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518A -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518A
KR980011518A KR1019970037291A KR19970037291A KR980011518A KR 980011518 A KR980011518 A KR 980011518A KR 1019970037291 A KR1019970037291 A KR 1019970037291A KR 19970037291 A KR19970037291 A KR 19970037291A KR 980011518 A KR980011518 A KR 98001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mory cell
serial
circuit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894B1 (ko
Inventor
시오우지 마투키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덴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덴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98001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1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combined in a redundant decoder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직렬적으로 공급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이 결함 메모리 셀이 결함 메모리 셀인지를 결정하므로서 얻어진 판단 결과의 판단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체 장치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하는 다수의 메모리 셀을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비한다. 데이터는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결함 메모리 셀 대신에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기록되어 판독된다. 판단 회로는 압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어드레스 직렬로 입력된 반도체 메모리에서, 상기 판단 회로는 직렬-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인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1.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반토체 메모리 등과 같은 ,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와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를 가진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관련기술의 설명
이러한 형태의 반도체 장치는 외측으로부터 직렬적으로 공급된 한쌍의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가 소정의 결함 어드레스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판단의 결과로서, 결함 메모리 셀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의 셀내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며 대응 용장 메모리 셀과 대체된다. 반도체 장치의 이런 형태의 메모리 선택 유닛은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 직렬/병렬 변환 회로, 카운터를 가진다.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는 각각 동장 및 비동작 상태로 상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각각과 메모리 셀 어레이를 발생하도록 메로리 선택 신호MS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정상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로 발견되면,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를 고 레벨로 되게 한다.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로 발견될 때,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를 저 레벨로 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은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와 대체된어 의존된다. 직렬/병렬 변환 회로는 직렬 어드레스 신호를 병렬 어드레스 신호로 변환한다. 그러므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지정된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경우에,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는 메모리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정상 메모리 셀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면,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는 고 레벨로 된다. 한편,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로 이루어질 때,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는 저 레벨로 된다.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이 메모리 선택 신호에 의해 지정될 때,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에 의해 대체된다. 이 대체는 각 직렬 어드레스의 완성으로부터 한 싸이클이 경과한 후 수행된다. 이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하는 것과 또한 각 직렬 어드레스의 완성으로부터 한 싸이클이 경과한 후 수행된다. 이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하는 것과 또한 각 직렬 어드레스의 완성으로부터 한 싸이클 후에 수행되도록 메모리 선택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 결정을 대기해야만 한다. 즉, 상기 종래의 반도체 장치내의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가 사전 충전 신호에 의해 리셋된 후에 그 구성에서 외부 어드레스보다 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직렬/병렬 변환 회로의 마지막 단에서 병렬 변환된 외부 어드레스만 래칭하기 위해 플립-플롭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플립-플롭은 상기 어드레스를 래치하는 싸이클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의 결정은 직렬 어드레스 완성 때문에 한 싸이클 후에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반도체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로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은 이 싸이클 후에 수행되는 단점을 가지며, 따라서 메모리 액세스 가속과 간섭하여 발생된다. 더구나,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외부 어드레스가 지정된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가질 때 단점을 가지며,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가 저 레벨로 되는 시간을 요구하며 따라서 이점으로부터 상기 메모리 억세스가속과 간섭한다. 더구나, 상기 반도체 장치는 COMP(보상)신호상의 로드가 과중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며 상기 장치는 어드레스 비트의 수 및 퓨즈 등의 용량과 같은 수에 의해 제공된 트랜지스터의 확산된 층의 캐패시티를 구비한다. 각 외부 어드레스가 단일 비트에 의해 결함 메로리 셀의 어드레스와 상이할 때 조차도,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과중한 로드 상태하에 저레벨로 되어야만 한다.
발명의 요약
전술된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이 결함으로 발견될 때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는 메모리 선택 신호에 대하여 결정을 가속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를 가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외부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이 결함 메모리 셀로서 결함으로 발견 될 때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는 메모리 선택 신호에 대한 결정을 가속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데 적절한 메모리 선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라, 상술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수의 메모리셀을 가지며 외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각 어드레스 부호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결함 메모리 셀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결함 메모리 셀 대신에 각각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는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와, 각각의 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을 구비하며, 직렬로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데 적당한 메모리 선택 유닛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결함 메모리 셀이 지정된 어드레스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존재할 때 상기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기 위하여, 그로부터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도록, 외부 직렬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며, 상기 장치는 각 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을 구비한다. 양호하게, 상기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은 외부적 입력 SA 시작 신호에 기초한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 각각을 수집하고 상기 어드레스를 외부 직렬 어드레스 각각의 시트하기 위해 제공된 타이밍과 동기되는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회로와, 각 비트에 대해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와 외부 직렬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그들이 비교 결과로부터 서로 일치하게 발견될 때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로 식별 신호를 출력하고 그들이 비교 결과로부터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될 때 비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로지컬 회로를 구비한다.
제1도는 외부 직렬 어드레스 각각과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종래의 판단회로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판단 회로에 의해 외부의 직렬 어드레스 각각과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실제적으로 비교하는 회로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하나의 카운터를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직렬/병렬 변환 회로의 하나의 예를 묘사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5도는 외부의 직렬 어드레스 각각과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종래의 메모리 선택 유닛의 동작을 기술하는 타이밍 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1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7도는 제6도에 되시된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선택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병렬/직렬 변환 회로의 하나의 예를 묘사하는 회로 다이어그램,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메모리 선택 유닛의 동작을 기술하는 타이밍 챠트,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된 메모리 선택 유닛의 동작을 기술하는 타이밍 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2실시예에 제공된 메모리 선택 유닛의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 19 : 카운터
31 : 어드레스 버퍼 47 : 판단회로.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의 양호한 실시예를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진다. 도 1 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반도체 장치에 제공된 메모리 선택 유닛(13)은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 직렬 대 병렬(직렬/병렬) 번환 회로(17), 카운터(19)를 구비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는 다수의 제 1 트랜지스터 Q1 내지 Q4를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신호에 대응하도록, 어드레스 신호의 각 비트(A1 내지 A2)에 대해 보충적으로 신호(A1,A1b,A2 및 A2b)가 공급되거나 입력된다. 더구나,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15)는 다수의 퓨즈 F1 내지 F4를 가지며 상기 퓨즈의 한쪽 단부는 서로 관련된 제 1 트랜지스터 Q1 내지 Q4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구나,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15)는 제 2의 트랜지스터 Q5를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이들 퓨즈 F1 내지 F4의 다른 단부에 전기적으로 공통 접속되어 있으며, 소스는 전원 공급부(전압 Vc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15)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 Q5의 드레인으로부터 동작 및 비동작 상태로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각각을 초래하도록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출력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결함 메모리 셀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는 결함 메모리 셀중 어떤 어드레스에 따라 다수의 퓨즈 F1 내지 F4중 소정 퓨즈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므로써 발생된다. 상기 어드레스 신호(A1 및 A2)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 정상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면,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회로(15)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가 동작 상태에 있게 하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를 비동작 상태로 있게 한다.
한편, 어드레스 신호들 A1 및 A2가 상기 메모리 셀 어리이에서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때,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를 비동작 상태에 있게 하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를 동작 상태에 있게 한다.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이 어드레스에서 존재할 때,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 A1 및 A2는, 예로, 도2에 도시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가 퓨즈 F2 및 F3을 차단되게 하면 (01)이 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1,A1b,A2 및 A2b)의어드레스 신호들(ALb 및 A2)는 1을 취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에 의해 퓨즈F1 내지 F4의 차단은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가 정상 메모리 셀 어드레스에서는 고 레벨을 취하게 하고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에서는 저 레벨을 취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은 상기 셀의 대응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체하므로서 실현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카운터(19)는 각 직렬 어드레스의 시작을 통지하기 위해 SA(직렬 어드레스) 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 각 어드레스상에서 직/병렬 변환의 완성시, 상기 카운터(19)는 그로부터 로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SA 시작 신호는 외측으로 카운터(19)에 공급된다. 바꿔말하며, 상기 카운터(19)는 외측 신호에 근거하여 그 내측에서 발생한다.
도 4를 참고로 하면, 직렬/병렬 변환 회로(17)는 4개의 플립-플롭 회로 FF1 내지 FF4를 구비한다. 어드레스가 제 1 트랜지스터 Q1 내지 Q4에 대응한 어드레스를 공급하기 위해 직렬적으로 억세스될 때, 그들은 병렬 변환을 이룬다. 후에 상기 직렬/병렬 변환 유닛(17)은 카운터(19)로부터 공급된 LOAD 신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에 제공된 메모리 선택 유닛(13)의 동작은 도5에 도시된 타이밍 챠트를 사용하여 기술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는 예비 충전 신호(T1)에 응답하여 가장 먼제 리셋된다. 도 2에 도시된 회로 다이어그램에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의고 레벨은 리셋값이다. 상기 직렬 어드레스가 시작될 때, 상기 직렬/병렬 변환 회로(17)는 즉시 직렬 어드레스를 취하며, 직렬 대 병렬 변환(T2 및 T3)를 취한다. 동시에, 상기 카운터(19)는 SA 시작 신호(T2)에 응답하여 카운팅을 시작한다. 상기 어드레스 병렬 변호나 완성시, 상기 카운터(19)는 그로부터(T5) LOAD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직렬/변환 출력(17)은 LOAD신호에 근거하여 변환된 병렬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더구나,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는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지정된 어드레스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가 결정되면, 즉, 정상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가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는 고 레벨로 된다. 상기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가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는 저 레벨로 된다.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은 하나의 싸이클이 직렬 어드레스(T5)의완성으로부터 경과된 후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와 대체된다. 데이터의 기록 및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은 메모리 선택 신호 MS의 결정을 대기하여야만 하며, 그들은 직렬 어드레스의 완성으로부터 하나의 싸이클이 경과된 후 수행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에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로 기술된다.
실시예 1
도 6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21)는 예비 충전 신호, SA 시작 신호, 직렬 어드레스 및 클럭을 입력하고 메모리 선택 신호 MS 및 그로부터 병렬 어드레스(A1,A2,A3 및 A4)를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선택 유닛(23)을 가진다.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23)은 용장 메모리 회로(25), 병렬/직렬 변환 회로(27), 종래의 회로와 유사한 직렬/병렬 변환 회로(17),베타적 OR동작 회로(XOR1)(29)를 구비한다.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25)는 트랜지스터 Tr4 및 Tr5를 가진다.
더구나, 상기 반도체 장치(21)는 병렬 어드레스를 취하는 어드레스 버퍼(31),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어드레스 버퍼(31)로부터 출력된 병렬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로우 디코더(33),메모리 선택 신호 MS 및 RAS(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 상기 어드레스 버퍼(31)로부터 출력된 병렬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칼럼 디코더(35), CAS(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구비한다.
더구나, 상기 반도체 장치(21)는 칼럼 디코더(35)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기록시 소스 전압과 판독시 소스 전압간의 차에 도달하도록 비트 라인간의 전위차를 증폭하는 센스 증폭기(37)와, 로우 디코더(33)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센스 증폭기(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메모리 셀 어레이(39)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39)에 차례로 위치된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41,43)를 가진다.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39)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외부 어드레스 신호 각각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41,43)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이 메모리 셀 어레이(39)에 존재할 때 결함 메모리 셀 대신에 대응 어드레세스로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상기 센스 증폭기(37)는 전기적으로 I/O 포트에 접속된 입/출력 회로(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WE를 공급한다.(기록 가능).
여기서, RAS는 로우 어드레스를 취하거나 포착하는 신호이며, 대응 워드를 선택하여 센스 증폭기(37)를 활성화한다. 더구나, 상기 CAS는 칼럼 어드레스를 포착하는 신호이며, 대응 디지트 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한다. 더구나, WE는 활성시 기록 동작(데이타 출력)을 수행하는 신호이며 비활성시 판독 동작(데이타 입력)을 수행한다.
도 7을 참조로,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23)은 각 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결함 어드레스 판단 소자로서 사용된 판단 회로(47)와, 상기 판단 회로(47)에 의해 판단의 결과에 근거하여, 메모리 선택 신호MS를 출력하는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25), 각 입력 직렬 어드레스를 병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 회로(17)를 구비한다.
상기 판단 회로(47)는 SA 시작이 입력될 때, 활성된 병렬 대 직렬(병렬/직렬) 변환회로(27), 병렬/직렬 변환 회로(27)의 출력과 각 직렬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비교기로 구성되는 배타적 OR 동작 회로(XOR1)(29)를 구비한다.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25)에서, P형 트랜지스터 Tr4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고 레벨로 취하는 출력 트랜지스터이며, 더구나, N형 트랜지스터 Tr5는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저 레벨로 취하는 출력 트랜지스터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병렬/직렬 변환 회로(27)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병렬/직렬 변환 회로(27)는 SA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결함 메모리 셀의 각 어드레스를 취하여 상기 신호를 클릭으로 동기화된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클릭은 각 외부 신호 어드레스와 동기화한다. 더구나, 각 어드레스 선택기(sel)는 선택신호 selA가 고 레벨일 때 입력 A에서 출력 Y로 전송하는 선택이다.
도 7에 도시된 메모리 선택 유닛(23)의 동작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타이밍 챠트를 참조로 다음에 기술된다. 상기 외부 신호 어드레스 각각의 엑세스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25)가 가장 먼저 리셋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T1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상기 트랜지스터 Tr4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가 고 레벨로 취하도록 예비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병렬/직렬 변환 회로(27)가 회로내의 각각의 외부 직렬 어드레스의시작(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T1 동안에)을 통지하는 SA 시작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병렬/직렬 변환 회로(27)는 결함 메모리 셀의 각 어드레스에서 수행되며 직렬 메모리 셀 어드레스 각각으로 변환되고, 외부 직렬 어드레스를 시프트하기 위해 제공된 타이밍과 동기한다. 다음에, 상기 XOR1(29)는 각 비트(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T2 내지 T5 동안)에 대해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와 외부 직렬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상기 트랜지스터 Tr5에 비교 결과(결함 메모리 셀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 각각(X1,X2,X3,X4)은 도 9에 도시된 외부 직렬 어드레스(A1,A2,A3,A4) 각각에 일치하고, 상기 결함 메모리 셀 식별 신호는 레벨이 저가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트랜지스터Tr5는 오프셋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는 엑세스 시작전에 사전 충전된 고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메모리 선택 신호 MS는 2개의 어드레스 사이의 비교가 완성되는 시간에서 도 9의 T5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레벨이 고로될 때, 외부 직렬 어드레스는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도록 결정된다.
한편,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X1 내지 X4)의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직렬 어드레스(A1 내지 A4)각각과 일치하지 않으며, 상기 결함 메모리 셀 식별 신호는 2개의 어드레스의 차 비트가 XOR1(29)에 의해 검출되는 시간에서 도 10의 T4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레벨이 고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함 메모리 셀 식별 신호는 메모리 선택 신호 MS 상의 트랜지스터 Tr5를 저 레벨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가 저 레벨로 되면, 외부 직렬 어드레스는 지정된 정상메모리 셀을 갖도록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사전 충전 신호 및 SA 시작신호는 외부로푸터 공급된다. 바꿔말하면, 그들은 외부 신호를 기초로 내측에서 발생한다.
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외부 직렬 어드레스 및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간의 비교가 각 비트에 대해 이루어지면, 도 7에 도시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25)에서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저 레벨로 유도하거나 밀어내는 트랜지스터는 오로지 도 7에 도시된 트랜지스터 Tr5가 된다. 더구나, COMP(보상)신호상의 로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확산층의 캐패시턴스가 되므로, 부담은 가볍게 된다. 상기 외부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이 결함으로 발견되며, 상기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는 상기 메모리 선택 신호 MS의 결정은 빠르게 된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 2 실시에에 제공된 메모리 선택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메모리 선택 유닛(51)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과 유사하다.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는 직렬로 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 외부 직렬 어드세스마다 비교하고, 상기 종래의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15)가 불필요하다. 결함 어드레스 판단 소자로서 사용된 판단 회로(5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배타적 NOR동작회로(XNOR1)(55)는 전술된 결정 회로의 로칼 동작 회로로서 제공되는 배타적 OR동작 회로 XOR1(29) 대신에 사용된다. 더구나,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59)로서 사용된 SR 플립-플롭(57)은 전기적으로 NXOR1(55)에 접속된다.
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제 1및 제 2 실시에에서, 상기 외부 직렬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초기 간계에서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와 각 외부 어드레스간의 직접 비교는 싸이클(도 5에 도시된 T5)의제거를 허용하며 도 4에 도시된 종래의직렬/병열 변환 회로(17)의 마지막 단 (FF3 내지 FF4)에 의한 외부 어드레스 병렬 변환이 래치되고, 상기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과 대체되며 가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며 반면 종래의 직렬/병렬 변환 회로의 마지막 수단에 의해 병렬 변환된 외부 어드레스만 그 입력 수단에 의한 각각의 외부 직렬 어드레스와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직접 비교하므로서 제거되며, 상기 외부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 셀이 결함으로 발견되면, 상기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과 대체하는 메모리 선택 신호는 고속으로 결정된다.
더구나, 본 발명은 외부 직렬 어드레스 각각과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간의 비교가 각 비트에 대해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며, 메모리 선택 신호 MS를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에서 저 레벨로 유도하는 트랜지스터는 단지 하나가 되면, COMP 신호상의 로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확산층의 캐패시턴스가 되고, 부담은 가볍게 되고, 따라서, 외부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셀이 결함으로 발견될 때 결함으로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는 메모리 선택 신호 MS의 결정을 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8)

  1.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메모리 셀을 가지며 외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각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기록아여 판독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결함 메모리 셀 대신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는 적어도 하나의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와, 직렬 입력 어드레스중 하나가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 각각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직렬 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은 외부 직렬 어드레스로부터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를 수집하는 병렬/직렬 변환 회로와 , 상기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로지컬 동작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배타적 OR동장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상기 배타적 OR 동작 회로에 접속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비교 결과가 일치할 때 메모리 셀 어레이 대신에 상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의 조합에 의해 보상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적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배타적 NOR 동작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상기 배타적 NOR 동작 회로에 접속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메모리 셀 어레이 대신에 상기 용장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SR 플립-플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상기 각각의 직렬 어드레스가 직렬/병렬 변환하기 전에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은 외부 직렬 어드레스로 부터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를 수집하는 병렬/직렬 변환 횔로와, 상기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와 직렬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로지컬 동작 회로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로지컬 동작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배타적 OR 동작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상기 배타적 OR 동작 회로에 접속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할 때 메모리 셀 어레이 대신에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의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유닛은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의 조합에 의해 보상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배타적 NOR 동작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상기 배타적 NOR 동작 회로에 접속된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메모리 셀 어레이 대신에 상기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의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유닛은 SR 플립-플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데 적당한 메모리 선택 유닛에 있어서, 지정된 어드레스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하기 위해 상기 용장 메모리 셀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존재할 때 데이터를 기록하여 판독하기 위해 결함 메모리 셀과 용장 메모리 셀을 대체하기 위해, 외부 직렬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을 표시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 선택 유닛은 직렬 입력 어드레스가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어드레스 판단 수단은 외부적인 입력 SA 시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결함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 각각을 수집하여 상기 어드레스를 외부 직렬 어드레스 각각을 시프트하도록 제공된 타이임과 동기하여 직렬 결함 메모리 셀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 회로와, 각 비트에 대해 직렬 결함 메모리 셀어드레스와 외부 직렬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로지컬 동작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식별 신호를 수집하여 메모리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와, 각 입력 직렬 어드레스를 병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 회로를 더 구비하여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가 각 외부 직렬 어드레스와 일치할 때 비교결과로서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배타적 OR 동작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로 제공된 보상 포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17. 제15항에 있어서, 비식별 신호를 취하여 메모리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와, 각 입력 직렬 어드레스를 병렬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 회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로지컬 동작 회로는 상기 용장 메모리 셀에 접속되고 상기 직렬 결함 메모리 셀 어드레스와 외부 직렬 어드레스 결과가 불일치할 때 비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배타적 NOR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장 메모리 선택 회로는 SR 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선택 유닛.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7291A 1996-07-30 1997-07-30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KR10025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0311 1996-07-30
JP8200311A JP2850953B2 (ja) 1996-07-30 1996-07-30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518A true KR980011518A (ko) 1998-04-30
KR100255894B1 KR100255894B1 (ko) 2000-05-01

Family

ID=1642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291A KR100255894B1 (ko) 1996-07-30 1997-07-30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52767A (ko)
JP (1) JP2850953B2 (ko)
KR (1) KR100255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030B1 (en) * 1997-10-09 2002-04-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dress conversion circuit and address conversion system with redundancy decision circuitry
JP4439683B2 (ja) * 1999-06-03 2010-03-24 三星電子株式会社 リダンダンシ選択回路を備えた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及びテスト方法
US6166974A (en) * 1999-10-28 2000-12-26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 Dynamic precharge redundant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574703B (en) * 2002-09-09 2004-02-01 High Bandwidth Access Taiwan I A memory structure with redundant memory for accessing data sequentially
JP4267028B2 (ja) * 2006-12-13 2009-05-27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冗長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2010146649A (ja) * 2008-12-19 2010-07-01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066A (en) * 1989-02-10 1992-02-11 Intel Corporation Redundancy decoding circuit using n-channel transistors
EP0389203A3 (en) * 1989-03-20 1993-05-26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presence of defective memory cells
JP2900451B2 (ja) * 1989-11-30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メモリ装置
JPH0426999A (ja) * 1990-05-19 1992-01-30 Fujitsu Ltd 冗長情報読み出し回路
US5297094A (en) * 1991-07-17 1994-03-22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with redundant rows
JP2796590B2 (ja) * 1991-08-07 1998-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メモリ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データ処理装置
US5469401A (en) * 1992-07-14 1995-11-21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Column redundancy scheme for DRAM using normal and redundant column decoders programmed with defective array address and defective column address
JP2741824B2 (ja) * 1992-10-14 1998-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768175B2 (ja) * 1992-10-26 199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FR2710445B1 (fr) * 1993-09-20 1995-11-0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redondance dynamique pour mémoire en circuit intégré.
US5646896A (en) * 1995-10-31 1997-07-08 Hyundai Electronics America Memory device with reduced number of fuses
US5706292A (en) * 1996-04-25 1998-01-06 Micron Technology, Inc. Layou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t elements
DE69618344T2 (de) * 1996-06-06 2002-08-14 St Microelectronics Srl Schaltung um redundante Daten einer Redundanzschaltung innerhalb einer Speicheranordnung durch zeitgeteilte Annäherung zu übertragen
US5781717A (en) * 1996-09-19 1998-07-14 I-Cube, Inc. Dynamic spare column replacement memo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894B1 (ko) 2000-05-01
JPH1050091A (ja) 1998-02-20
JP2850953B2 (ja) 1999-01-27
US6052767A (en) 2000-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0230A (en) On chip semiconductor memory arbitrary pattern, parallel test apparatus and method
US5867436A (en) Random access memory with a plurality amplifier groups for reading and writing in normal and test modes
KR940003154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501622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logic level responsive testing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486241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ndant memory cell
KR100284716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92000905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병렬 테스트 방법
KR890008829A (ko) 반도체 기억장치
JPS61160898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08191B1 (ko) 빌트-인패럴테스트회로를구비한반도체메모리장치
KR960001783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US6460110B2 (en) Semiconductor memory
KR100255894B1 (ko) 용장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직렬 액세스 어드레스가 있는 반도체 장치
KR100283630B1 (ko) 디코드 신호 비교 회로
JPH10144092A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6330198B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611929B1 (en) Test circuit for memory
JP20012437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JPH0589700A (ja) 高速並列テストの機構
US578148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2150793A (ja) 半導体記憶装置
KR017241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멀티비트 테스트회로
JP3129235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2590701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25950B1 (ko) 빠른 데이터 엑세스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