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945U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945U
KR980007945U KR2019960021701U KR19960021701U KR980007945U KR 980007945 U KR980007945 U KR 980007945U KR 2019960021701 U KR2019960021701 U KR 2019960021701U KR 19960021701 U KR19960021701 U KR 19960021701U KR 980007945 U KR980007945 U KR 9800079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vehicle
mounting structure
plat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1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7945U/ko
Publication of KR980007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94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를 변경시켜 후방 충격의 흡수를 위한 충격흡수 존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가 취부되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저면의 언더 플로어 상면 좌우 양단에 힌지축과 걸림돌기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단이 상기 힌지축 끝단의 힌지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고정장치를 통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 충격시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바뀜에 따라 증대된 크래쉬 존(CRASH ZONE)을 통하여 후방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차량의 트렁크 룸내에서 스페어 타이어의 취부 상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확대도로서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충격(S)이 가해질 경우 상기 충격(S)은 스페어 타이어(14)의 수납부 전후방 소정 지점의 에너지 흡수 가능부(A)를 통과한 후, 차량의 실내쪽으로 유입되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것은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있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14)가 소정의 공간을 갖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내에서 고정장치(16)에 의하여 일정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만큼 충격흡수 존(zone)이 줄게 됨에 따라 차량의 후방으로부터의 충격(S)이 실내쪽으로 유입되어 차량 자체의 파손은 물론,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를 변경시켜 후방 충격의 흡수를 위한 충격흡수 존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페어 타이어가 취부되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저면의 언더 플로어 상면 좌우 양단에 힌지축과 걸림돌기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단이 상기 힌지축 끝단의 힌지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고정장치를 통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가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 차량의 트렁크 룸내에서 스페어 타이어의 취부 상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충격 E:에너지 흡수 가능부
50:언더 플로어(under floor) 51:걸림돌기
52:힌지 축 54:스페어 타이어,
56:고정장치 58:힌지
60:플레이트(plate) 60a:걸림턱
C:크레쉬 존(CRASH ZON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54)가 취부되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저면의 언더 플로어(50) 상면 좌우 양단에 힌지축(52)과 걸림돌기(5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단이 상기 힌지축(52) 끝단의 힌지(58)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51)에 걸리도록 걸림턱(60a)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고정장치(56)를 통하여 스페어 타이어(54)를 상기 플레이트(6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충격(S)이 없는 보통 상태에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54)는 고정장치(56)에 의하여 플레이트(60)의 중앙부에 고정이 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60의 일측단은 상기 힌지축(52) 끝단의 힌지(58)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5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스페어 타이어(54)가 고정된 플레이트(60)는 중앙부가 언더 플로어(50)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후방 충돌과 같이 후방으로부터 충격(S)이 가해질 경우, 상기 언더 플로어(50) 상면의 걸림돌기(51)에 걸려 있던 걸림턱(60a)이 이탈되면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54)가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60)는 힌지(58)의 작용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젖혀지면서 그 위치상태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제3도의 크레쉬 존(C) 부위만큼 충격(S)을 흡수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됨으로서, 후방으로부터의 충격(S)이 차량의 실내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크레쉬 존(C)에서 흡수하여 줌으로써, 차량 자체의 파손은 물론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 충격시 상기 범위가 확대된 크레쉬 존에 의하여 충격흡수 존(zone)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 자체의 파손은 물론, 차량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페어 타이어(54)가 취부되는 스페어 타이어 수납부 저면의 언더 플로어(50) 상면 좌우 양단에 힌지축(52)과 걸림돌기(51)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단이 상기 힌지축(52) 끝단의 힌지(58)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걸림돌기(51)에 걸리도록 걸림턱(60a)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고정장치(56)를 통하여 스페어 타이어(54)를 상기 플레이트(6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1701U 1996-07-23 1996-07-23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KR9800079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701U KR980007945U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701U KR980007945U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945U true KR980007945U (ko) 1998-04-30

Family

ID=5397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701U KR980007945U (ko) 1996-07-23 1996-07-23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79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0050B2 (ja) 衝撃吸収装置
JPH09226496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427248B1 (ko) 자동차 리어 범퍼용 백 비임
KR980007945U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취부구조
KR950003309Y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100224393B1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KR100265687B1 (ko) 차량 실내 충격 흡수용 브래킷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2682Y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멤버 보강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100187842B1 (ko) 차량용 임팩트바의 취부구조
KR0151331B1 (ko) 충돌 에너지 흡수형 필러 트림 구조
KR10057945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980007944U (ko) 자동차의 후방충격 감소를 위한 스페어 타이어 펑크장치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38285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KR19980027174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9980045924U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60054U (ko) 화물차의 프론트크로스멤버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