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831B1 -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831B1
KR100563831B1 KR1020040064823A KR20040064823A KR100563831B1 KR 100563831 B1 KR100563831 B1 KR 100563831B1 KR 1020040064823 A KR1020040064823 A KR 1020040064823A KR 20040064823 A KR20040064823 A KR 20040064823A KR 100563831 B1 KR100563831 B1 KR 10056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irbag module
cross member
cowl cross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401A (ko
Inventor
권해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8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고,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 제1브래킷이 결합되며, 제1브래킷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유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2브래킷과 연결되고, 상기 제2브래킷에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형성된 노치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카울 크로스 멤버 사이에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 임펙트시 에어백 모듈이 유동됨으로써 충격에너지가 흡수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조수석 에어백, PAB, 인스트루먼트 패널, 카울 크로스 멤버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ir-Bag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에어백 모듈 60 : 인스트루먼트 패널
70 : 카울 크로스 멤버 80 : 제1브래킷
82 : 제2브래킷 86 : 스토퍼
86a : 노치 86b : 돌기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 실내로부터 인 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에어백 모듈이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A)은 에어백 하우징(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전개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수납되어 전개가스가 공급되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되는 쿠션(6) 등으로 이루어져서,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에 의해 차 실내의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A)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상부가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하부가 상기 엔진 룸 측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는 상기 쿠션(6)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져서 상기 쿠션(6)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될 수 있게 하는 테어 라인(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A)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A)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을 견실하게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쿠션(6)이 전개되지 않는 조건에서 차 실내의 탑승자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강하게 부딪친 경우, 즉 헤드 임팩트(Head-Impact) 발생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지지강도가 커서 탑승자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의해 지지되되, 헤드 임팩트 발생시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차실과 엔진룸을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측이 결합된 에어백 모듈과;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연결되고, 엔진룸에 구비된 카울 크로스 멤버의 둘레를 따라 유동 가능토록 설치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2브래킷이 유동되도록, 상기 제2브래킷을 카울 크로스 멤버에 구속시키는 스토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50)의 일측이 차 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타측이 엔진룸에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의해 지지되되, 차 실내로부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일측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하우징(52)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볼트(B) 체결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타측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타측에 제1브래킷(80)이 결합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될 수 있는 제2브래킷(82)이 결합되며, 상기 제1,2브래킷(80,82)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8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제2브래킷(82)에 작용하는 외력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브래킷(82)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래킷(82)을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구속시키는 스토퍼(8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브래킷(82)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와 결합된 본체부(82a)와, 상기 본체부(82a)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수단(84)에 의해 상기 제1브래킷(80)과 체결되는 체결부(8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브래킷(82)의 본체부(82a)는 패널이 일정 곡률로 말아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원형 부위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짐으로써,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유동될 때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항상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2브래킷(82)의 본체부(82a)는 횡단면이 링형일 수도 있지만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링형에서 일부 절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2브래킷(82)의 본체부(82a)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될 때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원형 부위의 둘레 중 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86)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외측에 형성된 노치(86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래킷(82)의 본체부(82a)에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를 향해 돌출된 돌기(8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퍼(86)의 돌기(86b)는 상기 제2브래킷(82)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에 형성된 노치(86a)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래킷(82)의 본체부(82a)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86)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모듈(50)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과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2브래킷(80,82)을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70)와 결합됨으로써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급정거 또는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충돌사고 등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강하게 부딪칠 수 있다. 즉 헤드 임팩트(Head impact)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작용된 외력(화살표 F)이 상기 에어백 모듈(50) 및 제1브래킷(80)을 통해 상기 제2브래킷(82)에 전달되면, 상기 스토퍼(86)의 돌기(86b)가 노치(86a)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제2브래킷(82)이 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이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외력이 흡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고,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 제1브래킷이 결합되며, 제1브래킷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유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2브래킷과 연결되고, 상기 제2브래킷에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형성된 노치에 삽입되는 돌기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카울 크로스 멤버 사이에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 임펙트시 에어백 모듈이 유동됨으로써 충격에너지가 흡수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실과 엔진룸을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측이 결합된 에어백 모듈과;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과 연결되고, 엔진룸에 구비된 카울 크로스 멤버의 둘레를 따라 유동 가능토록 설치된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2브래킷이 유동되도록, 상기 제2브래킷을 카울 크로스 멤버에 구속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원형 부위의 외측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브래킷과 체결된 체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형성된 노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래킷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20040064823A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056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3A KR100563831B1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23A KR100563831B1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1A KR20060016401A (ko) 2006-02-22
KR100563831B1 true KR100563831B1 (ko) 2006-03-28

Family

ID=3712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23A KR100563831B1 (ko) 2004-08-17 2004-08-17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8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01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12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US10870408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8047564B2 (en) Airbag
KR101916007B1 (ko) 파-사이드 에어백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US7854448B2 (en) Airbag arrangement
US20110074141A1 (en) Airbag module
US8672349B2 (en) Airbag
JP2008037281A (ja) シート取付乗員拘束装置
US7641224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including an airbag
GB2349616A (en) Vehicle having a roof mounted inflatable cushion
JP44468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10787145B2 (en) Airba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irbag cushion for an airbag device
US7703797B2 (en) Mounting bracket for rail mounted airbag inflator
JP2007030786A (ja) ロールオーバ保護装置
JP4811169B2 (ja) 車体構造
US8100433B2 (en) Knee-restraining airbag device
JP201023504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63831B1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783933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모듈의 설치구조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20090082648A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구조
KR20060016405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JP5131982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