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096758A2 -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096758A2
WO2009096758A2 PCT/KR2009/000510 KR2009000510W WO2009096758A2 WO 2009096758 A2 WO2009096758 A2 WO 2009096758A2 KR 2009000510 W KR2009000510 W KR 2009000510W WO 2009096758 A2 WO2009096758 A2 WO 200909675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group
acrylic
acrylat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5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096758A3 (ko
Inventor
In Cheon Han
Ki Seok Jang
Min Soo Park
Min Jin Ko
Bum Gyu Chol
Ik Hwan Cho
Ki Youl Lee
Original Assignee
Lg Chem, 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104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7450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104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7450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113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23838B1/ko
Application filed by Lg Chem, Ltd. filed Critical Lg Chem, Ltd.
Priority to US12/865,109 priority Critical patent/US9045671B2/en
Priority to CN200980103565XA priority patent/CN101932667B/zh
Priority to JP2010544896A priority patent/JP5546015B2/ja
Publication of WO200909675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096758A2/ko
Publication of WO200909675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096758A3/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B)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ubstituent containing an alkyl group, an alkenyl group or an alkynyl group in the meta position of mesogen, and more particularly,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high optical anisotropy and compatibility with the adhesive.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which is excellent in excellent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s well as controlling the birefringence phenomenon caused by shrinkage of the polarizing plate to improve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a liquid crystal cell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are basically required, and an appropriat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m should be used.
  • a retardation plate, a wide viewing angle compensation plate, or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polarizing plate.
  • the main structure for form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that is constantly arranged; A polarizing plate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integrated wit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based on a liquid crystal cell composed of a transparent glass plate or a plastic plate-like material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Retardation plate; And further functional film layers and the like.
  • the polarizing plate is a structure containing an iodine-based compound or a dichroic polarizing material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order to protect these polarizing devices by using a protective film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TAC) -based on both sides Will be configured.
  • a protective film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TAC) -based on both sides Will be configured.
  • the polarizing plate may additionally include a retardation film of a shape having a unidirectional molecular array, a wide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such as a liquid crystal film.
  • Each of the above-mentioned films has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because they are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molecular structures and compositions.
  • dimensional stability due to shrinkage or expansion of materials having a unidirectional molecular arrangem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fix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irefringence is generated by stress concentration in the TAC layer due to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polarizing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thereby causing light leakage. In this case, negative birefringence generally appears as a whole by the contracted TAC layer.
  • This light leakage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by adjusting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adhesive fixed to the polarizing plate so that residual stress does not remain. This is achievable when the adhesive used is an uncrosslinked structure.
  • the adhesive layer requires high high temperature cohesion to maintain durability, and for this purpose, it is used in the form of a partially crosslinked viscoelastic material, thereby exhibiting suitable adhesive properties.
  • the adhesive layer used in the form of a partially crosslinked viscoelastic material has a residual stress under a given stress, and the polymer in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exhibit birefringence. Under this orientation,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ll exhibit negative birefringence.
  • the polarizing plate is also enlarged. Accordingly, the shrinkage of the polarizing plate is increased and the residual stress of the adhesive layer is increased under heat or moisture resistant conditions, so that the overall negative birefringence is increased and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is more severe. In order to minimize such light leakage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tical compensation for adjusting the negative birefringe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presented by residual stress to positive birefringence.
  •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279907 discloses a method for improving light leakage phenomenon by mixing a high molecular weight acrylic polymer with a low molecular weight acrylic polym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0 or less to give stress relaxation characteristics generated from a polarizing plate. Started.
  •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is not improved as the polarizing plate is enlarged, the modulus is low, and thus the cutting property is deteriorat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6946 discloses a technical idea of correcting the birefringence of negative values represented b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der residual stress by incorporating 0.01 to 40 parts by weight of a low molecular weight body having a positive birefringence value under residual stress into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 the low molecular weight used is somewhat problematic in compatibility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 if the excess is us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hase separation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re is a possibility of a problem in light transmittance or durability.
  • a plasticizer or a low molecular weight is added to the 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or a method of providing a stress relaxation function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controlling the crosslinking structure is used.
  • a method of providing a stress relaxation function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controlling the crosslinking structure is u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a compound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large optical anisotrop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urability that can occur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that improves light leakage by control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have positive birefringence under residual stress without changing its main characteristic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acrylic copolymer; And (B)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ubstituent containing an alkyl group, an alkenyl group or an alkynyl group in the meta position of mesoge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film 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and containing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cell 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ing a compound having a large optical anisotropy effectively control the birefringence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shrinkage stress of the polarizing plate, the stress relaxation fun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rosslinked structure
  •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ing a compound having a large optical anisotropy effectively control the birefringence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shrinkage stress of the polarizing plate, the stress relaxation fun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crosslink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A) acrylic copolymer; And (B)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ubstituent containing an alkyl group,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in the meta position of mesogen.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compound having high optical anisotropy in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exhibits negative birefringence under residual stress to have positive birefringence under residual stress, thereby optically compensating negative birefringence present in the contracted polarizer TAC layer, thereby causing light leakage phenomenon.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as an adhesive in the art.
  • compounds having high birefringence have high crystallinity and compatibility with polymer resins, so that phase separation occurs and crystallizes even with a small amount when used as an additive.
  • the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substituent containing an alkyl group, an alkenyl group or an alkynyl group in the meta position of mesog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atibility with polymer resins, solubility and melting point.
  •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gative birefringence present in the TAC layer of the contracted polarizing plate by introducing a compound having a large optical anisotropy in the adhesive showing a negative birefringence under the residual stress, and having a positive birefringence under the residual stress By optical compensation of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can be improved.
  • the acrylic copolymer (A) is not limited thereto, but for example, i)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And ii)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increased, or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adhesiveness.
  •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90 to 99.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 acrylic copolymer for controlling adhesion and cohesion.
  • the (i)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ic acid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i) is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cohesive failure is likely to occur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humidity conditions,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lowered, and the adhesion and peeling force of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may be lowered.
  • the said ii)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ontaining monomer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or 2-hydroxy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duplex, itaconic acid, carboxyethyl acrylate, carboxypentyl acrylate, maleic acid, or fumaric acid; And nitr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amide, N-vinyl pyrrolidone, or N-vinyl caprolactam,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he (A) acrylic copolymer may be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group.
  •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group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i)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i)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iii) an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alkyl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 the (A) acrylic copolymer is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group
  •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contained therein is 55 to 10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t is preferably contained in 95 parts by weight.
  • the amount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55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may be increased, and thus,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molecular weight and the T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high,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exert the adhesive performance suitable for the purpose.
  • the content exceeds 95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may be less, which may result in insufficient optical compensation effect.
  •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R 2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n is an integer of 0 to 3, preferably an integer of 0 or 1,
  • X is oxygen, sulfur or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 Ar is an aromatic group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halogen or alkyl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nclude phenoxy eth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2-phenylthio-1-ethyl (meth) acrylate, and 6- (4,6-dibro).
  • phenoxy eth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2-phenylthio-1-ethyl (meth) acrylate, 2- (1-naphthyloxy) -1-ethyl (meth) acrylic 8- (2-naphthyloxy) -1-octyl (meth) acrylate can be used, More preferably, phenoxy ethyl (meth) acrylate or benzyl (meth) acrylate can be used.
  • the content of the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monomer is preferably 5 to 35 parts by weight.
  • the fin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exhibits a negative birefringence under a residual stres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n excessive amount of the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described below is used.
  • the content is more than 35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balance of the final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teriorates.
  • the adhesive force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re-peel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is not very poor, and the positive birefringe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ecomes severe under residual stres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ght leakage becomes stronger.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said (A) acrylic copolymer are 800,000-2 million.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800,000, the co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insufficient, the durability reliability is poor, and when it exceeds 2 million, the stress relaxation effect is insufficient.
  • the (A) acrylic copolymer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ization monomer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to impart other functionality.
  • the copolymer monomer include styrene monomers such as styrene or alpha methyl styrene;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nitr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acrylonitrile,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or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 the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A)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photo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or emulsion polymerization.
  • the acrylic copolymer is prepared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to 140 °C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selected from azo polymerization initiator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or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And peroxides, such as benzoyl peroxide or acetyl peroxid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 azo polymerization initiators such as azobisisobutyronitrile or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 peroxides such as benzoyl peroxide or acetyl peroxide
  • mesoge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rod structure including one or more aromatic rings connected in one direction.
  • birefringent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s have high crystallinity and low compatibility with polymer resins, so that even when a small amount is used, phase separation occurs and crystallizes to precipitate.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one or more substituents including an alkyl group, an alkenyl group, and an alkynyl group at a meta position of mesogen. Substituents introduced at the meta position of the mesogen core increase the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r resin and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olubility and melting point as compared to the substituents at the para position.
  • the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may have a meta substituent and a para substituent at the same time, but more preferably has only a meta substituent.
  • the said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contain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2).
  • Z is C-W or N
  • Q 1 to Q 15 , and W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cyano, —R 5 , —OR 5 , —NHR 5 , —NR 5 R 5 or —C ( ⁇ O) R 5 ;
  • l, m and n are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to 3, and l + m +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 Y, G 1 , G 2 , X 1 and X 2 are each independently a single bond, -O-, -NR 5- , -S-, -SO-, -SO 2- , alkylene of C 1 to C 6 , C 2 to C 6 alkenylene, C 2 to C 6 alkynylene, or -UTV-,
  • U and V are each a single bond, -O-, -NR 5- , -S-,-(CH 2 ) p- , -O ( CH 2 ) p -,-(CH 2 ) p O-, p is an integer from 1 to 5,
  • E is hydrogen, halogen, cyano, -NCO, -NCS, -R 5 , or -OR 5 ;
  • R 3 ,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 to C 20 alk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halogens, C 2 to C 20 eggs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halogens. Alkenyl, C 2 to C 20 alkynyl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one or more halogens, or — (R 6 O) q R 7 , wherein R 6 is C 1 to C 6 alkylene And R 7 is C 1 to C 4 alkyl, q is an integer of 1 to 5, but does not include the case where R 3 and R 4 are hydrogen at the same tim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include one or more substituents (X 1 -R 3 or X 2 -R 4 ) containing an alkyl group,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at a meta position of mesogen.
  • l + m + n of the mesogen core is characterized by being an integer of 1 or more.
  • R 3 , R 4 and R 5 are C 1 to C 20 alkyl
  •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H 3 , -CH 2 CH 3 , and -CH 2 CH.
  • Linear or branched alkyl such as 2 CH 3 , -CH (CH 3 ) 2 , -CH 2 CH 2 CH 2 CH 3 , -CH (CH 3 ) CH 2 CH 3 , or -CH 2 CH (CH 3 ) 2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 3 , R 4 and R 5 are C 2 to C 20 alkynyl
  •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 ⁇ CH, -CH 2 C ⁇ CH, -C ⁇ CCH 3 ,- Linear or branched alkynyl such as CH 2 CH 2 C ⁇ CH, -CHCH 3 C ⁇ CH, -CH 2 C ⁇ CCH 3 , or -C ⁇ CCH 2 CH 3, and the like.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a linear or branched C 3 to C 12 alkyl, C 3 to C 12 alk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halogens.
  • alkenyl, or C 3 to C 12 alkynyl which will of,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halogen or unsubstituted branched of C 3 to alkyl of C 12, C 3 to alkenyl of C 12 ring, or C 3 to C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lkynyl.
  • R 3 , R 4 and R 5 are- (R 6 O) q R 7 , each independently-(CH 2 CH 2 O) q CH 3 ,-(CH 2 CHCH 3 O) q CH 3 or-(CHCH 3 CH 2 O) q CH 3 , and q is an integer of 1-5.
  •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alone or two or more, the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 acrylic copolymer.
  • the cont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optical compensation effect by the adhesive is inferior, and when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 compatibility with the adhesive is inferior due to the excessive use, and the positive birefringence of the adhesive is greater than the negative birefringence caused by the shrinkage of the polarizing plate. There is a fear that light leakage phenomenon will appear due to this.
  •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use a conventional method used in the 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the following method.
  • A can be -YH, -OH, -L, or -B (OH) 2 or the like
  • D can be HY-, HO-, L- or (HO) 2 B- or the like.
  • L is a leaving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halides, mesylates, tosylates or triflate may be used. Symbols other than that are the same as the definition of Chemical Formula 1.
  • the solvent of the reaction is hexane, ether, methylene chloride, tetrahydrofuran (THF), Dioxane, Butanone, methanol, ethyl acetate, ethanol, water or a mixture thereof; And benzene-based solvents such as benzene or toluene, the reaction temperature is 0 to 200 ° C, and the reaction time is 1 to 30 hours.
  • a catalyst used in the art for example, Pd, Cu, or Ni may be used.
  • a Pd coupling reaction is performed to form a tolane structure.
  • the CO 2 gas may be bubbled to form a CO 2 H group, and an OH group may be introduced using (Me 3 SiO) 2 .
  • ester compounds are prepared by using SOCl 2 , COCl 2 , MsCl, TsCl, EDC [1-Ethyl-3- (3-dimethyl aminopropyl) carbo diimide hydrochloride], or DCC (dicyclohexylcarbodiimide), or An esterification re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Dean-Stark.
  • M is a metal capable of making anions such as Li, Na, Mg, K, Ca, or Cs. BuLi, NaH, NaOH, NaHCO 3 , Na 2 CO 3 , Mg, K 2 CO 3 , KOH Organic salts such as, CaH, Cs 2 CO 3 or an amine can be used. P also means a protection group.
  • reaction schemes are merely exemplary methods,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may be prepa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cheme 1 to Scheme 5 as well as the method by a similar rou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C) a low molecular weight or plasticiz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 the low molecular weight or plasticizer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cordingly, the amount of creep to external stress is large and deformation is easy, and serves to relieve local stress caused 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0, the molecular weight is too low to be evenly disper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drop the adhesive force, if it exceeds 30,000 can not drop the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a stress relaxation effect.
  • the low molecular weight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ompatible with the acrylic copolymer, and a (meth) acrylic ester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as a main component of the acrylic copolymer can be used, and a small amount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can be used. It is desirable to include or not include.
  • the specific kind of the (meth) acrylic ester monomer which has the said alkyl group is as above-mentioned,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use a butyl acrylate homopolymer.
  • plasticizer which can be used in this invention will not be restrict
  • Phthalic acid plasticizers such as these
  • Fatty acid esters such as di- (2-ethylhexyl) adipate, di-n-decyl adipate, di- (2-ethylhexyl) azelate, dibutyl sebacate, or di- (2-ethylhexyl) sebacate System plasticizers
  • Phosphate ester plasticizers such as tributyl phosphate, tri (2-ethylhexyl) phosphate, or 2-ethylhexyl diphenyl phosphate
  • Epoxy plasticizers such as epoxidized soybean oil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low molecular weight or plasticizer preferably contains 5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stress relaxation effect is not expressed, and if it exceeds 30 parts by weight, there is a fear of lowering the durability.
  •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ntains 0.01-5 weight part of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s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acrylic copolymers.
  •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n aziridine compound, and a metal chelate compound, and more preferably an isocyanate compound.
  •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examples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form diisocyanate,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naphthalene diisocyanate, and poly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actants can be used.
  •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s examples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ol 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tetraglycidyl ethylenediamine, and glycerin diglyci
  • diethers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ethers can be used.
  •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examples include N, N'-toluene-2,4-bis (1-aziridinecarboxide), N, N'-diphenylmethane-4,4'-bis (1-aziridinecarbox Id), triethylenemelamine, bisisoprotaloyl-1- (2-methylaziridine),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1-aziridinylphosphine oxide can be used.
  •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in which polyvalent metals such as aluminum, iron, zinc, tin, titanium, antimony, magnesium, vanadium and the like are coordinated with acetylacetone or ethyl acetoacetate may be used.
  • the content of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 acrylic copolymer,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the crosslinking degre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ecreases durability,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high and durability is lowered.
  •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uniformly coated only when the crosslinking reaction by the functional group of the crosslinking agent hardly occurs in the process of blending for forming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layer. After the coating operation is finished and the drying and aging process, a crosslinked structure is formed to obtain an adhesive layer having a strong elasticity and cohesion.
  •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stability when adhesion to the glass plate to further improve the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 the silane coupling agent serves to improve the adhesion reliability, especially when left for a long time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content may be used in 0.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5 parts by weight, there is no improvement in adhesion reliability, an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durability is poor.
  • silane coupling compound examples include ⁇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 -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 -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mercapto propyl trimethoxy group 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 -aminopropyltrimethoxysilane, ⁇ -aminopropyltriethoxy Silane, 3-isocyanatepropyltriethoxysilane, or ⁇ -acetoacetateprop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a tackifying resin in order to adjust the adhesive performance
  • the content of (A) can be used in the range of 1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 the tackifying resin is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 (hydrogenated) rosin resin, (hydrogenated) rosin ester resin, (hydrogenated) terpene resin, (hydrogenated) terpene phenol resin, polymeric rosin resin, or polymeric rosin ester resin Etc., an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further mixing a plasticizer, an epoxy resin and a curing agent for a specific purpose, UV stabilizers, antioxidants, colorants, reinforcing agents, fillers, antifoaming agent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etc. according to the general purpose It can add and use suitabl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and containing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adhesion layer formed from the said adhesive composition in one or both surfaces of a polarizing film,
  • the polarizing film or polarizing element which comprises a polarizing plat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for example, a film obtained by adding a polarizing component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to a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stretching, and the thickness of these polarizing films is also particularly limited. It is not possible to form a conventional thickness.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used polyvinyl alcohol,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and ethylene, saponified vinyl acetate copolymer.
  • a cellulose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 film such as polycarbonate film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er sulfone-based film; Or a multilayer film having a protective film such as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based or norbornene structure, or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 TAC triacetyl cellulose
  • Polyester film such as polycarbonate film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olyether sulfone-based film or a multilayer film having a protective film such as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based or norbornene structure, or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 the thickness of these protective films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form a conventional thickness.
  • a method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he polariz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of applying and dr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ing a bar coater or the like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r b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peelable substrate once After drying,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eelable substrate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n aging may be applied.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minated with one or more layers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protective layer, a reflective layer, an antiglare layer, a retardation plate, a wide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olor.
  •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applied to all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the kind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cell.
  • n-butylacrylate n-BA
  • 2-hydroxyethyl N-butylacrylate: n-BA
  • Table 1 98 parts by weight of n-butylacrylate (n-BA), 2-hydroxyethyl (N-butylacrylate: n-BA) as shown in Table 1 in a 1L reactor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system to allow nitrogen gas to be refluxed and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 a mixture of monomers consisting of 2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methaacrylate) (2-HEMA) was added.
  • 120 parts by weight of ethylacetate (EAc) was added as a solvent. After purging with nitrogen gas for 60 minutes to remove oxygen,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60 ° C., 0.03 parts by weight of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 reaction initiator, and reacted for 8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diluted with ethyl acetate (EAc) to prepare an acrylic copolymer having
  • n-BA n-butylacrylate
  • benzyl acrylate 20 parts by weight of benzyl acrylate, as shown in Table 2, in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system to allow nitrogen gas to be refluxed and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 acrylate: 2-HEMA)
  • EAc ethylacetate
  • Compound 14 may be prepared by using SOCl 2 and TEA in an acid compound (Compound 19 below)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 1.0 equivalent of Compound 13 and 1.0 equivalent of Compound 14 were dissolved in a benzene-free solvent, added with a NiCl 2 (PPh 3 ) 2 catalyst,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followed by work-up using water and ether.
  • Compound 27 was synthes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0, except that Compound 26 was used instead of Compound 1 to give a substituent at the para position.
  • Tolylene diisocyanate adduct of isocyanate trimethylolpropane as a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after uniformly mixing 100 parts by weight (solid content)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acrylic copolymer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above and 5 parts by weight of the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0.
  • 0.1 parts by weight and ⁇ -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were added thereto,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in consideration of coating properties, uniformly mixed, coated on a release paper, dried, and a 25 micron uniform adhesive layer was obtained. .
  • the adhesion layer obtained above was adhesive-processed to the 185 micron-thick iodine type polarizing plate, and it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cut
  • Example 9 Based on the formulation of Example 9 as in the mixing ratio of Table 5 and Table 6 to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the aromatic group prepared through Preparation Examples 4 to 9 and the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and crosslinking agent prepared through Preparation Examples 10 to 17 The compounding and plywood processes we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Example 4 As shown in Table 4 below, by mixing or partially blending a part of the formulation of Example 1, the acrylic copolymer was blended and plywood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Example 6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6, the acrylic copolymer was blended and plywood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y not blending or partially blending a part of the formulation of Example 1.
  • the specimens were left for 1000 hours at 60 ° C. and 90% relative humidity to observe the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The heat resistance was observed for 1000 hours at the temperature of 80 °C after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peeling. Immediately after evaluating the state of the specimen wa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 the evaluation criteria for reliability are as follows.
  • the coated polarizing plate 200 mm x 200 mm
  • the glass substrate 210 mm x 210 mm x 0.7 mm
  •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use of excess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is somewhat problematic in the durability reli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liza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light birefringence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larger, rather light transmission uniformity This worsened light leakage phenomenon appeared.
  • Comparative Example 4 when the compound having a substituent was added to the para 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7, crystallization phenomenon was excessively generated in the adhesive layer, and thus, durability and light transmission uniformity were poor.
  • Comparative Example 8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8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leakage appears because the content of the aromatic acrylic ester is small,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9 the amount of the aromatic acrylic ester is used in excess, the positive birefringence of the adhesive under severe residual stress rather light It turns out to be stronger.
  • Comparative Example 10 when a compound having a substituent was added to the para 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7, crystallization was excessively generat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us, durability and light transmission uniformity were po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학 이방성 화합물은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복굴절 특성이 높아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착 내구 신뢰성 등 주요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편광판의 수축 응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복굴절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본 발명은 (A)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 이방성이 크고,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내구신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수축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복굴절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시킨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 셀과 편광판이 필요하며,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적절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판 또는 휘도향상 필름 등을 부가적으로 편광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를 형성하는 주요 구조는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액정층;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계 판상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 셀을 기준으로 하여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합체되어 있는 다층구조의 편광판; 위상차판; 그리고 추가의 기능성 필름층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이들 편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계 등의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다층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편광판은 일방성 분자배열을 갖는 형상의 위상차 필름이나, 액정형 필름 등의 광시야각 보상필름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각 필름들은 서로 다른 분자구조 및 조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 하에서는 일방성 분자 배열을 가진 재료들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편광판이 점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하에서의 편광판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TAC 층으로의 응력 집중에 의해 복굴절이 발생되어 빛샘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수축된 TAC 층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음의 복굴절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빛샘현상은 편광판에 고정되어 있는 점착제의 응력완화 특성을 조절하여 잔류응력이 남지 않도록 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되는 점착제가 미가교구조인 경우에 달성 가능하다.
그러나 점착층은 내구 신뢰성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고온 응집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부분 가교된 점탄성체(viscoelastic materal)형태로 사용되고, 이에 따라 적합한 점착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부분 가교된 점탄성체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점착층은 주어진 응력하에서 잔류응력을 가지게 되고, 가교구조내의 고분자가 특정방향으로 배향되어 복굴절(Birefringence)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배향하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최근 LCD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편광판도 대형화되고 이에 따라 내열 또는 내습열 조건에서 편광판의 수축도 커지고 점착층의 잔류응력도 커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음의 복굴절이 크게 되고, 빛샘현상이 보다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빛샘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잔류응력에 의해 나타나는 점착제의 음의 복굴절을 양의 복굴절로 조절하는 광학 보상을 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학 보상을 해주기 위해서는 광학 이방성이 크고,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잔류응력하에서 점착제가 양의 복굴절을 나타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빛샘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 특허공개 제1998-279907호는 고분자량 아크릴계 폴리머와 분자량 30,000이하의 저분자량 아크릴계 폴리머를 혼합하여 편광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응력 완화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빛샘현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편광판이 대형화 됨에 따라 빛샘현상의 개선 효과가 미비하며, 모듈러스가 낮아 절단특성이 나빠지며, 또한 장시간 사용 시 점착 내구 신뢰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6946호는 잔류응력 하에서 양수 값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저분자량체 0.01내지 40 중량부를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혼입하여 잔류응력하에서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나타내는 음수값의 복굴절을 보정하는 기술적 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된 저분자량체는 점착제와의 상용성에 다소 문제가 있어 과량을 사용하면 점착제와의 상분리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며, 광투과성 또는 내구성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빛샘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분자량 공중합체에 가소제 또는 저분자량체를 첨가하거나, 가교구조의 조절을 통하여 점착제에 응력완화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응력완화만을 통해 빛샘 현상을 완벽하게 억제하기는 어렵다.
이는 편광판용 점착제의 내구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점착제에 부분 가교구조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교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점착층의 잔류응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층은 잔류응력 하에서 음의 복굴절이 존재하게 되고, 이는 수축된 편광판의 TAC층에 존재하는 음의 복굴절과 더불어 빛샘을 개선시키기 어려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계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광학 이방성이 큰 화합물을 점착제에 첨가하여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착 내구 신뢰성 등 주요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잔류응력 하에서 점착제가 양의 복굴절을 가지게 조절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개선한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광학 이방성이 큰 화합물을 포함하여 편광판의 수축 응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복굴절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가교구조의 도입을 통하여 점착제의 응력완화 기능을 최대화함으로써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착 내구 신뢰성 등 주요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편광판의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를 포함하여 우수한 응력완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류응력 하에서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점착제에 광학 이방성이 큰 화합물을 도입하여 잔류응력 하에서 양의 복굴절을 가지게 함으로써 수축된 편광판의 TAC층에 존재하는 음의 복굴절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당업계에서 통상 점착제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복굴절성이 큰 화합물들은 결정성이 높고 고분자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첨가제로 사용시 적은 양으로도 상분리가 일어나고 결정화되어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은 고분자 수지와의 상용성, 용해도 및 녹는점 등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잔류응력 하에서 음의 복굴절을 나타내는 점착제에 광학 이방성이 큰 화합물을 도입하여, 잔류응력 하에서 양의 복굴절을 가지게 함으로써 수축된 편광판의 TAC층에 존재하는 음의 복굴절을 광학적 보상하여 빛샘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점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높아지거나, 점착성의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함량은 점착력 및 응집력의 조절을 위하여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99.9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온 또는 고습 조건하에서 응집파괴가 일어나기 쉽고, 접착력 향상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점착성 및 박리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함유 단량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및 ⅲ)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경우, 이에 함유되는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9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함량이 5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충분한 분자량을 얻기 어려우며 점착제의 Tg가 높아져 용도에 적합한 점착 성능을 발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이 9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 단량체 사용량이 적어져 충분한 광학 보상 효과를 얻기에 미흡할 우려가 있다.
ⅲ)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양의 복굴절을 나타내므로, 잔류 응력하에서 아크릴계 점착체의 음의 복굴절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ⅲ) 상기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의 정수이고,
X는 산소, 황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r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방향족 그룹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ec-부틸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1-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5 내지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최종 점착제가 잔류응력 하에서 음의 복굴절을 크게 나타내고, 후술하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과량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아크릴계 점착제의 점착물성 밸런스가 악화되고, 점착력이 크게 상승하여 편광판의 재박리성이 매우 불량하게 될 뿐 아니라, 잔류 응력 하에서 점착제의 양의 복굴절이 심해져서 오히려 빛샘이 강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80만 내지 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80만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내구신뢰성이 불량하며, 200만을 초과하는 경우 응력완화 효과가 부족하다.
또한 상기 (A) 아크릴 공중합체는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거나 기타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중합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또는 알파 메틸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카르본산 비닐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또는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등의 질소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또는 에멀전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고, 중합온도는 50 내지 140℃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량체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 및 과산화벤조일, 또는 과산화아세틸 등의 과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
본 발명에서 메소젠(mesogen)이라 함은 한 방향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방향족 환을 포함하는 막대 구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복굴절성이 광학 이방성 화합물들은 결정성이 높고 고분자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상분리가 일어나고 결정화 되어 석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메소젠의 메타(meta) 위치에 도입한 것이다. 메소젠 코어의 메타 위치에 도입된 치환체는 고분자 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고, 파라(para) 위치의 치환체에 비하여 용해도 및 녹는점 등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광학 이방성 화합물은 메타 치환체 및 파라 치환제를 동시에 갖는 것도 가능하나 메타 치환체만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이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2
상기 식에서,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3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4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5
이고;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6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7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8
이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09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0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1
이고;
Z는 C-W 또는 N 이고;
Q1 내지 Q15, 및 W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R5, -OR5, -NHR5, -NR5R5 또는 -C(=O)R5 이며;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 l+m+n는 1 이상의 정수이며;
Y, G1, G2,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5-, -S-, -SO-, -SO2-, C1 내지 C6의 알킬렌, C2 내지 C6의 알케닐렌, C2 내지 C6의 알키닐렌, 또는 -U-T-V- 이고,
여기서 -T-는 카르보닐(-C(=O)-)이며, U 및 V는 각각 단일결합, -O-, -NR5-, -S-, -(CH2)p-, -O(CH2)p-, -(CH2)p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E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NCO, -NCS, -R5, 또는 -OR5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alkyl),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알케닐(alkenyl),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알키닐(alkynyl), 또는 -(R6O)qR7이고, 여기서 R6는 C1 내지 C6의 알킬렌이고, R7은 C1 내지 C4의 알킬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이나, R3 및 R4가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소젠(mesogen)의 메타(meta)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X1-R3 또는 X2-R4)를 가지고, 메소젠 코어의 l+m+n은 1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Y, G1, 및 G2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3-, -S-, -SO-, -SO2-, -(CH2)p-, -CH=CH-, -C≡C-, -C(=O)O-, -OC(=O)-, -C(=O)-, -C(=O)NR3-, -NR3C(=O)-, -C(=O)S-, -SC(=O)-, -C(=O)O(CH2)p-, -OC(=O)(CH2)p-, -(CH2)pOC(=O)-, 또는 -(CH2)pC(=O)O- 등을 들 수 있고, 여기서, p는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G1 및 G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CH=CH- 또는 -C≡C- 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일결합 또는 -C≡C-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X1 및 X2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3-, -S-, -SO-, -SO2-, -(CH2)p-, -C(=O)NR3-, -NR3C(=O)-, -NR3C(=O)NR3-, -C(=O)O-, -OC(=O)-, 또는 -OC(=O)O-이고, p는 1 또는 2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R3, R4 및 R5가 C1 내지 C20의 알킬(alkyl)인 경우, 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CH3, -CH2CH3, -CH2CH2CH3, -CH(CH3)2, -CH2CH2CH2CH3, -CH(CH3)CH2CH3, 또는 -CH2CH(CH3)2 등의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 등이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R3, R4 및 R5가 C2 내지 C20의 알케닐(alkenyl)인 경우, 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CH=CH2, -CH=CHCH3, -CCH3=CH2, -CH2CH=CH2, -CH=CHCH2CH3, -CH=C(CH3)2, -CCH3=CHCH3, -CH2CH=CHCH3, -CH2CCH3=CH2, -CHCH3CH=CH2, 또는 -CH2CH2CH=CH2 등의 선형 또는 가지형 알케닐 등이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R3, R4 및 R5가 C2 내지 C20의 알키닐(alkynyl)인 경우, 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C≡CH, -CH2C≡CH, -C≡CCH3, -CH2CH2C≡CH, -CHCH3C≡CH, -CH2C≡CCH3, 또는 -C≡CCH2CH3 등의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키닐 등이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선형 또는 가지형의 C3 내지 C12의 알킬, C3 내지 C12의 알케닐, 또는 C3 내지 C12의 알키닐인 것이고,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가지형의 C3 내지 C12 의 알킬, C3 내지 C12 의 알케닐, 또는 C3 내지 C12 의 알키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R3, R4 및 R5가 -(R6O)qR7인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O)qCH3, -(CH2CHCH3O)qCH3, 또는 -(CHCH3CH2O)qCH3이고, q은 1 내지 5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하기와 같으나, 하기 예시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2
2)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3
3)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4
4)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5
5)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6
6)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7
7)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8
8)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19
9)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0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이의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에 의한 광학 보상 효과가 떨어지고, 30 중량부를 초과한 경우 과량 사용으로 인하여 점착제와 상용성이 떨어지며 점착제의 양의 복굴절이 편광판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음의 복굴절 보다 커져 이로 인해 빛샘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1
상기 식에서,
A는 -YH, -OH, -L, 또는 -B(OH)2 등이 될 수 있고, D는 HY-, HO-, L-, 또는 (HO)2B-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L은 이탈기(living group)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할라이드, 메실레이트, 토실레이트 또는 트리플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외의 기호는 상기 화학식 1의 정의와 동일하다.
상기 반응의 용매는 헥산, 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옥산 (Dioxane), 부타논(Butanone),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 및 벤젠 또는 톨루엔 등의 벤젠계열 용매이고, 반응 온도는 0 내지 200℃이며, 반응 시간은 1 내지 30시간이다.
또한 반응의 종류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Pd, Cu, 또는 N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5와 같다.
[반응식 1: Y가 -C≡C-인 경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2
염기와 알킬할라이드 등을 이용하여 메타위치 등에 치환체를 붙인 뒤 Pd 커플링(coupling) 반응을 수행하여 톨란(tolane) 구조를 만든다.
[반응식 2: Y가 -O-, -NR3-, -S- 인 경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3
[반응식 3: Y가 단일결합, -(CH2)q-, -CH=CH-, -C(=O)-인 경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4
친핵 치환 반응으로부터 Y는 단일결합, (CH2)q, CH=CH, 또는 CO인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반응식 4: Y가 -C(=O)O-인 경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5
[반응식 5: Y가 -OC(=O)- 인 경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6
CO2 가스(gas)를 버블링(bubbling)하여 CO2H 그룹(group)을 만들 수 있고, (Me3SiO)2를 이용하여 OH 그룹(group)을 도입할 수 있다. 여기에 SOCl2, COCl2, MsCl, TsCl, EDC[1-Ethyl-3-(3-dimethyl aminopropyl) carbo diimide hydrochloride], 또는 DCC(dicyclohexylcarbodiimide) 등을 이용하여 에스테르(ester) 화합물을 만들거나 딘-스탁(Dean-Stark)을 이용하여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 내지 5에서 M은 Li, Na, Mg, K, Ca, 또는 Cs 등 음이온을 만들 수 있는 금속으로 BuLi, NaH, NaOH, NaHCO3, Na2CO3, Mg, K2CO3, KOH, CaH, Cs2CO3 또는 아민 등의 유기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는 보호기(protection group)를 의미한다.
상기 반응식들은 예시적인 방법일 뿐,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5에 의한 제조방법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경로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C) 중량평균 분자량 1000 내지 3만인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
본 발명은 또한, (C)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3만인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평균 분자량 1000 내지 3만의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는 점착제의 모듈러스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응력에 대해 어긋남(creep)량이 커지고 변형이 쉬워 편광판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적인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낮아서 점착제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여 점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3만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의 모듈러스를 떨어뜨리지 못하여 응력완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분자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성분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소량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소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또는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계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n-데실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또는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포스페이트, 또는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에폭시계 가소제;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피로멜리테이트계 가소제, 안식향산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또는 설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1000 내지 3만의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응력 완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다관능성 가교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의 반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가교제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의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량이 0.01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가교도가 낮아 내구성이 저하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가교도가 높아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과 점착층의 형성을 위하여 배합하는 과정에서 가교제의 관능기에 의한 가교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야만 균일한 코팅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탄성이 있고 응집력이 강한 점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유리판과 접착하는 경우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내습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계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특히 고온 고습 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A)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신뢰성 향상이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 신뢰성이 떨어진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 화합물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기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또는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성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수지를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수지가 과량 사용되면 점착제의 상용성 또는 응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주의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야 한다.
상기 점착성 부여수지는 (수첨)하이드로카본계수지, (수첨)로진수지, (수첨)로진에스터수지, (수첨)터펜수지, (수첨)터펜페놀수지, 중합로진수지, 또는 중합로진에스터수지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소제, 에폭시 레진 및 경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등을 일반적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필름 또는 편광소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광 필름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필름 등이 있고, 이들 편광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의 양면에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들 보호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편광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되지 않고, 편광 필름 표면에 직접 바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 점착제를 일단 박리성 기재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 시킨 후 상기 박리성 기재표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이어서 숙성시키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향상필름 등의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층이 1 종 이상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편광판을 액정 색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은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그 액정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의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예 1>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n-BA) 98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클릴레이트(2-hydroxyethyl(metha)acrylate: 2-HEMA) 2 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Ac) 12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EAc)로 희석하여 고형분 20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3>
상기 제조예 1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여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 값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1
<제조예 4>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n-BA) 78 중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클릴레이트(2-hydroxyethyl(metha)acrylate: 2-HEMA) 2 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EAc) 12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EAc)로 희석하여 고형분 20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만인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내지 9>
상기 제조예 4에서 하기 표 2와 같이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여 고분자량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2
(B) 광학 이방성 화합물
<제조예 10>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7
1.0 당량의 화합물 1을 에탄올:물 = 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1.0 당량의 브로모헥산(bromohexane)과 2.2 당량의 KOH를 넣고 90℃ 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감압 증류하여 완전히 제거 한 후 추가로 물을 넣어 주었다. 여기에 10% HCl(aq)을 서서히 가하여 pH를 1~3 사이로 조절하여 90% 이상의 수율로 화합물 2를 얻었다. 1.0 당량의 화합물 2와 1.0 당량의 화합물 3을 CH2Cl2에 용해 시켰다. 여기에 1.2 당량의 EDC와 0.1 당량의 DMAP를 넣고 상온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최종 화합물 4를 88% 이상의 수율로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3 (t, 3H), 1.29~1.45 (m, 4H), 1.46~1.57 (m, 2H), 1.78~1.89 (m, 2H), 4.05 (t, 2H), 7.20 (dd, 1H), 7.35 (d, 2H), 7.43 (t, 1H), 7.67 (d, 2H), 7.69~7.80 (m, 5H), 7.83 (d, 1H).
<제조예 11>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8
1.0 당량의 화합물 1을 에탄올:물 = 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1.0 당량의 2-에틸헥실브로마이드(2-ethylhexyl bromide: 5)와 2.2 당량의 KOH를 넣고 90℃ 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에탄올을 감압 증류하여 완전히 제거 한 후 추가로 물을 넣어 주었다. 여기에 10% HCl(aq)을 서서히 가하여 pH를 1~3 사이로 조절하여 90% 이상의 수율로 알콕시벤조산을 생성하였다. 이 벤조산 화합물 1.0 당량과 1.0 당량의 화합물 3을 CH2Cl2에 용해 시켰다. 여기에 1.2 당량의 EDC와 0.1 당량의 DMAP를 넣고 상온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최종 화합물 6을 85% 이상의 수율로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0~0.97 (m, 6H), 1.29~1.38 (m, 4H), 1.38~1.61 (m, 4H), 1.69~1.81 (m, 1H), 3.94 (dd, 2H), 7.21 (dd, 1H), 7.34 (d, 2H), 7.42 (t, 1H), 7.66 (d, 2H), 7.68~7.78 (m, 5H), 7.80 (d, 1H).
<제조예 12>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29
1.0 당량의 화합물 7과 1.0 당량의 화합물 8을 디옥산(Dioxane) : DMF = 9:1 혼합 용매에 녹인 뒤에 2.0 당량의 Cs2CO3, 0.1 당량의 CuI 및 0.1 당량의 1,1,1-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에탄(1,1,1-tris(hydroxymethyl)ethane)을 넣고 110℃ 에서 20시간 정도 교반 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와 물을 이용하여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약 90%의 수율로 화합물 9를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3 (t, 3H), 1.48~1.63 (m, 2H), 2.30 (t, 3H), 7.02~7.53 (m, 6H), 7.65 (d, 2H), 7.69~7.74 (m, 4H).
<제조예 13>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0
1.0 당량의 화합물 9를 CH2Cl2 용매에 녹인 후 0℃ 에서 서서히 2.2 당량의 m-CPBA(m-chloroperbenzoic acid)를 넣어주었다. 상온에서 30분 더 교반 후에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화합물 10을 80% 수율로 만들었다. 이때 2.2 당량 대신 1.0 당량의 m-CPBA를 사용하면 설폭시드(sulfoxide) 화합물 11을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3 (t, 3H), 1.48~1.63 (m, 2H), 2.30 (t, 3H), 7.18~7.22 (m, 2H), 7.63 (d, 2H), 7.65~7.70 (m, 4H), 7.99~8.05 (m, 4H).
<제조예 14>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1
1.0 당량의 화합물 12를 부탄온(butanone)에 용해 시킨 후 1.2 당량의 핵실브로마이드(hexylbromide)와 1.2 당량의 K2CO3를 넣고 80℃ 에서 5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화합물 13을 90% 이상의 수율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4는 해당 통상의 방법인 에시드(acid) 화합물(하기 화합물 19)에 SOCl2와 TEA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1.0 당량의 화합물 13과 1.0 당량의 화합물 14를 수분이 제거 된 벤젠 용매에 녹인 후 NiCl2(PPh3)2 촉매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정도 교반 후에 물과 에테르를 이용하여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최종 화합물 15를 약 70% 수율로 얻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8 (t, 3H), 1.30~1.45 (m, 4H), 1.45~1.59 (m, 2H), 1.80~1.89 (m, 2H), 4.05 (t, 2H), 7.21~7.60 (m, 9H), 7.87 (s, 1H), 7.92 (m, 3H).
<제조예 15>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2
1.0 당량의 화합물 16을 THF에 용해 시킨 후 1.0 당량의 TBSCl(tert-butyldimethylsilyl chloride)와 1.2 당량의 이미다졸(imidazole)을 넣고 80℃ 에서 5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생성된 염을 걸러 낸 후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화합물 17을 80%의 수율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7을 부타논(butanone)에 용해하고 1.2 당량의 헥실브로마이드(hexylbromide)와 1.2 당량의 K2CO3를 넣고 80℃ 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 한 후 THF에 용해 시키고 1.1 당량의 TBAF를 넣어서 deprotection을 수행한다. 상온에서 1시간 정도 교반 후 에테르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화합물 18을 만들었다. 1.0 당량의 화합물 18과 1.0 당량의 화합물 19를 CH2Cl2에 용해 시킨 후 1.2 당량의 EDC와 0.1 당량의 DMAP를 넣고 상온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CH2Cl2로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로 정제하여 화합물 20을 85%의 수율로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0.97 (t, 3H), 1.29~1.44 (m, 4H), 1.45~1.57 (m, 2H), 1.78~1.89 (m, 2H), 4.03 (t, 2H), 7.22~7.56 (m, 9H), 7.60 (d, 1H), 7.88 (d, 1H), 8.11 (d, 2H).
<제조예 16>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3
1.0 당량의 m-브로모페놀(m-bromophenol: 화합물 21)을 부타논(butanone)에 용해 시키고 1.2 당량의 브로모부탄(bromobutane)과 1.2 당량의 K2CO3를 넣고 80℃에서 5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와 물을 이용하여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약 95%의 수율로 화합물 22를 만들었다. 1.0 당량의 화합물 22와 1.0 당량의 트리메틸실리아세틸렌(trimethylsilylacetylene), 0.1 당량의 CuI, 0.03 당량의 PdCl2(PPh3)2 및 4.0 당량의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을 벤젠(benzene)에 용해 시키고 60℃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와 물을 이용하여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정제 하여 약 90%의 수율로 화합물 23을 만들었다. 1.0 당량의 화합물 23과 1.0 당량의 화합물 24, 0.1 당량의 CuI, 0.03 당량의 PdCl2(PPh3)2, 6.0 당량의 DBU 및 1.0 당량의 H2O를 벤젠(benzene)에 용해 시키고 60℃에서 10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에테르와 물을 이용하여 워크-업(work-up)하고 실리카겔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약 85%의 수율로 최종 화합물 25를 만들었다. 1HNMR로 이를 확인하였다. 1HNMR (400MHz, CDCl3): 1.06 (t, 3H), 1.73~1.92 (m, 4H), 4.07 (t, 2H), 7.17 (d, 1H), 7.22 (d, 1H), 7.25~7.30 (m, 3H), 7.47 (m, 3H), 7.68 (s, 1H).
<제조예 17>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4
제조예 10과 동일한 제조방식으로 합성하되 화합물 1대신에 화합물 26을 사용하여 파라(para)위치에 치환체가 달린 화합물 27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1
<배합>
상기의 제조예 1에서 얻어진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고형분)와 제조예 10에서 얻어진 광학 이방성 화합물 5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다관능성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0.1 중량부 및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 중량부를 투입하고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형지에 코팅하여 건조한 후 25미크론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합판 과정>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층을 두께 185미크론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점착 가공하여 상온에서 7일간 에이징 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평가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
하기 표 3 및 표 4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1의 배합을 기준으로 제조예 1 내지 3을 통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제조예 10 내지 17을 통하여 제조된 광학 이방성 화합물, 다관능성 가교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5
하기 표 5 및 표 6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9의 배합을 기준으로 제조예 4 내지 9를 통하여 제조된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제조예 10 내지 17을 통하여 제조된 광학 이방성 화합물 및 가교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4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1의 배합을 기준으로 일부를 배합하지 않거나 부분배합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5 내지 10
하기 표 6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1의 배합을 기준으로 일부를 배합하지 않거나 부분배합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시험항목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1. 상용성
이형필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를 코팅 및 건조 후 상용성이 나빠 점착제가 뿌옇게 되는지를 확인하였고, 이 점착제를 편광판에 부착한 후 상온, 저온(-20℃), 고온(50℃)에서 6개월간 보존하면서 광학 이방성 화합물의 결정화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하였다
2. 내구 신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90㎜×170㎜)을 유리기판(110㎜×190㎜×0.7㎜)에 양면으로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된 상태로 부착시켰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으로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 룸 작업을 하였다. 이 시편들을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의 온도 및 90%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실시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약간 발생
×: 기포나 박리현상 다량 발생
3. 광투과 균일성(빛샘)
상기와 동일한 시편을 사용하여 광투과도의 균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암실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부분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광투과 균일성을 시험하는 방법으로는 코팅된 편광판(200㎜×200㎜)을 유리기판 (210㎜×210㎜×0.7㎜)에 90도로 교차하여 양면에 부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광투과성의 균일성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약간 있음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소 있음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량 있음
표 3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3
표 4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4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에는 상용성, 내구 신뢰성, 광투과 균일성(빛샘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과 같이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광투과 균일성이 불량하여 빛샘이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비교예 2의 경우 상용성은 우수하나 본 발명에 사용된 광학 이방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어 광투과 균일성을 만족할 만큼의 성능이 나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에는 과량의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내구 신뢰성에 다소 문제가 있고, 점착제 층에서 결정화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점착제에 의한 양의 복굴절이 더 커져서 오히려 광투과 균일성이 나빠져 빛샘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4에서는 제조예 17에서 제조한 파라(para)위치에 치환체가 달린 화합물을 첨가한 경우 점착층에서 결정화 현상이 과량 발생되어 내구 신뢰성 및 광투과 균일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표 5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5
표 6
Figure PCTKR2009000510-appb-T000006
상기 표 5와 표 6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15의 경우에는 상용성, 내구 신뢰성, 광투과 균일성(빛샘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5와 같이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을 경우 광투과 균일성이 불량하여 빛샘이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비교예 6의 경우 상용성은 우수하나 본 발명에 사용된 광학 이방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어 광투과 균일성을 만족할 만큼의 성능이 나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의 경우에는 과량의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잔류응력하에서 점착제가 양의 복굴절이 심해져 오히려 빛샘이 강해짐을 볼 수 있다. 비교예 8의 경우에는 방향족계 아크릴계 에스테르의 함량이 적어 빛샘이 나타남을 볼 수 있고, 비교예 9의 경우에는 방향족계 아크릴계 에스테르의 함량이 과량 사용되어 잔류응력하에서 점착제가 양의 복굴절이 심해져 오히려 빛샘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0에서는 제조예 17에서 제조한 파라(para)위치에 치환체가 달린 화합물을 첨가한 경우 점착제 층에서 결정화 현상이 과량 발생되어 내구 신뢰성이나 광투과 균일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2)

  1.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99.9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수산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수산기 함유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및 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질소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ⅱ)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및 ⅲ)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ⅰ)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9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ⅲ)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X는 산소, 황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r은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방향족 그룹이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페녹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닐티오-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이소프로필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4,6-디브로모-2-sec-부틸 페녹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노닐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6-디브로모-4-도데실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1-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1-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1-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8-(2-나프틸옥시)-1-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ⅲ)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5 내지 3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80만 내지 20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알파 메틸 스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 및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중합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6
    상기 식에서,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7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8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39
    이고;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0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1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2
    이며;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3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4
    또는
    Figure PCTKR2009000510-appb-I000045
    이고;
    Z는 C-W 또는 N 이고;
    Q1 내지 Q15, 및 W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R5, -OR5, -NHR5, -NR5R5 또는 -C(=O)R5 이며;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 l+m+n는 1 이상의 정수이며;
    Y, G1, G2,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5-, -S-, -SO-, -SO2-, C1 내지 C6의 알킬렌, C2 내지 C6의 알케닐렌, C2 내지 C6의 알키닐렌, 또는 -U-T-V- 이고,
    여기서 -T-는 카르보닐(-C(=O)-)이며, U 및 V는 각각 단일결합, -O-, -NR5-, -S-, -(CH2)p-, -O(CH2)p-, -(CH2)p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E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NCO, -NCS, -R5, 또는 -OR5이고;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alkyl),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알케닐(alkenyl),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알키닐(alkynyl), 또는 -(R6O)qR7이고, 여기서 R6는 C1 내지 C6의 알킬렌이고, R7은 C1 내지 C4의 알킬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이나, R3 및 R4가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19. 제 18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Y, G1, 및 G2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3-, -S-, -SO-, -SO2-, -(CH2)p-, -CH=CH-, -C≡C-, -C(=O)O-, -OC(=O)-, -C(=O)-, -C(=O)NR3-, -NR3C(=O)-, -C(=O)S-, -SC(=O)-, -C(=O)O(CH2)p-, -OC(=O)(CH2)p-, -(CH2)pOC(=O)-, 또는 -(CH2)pC(=O)O-이고, p는 1 내지 5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0. 제 18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G1 및 G2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H=CH- 또는 -C≡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X1 및 X2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R3-, -S-, -SO-, -SO2-, -(CH2)p-, -C(=O)NR3-, -NR3C(=O)-, -NR3C(=O)NR3-, -C(=O)O-, -OC(=O)-, 또는 -OC(=O)O-이고, p는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2. 제 18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R3 및 R4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선형 또는 가지형의 C3 내지 C12의 알킬, C3 내지 C12의 알케닐, C3 내지 C12의 알키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3. 제 18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R3, R4 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O)qCH3, -(CH2CHCH3O)qCH3, 또는 -(CHCH3CH2O)qCH3이고, q은 1 내지 5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4. 제 1 항에 있어서,
    (B) 메소젠의 메타 위치에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가지는 광학 이방성 화합물의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5. 제 1 항에 있어서,
    (C)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3만인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6. 제 25항에 있어서,
    (C)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3만인 저분자량체가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7. 제 25 항에 있어서,
    (C) 가소제는 프탈산계, 지방산 에스테르계, 인산 에스테르계, 에폭시계, 트리멜리테이트계, 피로멜리테이트계, 안식향산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설폰산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8. 제 25 항에 있어서,
    (C)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3만인 저분자량체 또는 가소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9.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0. 제 29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반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2. 제 30 항에 있어서,
    에폭시계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3. 제 30 항에 있어서,
    아지리딘계 가교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4. 제 30 항에 있어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는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5. 제 29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의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6.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란계 커플링제 0.005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7. 제 36 항에 있어서,
    실란계 커플링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기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8. 제 1 항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성 부여수지 1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9. 제 38 항에 있어서,
    점착성 부여수지는 (수첨)하이드로카본계수지, (수첨)로진수지, (수첨)로진에스터수지, (수첨)터펜수지, (수첨)터펜페놀수지, 중합로진수지, 및 중합로진에스터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0.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1. 제 40 항에 있어서,
    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 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2. 제 40 항의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PCT/KR2009/000510 2008-02-01 2009-02-02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WO2009096758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65,109 US9045671B2 (en) 2008-02-01 2009-02-02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00980103565XA CN101932667B (zh) 2008-02-01 2009-02-02 含有光学各向异性化合物的丙烯酸压敏粘合剂,包括该粘合剂的偏振片和液晶显示装置
JP2010544896A JP5546015B2 (ja) 2008-02-01 2009-02-02 光学異方性化合物を含む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493A KR101074501B1 (ko) 2008-02-01 2008-02-01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KR10-2008-0010490 2008-02-01
KR10-2008-0010493 2008-02-01
KR1020080010490A KR101074502B1 (ko) 2008-02-01 2008-02-01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KR1020080011301A KR101023838B1 (ko) 2008-02-04 2008-02-04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008-0011301 2008-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6758A2 true WO2009096758A2 (ko) 2009-08-06
WO2009096758A3 WO2009096758A3 (ko) 2009-11-05

Family

ID=4091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510 WO2009096758A2 (ko) 2008-02-01 2009-02-02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5671B2 (ko)
JP (1) JP5546015B2 (ko)
CN (1) CN101932667B (ko)
TW (1) TWI488933B (ko)
WO (1) WO200909675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93A2 (ko) * 2008-04-25 2009-10-29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02195A2 (ko) * 2008-07-01 2010-01-07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215611B1 (ko) * 2020-06-22 2021-02-17 주식회사 이렉스 아크릴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546B1 (ko) * 2007-06-05 2011-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이방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074502B1 (ko) 2008-02-01 2011-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KR20150017858A (ko) * 2013-08-08 2015-0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101743371B1 (ko) * 2014-12-18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780547B1 (ko) * 2015-07-31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7216427A (zh) * 2017-06-15 2017-09-29 中山市大涂料有限公司 一种不饱和聚酯树脂嵌段改性聚氨酯/丙烯酸酯乳液及其制备方法
CN111273389B (zh) * 2020-04-02 2022-05-06 佛山纬达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耐候性能的车载显示器用偏光片
JP6984719B1 (ja) * 2020-11-20 2021-12-2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303A (ja) * 2000-12-27 2002-07-10 Sumitomo Chem Co Ltd 表面離型性粘着フィルム
KR20050006120A (ko) * 2002-05-13 2005-01-15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고체의 일시적 고정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050085714A (ko) * 2002-12-16 2005-08-29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광학 보상 시트, 그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그러한것을 이용한 편광 플레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44125A (ja) * 2006-11-17 2008-06-26 Fujifilm Corp アクリレート系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070A (ja) * 1996-05-20 1997-11-25 Sumitomo Metal Ind Ltd 熱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とその用途および硬化剤
JP3533589B2 (ja) *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4227680B2 (ja) * 1998-06-05 2009-02-18 新日本石油株式会社 液晶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I991006A (fi) * 1999-05-03 2000-11-04 Optatech Oy Uudet nestekiteiset polymeerit
EP1268699B1 (en) * 2000-12-21 2007-06-13 LG Chem Lt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for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er film using the same
KR100668943B1 (ko) * 2004-04-23 200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20090122236A1 (en) * 2005-10-21 2009-05-1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32887B1 (ko) * 2005-12-14 2009-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32888B1 (ko) * 2006-07-21 2009-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KR101057546B1 (ko) * 2007-06-05 2011-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이방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US8501037B2 (en) * 2007-08-23 2013-08-06 Lg Chem, Ltd.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303A (ja) * 2000-12-27 2002-07-10 Sumitomo Chem Co Ltd 表面離型性粘着フィルム
KR20050006120A (ko) * 2002-05-13 2005-01-15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고체의 일시적 고정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050085714A (ko) * 2002-12-16 2005-08-29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광학 보상 시트, 그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그러한것을 이용한 편광 플레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44125A (ja) * 2006-11-17 2008-06-26 Fujifilm Corp アクリレート系粘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93A2 (ko) * 2008-04-25 2009-10-29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09131393A3 (ko) * 2008-04-25 2010-01-2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US9017778B2 (en) 2008-04-25 2015-04-28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s and LCDs utilizing the adhesive composition
WO2010002195A2 (ko) * 2008-07-01 2010-01-07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02195A3 (ko) * 2008-07-01 2010-04-22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215611B1 (ko) * 2020-06-22 2021-02-17 주식회사 이렉스 아크릴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1861A (ja) 2011-04-14
US9045671B2 (en) 2015-06-02
TWI488933B (zh) 2015-06-21
CN101932667B (zh) 2013-08-21
US20110051051A1 (en) 2011-03-03
JP5546015B2 (ja) 2014-07-09
CN101932667A (zh) 2010-12-29
TW201002797A (en) 2010-01-16
WO2009096758A3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96758A2 (ko)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WO2010002198A2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용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09131393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74504B1 (ko)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7010765A1 (ko) 화합물
WO2010074519A2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광학부재
WO2010008239A2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3012274A2 (ko) 터치 패널
WO2015016456A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420421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20111864A1 (ko) 광학 적층체
WO201420421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056675A2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1060876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2383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02195A9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5099279A1 (ko)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WO2014027766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16006875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23096413A1 (ko) 점착제
WO2022220498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27981A2 (ko) 편광판
KR101074501B1 (ko)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WO2023132664A1 (ko) 점착제
WO2015099289A1 (ko)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03565.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069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544896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6510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069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