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405A -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405A
KR20060016405A KR1020040064827A KR20040064827A KR20060016405A KR 20060016405 A KR20060016405 A KR 20060016405A KR 1020040064827 A KR1020040064827 A KR 1020040064827A KR 20040064827 A KR20040064827 A KR 20040064827A KR 20060016405 A KR20060016405 A KR 2006001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cowl
installation structure
instrument panel
cro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6405A/ko
Publication of KR2006001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결합되고 카울 브래킷을 통해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됨으로써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카울 브래킷의 결합부위가 상하로 긴 슬롯으로 이루어지되,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만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병목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헤드 임팩트시 상기 카울 브래킷이 변형되지 않고서도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어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
조수석 에어백, PAB, 인스트루먼트 패널, 카울 크로스 멤버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ir-Bag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에어백 모듈 52 : 인스트루먼트 브래킷
54 : 카울 브래킷 55 : 슬롯
55c : 병목부 56 : 체결부재
60 : 인스트루먼트 패널 62 : 카울 크로스 멤버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 실내로부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에어백 모듈이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A)은 에어백 하우징(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전개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수납되어 전개가스가 공급되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되는 쿠션(6) 등으로 이루어져서,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에 의해 차 실내의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A)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상부가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하부가 상기 엔진 룸 측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는 상기 쿠션(6)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져서 상기 쿠션(6)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될 수 있게 하는 테어 라인(미도시) 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A)의 설치구조는,상기 에어백 모듈(A)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을 견실하게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쿠션(6)이 전개되지 않는 조건에서 차 실내의 탑승자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강하게 부딪친 경우, 즉 헤드 임팩트(Head-Impact) 발생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지지강도가 커서 탑승자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에어백 모듈(A)을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결합시키는 브래킷(14)을 헤드 임팩트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상기 에어백 모듈(A)의 지지강도가 약해지는 상반된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해 지지되되, 헤드 임팩트 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의 결합부위는 상기 에어백 모듈이 카울 크로스 멤버를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이 가능토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50)의 상부가 인스트루먼트 패널 브래킷(52)을 통해 차 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60)과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하부가 카울 브래킷(54)을 통해 엔진룸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62)와 결합되되,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화살표 F)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카울 크로스 멤버(6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울 브래킷(54)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62)와 체결부재(56)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56)가 끼워지는 홀 형태의 결합부위가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하로 긴 슬롯(55)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만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6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55)에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력 작용 전,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에어백 모듈(50)이 카울 크로스 멤버(62)와 조립될 때 상기 체결부재(56)가 끼워진 슬롯(55)의 일부위(55a)와 상기 슬롯(55)의 나머지 부위(55b) 사이에 병목부(55c)가 구비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모듈(50)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브래킷(52)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60)과 결합되고, 상기 카울 브래킷(54)을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62)와 결합됨으로써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급정거 또는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충돌사고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강하게 부딪칠 경우, 즉 헤드 임팩트(Head impact)가 발생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작용한 외력에 의해 상기 슬롯(55)의 병목부(55c)가 상기 체결부재(56)에 의해 확장 변형되어 상기 체결부재(56)가 상기 슬롯(55)의 병목부(55c)를 지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6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작용한 외력이 흡수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부딪친 탑승자의 충격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 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결합되고 카울 브래킷을 통해 카울 크로스 멤버와 결합됨으로써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카울 브래킷의 결합부위가 상하로 긴 슬롯으로 이루어지되,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만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되도록 상기 슬롯에 병목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헤드 임팩트시 상기 카울 브래킷이 변형되지 않고서도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흡수될 수 있어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카울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카울 브래킷의 결합부위는 상기 에어백 모듈이 카울 크로스 멤버를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의 유동이 가능토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력 작용 전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진 슬롯의 일부위와 상기 슬롯의 나머지 부위 사이에 구비된 병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20040064827A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20060016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7A KR20060016405A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7A KR20060016405A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5A true KR20060016405A (ko) 2006-02-22

Family

ID=3712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27A KR20060016405A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64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03B1 (ko) * 2007-10-24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체결장치
US10023224B2 (en) 2015-08-27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Cowl cross member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03B1 (ko) * 2007-10-24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체결장치
US10023224B2 (en) 2015-08-27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Cowl cross membe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12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US7854448B2 (en) Airbag arrangement
US6286858B1 (en) Energy absorbing air bag module
EP1481857A1 (en) Occupant knee part protective device for vehicle
KR20060016405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990614B1 (ko) 커튼에어백용 마운팅 브래킷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CN112292291A (zh) 具有安全气囊模块的车辆乘员保护系统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0563831B1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0529145B1 (ko)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20090050243A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78818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KR20060016402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20090110425A (ko) 무릎 에어백 모듈
JPH05270340A (ja) エアバッグ構造
KR101294949B1 (ko) 에어백
KR100534381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부착구조
KR10057945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060016400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0547172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