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844B1 -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844B1
KR940009844B1 KR1019920019231A KR920019231A KR940009844B1 KR 940009844 B1 KR940009844 B1 KR 940009844B1 KR 1019920019231 A KR1019920019231 A KR 1019920019231A KR 920019231 A KR920019231 A KR 920019231A KR 940009844 B1 KR940009844 B1 KR 940009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stocker
shim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97A (ko
Inventor
오사무 가지가와
Original Assignee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꾸지 히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꾸지 히로아끼 filed Critical 무도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43L13/02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automatic
    • B43L13/024Drawing hea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외관도.
제 5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와관 설명도.
제 6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외관 설명도.
제 7 도는 본 발명인 자동급심장치의 설명도.
제 8 도는 심탱크 스토우커의 단면도.
제 9 도는 셔터기구의 외관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지지수단 8 : 필기구 스토우커(stoker)
10 : 펜슬호울더 14 : 회전구동축
16 : 부착판 18 : 요동체
22 : 제 1 기어 24 : 제 2 기어
26 : 토오크리미터 30 : 전달기어
32 : 셔터개폐기어 34 : 구동기어
36 : 전환기어 38 : 로우터축
41 : 제 3 기어 44 : 심탱크 스토우커
66 : 막대 62 : 링크(link)
76 : 셔터오우프너(opener) 66a : 랙(rack)
일본국 특개평 2-305669호 공보에는 여러개의 필기구를 탈착할 수 있도록 유지하여 회전구동장치에 연결하는 스토우커 카루젤(stoker carrousel)의 희망하는 펜호울더부와 작동헤드의 펜호울더 사이에서 서로 필기구의 교환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플로터(plotter)가 기재되어 있다. 이 플로터의 심자동공급장치는 스토우커 카루젤에 대향하여 이 스토우커 카루젤에 대하여 접근 및 떨어질 수 있게 이동이 자유롭도록 배설된 심공급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심공급장치 본체에는 펜호울더의 상방에 위치시켜서 심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심탱크의 저부에는 밀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심의 낙하통로가 열리고 이러한 밀어올리는 힘이 해제되면 심의 낙하통로를 닫는 척(chuck)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심공급장치 본체에는 척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승강수단이 승강구동장치에 연결하여 배설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플로터의 자동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장치는 심탱크가 회전식이 아니기 때문에 스토우커 카루젤의 펜슬(pencil)에 한종류의 사이즈의 심밖에 공급할 수 없다고 하는 불합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희망하는 종류의 필기심을 필기구 스토우커를 지지하는 펜슬호울더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결함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로터의 기계본체에 일정한 두 위치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요동체를 지지하고 있다.
이 요동체에 회전구동장치에 연결하여 회전자축이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요동체가 일정한 심공급위치에 이동하면 원주선상에 여러개의 심탱크를 구비하여 회전자축에 연결하는 심탱크 스토우커가 일정한 회전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요동체와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 심탱크 스토우커의 이동에 따라 심탱크가 필기구 스토우커의 펜슬호울더의 바로 위로 이동한다. 심탱크가 필기구 스토우커의 펜슬호울더의 바로 위로 이동한 위치에서 오우프너(opener)를 구동하여 심탱크의 셔터기구를 열었을때 심탱크로부터 1개의 필기심이 낙하하여 필기구 스토우커가 지지하는 속이 빈 펜슬호울더의 필기심이 공급된다. 심탱크 스토우커는 요동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심탱크의 속으로부터 희망하는 종류의 필기심을 수납하는 심탱크를 심공급위치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개의 심탱크 중에서 선택한 심탱크를 필기구 스토우커의 펜슬호울더의 바로 위로 이동하여 이 펜슬호울더에 심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심탱크 스토우커가 회전식이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심을 필기구 스토우커의 펜슬호울더에 공급할 수 있고 더우기 요동체와 심탱크 스토우커의 구동원을 공통화하였으므로 원가절하를 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에 있어서 (2)는 플로터(도면에 없음)의 기체에 설치된 기대이고, 여기에 펄스모우터(도면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이 모우터의 출력축에 연결하는 축체(4)가 기대(2)에 돌출배치되어 있다. 축체(4)에는 원주부에 여러개의 필기구 지지수단(6)을 구비한 필기구 스토우커(8)가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다. 스토우커(8)의 여러개의 필기구 지지수단(6)중의 희망하는 하나의 필기구 지지수단(6)과 플로터의 획선헤드(streak head)(도면에 없음)의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10)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펜슬호울더(10)의 교환은 스토우커(8)를 회전시켜서 희망하는 필기구 지지수단(6)을 획선헤드에 대향시킨다. 다음에 획선헤드가 대향하는 필기구 스토우커(8)의 필기구 지지수단(6)에 대하여 접근하고 또한 떨어지는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12)는 기대(2)에 고정 설치된 펄스모우터이고, 이의 출력축에 회전구동축 (14)이 연결하고 있다. 회전구동축(14)의 상부는 기대(2)에 굳게 설치된 수평부착판 (1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18)은 기어박스로 된 요동체이고 회전구동축(14)에 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어(22)와 (24)의 사이에는 토오크리미터스프링(26)이 배치되었고, 이 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하여 기어(22)의 회전이 기어(24)에 토오크 전달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통체(18)에는 축(28)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고, 이것에 전달기어(30)와 셔터개폐기어(32)가 굳게 부착되어 있다.
전달기어(30)는 회전구동축(14)에 굳게 설치된 구동기어(34)와 기어(22)의 양자에 맞물려 있다.
회전구동축(14)에는 전환기어(36)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고,전환기 어(36)는 기어(24)와 맞물려 있다. 요동체(18)의 천벽에는 로우터축(38)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로우터축(38)에 굳게 부착된 기어(41)는 기어(24)와 맞물려 있다. 로우터축(38)은 요동체(18)의 천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였고, 이 요동체(18)위에 배치된 이동판(40)의 상면에 돌출하였으며, 이 로우터축(38)의 선단에 연결체(42)가 굳게 부착되어 있다. 연결체(42)에는 심탱크 스토우커(44)의 하부원반(46)이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다. 스토우커(44)는 원반(46)에 여러개의 심탱크(48)를 지지하고 있다.
심탱크(48)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개의 필기심(50)을 수납하기 위한 심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심저장부의 저부에 구멍이 형성되었고, 이 구멍에 파이프 형상의 심가이드(52)가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심가이드(52)는 심저장부의 저부에 형성된 심안내용의 테이퍼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심가이드(52)가 형성된 칼라(collar)부의 하면은 압축코일 스프링(54)의 탄발력에 의하여 원반(46)의 상면에 탄력 접착하였고, 이러한 탄접 상태에서 심가이드(52)의 하부는 원반(46)의 하면으로부터 일정량 돌출하고 있다. 심가이드(52)의 상단은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저장부의 테이퍼 형성저부와 동일한 높이의 레벨으로 설정되어 있다. 원반(46)의 하면에는 심탱크(48)마다에 셔터판(56)이 원반(46)의 반지름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셔터판(56)은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저부와 경사면을 지닌 요입부(凹入部)(58)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56)의 일단에는 돌기가 하향으로 형성되었고, 그 일단 근방에는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56)은 원반(46)의 외주방향으로 가입되어 원반(46)에 설치한 스토퍼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셔터판(56)은 심탱크(48)로부터 1개의 심(50)을 낙하시키기 위한 셔터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더우기 셔터기구는 척방식 그밖에 여러가지의 구성의 것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특히 도해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판(40)과 부착판(16)에는 링크부품(62)의 양단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있다.
링크부품(62)에는 복귀스프링(64)이 부착되어 있다.
복귀스프링(64)은 이동판(40)을 그 스토퍼면(40a)이 대향하는 부착판(16)의 스토퍼면(40a)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66)은 L자형으로 굴절하는 막대이며, 이 한쪽부분에 랙기어(66a)가 형성되어 있다.
막대(66)은 이동판(40)에 돌출설치된 가이드축(68),(70)에 의하여 제 2 도중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72)는 중간부가 이동판(4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74)받침이 된 회전운동부품이고, 이것의 한쪽에서 셔터오우프터(76)가 굳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운동부품(72)의 다른쪽은 막대(6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있다. 이동판(40)에는 심센서(78)가 굳게 설치되었고, 심센서(78)의 심낙하구(80)가 이동판(40)에는 심센서(78)가 굳게 설치되었고, 심센서(78)의 심낙하구멍(80)이 이동판(40)에 형성된 노치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운동부품(72)은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셔터오우프너(76)가 심낙하구멍(80)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82)는 수직부착판(86)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이고 이것의 출력축에 록부품(84)의 한쪽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있다. 록부품(84)의 중간부는 부착판(8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88)에 의하여 축받침되었고, 이 록부품(84)의 선단의 록기어(90)가 전환기어(36)에 대향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구 스토우커(8)가 지지하는 여러개의 펜슬호울더(10)중에서 희망하는 펜슬호울더(10)에 심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먼저 필기구 스토우커(8)를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희망하는 펜슬호울더(10)를 요동체(18)와 대향하는 일정한 심공급위치에 위치결정한다. 또한 전환기어(36)가 구동축(14)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는 상태에서 펄스모우터(12)를 구동하고 심탱크 스토우커(46)를 회전하여 희망하는 심탱크(48)를 이동판(40)위의 일정한 심공급위치에 위치결정하여 둔다. 이런 상태에서 선택한 심탱크(48)는 심낙하구멍(80)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이동판(40)을 필기구 스토우커(8)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선택한 심탱크(48)를 필기구 스토우커(8)의 선택한 필기구 지지수단(6)의 바로 위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판(40)의 이동은 전환기어(36)를 장치한 상태에서 펄스모우터(12)를 구동함에 따라 실행된다.
솔레노이드(82)를 통전시키면, 출력축이 흡인되어 록부품(84)이 축(88)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에따라 록기어(90)가 전환기어(36)에 맞물리어 전환기어(36)가 잠기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펄스모우터(12)가 구동되어 기어(34)가 제 7 도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24)는 제 7 도중 시계 방향(Q)으로 전환기어(36)에 잇따라서 회전한다.
이때 기어(41)는 기어(24)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P)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동작에 따라서 기어(24),(41)는 구동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서 요동체(18)가 기대(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동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64)의 복귀탄력에 저항하여 요동한다. 또한 이동판(40)이 요동스토퍼면(16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기어(41)의 회전(P)은 상기한 기어(24),(41)의 횐전이동에 따라서 상쇄되는 형태로 되어 기어(41)의 회전각도는 기대(2)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고 기어(41)는 전환기어(36)의 둘레를 이동하게 된다. 이동판(40)의 요동체(18)의 구동축(14)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과 연동하는 이동은 이동판(40)의 스토퍼면(40a)이 부착판(16)의 스토퍼면(16a)에 맞닿음으로서 정지한다. 이 이동판(40)의 정지상태에서 셔터개폐기어(32)는 막대(66)의 랙(66a)에 맞닿아서 이것과 말물리고 또한 심낙하구멍(80)이 필기구 스토우커의 선택한 필기구 지지수단(6)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의 선택한 필기구 지지수단(6)이 지지하는 펜슬호울더(10)의 그 상단에 개구하는 심삽입구멍의 심낙하구멍(80)의 중심은 동축 수직선상에 일치한다.
다음에 선택한 심탱크(48)의 셔터기구를 열고, 심탱크(48)내의 1개의 심을 필기구 스토우커(8)가 지지하는 펜슬호울더(10)의 심삽입구멍에 낙하삽입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동체(18)가 스토퍼면(16a)에 고정되어 그 회전이 정지한 다음 더우기 펄스모우터(42)가 구동하면 기어(24)의 회전이 정지하여 펄스모우터(12)의 구동에 의한 회전구동축(14)의 회전은 기어(34), 전달기어(30), 축(28)을 거쳐 셔터개폐기어(32)에 전달되어, 셔터개폐기어(32)가 회전한다.
이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막대(66)에는 제 2 도중 위방향으로 복귀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회전운동부품(72)은 축(7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회전운동부품(72)의 요동에 따라 오우프너(76)가 셔터판(56)을 눌러 움직인다. 이렇게 눌러 움직임에 따라 셔터구멍(60)이 심가이드(52)와 일치하여 심가이드(52)내의 심(50)이 셔터구멍(60)으로부터 낙하한다. 이 심(50)은 심낙하구멍 (80)을 거쳐 그 밑의 펜슬호울더(10)의 심삽입구멍으로 낙하삽입된다.
펄스모우터(12)의 구동력을 해제하여 요동체(18)를 구동축(14)에 대하여 자유회전상태로 하면 스프링(64)의 복귀력에 의하여 요동체(18)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이동판(40)이 심탱크 스토우커(8)에 대하여 후퇴한다. 또한 막대(66)도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복귀상태에서 심탱크 스토우커 (8)를 수직방향으로 축(4)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또 심탱크 스토우커(8)를 수직방향에서 축(4)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기계본체와 펜슬후울더(10)를 탈착하여 자유롭도록 지지하기 위한 필기구 지지수단(6)을 여러개 구비하였고 또한 기계본체쪽의 회전구동장치의 출력축측에 연결되었고 또한 플로터의 획선헤드 사이에서 서로 펜슬후울더(10)의 교환을 할 수 있는 필기구 스토우커(8)와 기계본체에 일정한 두 위치 사이에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요동체(18)와 요동체(18)를 두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요동체(18)에 회전구동장치에 연결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로우터축(38)과 로우터축(38)의 회전각도를 요도체(18)의 이동중 일정각도로 지지하는 수단과 원주선상에 여러개의 심탱크(48)를 구비하고 로우터축(38)에 연결하는 심탱크 스토우커(44)와 심탱크(38)의 하부를 개폐하는 셔터기구와 이 셔터기구를 개폐방향으로 구동하는 셔터구동수단등을 구비하여 요동체(18)를 두 위치중의 한쪽의 위치에 이동하면 여러개의 심탱크(48)중의 하나의 심탱크(48)가 필기구 스토우커(8)의 여러개의 필기구 지지수단(6)중의 하나의 필기구 지지수단(6)의 바로위에 이동하여 요동체(18)를 다른쪽 위치에 이동하면 심탱크 스토우커(44)가 필기구 스토우커(8)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로우터축(38)의 회전각도을 요동체(18)의 이동중 일정각도로 유지하는 수단과 기계본체에 제1회전구동장치에 연결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구동축(14)과 회전구동축(14)에 굳게 부착된 구동기어(34)와 회전구동축(1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전환기어(36)와 요동체(18)에 고정 설치된 축(2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제 1 기어(22)와 제 1기어(22)와 구동기어(34)에 맞무는 전달기어(30)와 제 1 기어(22)와 토오크리미터(26)를 개재하여 현동하도록 축(2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었고 또한 전환기어(36)와 맞무는 제 2 기어(24)와 로우터축(38)에 굳게 부착되었고 또한 제 2 기어(24)와 맞무는 제 3 기어(41)와 전환기어(36)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잠그는 록기구등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필기구 스토우커(8)와 심탱크 스토우커(44)를 각기 별개의 구동장치로 구동하고 또한 필기구 스토우커(8)와 심탱크 스토우커(44)를 각기 구동장치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롭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셔커구동수단을 심탱크 스토우커(44)의 구동장치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5. 플로터의 기계본체에 제1회전구동장치에 연결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전구동축(14)과 회전구동축(14)에 이 회전구동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요동체(18)와 회전구체(14)에 굳게 부착된 구동기어(34)와 회전구동축(1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전환기어(36)와 요동체(18)에 굳게 설치된 축(2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제 1 기어(22)와 구동기어(34)에 맞무는 전달기어(30)와 제 1 기어(22)와 토오크리미터(26)를 개재하여 연동하도록 축(2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또한 전환기어(36)와 맞무는 제 2 기어(24)와 요동체(1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로우터축(38)과 이 로우터축(38)에 굳게 부착되어 또한 제 2 기어(24)와 맞무는 제 3 기어(41)와 전달기어(30)와 동축상에 굳게 설치되어 이 전달기어(30)와 연통하는 셔터개폐기어(32)와 한쪽이 로우터축(3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다른편이 기계본체에 굳게 설치된 부착판(16)에 링크(62)를 개재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는 이동판(40)과 이동판(40)위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요동체(18)가 회전구동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위치까지 요동하면 랙(66a) 부분이 셔터개폐기어(32)와 맞무는 막대(66)와 로우터축(38)에 탈착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또한 원주상에 여러개의 심탱크(48)를 구비한 심탱크 스토우커(44)와 펜슬호울더(10)를 탈착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기 위한 필기구 지지수단(6)을 여러개 구비하고 또한 기계본체측의 회전구동장치의 출력축측에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또한 플로터의 획선헤드의 사이에서 서로 펜슬호울더(10)의 교환이 가능한 필기구 스토우커(8)와 전환기어(36)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잠그는 록기구와 막대(66)의 축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심탱크(48) 하부의 셔터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오우프너(76)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KR1019920019231A 1991-11-26 1992-10-20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KR940009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6170A JPH05147391A (ja) 1991-11-26 1991-11-26 プロツタの自動給芯装置
JP91-336170 1991-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97A KR930009797A (ko) 1993-06-21
KR940009844B1 true KR940009844B1 (ko) 1994-10-18

Family

ID=1829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231A KR940009844B1 (ko) 1991-11-26 1992-10-20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59494A (ko)
JP (1) JPH05147391A (ko)
KR (1) KR940009844B1 (ko)
BE (1) BE1006263A3 (ko)
FR (1) FR2684045B1 (ko)
TW (1) TW1987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8096B (zh) * 2018-06-11 2020-06-02 深圳市小怪兽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绘图机械臂及其控制系统
CN110281676B (zh) * 2019-07-18 2022-08-19 湖北第二师范学院 一种用于填涂标准化答题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8498A (ja) * 1988-05-17 1989-11-20 Mutoh Ind Ltd X−yプロッタにおける芯自動供給装置
JPH0785954B2 (ja) * 1989-03-15 1995-09-20 武藤工業株式会社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H02305699A (ja) * 1989-05-19 1990-12-19 Mutoh Ind Ltd 自動製図機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2505096Y2 (ja) * 1989-05-19 1996-07-24 マツダ株式会社 鋳造用フィルタ―の供給装置
JPH03197100A (ja) * 1989-12-26 1991-08-28 Mutoh Ind Ltd Xyプロッタ用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2530928B2 (ja) * 1990-03-28 1996-09-04 武藤工業株式会社 自動製図機における自動供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47391A (ja) 1993-06-15
BE1006263A3 (fr) 1994-07-05
KR930009797A (ko) 1993-06-21
FR2684045A1 (fr) 1993-05-28
US5459494A (en) 1995-10-17
FR2684045B1 (fr) 1994-09-02
TW198702B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844B1 (ko) 플로터의 자동급심장치
US4991300A (en) Lead automatic supply device for X-Y plotter
KR970011476B1 (ko) 자동제도기에 있어서의 자동급심장치
KR920010586B1 (ko) 스텝 모터 작동 왕복 구동장치를 갖는 재봉틀
US5285218A (en) Automatic lead feed apparatus in an automatic drafting apparatus
RU2803484C2 (ru) Диспенсер стаканов для автомата по продаже напитков
JP2560434Y2 (ja) ミシン
JPH01136797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JPH09228226A (ja) ミシン
CN220485990U (zh) 缝纫机的自动换梭装置
US20230177909A1 (en) Cup holder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JPH0233749Y2 (ko)
JPS5822636A (ja) 工具交換装置
JPH01317790A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H10185930A (ja) 分注装置
RU2808943C1 (ru) Держатель стаканов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одажи напитков
US4719867A (en) Lower wheel fabric feeding device in a column sewing machine
JP2589508B2 (ja) X−yプロッタにおける筆記芯自動供給装置
US413795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ctuating mechanism of loom dobby
JPH0975569A (ja) 多頭ミシン
JPS6317633Y2 (ko)
JPH0688479B2 (ja) X−yプロッタ
KR900004844Y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의 컵 반출기구
JPH0362828B2 (ko)
JP2537319Y2 (ja) 自動製図機における自動給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