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451B1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451B1
KR100579451B1 KR1020040011292A KR20040011292A KR100579451B1 KR 100579451 B1 KR100579451 B1 KR 100579451B1 KR 1020040011292 A KR1020040011292 A KR 1020040011292A KR 20040011292 A KR20040011292 A KR 20040011292A KR 100579451 B1 KR100579451 B1 KR 100579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bag
housing
cushion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738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4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6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complete outf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025/1492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bra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사고시 쿠션의 전개압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개방되는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은 상기 에어백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간 부위가 절곡된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테어 라인(tear line)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연결부로 구성되므로, 상기 에어백 도어가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쿠션의 초기 전개력을 흡수함과 아울러 승객이 안전한 위치로 이동 후 개방되어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시 에어백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충격이 저감되어 승객이 입는 상해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조수석 에어백 장치, 에어백 하우징, 쿠션, 에어백 도어, 도어 고정 브래킷, 테어 라인(tear line), 전개력, OOP(Out Of Position) 성능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assenger air bag system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2 : 인스트루먼트 패널 104 : 카울 크로스 멤버
110 : 에어백 하우징 112 : 쿠션 하우징
114 : 캔 하우징 120 : 인플레이터
130 : 쿠션 140 : 리테이너
150 : 에어백 도어 160 : 도어 고정 브래킷
162 : 도어 고정부 164 : 하우징 고정부
166 : 연결부 168 : 테어 라인(tear line)
170 :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 180 :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도어에 의해 쿠션의 초기 전개력이 흡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의 개방 충격에 의한 승객의 상해치가 저감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쿠션이 팽창되면서 운전자 및 승객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에어백 장치는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운전자용 에어백 장치는 필수사양이고, 상기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선택사양이지만, 최근에는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 및 카울 크로스 멤버(4)에 설치된 에어백 하우징(1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2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내부에 다수회 접힌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20)의 가스 압력에 의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3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상기 쿠션(30)을 지지하는 리테이너(4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쿠션(30)의 전개력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을 형성하는 에어백 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은 상기 에어백 도어(50)가 전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쿠션(30)이 수납된 쿠션 하우징(12)과,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20)가 내측에 설치된 캔 하우징(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 하우징(12)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다수개의 후크(16)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6)는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후크홀(52)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전면에 에어백 도어(5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캔 하우징(14)은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후면에 연통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4)에 마운팅 브래킷(6)을 사용하여 볼트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마운팅 브래킷(6)은 일단이 상기 캔 하우징(14)의 측면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은 카울 크로스 멤버(4)의 외주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도어(50)는 조수석 전방에 구비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개구부(미도시)에 장착되고, 전면 일측에는 쿠션(30)의 전개압에 의해 파단이 용이하도록 파단 라인(5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인플레이터(20)가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게 되면, 상기 인플레이터(20)의 가스는 캔 하우징(14)을 따라 확산되면서 상기 쿠션(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쿠션(30)은 고압의 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쿠션 하우징(12)의 개방된 전면으로 팽창되고, 팽창되는 쿠션(30)의 전개력에 의해 상기 에어백 도어(50)의 파단 라인(54)이 파단되면서 상기 쿠션(30)은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전방으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쿠션(30)은 차량의 충돌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상기 인플레이터(20)의 초기 가스압력에 의해 쿠션(30)이 전개되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50)를 개방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쿠션(30)에 의해 인플레이터(20)의 가스압력이 상기 에어백 도어(5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와 같은 상기 쿠션(30)의 초기 전개력에 의해 상기 에어백 도어(50)가 파단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승객이 비정상적인 자세(OOP)로 조수석에 착석하고 있게 되면, 파단되는 에어백 도어(50)의 개방 충격이 승객에게 직접 전달되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도어에 작용되는 쿠션의 초기 전개압이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충격이 저감되고, 특히 비정상적인 자세로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에 대한 상해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사고시 쿠션의 전개압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개방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은 상기 에어백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간 부위가 절곡된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테어 라인(tear line)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며,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2 내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2) 및 카울 크로스 멤버(104)에 설치된 에어백 하우징(11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12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의 내부에 다수회 접힌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20)의 가스 압력에 의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13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상기 쿠션(130)을 지지하는 리테이너(14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쿠션(130)의 전개력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2)의 일면을 형성하는 에어백 도어(150)와, 상기 에어백 도어(150)와 에어백 하우징(110)에 양단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쿠션(130)의 전개시 테어 라인(tear line, 168)을 따라 절개됨과 동시에 절곡된 부위가 펴지면서 상기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을 흡수하는 도어 고정 브래킷(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쿠션(130)이 수납된 쿠션 하우징(112)과,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120)가 내측에 설치된 캔 하우징(1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 하우징(112)은 전면에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에 의해 에어백 도어(150)가 고정되는 바, 상기 쿠션 하우징(112)과 에어백 도어(150)의 상측에는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110)과 에어백 도어(150)의 하측에는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180)이 배치된다.
상기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과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180)은 쿠션 하우징(112)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좌우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에어백 도어(150)의 배면에 장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캔 하우징(114)은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후면에 연통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4)에 마운팅 브래킷(106)을 사용하여 볼트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런 마운팅 브래킷(106)은 일단이 상기 캔 하우징(114)의 측면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은 카울 크로스 멤버(104)의 외주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은 상기 에어백 도어(150)의 배면에 장착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62)와,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측면에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164)와, 상기 도어 고정부(162)와 하우징 고정부(164) 사이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에 의해 절개되는 테어 라인(168)이 구비된 연결부(1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은 절곡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양끝 단에 도어 고정부(162) 및 하우징 고정부(164)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고정부(162) 및 하우징 고정부(164)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중간에 연결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고정부(162) 및 하우징 고정부(164)는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바, 상기 쿠션 하우징(112)과 에어백 도어(150)에 용접 및 볼트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66)는 도어 고정부(162)와 하우징 고정부(164)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간 부위가 절곡 형성된 제 1 연결부(166A)와, 상기 제 1 연결부(166A)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테어 라인(tear line)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고정부(162)와 하우징 고정부(164)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연결부(166B)로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결부(166A)의 양측부에 제 2 연결부(166B)가 각각 배치되어 테어 라인(168)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연결부(166B)는 하우징 고정부(164)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도어 고정부(162)에 타단이 분리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부(166A)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164)에 일단이 연결됨과 아울러 도어 고정부(162)에 타단이 연결되고, 중간 부위가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테어 라인(168)은 절개홀(168A)이 선형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것으로서, 절개홀(168A)의 크기, 절개홀(168A) 사이의 간격, 절개홀(168)의 형상 등과 같은 테어 라인(168)의 패턴에 의해 절개력에 차이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테어 라인(168)은 상기 연결부(166)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테어 라인(168)의 절개시 도어 고정부(162)에서 하우징 고정부(164)로 갈수록 절개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도어 고정부(162)에서 하우징 고정부(164)로 갈수록 상기 절개홀(168A)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166B)는 상기 제 1 연결부(166A)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테어 라인(168)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 1 연결부(166A)와 동일하게 중간 부위가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 2 연결부(166B)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164)에 연결되나 타단은 상기 도어 고정부(162)와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에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이 작용됨에 따라 상기 테어 라인(168)은 도어 고정부(162)와 제 2 연결부(166B)의 타단에서부터 절개되면서 상기 쿠션(130)의 전개압을 흡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연결부(166A)는 상기 테어 라인(168)이 절개됨에 따라 절곡된 중간 부위가 전방으로 펴지면서 상기 쿠션(130)의 전개압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180)은 상기 연결부(166)의 일단 및 상기 하우징 고정부(164)와의 사이에 폭 방향으로 테어 라인(182)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 고정부(164)와 연결부(166)의 테어 라인(182)은 상기 쿠션(130)의 전개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작용되면, 절개되면서 하우징 고정부(164)와 제 1 연결부(166A)를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도어(150)는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에 의해서만 상기 쿠션 하우징(112)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상기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전면을 개방하게 되고, 상기 쿠션(130)은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의 전면으로 완전하게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충돌 사고시 인플레이터(120)가 폭발되면서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가스는 에어백 하우징(110)을 따라 쿠션(130)으로 유입되어 상기 쿠션(130)을 전개시키게 된다.
상기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은 에어백 도어(150)의 배면에 작용하게 되나, 상기 에어백 도어(150)는 도어 고정 브래킷(16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쿠션(130)의 전개를 억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130)의 전개력에 의해 상기 에어백 도어(150) 방향으로 인장응력을 받게 되고, 이런 인장응력이 테어 라인(168)의 절개력 보다 높게 되면 상기 도어 고정부(162)와 연결부(166)가 연결된 부위로부터 테어 라인(168)을 따라 절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66)가 테어 라인(168)을 따라 절개되기 시작하면, 상기 연결부(166) 중 제 1 연결부(166A)는 상기 도어 고정부(162)를 따라 전방으로 변형되면서 절곡된 부위가 펴지게 되고, 반면에 상기 연결부(166) 중 제 2 연결부(166B)는 상기 도어 고정부(162)와 분리되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은 상기 테어 라인(168)의 절개력 및 상기 제 1 연결부(166A)의 절곡력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이 흡수되어 상기 쿠션(130)의 전개가 억제되고, 상기 제 1 연결부(166A)가 전방으로 펴지짐에 따라 에어백 도어(150)와 쿠션 하우징(1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 도어(150)에 의해 전방으로 전개가 억제된 쿠션(130)의 전개압은 에어백 도어(150)와 에어백 하우징(110)의 공간으로 분산되고, 그로 인해 상기 쿠션(130)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전개가 이루어져 전면이 넓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어 라인(168)이 완전히 절개되고 절곡된 부위도 완전히 펴지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160)은 더 이상 쿠션(130)의 전개압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작용되는 인장응력이 상승되고, 특히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전개되는 쿠션(130)에 의해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 및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180)은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전개력을 받게된다.
이때, 상기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180)은 하우징 고정부(164)와 연결부(166) 사이에 테어 라인(182)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 고정부(164)와 연결부(166)는 테어 라인(182)을 따라 절단되어 완전히 분리된다.
반면에,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은 하우징 고정부(164)와 연결부(166) 사이에 테어 라인이 구비되지 않아 상기 에어백 도어(150)와 쿠션 하우징(112)의 상측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에어백 도어(150)는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170)에 의해 상기 쿠션 하우징(112)과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쿠션 하우징(112)의 전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도어(150)가 개방되면, 상기 쿠션(130)은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도어(150)가 쿠션(130)의 초기 전개압을 흡수한 후 개방되므로 상기 인플레이터(120)로부터 발생된 가스의 초기 압력은 승객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승객이 에어백 도어(150)의 개방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에어백 도어(15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도어가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쿠션의 초기 전개력을 흡수함과 아울러 승객이 안전한 위 치로 이동 후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시 에어백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충격이 저감되어 승객이 입는 상해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시 에어백 도어에 의해 쿠션의 전방 전개가 억제되므로, 상기 쿠션의 전개압은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도어의 개방된 사이공간으로 분산되어 상기 쿠션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전개되고, 상기 쿠션은 전면이 넓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도어가 개방되면 전개됨으로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쿠션의 전방 전개력이 흡수 및 분산되면,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시 비정상적인 자세(OOP)로 조수석에 착석한 승객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어 OOP 성능이 향상되고, 따라서 에어백 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에 형성된 테어 라인의 패턴을 변경함으로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흡수되는 쿠션의 전개압이 간편하게 조절되고, 특히 다양한 용량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에어백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에 도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사고시 쿠션의 전개압에 의해 에어백 도어가 개방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고정 브래킷은 상기 에어백 도어에 장착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장착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와;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에 양단이 연결되고 중간 부위가 절곡된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테어 라인(tear line)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 고정부와 하우징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중간 부위는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어 라인은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홀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어 라인은 상기 도어 고정부에서 하우징 고정부로 갈수록 절개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절개홀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7.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는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백 도어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측에는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도어 고정 브래킷과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은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다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도어 고정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와 연결된 제 1,2 연결부의 일단에 폭 방향으로 테어 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0040011292A 2004-02-20 2004-02-20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79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292A KR100579451B1 (ko) 2004-02-20 2004-02-20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292A KR100579451B1 (ko) 2004-02-20 2004-02-20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38A KR20050082738A (ko) 2005-08-24
KR100579451B1 true KR100579451B1 (ko) 2006-05-15

Family

ID=3726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292A KR100579451B1 (ko) 2004-02-20 2004-02-20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4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38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EP2319734B1 (en) A Safety Arrangement
JP5983663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7106403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ーバックガイドプレート
US8672349B2 (en) Airbag
JP4395172B2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EP1431131B1 (en) Vehicle with occupant&#39;s leg protection system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JP6185653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137075B2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KR10057945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3500915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2006151139A (ja) 乗員保護装置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JP4529325B2 (ja) 車両乗員保護装置
KR20110027418A (ko) 커튼에어백 장치
KR100802691B1 (ko) 자동차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구조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20050082739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20220052170A (ko) 외장 에어백 장치
KR100559894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KR100938530B1 (ko) 무릎 에어백
KR20060016405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