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97A -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97A
KR19990018797A KR1019970042032A KR19970042032A KR19990018797A KR 19990018797 A KR19990018797 A KR 19990018797A KR 1019970042032 A KR1019970042032 A KR 1019970042032A KR 19970042032 A KR19970042032 A KR 19970042032A KR 19990018797 A KR19990018797 A KR 1999001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vehicle body
bumper stay
vertical
impac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2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797A/ko
Publication of KR1999001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97A/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업소버 및 임팩트 빔은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범퍼 수테이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28)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30)이 개재되며,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 사이에 삽입되어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차체(36)에 고정되는 브라켓(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BUMPER STAY AN AUTOMOB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업소버 및 임팩트 빔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대별하여 보면 차체(Body)와 새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사람의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승객룸과, 엔진이 설치된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하는 트렁크 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차체는 구성 위치에 따라 앞차체와 중간차체 및 뒤차체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차체는 대시패널 등의 내판부분과, 기관실을 덮고 있는 후드와 같은 외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뒤차체에는 트렁크가 배치된다.
차량에는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앞차체를 구성하는 후드 및 기관실에 장착된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범퍼(Front Bumper)가 장착되어 있으며, 동일한 목적의 리어 범퍼(Rear Bumper)가 뒤차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임팩트 빔과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범퍼 페시아(2)와, 충돌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4)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막아 차체를 보호하는 임팩트 빔(Impact Beam)(6)과, 차체(7)에 범퍼(10)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범퍼 스테이(Bumper Stay)(8)로 구성된다. 이들의 조립 상태를 보면, 통상의 체결요소에 의해 범퍼 스테이(8)는 차체(7)에 고정되며, 이 범퍼 스테이(8)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임팩트 빔(6)과 에너지 업소버(4) 및 범퍼 페시아(2)가 차례로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범퍼 스테이를 사용하여 범퍼를 차체에 고정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범퍼 스테이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전면충돌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돌에너지가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 및 임팩트 빔(Impact Beam)을 통하여 범퍼 스테이로 전달되는데, 임팩트 빔과 차체사이에 개제된 범퍼 스테이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너지 업소버 및 임팩트 빔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임팩트 빔과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차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임팩트 빔과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범퍼 페시아 22 : 에너지 업소버
24 : 임팩트 빔 26 : 범퍼
28 : 수직격판 30 : 충진폼
32 : 범퍼 스테이 34 : 브라켓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과 수직격판의 사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이 개재되며, 수직격판과 수직격판 사이에 삽입되어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차체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가 임팩트 빔과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설명하면 범퍼 페시아(20)와, 충돌시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Energy Absorber)(22)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막아 차체를 보호하는 임팩트 빔(Impact Beam)(24)으로 구성된 범퍼(26)가 구비된다.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28)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3[))이 개재된 범퍼 스테이(32)가 구비된다. 이 범퍼 스테이(32)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일래스토머(Polyester Elastome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범퍼 스테이(32)의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브라켓(34)이 개재되며, 이 브라켓(34)의 상단과 하단은 범퍼 스테이(32)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브라켓(34)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차체(36)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법퍼 스테이가 차체에 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임팩트 빔(24)에 범퍼 스테이(32)의 일측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범퍼 스테이(32)를 임팩트 빔(24)에 고정한다. 범퍼 스테이(32)가 임팩트 빔(24)에 고정되면, 범퍼 스테이(32)의 상단과 하단으로 돌출구성된 브라켓(34)을 차체(36)에 밀착고정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34)을 차체(36)에 고정한다. 체결볼트에 의하여 브라켓(34)이 차체(36)에 고정됨 따라 범퍼 스테이(32)의 일측이 차체(36)에 밀착된다.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28)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30)이 개재된 범퍼 스테이(32)가 임팩트 빔(24)과 차체(36)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범퍼 스테이(32)가 변형되지 않는다. 즉, 한쌍의 수직격판(28)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범퍼 스테이(3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개재된 충진폼(30)이 에너지 업소버(22) 및 임팩트 빔(24)을 통하여 범퍼 스테이(32)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범퍼 스테이(32)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는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과 수직격판의 사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이 개재된 범퍼 스테이를 구비하여 에너지 업소버 및 임팩트 빔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임팩트 빔을 차체에 고정하는 범퍼 스테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측에 한쌍의 수직격판(28)에 의하여 구획되고, 이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의 사이에 외부에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폼(30)이 개재되며, 수직격판(28)과 수직격판(28) 사이에 삽입되어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차체(36)에 고정되는 브라켓(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019970042032A 1997-08-28 1997-08-28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90018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032A KR19990018797A (ko) 1997-08-28 1997-08-28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032A KR19990018797A (ko) 1997-08-28 1997-08-28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97A true KR19990018797A (ko) 1999-03-15

Family

ID=6603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032A KR19990018797A (ko) 1997-08-28 1997-08-28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3A (ko) * 2017-12-27 2019-07-05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3A (ko) * 2017-12-27 2019-07-05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9990018797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43336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00232472B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200162921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200189169Y1 (ko) 차량용 센터필러 구조
KR0135198Y1 (ko) 차량의 범퍼 보강구조
KR200145814Y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장치
KR2001971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19980044378U (ko) 충격흡수기능을 구비한 자동차용 범퍼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920007911Y1 (ko) 차량 이중 범퍼장치
KR200147650Y1 (ko) 자동차용 리어범퍼
KR19980043200U (ko) 자동차용 범퍼 임팩트 빔 보강구조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19990025371U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장착구조
KR19980048194U (ko) 자동차의 프론트 팬더 사이드보강재 강성구조
KR19980016517A (ko) 자동차용 범퍼
KR19990025949A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49862U (ko) 차량 범퍼용 알루미늄 빔
KR19990065571A (ko) 차량의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