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76B1 -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76B1
KR970011476B1 KR1019900017444A KR900017444A KR970011476B1 KR 970011476 B1 KR970011476 B1 KR 970011476B1 KR 1019900017444 A KR1019900017444 A KR 1019900017444A KR 900017444 A KR900017444 A KR 900017444A KR 970011476 B1 KR970011476 B1 KR 97001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holder
pencil
supply device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510A (ko
Inventor
이사무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구찌 히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구찌 히로아끼 filed Critical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1Desk sets
    • B43M99/007Stands for pens with tubular or porous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1/00Writing implement receptacles functioning as, or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s
    • B43K31/005Distributors for leads, cartridges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43L13/02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automatic
    • B43L13/024Drawing hea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제1도는 자동급심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유닛호울더, 필기구 공급장치 및 주사선 헤드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적 외관도.
제3도는 자동급심장치의 전체외관도.
제4도는 유닛호울더의 외관도.
제5도는 노크동작을 나타낸 외관도.
제6도는 노크동작을 나타낸 외관도.
제7도는 심을 꺽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심을 밀어 넣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설명적 평면도.
제10도는 본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제11도는 본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제12도는 본 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3도는 서터판의 동작을 나타낸 외관도.
제14도는 센서부착판과 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
제15도는 유닛호울더의 외관도.
제16도는 유닛호울더의 측면도.
제17도는 유닛호울더의 정면도.
제18도는 펜슬호울더의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주사선헤드12 : 펜슬호울더
16 : 필기구 공급장치30, 68 : 필기구 보유수단
66 : 유닛호울더32 : 급심탱크 공급장치
106 : 심 탱크.
본 발명은 주사선헤드와 기계몸체측에 설치한 필기구 공급장치(stoker)의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의 교환을 자동적으로 할수 있도록 한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공급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특개 평 1-78899호 공보에는, 필기구 공급장치에 심탱크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 심탱크안의 필기심을 서터기구를 개폐함에 따라 1개씩 낙하시켜서 필기구 공급장치에 보유된 펜슬호울더에 필기심을 공급하는 자동급심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 헤이 2-29399호 공보에는 펜슬호울더에 여러개의 필기심을 내장시켜 필기구 공급장치가 보유하는 펜슬호울더를 슬라이딩부재로 들어내어 다른 위치에 이동시켜서 펜슬호울더에 노크동작을 부여하는 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여러개의 필기심을 펜슬호울더에 내장시키는 구성의 것은 펜슬호울더가 대형화하여 중량이 무거워지고, 고속작도제어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 필기구 공급장치와 심탱크 등을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은 필기구 공급장치의 펜슬호울더 교환을 위해 작도중에 급심동작을 할수 없다고 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함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은 여러가지 심의 종류의 조합이 가능한 자동급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2)는 용지구동형의 자동제도기의 기계몸체이며, 용지재치판 즉 플라텐(platen)(4)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플라텐(4)의 상방에는 이에 대하여 수평으로 Y레일(도면에 없음)이 가설되었고, 이 Y레일에 주사선 헤드(6)가 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주사선 헤드(6)는 Y레일의 양단의 밸트풀리(belt pulley)에 걸쳐진 무단형상의 강철벨트(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강철벨트(8)는 벨트풀리에 연결되는 Y 모우터(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라텐(4)의 양측에 배치된 구동로울러와 압력로울러로 구성되는 핀치(pinch) 로울러기구에 따라 플라텐(4) 위의 용지가 지지되어, X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로울러의 회전에 따라서 플라텐(4) 위의 용지는 X방향으로 보내진다.
주사선헤드(6)에는 이것에 내장된 펜승강기구에 연관되어 공지의 필기구 보유수단(10)이 설치되었고, 이 보유수단(10)은 공지의 노크식 펜슬호울더(12)를 탈착할 수 있도록 보유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기계몸체(2)에는 급심기구를 장치한 상자형상의 베이스(14)가 고정설치되었고, 이 베이스(14)에는 주사선헤드(6)의 Y 레일에 잇따른 이동단에 위치하여 회전형필기구 공급장치(16)(카루우젤)가 설치되어 있다.
필기구 공급장치(16)의 지지축(18)에 단단히 부착된 하부판체(20)는 판체(24)(제 8 도 참조)에 착탈할수 있도록 연결하였으며, 이 판체(24)는 베이스(14)에 굳게 설치된 감속기 부착모우터(22)의 출력측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하부판체(20)의 주변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식마아크(26)가 설치되었고, 베이스(14)에 배설한 필기구 공급장치용 센서(28)에 의하여 마아크(26)를 판독한 다음, 이에 따라 제어기는 필기구 공급장치(16)의 회전원점위치 및 이 공급장치(16)의 유무를 인식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장치(16)는 그 하부판체(20)의 저부에 천설한 핀구멍을 판체(24)에 돌출설치된 한쌍의 핀에 맞끼움에 따라 공급장치(20)를 판체(24)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연결할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모우터(22)는 마이크로컴퓨터로 되는 제어기에 구동장치를 개재하여 접속하고 있다.
공급장치(16)이 한쌍의 원판에는 일정한 간격마다에 필기구 보유수단(30)이 형성되었고, 각 보유수단(30)에 나중에 설명하는 공지의 노크식 펜슬호울더(12)가 착탈할수 있도록 보유되어 있다.
필기구 보유수단(30) 중의 희망하는 것과, 작도헤드(6)의 필기구 보유수단(10)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12)의 교환을 자동적으로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주사선헤드(6), 공급장치(16) 사이의 필기구 자동교환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고, 또 본원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노크식 펜슬호울더(12)의 구조를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4)는 노크기구, (36)는 심 척(chuck) 기구, (38)은 연필심 변위기구, (40)은 케이스이다.
노크기구(34)는 1개의 연필심(42)을 보유하는 심통로(44)와 나중에 설명하는 심 척기구(36)와 결합하기 위한 노크스프링(46)을 구비하고 있다.
심 척기구(36)는 앞끝이 쪼개진 척부재(48)와 이 척부재(48)에 부착되는 보올(50)와 척 케이스(52) 및 2개의 척 스프링(54), (5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58)은 충격 흡수 스프링이다.
연필심 변위기구(38)는 펜슬호울더(1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일정한 위치에 적당한 마찰력을 지니고 연필심을 보유하는 고무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안쪽 케이스(62)는 심 척기구(36)를 펜슬호울더(12)의 일정한 위치에 위치결정함과 동시에 연필심 변위기구(38)를 고정한다.
연필심 변위기구(38)는 상하로 슬라이드 할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결합스프링(64)으로 결합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심통로(44) 안에 보유된 1개의 연필심(42a)은 심 척기구(36)의 상부에 형성된 깔때기형상부재(66)로 그 심통로내에 꿰어 넣어지게 된다. 이렇게 꿰어 넣어진 연필심(42a)을 여기서는 제 1 연필심(42a)이라 한다.
여기에서 노크기구(34)를 한번 또는 여러번 상하로 즉, 척부재(48)를 개방 및 파악하는 동작을 하게 함에 따라 제 1 연필심(42a)은 심 척기구(36)의 척부재(48)에 파악된다.
이때 제 1 연필심(42a)의 선단은 일반적으로는 연필심 변위기구(38)의 고무링(60)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연필심 변위기구(38)를 상하운동시킴에 따라 제 1 연필심(42a)은 서서히 점차 끌려나오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더욱 상세히 말하면, 이 펜슬호울더의 척기구는 연필심을 파악한 상태에서 연필심을 점차로 끌어내는 방향에는 비교적 약한 보유력을 지니고 또 연필심을 밀어서 되돌아가게 하는 방향에는 매우 강한 보유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필심 변위기구(38)가 윗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제 1 연필심(42a)은 척부재(48)에 파악되어 있으므로 제 1 연필심(42a)은 변위하지 않고 따라서 연필심 변위기구(38)가 제 1 연필심(42a)에 대하여 위치를 변화한다.
이 상태에서 연필심 변위기구(38)가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면, 고무링(38)의 마찰력에 따라 제 1 연필심(42a)이 그 상하 스트로우크만큼 끌어당겨진다.
제 1 연필심(42a)이 펜슬호울더(12)의 선단으로 부터 나오면 기록을 할수 있다.
기록에 따라서 제 1 연필심(42a)이 소모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이 심 척기구(36)를 탈출하면 이미 기록을 할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의 연필심(42a), 즉 나머지 심을 제거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 참고에의 펜슬호울더의 심 척기구(36)는 기록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그 파악하거나 개방하는 동작이 일정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자체의 연필심을 점진적으로 끌어내는 작용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 연필심(42a)이 소모하여 심 척기구(36)를 탈출하고, 제 2 연필심이 각기 뒤를 따라서 쫓게 되어, 심 척기구(36)에 파악된 상태에서 노크기구(34)를 작용케 하였다하여도 제 1 연필심(42a)을 제거할 수는 없다.
여기에서 제 1 연필심(42a)은 연필심 변위기구(38)의 고무링(60)에 일정한 마찰력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금 제 1 연필심(42a)과 제 2 연필심(42b)이 제18도의 상태 즉 제 1 연필심(42a)의 후단에 접한상태에 있다고 한다. 여기에서 연필심 변위기구(38)를 결합스프링(64)에 저항하여, 일정량을 눌려 울린다.
연필심 변위기구(38)의 상승과 함께 그 고무링(60)의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된 제 1 연필심(42a)도 일정량 상승하려하나, 제 1 연필심(42a)의 후단에 접하는 제 2 연필심(42b)이 심 척기구(36)에 파악된 상태에 있으므로 제 1 연필심(42a)은 상승하지 않고 그 위치에 머문다. 그 때문에 제 1 연필심(42a)은 연필심 변위기구(3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출한다.
이 시점에서 연필심 변위기구(38)를 본래의 위치에 되돌아오게 하면 제 1 연필심(42a)의 후단과 제 2 연필시(42b)의 사이에 일정량(연필심 변위기구(38)의 상승 분)의 공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크기구(34)를 눌러서 내린다.
심 척기구(36)는 개방되어 제 1 연필심(42a)의 후단에 접한다. 계속해서 이 2가지의 동작 즉 연필심 변위기구(38)의 눌러울리는 동작과 노크기구(34)의 눌러내리는 동작을 하게 함에 따라 제 1 연필심(42a)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급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66)은 유닛호울더이며, 이것의 앞면에 주사선헤드(6)의 필기구 보유수단(10)과 대략 같은 구조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설치되어 있다. 유닛호울더(66)는 베이스(14)의 상부벽에 고정설치된 안내축(70), (72)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14)에는 안내축(70)의 양단근반에 위치하여 풀리(74), (76)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이 되었으며, 한편의 풀리(76)의 모우터(78)의 출력축에 연결하고 있다.
풀리(74), (76)에는 무단형의 타이밍벨트(80)가 적당량 장력을 갖고 걸쳐졌고, 이 벨트(80)에 유닛호울더(66)가 연결하고 있다.
(82)는 급심탱크 공급장치이고, 그 하부 원판(84)이 베이스(14)에 세워 설치된 상자(86)의 상부벽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판체(88)(제 8 도, 제12도 참조)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있다.
원판(84)의 주변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식마아크(90)가 설치되어, 상자(86)에 배치한 탱크공급장치용 센서(92)에 의하여, 마아크(90)를 판독하고, 이에 따라 제어기는 급심탱크 공급장치(82)의 회전원점 위치 및 급심탱크 공급장치(82)의 유무를 인식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심탱크 공급장치(82)는 그 하부원판(84)의 저부에 천공한 핀 구멍(94), (96)(제12도 참조)을 판체(88)에 돌출 설치된 핀(98), (100)에 끼워 맞춤에 따라서 급심탱크 공급장치(82)를 판체(83)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체(88)에는 기어(102)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102)는 기어전달기구를 개재하여 상자(86)에 고정설치된 모우터(104)의 출력축에 연관하고 있다. 탱크공급장치(82)는 원반(81), (84) 사이에 여러개의 심탱크(106)를 보유하고 있다.
심 탱크(106)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의 필기심(108)를 수납하기 위한 심저장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심저장부(110)의 저부에 구멍이 형성되었고, 이 구멍에 파이프형의 심가이드(112)가 슬라이드하기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심 가이드(112)는 심저장부(110)의 저부에 형성된 심 안내용의 테이퍼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심 가이드(112)에 형성된 칼라의 하면은 압축코일스프링(114)의 탄발력에 의하여 원판(84)의 상면에 탄력접착하고, 이렇게 탄력접착된 상태에서 심 가이드(112)의 하부는 원판(84)의 하면으로부터 일정량 돌출하였으며, 이 심 가이드(112)의 상단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 저장부(110)의 테이퍼형상 저면과 동일한 높이수준에 설정되어 있다.
원판(84)의 하변에는 심 탱크(106) 마다에 서터판(116)이, 원판(84)의 반지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서터판(116)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저부와 경사면을 지닌 요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서터판(116)의 일단에는 돌기(120)가 하향으로 형성되었고, 그 일단 근방에는 서터구멍(122)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서터판(116)은 원판(84)에 설치한 스토퍼에 고정되어 있다.
각 심 탱크(106)의 배열된 원둘레의 바로 밑에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14)의 상부벽에는 아암회전축(124)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되었고, 이 회전축(124)은 베이스(14)내에 고정설치된 모우터(126)의 출력축에 연결하고 있다.
아암회전축(124)의 상단에는 아암(128)이 직각 방향으로 고정되어 이 아암(128)의 상면에 돌출설치된 핀(130)은 필기구 보유수단(63)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심 탱크(106) 하부의 서터판(116)에 대향하고 있다. 서터판(116) 및 아암(126)은 심탱크(106)로부터 1개의 심(108)을 낙하시키기 위한 서터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셔터기구는 여러가지의 구성의 것을 생각할수 있으므로, 특히 도면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32)는 유닛호울더(66)의 상부에 베이스(14)의 상부벽에 수평이고, 안내축(70), (72)에 직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된 상부 노크판이며, 펜슬호울더(12)의 노크기구(34)를 받아넘는 분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노크판(132)은 그 분기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대략 수평위치에서, 후부의 스토퍼부가 유닛호울더(66)의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노크판(132)에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울러(136)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 되어 있다.
로울러(136)의 안내축(70), (72)에 잇따른 이동경로에 위치하여, 상자(86)의 상부벽에는 돌출부(140a), (140b)가 형성된 밀어내림판(148)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4)의 상부벽에 고정설치된 브래킷에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부벽에 수평이고 또한 안내축(70), (72)에 직각인 축선을 중심으로 하부 노크판(142)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146)이 지지되어 있다.
노크판(142)은 펜슬호울더(12)의 연필심 변위기구(38)의 작은 지름부분(38a)을 받아 넣는 분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노크판(142)은 그 분기부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대략 수평위치에서 그 하편에 있어, 그 하면에 브래킷의 스토퍼면에 탄력접촉하고 있다.
노크판(142)의 일단에는 로울러(144)가 유닛호울더(66)의 저부의 테이퍼부(148)(제12도 참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 되어 있다.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의 안내축(70), (72)에 잇따른 이동경로의 하방에 위치하여 베이스(14)의 상부벽에는 나머지 심의 배출구멍(150)(제 3 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152)는 나머지 심의 배출구멍(150) 위를 베이스(14)에 고정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부재(154)에 잇따라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된 센서부착판(제12도 제14도 참조)이며, 이것의 한편의 상승부에 나머지 심의 검출센서(156)가 나머지 심의 배출구멍(150)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센서부착판(152)의 다른 편의 한쌍의 상승부(152a), (152b)은 유닛 호울더의 (66)의 하부 브래킷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된 로울러(158), (160)(제15도 참조)에 스프링(162)의 인장력에 의하여 탄력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심돌출량 조정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162)는 심조정판이며, 베이스(14)의 브래킷에 베이스(14)의 상부벽에 대하여 수평이고, 안내축 (70), (72)에 대하여 직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164), (166)이 지지되어 있다.
심 조정판(162)에는 요부가 형성되었고, 이 요부는 필기구 보유수단(63)의 안내축(70), (72)에 잇따른 이동경로의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다.
심 조정판(162)은 그 스토퍼(162a)가 베이스(14)의 상부벽에 탄력 접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심 조정판(162)의 양측부에는 유닛호울더(66)의 로울러(158), (160)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로울러(168), (17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받침 되어 있다. 요부의 심이 꺾기는 가장자리부분(172)의 하방에 위치하여 베이스(14)의 상부벽에는 나머지 심 배출구멍(174)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176)은 펜슬호울더 유무 검출센서이며, 펜공급장치(16)의 필기구 보유수단(30)의 회전운동경로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모우터 (22), (78), (104), (126) 및 센서(176)는 제어기에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유닛호울더(66)는 급심탱크 공급장치(82)와 필기구 공급장치(16) 사이의 중간의 초기설정위치에 이동하여 이 위치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제어기는 필기구 공급장치(16)의 각 필기구 보유수단(30)이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하고 있는지 않은지의 펜유무검출지령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여(블록 1), 공정이라 판정하였을때, 제어기는 모우터(22)를 구동하고, 필기구 공급장치(16)를 회전시켜, 이 공급장치(16)의 필기구 보유수단(30)을 센서(176)의 앞으로 이동시킨다.
센서(176)는 필기구 보유수단(30)이 이동하여 올때마다, 제어기로부터의 타이밍에서, 대향하는 필기구 보유수단(30)이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제어기에 입력한다(블록 2).
제어기는 센서(17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속의 테이블의 필기구 공급장치(16)의 각 필기구 보유수단(30)에 대응하는 NO, 위치에 펜슬호울더(12), 유무의 신호를 기입한다.
다음에 제어기는 급심지령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여(블록 3), 긍정이라 판단하면 제어기는 모우터(22)를 구동하여 공급장치(16)를 회전하고, 급심하여야 할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하는 필기구 보유수단(30)을 유닛호울더(66)에 대면시킨다.
다음에 제어기는 모우터(78)를 구동하여, 벨트(80)를 회동하고, 이 벨트(80)의 회동에 따라 유닛호울더(66)를 안내축(70), (72)에 잇따라서 필기구 공급장치(1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따라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은, 필기구 공급장치(16)의 필기구 보유수단(30)이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를 파악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가 필기구 공급장치(16)로부터 펜슬 호울더(12)를 잡히는 위치까지 이동하였는지 않았는지 판단한다(블록 4). 예컨대 먼저번의 급심동작에 있어서,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한 상태에서 전원이 오프로 되었을 경우에는 유닛호울더(66)가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한 상태의 그대로에서 급심동작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번의 급심동작을 재개하였을 경우에는 유닛호울더(66)는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한채, 필기구 스토커(16)의 지정된 펜슬호울더(12)를 잡으로 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유닛호울더(66) 측의 펜슬호울더(12)와 필기구 공급장치(16) 축의 펜슬호울더(12)가 충돌하고, 유닛호울더(66)는 제 9 도 중에서, 펜슬호울더 교환위치로부터, 거리(G)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의 설정이동량과 실제의 이동량을 비교하여, 차분(G)을 검출함에 따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기는 블록 4에서 부정임을 판단하고, 이어서, 필기구 공급장치(16) 측에 공백 즉,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필기구 보유수단(30)이 있는지 어떤지 판단한다(블록 8).
부정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제어기는 표시부에서 필기구 공급장치(16) 측에 공백이 없음을 표시하고(블록 11), 이어서 필기구 공급장치(16)를 재설정하던가 어떤가를 판단하여(블록 12), 이어서 필기구 공급장치(16)를 재설정하던가 어떤가를 판단하여(블록 12) 공정임을 판단하였을 경우, 필기구 공급장치(16)를 재설정하여 이 공급장치(16)의 원점 위치설정등의 초기 동작을 실행한다(블록 13).
다음에 제어기는 블록(8)에 이행한다.
제어기는 판단블록(4)에서 공정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필기구 공급장치(16)를 구동제어하여, 이것의 공백의 필기구 보유수단(30)을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에 대면시키고, 이 상태에서, 유닛호울더(66)를 필기구 공급장치(16) 방향으로 구동하여, 유닛호울더(66)가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를 필기구 공급장치(16)에 돌려보낸다(블록 9).
다음에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를 안내축(70), (72)에 잇따라서 필기구 공급장치(16)로부터 일정거리를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하고, 그런 다음에 필기구 공급장치(16)를 회전구동하여, 선택한 필기구 보유수단(30)을 유닛호울더(66)에 대면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를 필기구 공급장치(16)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으로 필기구 공급장치(16)의 선택한 필기구 보유수단(30)이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를 파악시키고 그런 다음에 유닛호울더(66)를 일정량, 안내축 (70), (72)에 잇따라서 공급장치(16)에 대하여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유닛호울더(66)는 필기구 공급장치(16)로부터 선택한 펜슬호울더(30)를 받아서, 이것을 보유한다(블록 10).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선택한 펜슬호울더(12)를 필기구 공급장치(16)로부터 받았다해도 다음에 제어기는 모우터(78)를 구동하여 유닛호울더(66)를 급심탱크공급장치(82)의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더우기, 상기한 유닛호울더의 필기구 보유수단(68)과 필기구 공급장치(16)의 필기구 보유수단(30) 사이의 펜슬호울더(12)의 교환동작은 주사선헤드(6)와 필기구 공급장치(16) 사이의 펜슬호울더 교환동작과 같다.
유닛호울더(66)가 급심동작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어기는 미리 급심탱크 공급장치(82)를 회전제어하여, 여러개의 심탱크(106)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한 심탱크(106)를 상부노크판(132)의 바로 위에 위치시켜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닛호울더(66)가 상부 노크판(132)의 하방의 급심위치까지 이동하면 펜슬호울더(12)의 노크기구(34)가 상부노크판(132)의 부기부에 삽입되어 펜슬호울더(12)의 플랜지(134)가 노크판(132)의 하면에 대향한다.
다음에 제어기는 모우터(126)를 구동하여 아암회전축(124)을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아암(128)의 핀(130)은 서터판(116)을 눌러 움직인다. 서터판(116)이 눌려 움직여지면, 심 가이드(112)가 서터판(116)의 요부(118)의 경사면에 올라가서 상승하고, 그 상단에 심 저장부(110)의 테이퍼상 저부로부터 돌출하여 다른 필기심(108)이 심 가이드(112) 안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서터판(116)이 아암(128)의 눌러 움직이는 힘에 의하여 일정한 고정위치까지 눌러 움직여지면, 서터판(116)의 서터구멍(122)의 심 가이드(112)의 하단과 일치하여, 심가이드(112) 내의 필기심(108)의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낙하하여 펜슬 호울더(12)의 노크기구(34)의 심통로(44) 안으로 낙하한다. 다음에 제어기는 일정범위내에서 유닛호울더(66)를 제12도중,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눌러내리는 판(140)의 돌출부(146a)에 의하여 로울러(136)을 눌러내린다.
이에 따라 상부노크판(132)은 제12도중 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이 노트판(132)의 요동에 의하여 플랜지(134)가 눌러 내리워져서, 펜슬호울더(12)의 심 척기구(36) 내에 필기심(108)이 안내된다.
이에 따라 유닛호울더(66)가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에 심을 눌러넣는 동작이 완료한다.
제어기는 아암(128)은 원위치에 복귀시킴과 동시에 유닛호울더(66)를 급심위치를 넘어서 제12도중 왼쪽방향으로 안내축 (70), (72)에 잇따라서 이동하여 하부노크판(142)의 분기부에 펜슬호울더(12)의 연필심 변위기구(38)의 작은 지름 부분(38a)을 삽입시킨다.
나아가서 유닛호울더(66)를 제12도중,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유닛호울더(66)의 테이퍼부(148)가 로울러(144)에 충돌하여 이것을 눌러내린다. 이 로울러(144)의 하강에 따라, 노크판(142)은 상승하여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의 연필심 변위기구(38)를 눌러올린다.
이 눌러올리는 동작과, 상부노크판(132)의 눌러내리는 동작을 번갈아서, 유닛호울더(66)를 왕복운동시키기를 여러번 실행함에 따라, 펜슬호울더(12) 내의 나머지심을 나머지배출구멍(150)에 낙하시켜, 새로운 심을 펜슬호울더(12)의 선단으로부터 일정량 돌출하게 한다.
나머지심은 나머지심 센서(156)에 의하여 검출되어 제어기에 입력된다. 유닛호울더(66)의 급심위치 및 나머지심 배출위치에의 이동에 따라서 로울러(158), (160)와 센서부착판(152)의 상승부(152a), (152b)의 맞물림에 따라 센서부착판(152)은 유닛호울더(66)와 연동하여 나머지 심배출시 나머지 심 검출센서(156)는 유닛호울더(66)가 보유하는 펜슬호울더(12)의 바로 밑에 항상 위치한다.
이 심 검출센서(156)를 유닛호울더(66)의 이동과 연동시키는 기구는, 센서부착판(152)을 유닛호울더(66)에 맞물려서 서로 연동시키는 구멍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심 검출센서(156)를 설비꺽쇠(157)를 개재하여, 유닛호울더(66)에 직접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를 필기구 공급장치(16)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 조정판(162)의 심 절단부(172)에 펜슬호울더(1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심(108)을 충돌시켜 유닛호울더(66)의 이동력으로 심(108)을 도중에서 꺽어 적정한 돌출길이로 한다.
나아가서 유닛호울더(66)를 필기구 공급장치(16)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펜슬호울더(1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심(108)은 심 조정판(162)의 상면에 이동한다.
이때 유닛호울더(66)의 로울러(158), (160)가 심 조정판(162)의 로울러(168), (170)를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눌러내렸으며, 심 조정판(172)은 축(164)을 중심으로 제 7 도중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여, 펜슬호울더(1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심(108)을 펜슬호울더(12) 내에 눌러올린다.
눌러올리는 동작을 할때 눌러내리는 판(140)의 다른 쪽의 돌출부(140b)가 로울러(136)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로울러(136)를 눌러내리고 있고, 상부노크판(132)에 따라, 플랜지(134)에 대한 눌러내리는 동작이 이루어져서 펜슬호울더(12)의 노크기구(34)는 심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의 동작이 완료하므로서 제어기는 유닛호울더(66)를 필기구 공급장치(16)에 대하여 접근 및 떨어지게 하여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보유하는 급심을 완료한 펜슬호울더(12)를 필기구 공급장치(16)의 원래의 위치에 귀환(블록 6)하고 다음의 처리에 이행한다(블록 7).
조작인이 전원스위치를 오프로 하면(블록 14), 제어기는 판단블록(15)에서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이 펜슬호울더(12)를 보유하고 있는지 어떤지 메모리속의 테이블에 따라 판단하여 긍정이라 판단하였을 경우, 표시부에 있어서 유닛호울더(66)에 펜슬호울더(12)가 있음을 표시하고(블록 16), 다음에 급심동작중인지 어떤지를 판단한다(블록 7).
긍정임을 판단하였을 경우, 표시부에 급심동작중임을 표시하고(블록 18), 급심동작을 완료시킨다(블록 19). 다음에 제어기는 표시부에 펜슬호울더를 되돌려보내는 중임을 표시하고(블록 20). 유닛호울더(66)가 보유하는 급심동작을 완료한 펜슬호울더(12)를 필기구 공급장치(16)의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보낸다(블록 21).
다음에 제어기는 자동제도기 본체의 제어기 및 구동부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이상의 순차에 따라서, 제 9 도에 나타낸 유닛호울더(66)가 필기구 공급장치(16)에 펜슬호울더(12)를 받으러 갈때의 펜슬호울더(12)끼리의 충돌을 방지할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심 탱크(128)는 여러개의 구성의 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또 눌러내리는 판(140), 상부노크판(132), 펜슬호울더(12)의 노크기구(34)는 심을 눌러 넣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나 이 수단은 도면에 나타낸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본국 특개 허이 1-78899호 공보등에 개재되어 있는 공지의 캠을 사용한 심을 눌러 넣는 수단을 이용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기구 공급장치와는 다른 위치에 심탱크가 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구 공급장치가 작동중이라도 심탱크로부터 펜슬호울더에 급심이 가능하다.
또 필기구 공급장치와 심탱크가 별개체이기 때문에 각각의 기계적 구조를 단순하게 할수 있다. 또 심의 종류가 다른 급심탱크 공급장치를 여러개 준비하여 두는 일로서, 여러가지 심의 종류(예컨대 0.5mm의 심의 크기이라거나, 그렇지 않으면 0.3, 0.4, 0.5mm의 심의 크기의 것)의 조합에 의한 급심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급심탱크 공급장치 단독으로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펜슬호울더(12)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보유하기 위한 필기구 보유수단(30)을 여러개 지니고 있고, 기계몸체측에 회전할수 있도록 배설된 필기구 공급장치(16)와 작도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Y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는 주사선 헤드(6) 등을 구비하여 전술한 주사선헤드(6)와 필기구 공급장치(16)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12)의 교환을 할수 있도록 한 자동제어기에 있어서, 기계몸체측에 필기구 공급장치(16)에 대하여 접근 및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유닛호울더(66)를 배치하고, 이 유닛호울더(66)에 펜슬호울더(12)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보유하기 위한 필기구 보유수단(68)를 설치하여 필기구 보유수단(68)과 필기구 공급장치(16)의 임의의 필기구 보유수단(30)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12)의 교환을 할수 있도록 이루어 유닛호울더(66)의 필기구 보유수단(68)의 이동경로의 상방에 여러개의 필기심을 수납한 심탱크(106)를 지닌 급심탱크 공급장치(82)를 배설하고 이 급심탱크 공급장치(82)의 하방에 심 탱크(106) 안의 필기심을 1개씩 낙하시키기 위한 서터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펜슬호울더(12) 내에 낙하한 필기심을 일정위치까지 밀어 넣는 심을 눌러 넣는 수단을 설치하고, 급심탱크 공급장치(82)와 필기구 공급장치(16)를 그것들의 지지부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심장치.
KR1019900017444A 1990-03-28 1990-10-30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KR970011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76948A JP2530928B2 (ja) 1990-03-28 1990-03-28 自動製図機における自動供芯装置
JP2-76948 199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10A KR910016510A (ko) 1991-11-05
KR970011476B1 true KR970011476B1 (ko) 1997-07-11

Family

ID=1361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444A KR970011476B1 (ko) 1990-03-28 1990-10-30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79393A (ko)
JP (1) JP2530928B2 (ko)
KR (1) KR970011476B1 (ko)
DE (1) DE4041476A1 (ko)
FR (1) FR2660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218A (en) * 1989-11-30 1994-02-08 Mutoh Industries, Ltd. Automatic lead feed apparatus in an automatic drafting apparatus
JPH05147391A (ja) * 1991-11-26 1993-06-15 Mutoh Ind Ltd プロツタの自動給芯装置
US5394174A (en) * 1992-02-14 1995-02-28 Calcomp Inc. Actuator mechanism for a pencil carriage
US5333006A (en) * 1992-03-09 1994-07-26 Calcomp Inc. Lead loader mechanism for a pencil plotter
US5298925A (en) * 1992-03-09 1994-03-29 Calcomp Inc. Lead positioner for a pencil plotter
DE10218582A1 (de) * 2002-04-26 2003-11-06 Bayer Ag Zimtsäureamide
CN106394089B (zh) * 2016-11-18 2023-08-01 王厚坤 一种带旋转舔笔置笔架的保湿盒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299A (ja) * 1984-11-14 1986-06-05 富士通株式会社 X―yプロッタのペンホルダ
JPH0739227B2 (ja) * 1987-04-17 1995-05-01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鉛筆ペンを有したプロツタ装置
JP2532592B2 (ja) * 1987-08-21 1996-09-11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鉛筆ぺんを用いた記録装置
US4905016A (en) * 1987-08-21 1990-02-27 Graphtec Kabushiki Kaisha Recorder with a pencil pen and method therefor
JP2524770B2 (ja) * 1987-09-21 1996-08-14 武藤工業株式会社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押し込み装置
JP2589507B2 (ja) * 1987-09-21 1997-03-12 武藤工業株式会社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H0710639B2 (ja) * 1987-09-21 1995-02-08 武藤工業株式会社 X−yプロッター
JPH01136797A (ja) * 1987-11-25 1989-05-30 Mutoh Ind Ltd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H01317791A (ja) * 1988-06-20 1989-12-22 Mutoh Ind Ltd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US4920357A (en) * 1989-06-29 1990-04-24 Hewlett-Packard Company Unattended replacement of plotter p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0928B2 (ja) 1996-09-04
DE4041476C2 (ko) 1993-06-17
JPH03277598A (ja) 1991-12-09
US5179393A (en) 1993-01-12
FR2660250A1 (fr) 1991-10-04
FR2660250B1 (fr) 1995-01-27
DE4041476A1 (de) 1991-10-02
KR910016510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476B1 (ko)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JP4918888B2 (ja) メディア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77091B2 (ja) メディア搬送機構の制御方法及びメディア処理装置
US4991300A (en) Lead automatic supply device for X-Y plotter
JPH01288498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自動供給装置
JP2589508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H03277600A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自動供芯装置
JPH03277596A (ja) 自動供排芯装置における残芯排出検出装置
JPH03277595A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自動供芯装置
JPH03277599A (ja) 自動製図機用自動供芯装置におけるペン有無検出方法
US5285218A (en) Automatic lead feed apparatus in an automatic drafting apparatus
JP2617108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補充方法
JPH03277597A (ja) 自動供排芯装置における芯折り機構
JP2524770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押し込み装置
JP2589507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2589509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KR940009844B1 (ko)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JP2511189Y2 (ja) X―yプロッタ
JPH03114798A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ペン種判別方法
JPH01272495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補充装置
JPH045099A (ja) 自動給排芯装置
JPH01317790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H01136796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2620694B2 (ja) X−yプロッター
JPH03197100A (ja) Xyプロッタ用筆記芯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