486B2 (ja) 2008-10-14 2009-09-23 冷却効率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35 2008-10-14
KR1020080100635A KR101112442B1 (ko) 2008-10-14 2008-10-14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4553A2 true WO2010044553A2 (ko) 2010-04-22
WO2010044553A3 WO2010044553A3 (ko) 2010-07-15

Family

ID=4210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406 WO2010044553A2 (ko) 2008-10-14 2009-09-23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46233B2 (ko)
EP (1) EP2337143B1 (ko)
JP (1) JP5431486B2 (ko)
KR (1) KR101112442B1 (ko)
CN (2) CN104218272B (ko)
ES (1) ES2549907T3 (ko)
RU (1) RU2479895C2 (ko)
WO (1) WO2010044553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063A (zh) * 2010-12-28 2013-09-04 株式会社Lg化学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JP2013541133A (ja) * 2010-08-16 2013-11-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優れた熱放射特性を有する小型構造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中型又は大型のバッテリーパック
DE102012109728A1 (de) 2012-10-12 2014-04-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temperiereinrichtung und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WO2017132575A1 (en) * 2016-01-29 2017-08-03 Faraday&Future Inc. Battery cells and packs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US9995535B2 (en) 2015-06-30 2018-06-12 Faraday&Future Inc. Heat pipe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CN109585970A (zh) * 2018-02-07 2019-04-05 骆驼集团武汉光谷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耐压液冷散热片
US10505163B2 (en) 2015-06-30 2019-12-10 Faraday & Future Inc. Heat exchanger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WO2020018618A1 (en) * 2018-07-18 2020-01-23 Gopro, Inc. Apparatus for battery cooling considering battery expansion
RU2737037C1 (ru) * 2020-07-03 2020-11-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мартер"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батаре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81B1 (ko) 2010-05-18 2012-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206272B1 (ko) * 2010-11-22 2012-11-30 주식회사 한국쿨러 전기 차량용 전지셀의 히트 싱크 및 그를 이용한 전지셀 모듈
EP2650960B1 (en) * 2011-01-26 2020-01-01 LG Chem, Ltd. Cooling element having improved assembly productivity and battery modules including same
CN103380534B (zh) 2011-02-22 2016-01-20 株式会社Lg化学 具有提高的冷却效率的冷却构件和采用该冷却构件的电池模块
KR101367210B1 (ko) * 2011-12-09 2014-02-27 대한칼소닉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방열유닛
WO2013102268A1 (en) * 2012-01-05 2013-07-11 Electrovaya Inc. Fluid-cooled battery module containing battery cells
KR20130118145A (ko) * 2012-04-19 2013-10-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12015816B4 (de) * 2012-08-10 2023-10-26 Dr. Ing. H.C. F. Porsche Ag Kraftfahrzeugbatterie
DE102012214783A1 (de) * 2012-08-20 2014-02-20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für eine Batterieeinheit
US20160036102A1 (en) * 2013-03-28 2016-02-0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attery Module
KR102187744B1 (ko) * 2013-05-24 2020-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셀 어셈블리 및 배터리 셀 모듈
JP6214985B2 (ja) * 2013-09-20 2017-10-18 株式会社東芝 組電池、電池パック及び自動車
US10549729B2 (en) 2014-03-10 2020-02-0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US9566954B2 (en) * 2014-03-10 2017-02-1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CN103840234A (zh) * 2014-03-14 2014-06-04 吉林大学 电池组液流叠层换热扁管束结构及方法
CN104319431A (zh) * 2014-10-17 2015-01-28 广东亿纬赛恩斯新能源系统有限公司 电池模组及其冷却方法
US9627724B2 (en) * 2014-12-04 2017-04-18 Lg Chem, Ltd. Battery pack having a cooling plate assembly
CN104900940B (zh) * 2015-07-02 2018-05-15 张哲群 电池组温度控制系统及方法
DE102015008510A1 (de) * 2015-07-03 2017-01-05 Man Truck & Bus Ag Kraftfahrzeugbatterie
CN104916881B (zh) * 2015-07-07 2017-01-25 东莞市美尼电池有限公司 滚筒散热锂电池组
US20170088007A1 (en) * 2015-09-25 2017-03-30 Atieva, Inc. External Auxiliary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KR102051109B1 (ko) * 2015-10-08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US10892528B2 (en) 2015-12-14 2021-01-12 Lg Chem,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2562682B1 (ko) * 2016-05-25 2023-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CN106992273B (zh) * 2016-09-21 2018-09-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包
KR102130818B1 (ko) * 2016-09-28 2020-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과 프레임 어셈블리
CN106450568B (zh) * 2016-10-09 2019-07-0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包热管理系统
US10581125B2 (en) 2016-11-02 2020-03-03 Lg Chem, Ltd. Battery system having a metallic end plate with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portions thereon
FR3058575A1 (fr) 2016-11-07 2018-05-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tterie a modules de cellule(s) electrochimique(s) separes par des plaques d'echange externes, et systeme associe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CN106532192B (zh) * 2017-01-17 2024-05-07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分布式热管理系统及电池
GB2561211B (en) * 2017-04-05 2019-09-04 Siemens Ag Cooling system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JP6969913B2 (ja) * 2017-06-26 2021-11-24 株式会社東芝 電池装置
KR102258816B1 (ko) 2017-06-27 2021-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BR102018014050B1 (pt) * 2017-07-27 2023-1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stema de resfriamento de bateria
CN110178263B (zh) * 2017-08-14 2022-06-17 株式会社Lg新能源 具有改进的温度控制性能的电池组
CN107634161A (zh) * 2017-09-07 2018-01-26 河南新太行电源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管的电池壳和电池
CN111108015A (zh) 2017-09-13 2020-05-05 形状集团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CN107611288A (zh) * 2017-09-15 2018-01-19 河南新太行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夹层的电池壳和电池
KR20190032843A (ko) * 2017-09-20 2019-03-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KR102280096B1 (ko) 2017-10-17 2021-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누설 냉매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CN107887544A (zh) * 2017-11-10 2018-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池以及电子设备
KR102410862B1 (ko) * 2017-11-10 2022-06-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198001B1 (ko) * 2017-12-11 2021-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554939B1 (ko) * 2018-01-08 202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용 냉각장치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JP7098355B2 (ja) * 2018-03-06 2022-07-11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及び組電池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KR102569935B1 (ko) * 2018-03-26 2023-08-23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냉각용 블록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EP3584877A1 (en) 2018-05-16 2019-12-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omprising a frame profile with integral coolant circuit elements
KR102361268B1 (ko) 2018-07-10 2022-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시스템의 냉각 방법
DE102018212627A1 (de) * 2018-07-27 2020-01-30 Mahle International Gmbh Akkumulatoranordnung
CN112585803B (zh) * 2018-09-14 2023-12-29 三菱化学株式会社 填充构件及电池组
KR102389911B1 (ko) 2018-09-17 2022-04-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58425B1 (ko) * 2018-09-18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CN109301115A (zh) * 2018-10-08 2019-02-01 马鞍山沐及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水冷机壳
US10763556B2 (en) * 2018-12-10 2020-09-01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battery assembly utilizing side cooling plates
IT201800020902A1 (it) * 2018-12-21 2020-06-21 Magneti Marelli Spa Modulo di raffreddamento di un sistema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per un veicolo con propulsione elettrica
CN111384470A (zh) * 2020-02-21 2020-07-07 威睿电动汽车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电池包冷却系统及车辆
KR20210037885A (ko) * 2019-09-30 2021-04-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20029109A (ko) 2020-09-0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481835B1 (ko) * 2020-12-23 2022-12-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셀 냉각 구조
KR20220133660A (ko) 2021-03-25 2022-10-05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이중 냉각 유로형 수냉식 배터리 모듈을 갖춘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모듈 냉각 제어 방법
FR3134655B1 (fr) 2022-04-13 2024-03-0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échange thermique allégé pour une batterie d’un système
CN117981144A (zh) * 2022-06-14 2024-05-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和用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443A (ko) 2004-04-02 2006-05-17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45444A (ko) 2004-04-02 2006-05-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고체 촬상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3244A (en) 1940-04-03 1942-02-17 Electric Storage Battery Co Storage battery cell
US4500612A (en) * 1982-04-21 1985-02-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fuel cell
US4574112A (en) * 1983-12-23 1986-03-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electrochemical fuel cell
RU2031491C1 (ru) * 1992-05-18 1995-03-20 Юрий Вячеславович Николаев Способ терморегулирования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US5356735A (en) * 1993-05-10 1994-10-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ted/cooled battery
JPH08111244A (ja) 1994-10-12 1996-04-30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バッテリ装置
JPH09245809A (ja) * 1996-03-07 1997-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電池の冷却装置
JP3312852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電池電源装置
JP4286909B2 (ja) * 1997-01-13 2009-07-01 オヴォニック バッテリー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金属水素化物電池、該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該電池パックにおける機械的、熱的改善
JP3724103B2 (ja) * 1997-03-11 2005-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アセンブリ
US6087036A (en) * 1997-07-25 2000-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solid-state energy storing device
FR2779872B1 (fr) * 1998-06-11 2000-08-04 Alsthom Cge Alcatel Batterie monobloc comportant un dispositif d'echange thermique par circulation d'un fluide
JP2000348781A (ja) 1999-06-04 2000-12-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WO2002027816A1 (en) * 2000-09-26 2002-04-04 Ovonic Battery Company, Inc. Monoblock battery assembly with cross-flow cooling
JP4516229B2 (ja) * 2001-03-06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セルアセンブリ
JP3770539B2 (ja) * 2001-10-25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電池
US6512347B1 (en) * 2001-10-18 2003-01-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having an integral cooling system
DE10214366B4 (de) * 2002-03-30 2017-03-16 Robert Bosch Gmbh Messanordnung
JP4595433B2 (ja) * 2004-08-05 2010-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0853621B1 (ko) * 2004-10-26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냉각 시스템
JP2006216303A (ja) * 2005-02-02 2006-08-17 Denso Corp 発熱機器の冷却構造
KR20060102851A (ko) * 2005-03-25 2006-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RU2275764C1 (ru) * 2005-08-08 2006-04-27 Сергей Анатольевич Ермаков Тепловая трубк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жидкости и тепловая труб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ноутбуков
KR101029021B1 (ko) * 2005-12-02 2011-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냉각 효율성의 전지모듈
KR100870457B1 (ko) 2006-05-22 2008-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KR100896131B1 (ko) 2006-05-22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100899040B1 (ko) * 2006-11-15 2009-05-26 박철우 라디에이터
DE102006059989A1 (de) 2006-12-19 2008-06-26 Daimler Ag Anordnung zur Kühlung einer aus mehreren Einzelzellen bestehenden Batteri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443A (ko) 2004-04-02 2006-05-17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45444A (ko) 2004-04-02 2006-05-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고체 촬상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337143A4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1133A (ja) * 2010-08-16 2013-11-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優れた熱放射特性を有する小型構造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中型又は大型のバッテリーパック
CN103283063B (zh) * 2010-12-28 2016-02-24 株式会社Lg化学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CN103283063A (zh) * 2010-12-28 2013-09-04 株式会社Lg化学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DE102012109728A1 (de) 2012-10-12 2014-04-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temperiereinrichtung und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109728B4 (de) 2012-10-12 2022-11-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10505163B2 (en) 2015-06-30 2019-12-10 Faraday & Future Inc. Heat exchanger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US9995535B2 (en) 2015-06-30 2018-06-12 Faraday&Future Inc. Heat pipe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CN109075370A (zh) * 2016-01-29 2018-12-21 法拉第未来公司 用于车辆储能系统的电池单元和电池组
CN109075370B (zh) * 2016-01-29 2022-04-08 法拉第未来公司 用于车辆储能系统的电池单元和电池组
WO2017132575A1 (en) * 2016-01-29 2017-08-03 Faraday&Future Inc. Battery cells and packs for vehicle energy-storage systems
CN109585970A (zh) * 2018-02-07 2019-04-05 骆驼集团武汉光谷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耐压液冷散热片
CN109585970B (zh) * 2018-02-07 2024-04-26 骆驼集团武汉光谷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耐压液冷散热片
WO2020018618A1 (en) * 2018-07-18 2020-01-23 Gopro, Inc. Apparatus for battery cooling considering battery expansion
RU2737037C1 (ru) * 2020-07-03 2020-11-2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мартер"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батаре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8272B (zh) 2018-05-08
EP2337143B1 (en) 2015-08-05
RU2011112810A (ru) 2012-11-27
JP5431486B2 (ja) 2014-03-05
EP2337143A4 (en) 2013-12-18
WO2010044553A3 (ko) 2010-07-15
CN102171884A (zh) 2011-08-31
RU2479895C2 (ru) 2013-04-20
EP2337143A2 (en) 2011-06-22
US8846233B2 (en) 2014-09-30
KR101112442B1 (ko) 2012-02-20
KR20100041452A (ko) 2010-04-22
JP2012506106A (ja) 2012-03-08
CN104218272A (zh) 2014-12-17
ES2549907T3 (es) 2015-11-03
US20120009457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44553A2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2020941A2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WO2011083968A2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WO2017217633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3048060A2 (ko) 신규한 냉각구조를 가진 전지팩
WO2010067944A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novel air cooling structure
WO2018008866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1145831A2 (ko) 신규한 구조의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2177000A2 (ko) 신규한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WO2013089470A1 (ko)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WO2017095003A1 (ko) 그립핑부가 구비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WO2017209365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0114311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11013905A2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10013902A2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WO2012115351A2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0131852A2 (ko) 탄성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2023732A2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WO2011068320A2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WO2013111959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WO2011145830A2 (ko) 콤팩트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1021843A2 (ko) 신규한 냉각구조를 가진 전지팩
WO2011034325A2 (ko) 신규한 구조의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WO2010114317A2 (ko)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WO2017078249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39346.7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20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30935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2009820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447/DELNP/2011

Country of ref document: I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112810

Country of ref document: RU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22210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