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865B1 - 연료유 첨가제 - Google Patents

연료유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865B1
KR970010865B1 KR1019880014393A KR880014393A KR970010865B1 KR 970010865 B1 KR970010865 B1 KR 970010865B1 KR 1019880014393 A KR1019880014393 A KR 1019880014393A KR 880014393 A KR880014393 A KR 880014393A KR 970010865 B1 KR970010865 B1 KR 97001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carbon
groups
compositio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303A (ko
Inventor
드라이덴 택 로버트
로이스톤 테렌스 스미스 데릴
폴 길링햄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피터 챨스 보우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피터 챨스 보우덴 filed Critical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43Organic compounds mixtures of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 C10L1/243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or tellurium sulfur bond to oxygen, e.g. sulfones, sulfoxides
    • C10L1/2437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sulfonamides, sulfosuccin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6Hydrocarbons
    • C10L1/1625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633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641Hydrocarbons macromolecular compounds homo- or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 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compound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10L1/19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10L1/196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 carboxyl group or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homo-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e carbon bond to 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poly-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1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0L1/192Macromolecular compounds
    • C10L1/1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L1/19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n acyloxy group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10L1/19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and an acyloxy group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10Liquid carbonaceous fuels containing additives
    • C10L1/14Organic compounds
    • C10L1/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0L1/22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n-to-nitrogen single bond
    • C10L1/224Amides; Imides carboxylic acid amides, i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ubricant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연료유 첨가제
본 발명은 윤활유 및 연료와 같은 액체 탄화수소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왁스 결정조절제로 작용하는 그러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연료유에 관한 것이다.
난방용 오일 및 기타 분류(分溜) 석유 연료, 예를들면 디이젤용 연료는 보통 파라핀 탄화수소 왁스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 왁스는 저온에서 연료의 유동성을 잃게 만드는 겔 구조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거대 결정으로 석출되기 쉽다. 연료가 여전히 유동상태에 있게 되는 최저 온도는 일반적으로 유동점이라 알려져 있다. 연료온도가 유동점에 달하거나 유동점 이하로 내려가고, 그리고 연료가 더이상 자유로이 흐를수 없게 된다면, 연료를 유선(fuel line) 및 펌프를 통해 수송하는데, 예를들면 연료를 비중이나 또는 펌프 압력하에 한 저장 용기에서 다른 저장용기로 수송하려할 때나 또는 연료를 버어너에 공급하려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 게다가, 용액에서 나온 왁스 결정은 유선, 스크린 및 필터를 폐색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오래전부터 충분히 인식되어 왔고 연료유의 유동점을 강하시키기 위해 각종 첨가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유동점 강하제의 한가지 작용은 연료유로부터 침전되는 결정의 성질을 변경시켜, 왁스결정이 겔을 형성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었다. 침전된 왁스가 연료의 수송, 저장 및 분배 설비에 장치된 발이 고운 스크린을 막히게 하지 않도록 결정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저 유동점(흐름점)을 갖는 연료유 뿐만아니라, 낮은 작업 온도하에서 필터가 막혀 연료의 흐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작은 크기의 왁스 결정을 형성하는 연료유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결정의 효과적인 조절(WCM)과 그 결과로서 저온에서의 흐름개선은 저온 샤시스 동력계(cold climate chassis dynamometer) 및 명확한 야외 성능실험 뿐 아니라, CFPP(냉간 필터 폐색점, Cold Filter Plugging Point) 및 다른 작업성 시험으로 측정한다. 그러한 WCM은 비중측정 또는 DSC 법으로 측정한 바에 따르면, 흐림점보다 10℃ 낮은 온도하에서 4% 이하의 n-파라핀 함유 분류물 중의 보통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C)를 기제로 하는 흐름 개선제에 의해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분류물에저 첨가제의 반응은 보통 언급한 분류물의 ASTM D-86 분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활발하게 된다([FBP-90%] 찌끼(tail)가 20℃ 이상으로, 분류범위 [90-20]% 분류물을 100℃ 이상으로, FBP 355℃ 이상으로 증가함).
그러나, 이들 EVAC 흐름 개선제는 극동 지역에서 직면하는 바와 같이, 대부분 유사한 분류 특성(예, [FBP-90%] 분류물 및 [90-20]% 분류물 범위)를 갖지만, 왁스 함량이 훨씬 더 많고(5 내지 10%)탄소수 분포가 다른, 특히 C22이상되는 범위를 갖는 고왁스 함량 분류물의 처리시에는 효과가 없다.
연료의 처리시에, 다른 효과들, 즉 저온 흐름 개선, 왁스 침전 억제, 발포 경향의 감소, 부식감소 등을 이루기 위해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이제, 본 발명에 이르러, 윤활유 및 연료유와 같은 액체 탄화수소용 첨가제, 특히 분류 연료의 성질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한 첨가제가 밝혀졌다. 이들 첨가제는 분류 연료용으로 이전에 제안되었던 첨가제에 비해 상당한 잇점을 갖는 특정 아인염이며, 놀라웁게도 이들 아민염을 첨가함으로써 또한, 디이젤 연료에서 발포현상을 줄이거나 없앨수 있으며 연료에 동반된 물(또는 염수)에 의해 강철이 부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한 다각적 기능은 보통 다수의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다작용성 첨가제를 사용하면 전체 첨가제 농도를 감소시킬수 있고 또한 농축물에서 비혼화성 첨가제들의 상호반응으로 일어나는 문제점들을 피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탄화수소 조성물은 액체 탄화수소 다수 중량과 (a)설포석신산, (b)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c)설포석신산의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d)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아미드의 아민 또는 디아민염 소수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료유의 왁스 결정조절제로서, (a)설포석신산, (b)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c)설포석신산의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d)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아미드의 아민 또는 디아민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민염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R1및 R2는 수소이거나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R3및 R4는 수소이거나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R5는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X는 -OR6,-NR7R8또는
Figure kpo00002
이며, Y는 -OR12, -NR12R14또는
Figure kpo00003
이고, 여기에서 R6,R7,R8,R9,R10,R13,R14,R15및 R16은 수소이기나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인데 단, R6와 R12는 둘다 수소일수 없고, R11과 R17은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단, R3,R4및 R5는 모두 알킬 그룹일 수 없다.
따라서, 설포석시네이트(에스테르)는 일반식
Figure kpo00004
설폰석신산의 디아미드는 일반식
Figure kpo00005
설포석신산의 모노아미드의 일반식은
Figure kpo00006
나타내지며, 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아미드는 일반식
Figure kpo00007
나타내지고, 설포석시네이트(카복실레이트 염)는 일반식
Figure kpo00008
구조를 포함한다.
아민염은 기본적으로, 2개 이상의 설포석시네이트 잔기들이 예를들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 예를들면
Figure kpo00009
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X와 Y에 존재하는 R그룹들중 적어도 하나가 비교적 긴 쇄, 즉 적어도 6개, 바람직하게는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 맞게 되면, 다른 R그룹들 또는 그룹 R3,R4및 R5중의 하나 또는 몇 그룹은 비교적 짧은 쇄, 예를들면 메틸일 수 있다.
아민염에 대한 일반식
Figure kpo00010
에서, 그룹 R1및 R2는 예를들어 메틸 또는 에틸과 같은 하이드로카빌 그룹일 수 있다. 그러나, R1및 R2가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 R은 또한 예를들어 알킬, 알케닐 또는 아르알킬그룹과 같은 하이드로 카빌 그룹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그룹은 예를들어 탄소원자 1 내지 30개, 특히 탄소원자 10 내지 20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그룹, 예를들면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또는 옥테데실이다. 또한, R은 수소일 수 있다.
모든 아민염들을 유도하는 아민 R3R4R5N과 관련하여, R3,R5및 R5는 모두 알킬이 아닌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이 모두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일 수 없다. R3및 R4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소인 것, 즉 아민이 3급 아민이기 보다는 1급 아민 또는 2급 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R5및 R3(수소가 아닌 경우)는 예를들어 하이드로 카빌 그룹일 수 있으며, 이들은 알케닐 또는 알케닐 그룹일 수 있겠지만, 특히 알킬, 아르알킬, 알크아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그룹일 수 있다.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과 알크아릴 및 아르알킬그룹의 알킬부위는 측쇄일 수 있으나, 직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킬그룹은 탄소원자 12 내지 30개, 특히 탄소원자 14 내지 22개를 함유하며, 바람직한 알킬 및 아르알킬 그룹은 탄소원자 12 내지 36개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그룹은 C12내지 C20알킬그룹, 예를들면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에이코실 또는 이의 혼합그룹(예 : 헥사데실/옥타데실)이다.
아민염의 유도물질인 아민으로는 R4R5NH 및 R5NH2(이때 R4및 R5는 하이드로 카빌그룹, 특히 알킬그룹이다)가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Figure kpo00011
관하여, 디에스테르(즉, R6와 R12가 둘다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인 경우)가 모노에스테르(즉, R6와 R12중의 하나가 수소이고 나머지 하나가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인 경우)보다 바람직하다. R6및/또는 R12는 선형 장쇄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킬그룹은 직쇄이거나 측쇄일 수 있다. 알킬그룹은 탄소원자 6 내지 30개, 특히 10 내지 22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노나데실 및 도코실이 있다. R6및 R12에 대한 다른 적절한 예로는 톨릴, 4-데실페닐, 사이클로옥틸 또는 혼합그룹, 예를들면 헥사데실/옥타데실, 헥사데실/에이코실, 헥사데실/도코실 또는 옥타데실/도코실이 있다.
디에스테르는 푸 마레이트 또는 말리에이트 에스테르를 용매의 존재하에 과잉의 물 및 아민과 반응시키고 이산화황중에 버블링(bubbling)하여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경우에는, 그룹 R6,R7,R8,R12,R13및 R14가 모두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 특히 알킬그룹과 같은 하이드로 카빌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R7,R8,R13및 R14그룹에 대한 바람직하며 예시적인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은 상기에서 R3,R4및 R5그룹들에 대해 언급한 바와 같으며, R6및 R12에 대한 바람직하며 예시적인 그룹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특히, 에스테르-아미드 또는 디아미드는 R7및 R13이 헥사데실 그룹이고 R8및 R14이 옥타데실 그룹인 에스테르-아미드 또는 디아미드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아미드는 덜 바람직하지만, 바람직하며 예시적인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 R7및 R8또는 R13및 R14은 디아미드에 대해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에스테르-아미드는 디메틸 말리에이트 또는 치환된 디메틸 말리에이트를 용매의 존재하에서 과잉의 물 및 아민과 반응시키고 이산화황중에서 버블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 생성물 즉, 설포석신산 디메틸 에스테르의 아민 설포네이트를 추가량의 아민과 더 반응시켜 에스테르-아미드를 수득한다. 이 에스테르-아미드를 추가량의 아민과 더 반응시키면 디아미드가 생성된다. 모노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에스테르-아미드 제조과정을 따르되, 단 디메틸에스테르 대신에 말레산 또는 무수물이나 치환된 말레산 또는 무수물을 사용한다.
아민 설포석시네이트의 카복실레이트 염과 관련하여, 두 카복실산 그룹을 1급, 2급 또는 3급 아민(R9,R10,R11N 및 R15,R16,R17N)에 의해 중화시킬 수 있거나 카복실산 그룹중 한 그룹만을 중화시킬 수 있다. 나머지 카복실산 그룹은 에스테르화(즉, R6OH 또는 R12OH로)시키거나, 아미드화(즉,R7R8NH 또는 R13R14NH로)시키거나 반응시키지 않을 수 있다(즉, -COOH 그대로 남김). 두 카복실산 그룹을 1급, 2급 또는 3급 아민으로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 R9,R10,R11,R15,R16및 R17에 대해 바람직한 종류 및 구체적인 예는 그룹 R3,R4및 R5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R9및 R10중의 적어도 하나와 R14및 R15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실산 그룹중 하나를 에스테르화시키거나 아미드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R6,R12,R7,R8,R13또는 R14에 대한 바람직한 종류 및 구체적예는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다.
아민 설포석시네이트의 카복실산염은 말레산 무수물을 아민 및 과잉의 물과 반응시키고 이산화황 중에서 버블링시켜 설포석시네이트의 아미드, 카복실레이트염을 수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설포석시네이트의 카복실레이트염,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아민 대신 아민과 알콜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아민염을 윤활유, 연료(예, 가솔린), 분류 연료, 중(重)연료 및 조 오일과 같은 액체 탄화수소에 첨가하지만, 이들은 연료유, 특히 분류연료유의 첨가제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분류연료유는 약 120℃ 내지 450℃의 범위내에서 비등하며, 보통 약 -30 내지 20℃ 범위의 흐림점을 갖는다. 연료유는 직접 분류물(Straight run) 또는 분해 가스 오일이나 직접 분류물과 가열 및/또는 촉매 분해 분류물의 어떤 비율의 혼합물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석유 중간분류연료는 케로센, 디이젤 연료, 젯트 연료 및 난방용 오일이다. 디이젤 연료 및 난방용 오일에서 가장 흔히 당면하게 되는 문제점은 저온에서의 흐름 문제이다.
연료유에 첨가된 아민염의 양은 보다 적은 중량 비율을 차지하며, 이 양은 연료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중량%, 예를들면 0.001 내지 0.5중량%(활성물질) 범위가 바람직하다.
아민염과 함께 연료유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에는 예를들어 다른 흐름 개선제들이 포함된다.
이 흐름개선제는 다음 (i) 내지 (iv)중의 하나일 수 있다.
(i) 에틸렌과 일부의 다른 공단량체, 예를들면 비닐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α-올레핀, 스티렌등과의 선형 공중합체, (ii) 빗형(comb) 중합체, 즉 C10내지 C30알킬 측쇄 분지를 갖는 중합체, (iii)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유도된 선형 중합체,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그의 아미노 유도체 및 (iv) 단량체 화합물, 예를들면 시트르산과 같은 폴리카복실산의 아민염 및 아미드.
선형공중합체(i)가 유도되며, 에틸렌과 공중합할 수 있는 불포화 공단량체에는 하기 일반식의 불포화된 모노 및 디에스테르가 포함한다.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은 -OOCR4그룹 또는 하이드로 카빌(여기에서, R4는 수소 또는 C1내지 C28, 보통 C1내지 C17,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8직쇄 또는 측쇄 알킬 그룹이다)이거나, R1은 -COOR4그룹(여기에서, R4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지만 수소는 아니다)이고, R3은 수소 또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COOR4이다. R1과 R3가 수소이고 R2가 -OOCR4일 단량체는 C1내지 C29, 더욱 보통 C1내지 C18의 모노타복실산, 바람직하게는 C2내지 C5의 모노카복실산의 비닐알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에틸렌과 공중합할 수 있는 비닐 에스테르의 예를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비닐 부티레이트 또는 이소부티레이트가 있으며, 비닐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가 비닐에스테르 20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닐 에스테르 25 내지 3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는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3,961,91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두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선형 공중합체(i)는 하기 일반식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다
CHR5= CR6X
상기식에서, R5는 H 모는 알킬이고, R6는 H 또는 메틸이고, X는 -COOR7또는 하이드로 카빌이고, 여기에서 R7은 알킬이다.
이 공단량체에는 아크릴레이트 CH2=COOR7, 메타크릴레이트 CH2=CMeCOOR7, 스티렌 CH2=CH·C6H5및 올레핀 CHR5=C6R8(여기에서, R8은 알킬이다)이 포함된다. 그룹 R7은 C1내지 C28, 보통 C1내지 C17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C1내지 C8의 직쇄 또는 측쇄알킬 그룹이 바람직하다. 올레핀의 경우에 R5와 R6은 수소이고 R8이 C1내지 C20의 알킬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적당한 올레핀은 프로필렌, 헥센-1, 옥텐-1, 도데센-1 및 테트라데신-1이다.
이러한 유형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 함량은 50 내지 65중량%가 바람직하지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보다 더 많은 양, 예를들면 8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언급한 공중합체는 증기상 삼투압 측정법으로 측정한 바에 따르면 10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당한 선형 공중합체 흐름 개선제 (i)는 에틸렌과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다.
이 비닐 에스테르는 분자당 탄소원자 1 내지 20개를 함유한 모노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들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비닐 부티레이트가 있다. 그러나 비닐 아세테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보통 에틸렌과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는 비닐 에스테르 몰 비율당 에틸렌 3 내지 40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몰 비율로 이루어진다. 이 공중합체는 보통 1000 내지 5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 분자량은 빙점 강하법(cryoscopic method)이나, 예를들어 메크로랩 증기상 삼투압 측정기 모델(Mechrolab Vapor Phase Osmometer Model)310A를 사용한 증기상 삼투압 측정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밖에 특히 바람직한 선형 공중합체 흐름 개선제는 푸마르산 에스테르와 비닐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i)이다. 이 푸마르산 에스테르는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알킬그룹 또는 각각의 알킬그룹은 탄소원자 6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단일 에스테르 또는 혼합 에스테르로서 모노- 또는 디-(C14내지 C18)알킬 에스테르가 특히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디-알킬 에스테르가 모노-알킬 에스테르보다 바람직하다.
푸마레이트-에스테르와 공중합하는 적당한 비닐 에스테르는 에틸렌/비닐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것들이다. 비닐 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푸마레이트 에스테르는 비닐 에스테르와 1.5 : 1 내지 1 : 1.5의 몰비, 예를들면 약 1 : 1로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체는 보통 예를들어 메크로랩 증기압력 삼투압 측정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증기상 삼투압 측정법으로 측정한 바에 따르면, 1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빗형 중합체(ii)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A는 H, Me 또는 CH2CO2R'이고, 여기에서 R'은 C10내지 C22알킬이며, Me는 메틸이고, B는 CO2R' 또는 R이며, 여기에서 R는 C10내지 C30알킬, PhR'(Ph는 페닐임)이고, D는 H 또는 CO2R'이며, E는 H 또는 Me, CH2CO2이고, F는 OCOR'''(여기에서, R'''는 C1내지 C22알킬이다), CO2RR,Ph, R' 또는 PhR' 이고, G는 H 또는 CO2R' 이고, n은 정수이다.
일반적인 용어로, 언급한 중합체들에는 디알킬 푸마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예를들면 디테트라데실 푸마레이트/비닐 공중합체, 스티렌 디알킬 말리에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예를들면 스티렌/디헥사데실 말리에이트 공중합체, 폴리 디알킬 푸마레이트, 예를들면 폴리(디옥타데실 푸마레이트), α-올레핀 디알킬 말리에이트 공중합체 예를들면 테트라데센과 디헥사데실 말리에이트의 공중합체, 디알킬 이타코네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예를들면 디헥사데실 이타코 네이트/비닐 아세테이트, 폴리-(n-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를들면 폴리(테트라데실 메타크릴레이트), 폴리(n-알킬 아크릴레이트), 예를들면 폴리(테트라데실 아크릴레이트), 폴리-알켄, 예를들면 폴리(1-옥타데센)등이 포함된다.
에틸렌 옥사이드(ii)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에는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테르, 에테르, 에스테르/에테르, 아미드/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분자량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0인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그룹의 C10내지 C30선형 포화 알킬 그룹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을 함유한 화합물이 포함되며, 언급한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중의 알킬렌 그룹은 탄소수 1개 대지 4개를 함유한다. 유럽 특허공보 제0,061,985A2호에는 이들 첨가제 일부가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에테르는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 - O - (A ) - O-R1
상기식에서, R과 R1은 같거나 다르며,
Figure kpo00015
일수 있고, 여기에서 알킬그룹은 선형 및 포화상태이고 탄소원자 10개 내지 30개를 함유하고, A는 알킬렌그룹의 탄소수가 1 내지 4인 글리콜의 폴리옥시알킬렌 단면, 예를들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트리메틸렌 성분으로, 이는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글리콜은 저급 알킬 측쇄에 의해 어느정도 분지될 수 있지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화합물은 에톡실화 아민의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에스테르에서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 단편 하나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글리콜은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2,000을 갖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이다.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0 내지 30개를 함유한 지방산이 에스테르 첨가제를 생성하는 글리콜과의 반응에 유용하고 C18내지 C24지방산, 특히 베헨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는 또한 폴리에톡실화 지방산 또는 폴리에톡실화 알콜을 에스테르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흐름 개선제로서 단량체 화합물(iv)의 예를들면, 디카복실산, 트리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의 아민염, 모노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반(半) 아민염, 반 아미드가 포함된다. 이들 극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1몰 비율의 하이드로 카빌 치환된 아민을 카복실산 그룹 1 내지 4개를 갖는 하이드로 카빌산 또는 그들의 무수물 1몰 비율과 반응시켜 생성되며, 탄소원자 총 30 내지 300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개를 함유하는 에스테르/아미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질소 화합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211,534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절한 아민은 보통 장쇄 C12-C40일급, 이급, 삼급 또는 사급 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지만, 더 짧은 쇄길이를 갖는 아민을 사용할수 있으며, 단, 생성된 질소화합물은 유용성이므로 정상적으로 약 30 내지 300개의 총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질소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직쇄 C8-C40, 바람직하게는 C14-C24알킬 단편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염 또는 반 아민염은 일급, 2급, 3급 또는 4급 아민에서 유도될 수 있지만, 아미드는 일급 또는 2급 아민에서만 유도될 수 있다. 이 아민은 지방족 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며, 2급 아민, 특히 일반식 R1R2NH의 지방족 2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같거나 또는 다를수 있는 R1과 R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 10개 이상, 특히 탄소원자 12 내지 22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의 예를들면 도데실아민, 테트라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에이코실아민, 코코아민, 수소화수지(獸脂)아민등이 포함된다. 2급 아민의 예로는 디옥타데실아민, 메틸-베헤닐아민등이 있다. 아민 혼합물도 또한 적합하며 중성물질로 부터 유도된 여러 아민들은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아민은 대략 4% C14, 31% C16, 59% C18로 이루어진 수소화 수지 지방으로 부터 유도된 일반식 HNR1R2의 2급 수소화 수지 아민이고, 여기에서, R1및 R2는 알킬 그룹이다.
상기 질소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카복실산(및 그들의 무수물)의 예로는 사이클로헥산, 1,2-디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복실산, 사이클로펜탄-1,2-디카복실산, 나프탈렌 디카복실산, 시트르산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산은 사이클릭 부위에 약 5 내지 13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산은 벤젠 디카복실산, 예를들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이다. 프탈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절한 화합물은 아민이 2급 아민인, 디카복실산의 반아민염, 반 아미드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프탈산 및 이수소화 수지(獸脂)아민[아르민 2에이치티(Armeen 2HT), 대략 n-C14알킬 4중량%, n-C16알킬 30중량%, n-C18알킬 60중량%, 잔여량은 불포화임]의 반 아민염, 반 아미드이다.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아미드-아민염을 탈수시켜 얻은 디아미드이다.
제조방법
아민염의 제조방법은 디알킬 암모늄 설포석시네이트의 반 에스테르/반 디알킬아미드,
Figure kpo00016
으로 설명되며, NR2는 이수소화 수지아민(Armeen 2HT, 이하에서는 A2HT라 칭함)으로 부터 유도되고, R'는 C16내지 C20-n-알킬(합성알콜)이다.
조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7
크실렌-40중량%와 같은 중량 비에서 반응물과 반응하지 않음.
알콜(Alfol 1620)과 말렌산 무수물 및 TSA를 용매로서의 크실렌중, 60℃에서 1.25시간동안 반응시켰다. 1차 부가량의 A 2HT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공비(155℃, Dean Stark 장치)시켰다. 에스테르/아미드가 생성된 다음에, IR(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행하였다. 생성물을 진공하에 150℃까지 스트립핑하였다. 용매, 2차 부가량의 A 2HT 및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70℃까지 가열한 다음, 흡수가 완결될때까지, 그리고 IR(에스테르 카보닐)이 설포석시네이트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낼 때까지(1시간) SO2를 통해 주었다. 용매를 제거하였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탄화수소 액체와 혼합한 용매중의 농축액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농축액은 염 10 내지 90중량%, 용매 90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며, 염 30 내지 7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액은 또한 전술한 성분일 수 있는 다른 첨가제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분류 연료에서 다양한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첨가제를 자유자재로 응용하는 것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일반식
Figure kpo00018
(여기에서, R은 C16/C18n-알킬의 혼합그룹이다)의 설포석신산 디아미드의 아민염(S1)(이수소화 수지 아민과의 반응으로 부터 수득됨)을 여러 비율로 하기 특성을 갖는 분류 디이젤 연료A에 첨가하였다.
D86 분류 IBP 20% 50% 90% FBP 90-20% 찌끼
℃ 176 216 265 340 372 124 32
흐림점 0℃ 기본 CFPP-2℃
(주 : S1은 실질적으로 어떤 아미드를 포함하는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비교할 목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13중량%를 함유하는 Mn 3500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C1)을 또한 단독으로 비율을 달리하여 디이젤 연료 A에 가하고, 또한 여러 비율의 상기 아민 염(S1)과의 혼합물로 디이젤 연료 A에 가하였다.
처리된 디이젤 연료유를 냉간 필터 폐색점 시험(CFPPT)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이 시험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냉간 필터 폐색점 측정 시험으로 혼합물의 저온 흐름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시험은 하기 문헌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행한다[Journal of the Institue of Petroleum, Vol. 52, No. 510, June 1966 pp. 173∼185 참조할것]. 요약하면, 시험할 오일 샘플 40ml을 약 -34℃로 유지시킨 욕조에서 냉각시킨다. 주기적으로(흐림점보다 2℃ 높은 온도에서 시작하여 온도가 1℃씩 떨어질때마다), 냉각시킨 오일이 일정 시간에 발이 고운 메쉬 스크린을 통해 유동하는 능력을 시험한다. 이러한 저온 성질은 시험할 오일 표면 아래에 위치한 역상 깔때기와 피펫의 밑바닥을 깔때기에 붙힌 피펫으로 이루어진 장치로 시험한다. 깔때기의 입구 전체에 약 0.45in2의 면적을 가진 350메쉬 스크린이 있다. 이러한 주기적 시험은 매번 피펫의 최상부에 진공을 걸어 개시하며, 이렇게 하여 스크린을 통해 20ml의 오일을 나타내는 표시점까지 피펫 위로 오일을 끌어올린다. 이 시험은 온도를 1℃씩 하강시키면서 오일이 20ml의 오일을 나타내는 표시점까지 채워지지 않을때까지 반복한다. 이 시험은 60초 내에 오일이 피펫에 채워지지 않을 때까지 온도를 1℃씩 하강시키면서 반복한다. 이 시험 결과는 흐름 개선제로 처리한 연료의 실패온도인 CFPP로서 나타낸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에 요약하였으며, 이 표에서 C1 및 S1의 첨가량은 연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ppm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19
C1 처리된 연료에 S1을 첨가함으로써, C1만으로는 그 양을 늘려도 얻을 수 없을 정도로 향상된 CFPP강하를 이룰 수 있었다.
실시예 2
S1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고 또한 2개의 디아미드 A1 및 A2와 비교하였다. A1은 이수소화 수지아민 2몰을 말레산 무수물 1몰과 반응시켜 제조한 하기 일반식의 디아미드이며
Figure kpo00020
(여기에서, R은 C16/C18알킬의 혼합그룹이다), A2는 하기 일반식의 석신산 디아미드이다.
Figure kpo00021
(여기에서, R은 A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연료유에 대해 CFPPT를 실시하였을 때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2
더 높은 처리율에서 S1은 A1 및 A2보다 최저한도로 더 나은 활성을 나타낸데 반해, 더 낮은 처리율에서는 S1이 A1과 A2보다 두드러지게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는 설포석신산의 각종 아민염을 C1과 함께 실시예 1에 사용된 디이젤 연료 A에 첨가하였다.
아민염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S2 C14푸마레이트 에스테르/A2HT
Figure kpo00023
S3 C14말리에이트 에스테르/A2HT
Figure kpo00024
S4 C16푸마레이트 에스테르/A2HT
Figure kpo00025
S5 C16푸마레이트 에스테르/헥사데실아민
Figure kpo00026
S6 C18/22푸마레이트 에스테르/A2HT
Figure kpo00027
S7 C22푸마레이트/A2HT
Figure kpo00028
S8 3×NHR2/말레산 무수물
Figure kpo00029
S9 2NHR2, C16-20OH/M.A.(생성물의 혼합물)
Figure kpo00030
S10 2NHR2/디메틸 말리에이트(생성물-어떤 이미드의 혼합물)
Figure kpo00031
S1 3NHR2/디메틸 말리에이트(생성물-어떤 이미드의 혼합물)
Figure kpo00032
A2HT=R2NH(여기에서, R=C16/18임)
CFPPT를 실시했을때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3
실시예 4
다른 농도의 C1과 아민염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4
실시예 5
이 실시예에서는 디이젤 연료 A에 공중합체 C1과 각종아민 염, A1 및 A2(실시예 2참조) 침 공중합체 혼합물 C2를 첨가하였다. C2는 비닐 아세테이트 36중량%를 함유한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과의 공중합체 38중량%, C1 13중량%, 디테트라데실 푸마레이트와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5.75중량%, 푸마르산의 혼합 테트라데실/헥사데실디에스테르와 비닐아세테이트와의 공중합체 14중량% 및 탄화수소 용매 29.25중량%의 혼합물이다.
연료유 조성물을 매 시간당 1℃씩 강하하여 -6℃까지 냉각시키고 43시간동안 숙성시켜 왁스침전 억제에 대해 시험하였다. 생성된 결정의 양 또는 결정이 생성되지 않음을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유체
sc/mc/1c=소형, 중형 또는 대형 결정
5=5% 용량까지 침전된 왁스층
95/5=2개의왁스층이 나타남
왁스 침전 억제(WAS)
Figure kpo00035
상기표로부터 S1, S9 및 S10을 C1과 병용하면 C1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중형/대형 결정 생성)보다 결정의 조절(즉, 작은 결정)이 훨씬 더 잘됨을 알 수 있다. S9 및 S10을 C1과 병용한 경우에는 C1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훨씬 더 좋은 WAS를 나타내었고, A1 및 A2 및 S10을 C1과 병용하였더니 완전히 분산되어 있는 보다 작은 결정을 형성하였다. C1 처리한 연료의 경우에 우수한 AWAS 결과가 얻어진 이유는 이들 샘플이 겔 상태였기 때문이다(기본 연료에 비해 흐름 개선이 거의 안됨).
실시예 6
각종 아민염(및 비교용 C1)을 하기 특성을 갖는 분류 디이젤 연료 B에 가하였다.
D86 분류 IBP 20% 50% 90% FBP 90-20% 찌끼
℃ 166 217 276 348 370 131 22
흐림점 2℃ 기본 CFPP -0℃
디이젤 연료유 조성물에 대해 CFPPT를 실시했을때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6
실시예 17
연료유 B를 사용하여 실시예 6을 반복하되, 상이한 염들, C1 및 공중합체 C3의 혼합물을 C1 및 C2만과 비교하고 또한 C1과 C2의 혼합물과 비교하였다. C3는 말레산의 디테트라데실 에스테르와 스티렌의 공중합체(MN 8000)이다.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7
실시예 8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유 B에 각종 염을 첨가하였다. 비교할 목적으로, 활성성분 75중량% 및 탄화수소 용매 25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혼합물[C4 : 여기에서 활성성분은 C1 1중량부에 대해 비닐아세테이트 단위 36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4.5중량부임], 비닐아세테이트와 디-테트라 데실 푸마레이트의 공중합체(C5) 및 프탈산 무수물과 이수소화 수지 아민(R2NH, 여기에서 R은 C16/C18직쇄 알킬임)과의 반응 생성물(P1)을 또한 연료유 B에 첨가하였다. CFPPT를 실시했을때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8
상기에서 모든 염들, 특히 S3, S4, S5, S10 및 S1은 C4/C5만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이 실시예에서는, 연료유 C에 각종 아민염을 첨가하고 비교용으로 C1 및 C2를 첨가하였다. 연료유 조성물에 대해 YPCT 시험을 실시하고 수득된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연류유 C의 특성 :
D86 분류 IBP 20% 50% 90% FBP 90-20% 찌끼
℃ 190 246 282 346 372 100 28
흐림점 3℃ 기본 CFPP 0℃
Figure kpo00039
X : 지시된 망을 통과하지 못함
/ : 문제없이 지시된 망을 통과
# : 망을 통과하는데 걸린 시간(초)을 지시하는 호수
상기 결과들로 부터 S9와 S1 둘다 C1/C2 단독의 경우(통과하지 못함)와 비교하여 더 잘 통과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이 실시예에서는, 각종 염들을 디이젤 연료유 A에 첨가하였고, 비교할 목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 36중량% 함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C6 : 활성성분 45중량%, 탄화수소 용매 55중량%), 및 C1을 또한 연료유 A에 첨가하였다. CFPPT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40
S2를 제외한 모든 염들은 두가지 처리율에서 C6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41
보다 낮은 처리율(전부 150)에서는 S9만이 C1 단독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고, 보다 높은 처리율에서는 S9와 S8이 C1 단독의 경우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각종 설포석시네이트 염을 하기 특성을 갖는 일본산 디이젤 연료유(D)에 첨가하였다.
D86 분류 IBP 20% 50% 90% FBP 90-20% 찌끼
℃ 231 273 292 331 350 58 19
흐림점 -3℃ 기본 CFPP -5℃
비교할 목적으로, 디 C12/C14알킬 푸마레이트 56중량부와 MW 200, 400 및 6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베해네이트 혼합물 14중량부의 혼합물 M(활성성분 70%, 탄화수소 용매 30%)을 또한 C에 첨가하였다.
CFPPT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kpo00042
모든 염들은 M의 활성을 증강시켰고 1/4의 염/M 비에서 M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최대의 CFPP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디이젤 연료유 B에 각종 염과 비교용으로 각종 다른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염은 S9였고 다음과 같다.
S11 C16/20 알콜/2 몰 A2HT/말레산 무수물
Figure kpo00043
S12 C6 알콜/2 몰 A2HT/말레산 무수물
Figure kpo00044
S13 C6디올/2 몰 A2HT/말레산 무수물
Figure kpo00045
S14 C12 알콜/2 몰 A2HT/말레산 무수물
Figure kpo00046
C6는 디 C12/C14 알킬 푸마레이트와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이고, C7은 디 C14/C16 알킬 푸마레이트와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이다.
CFPPT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47
앞장의 표에서, 염들이 C1만의 활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C12/14와 C14FVAs(C6 및 C5)를 가함으로써 활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표로부터는 설포석시네이트 S14, S11 및 S13이 양 비율의 동일한 전체 처리에서 C1만의 경우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전술한 공중합체 C1/C3, 생성물 A1 및 염 S11을 하기 특성을 갖는 연료유 E에 첨가하였다.
연료 E
D86 분류 IBP 20% 50% 90% FBP 90-20% 찌끼
℃ 188 249 290 352 380 103 28
흐림점 +3℃ 기본 CFPP 0℃
이 연료(10g 샘플)에서의 CFPP의 WAS시험(실시예 5에 상세히 설명됨)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48
P1을 C1/C3와 병용한 경우보다 S11과 C1/C3를 병용한 경우에 더 우수한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이 실시예에서는, 설포석시네이트 염 S9(실시예 3 참조)의 방청성(anti-rust property)을 시험하고 중간 분류흐름 개선제로서 통용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X)의 방청성과 비교하였다. 이 시험은 연강 소구(小球)를 사용한 ASTM D665 'A' 및 'B'(IP 135등가물)였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으며, 이 표로부터 S9가 X보다 상당히 우수한 방청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49
실시예 15
이들 설포석시네이트 S8, S9 및 S3의 디이젤 연료에서의 소포특성을 하기 시험으로 측정하고 2개의 공중합체와 비교하였다. 마개를 돌려 막는 병(120g)에 들어있는 연료 샘플 100g에 첨가제를 지시된 처리율로 첨가하였다. 첨가한지 1시간 경과후 및 24시간 경과후에 샘플에 대해 소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료 샘플을 스튜아트(Stuart) 플라스크 진탕기에서 60초간 속도를 8에서 10으로 조정하면서 교반(18℃ 톱니 파형 기포, 초당 약 12의 진동수, 10 내지 15mm의 진폭으로 진탕)하였다. 교반을 맘췄을때, 기포가 제거되는데, 즉 표면에서 기포가 없어지기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시간(명백한 점)을 기록한다. 이 시간보다 더 짧으면 짧을수록 첨가제의 소포 특성은 더욱 더 좋아진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50

Claims (31)

  1. 액체 탄화수소 연료유 및 연료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5.0중량%의 (a)설포석신산, (b)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c)설포석신산의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d)설포석신산의 에세트르-아미드의 아민 또는 디아민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민 염이 하기 일반식을 갖는 조성물.
    Figure kpo00051
    상기식에서, R,R1및 R2는 수소이기나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R3및 R4는 수소이거나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R5는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X는 -OR6,-NR7R8또는
    Figure kpo00052
    이며, Y는 -OR12, -NR13R14또는
    Figure kpo00053
    이며, 여기에서, R6,R7,R8,R9,R10,R12,R13,R|14,R15및 R16은 수소이기나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단, R6와 R12가 둘다 소수일 수 없고, R11과 R17은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단, R3,,R4및 R5는 모두 알킬그룹일 수 없다.
  3. 제1항에 있어서, X 및 Y중에 존재하는 R 그룹 적어도 하나가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그룹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R1및 R2가 수소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R이 탄소원자 10 내지 20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그룹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R3및 R4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그룹 R3및 R5가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X가 -OR6이고 Y가 -OR12이며, R6와 R12는 탄소원자 10 내지 22개를 함유하는 선형 장쇄 알킬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X가 -OR6이고 Y가 -NR13R14이거나, X가 -NR7R|8이고 Y가 -OR12이며, 이때 R6및 R12는 탄소원자 10 내지 22개를 함유하는 선형 장쇄 알킬이고, R7,R8,R13및 R14는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X가 -NR7R8이고 Y가 -NR13R14이며, 이때 R7,R8,R13및 R14는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아민염이 하기 일반식을 갖는 조성물.
    Figure kpo00054
    상기식에서, R,R1,R2,R3,R4및 R5는 제3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7,R8,R15,R16및 R17은 C14내지 C22알킬그룹이다.
  12. 제1항에 있어서, 연료유가 120℃ 내지 450℃ 범위의 비점 및 -30℃ 내지 5℃의 흐름점을 갖는 증류 연료유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연료유용 중합체 저온 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연료유용 단량체 저온 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조성물.
  15. (a)설포석신산, (b)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c)설포석신산의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d)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아미드의 아민 또는 디아민염의 연료유에서 왁스 결정 조절제로서의 용도.
  16. 제15항에 있어서, 아민염이 하기 일반식을 갖는 용도.
    Figure kpo00055
    상기식에서 R,R1및 R2는 수소이거나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R3및 R4는 수소이거나 탄소원자 12개 이상을 함유하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R5는 탄소원자 12개 이상을 함유하는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고, X는 -OR6,-NR7R8또는
    Figure kpo00056
    이며, Y는 -OR12, -NR13R14또는
    Figure kpo00057
    이고, 이때 R6,R7,R8,R9,R10,R12,R13,R|14,R15및 R16은 수소이거나 수소- 및 탄소-함유그룹이며, 단 R6와 R12는 둘다 수소일 수 없고, R11및 R17은 수소- 및 탄소-함유 그룹이며, 단, R3,R4및 R5는 모두 알킬 그룹일 수 없다.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X 및 Y중에 존재하는 R 그룹들중의 적어도 하나가 탄소원자 6개 이상을 함유하는 그룹인 용도.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R1및 R2가 수소인 용도.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R이 탄소원자 10 내지 20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그룹인 용도.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R3및 R4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소인 용도.
  21.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그룹 R3및 R5가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용도.
  22.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X가 -OR6이고 Y가 -OR12이며, R6와 R12는 탄소원자 10 내지 22개를 함유하는 선형 장쇄 알킬인 용도.
  23.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X가 -OR6이고 Y가 -NR13R14이거나, X가 -NR7R8이고 Y가 -OR12이며, 이때 R6및 R12가 탄소원자 10 내지 22개를 함유하는 선형 장쇄 알킬이고, R7,R8,R13및 R14는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용도.
  24.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X가 -NR7R8이고 Y가 -NR13R14이며, 이때 R7,R8,R13및 R14는 C14내지 C22알킬 그룹인 용도.
  25.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아민염이 하기 일반식을 갖는 용도.
    Figure kpo00058
    상기식에서, R,R1,R2,R3,R4및 R5는 제18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7,R8,R15,R16, 및 R17은 C14내지 C|22알킬 그룹이다.
  26.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중합체 저온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용도.
  2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단량체 저온 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용도.
  2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연료유가 증류 연료유인 용도.
  29. 용매 10 내지 90중량%와 (a)설포석신산, (b)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c)설포석신산의 아미드 또는 디아미드 또는 (d)설포석신산의 에스테르-아미드의 아민 또는 디아민염 90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첨가제 농축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증류 연료용 중합체 저온 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첨가제 농축물.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증류 연료용 단량체 저온 흐름 개선제를 또한 함유하는 첨가제 농축물.
KR1019880014393A 1987-11-02 1988-11-02 연료유 첨가제 KR970010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25613 1987-11-02
GB878725613A GB8725613D0 (en) 1987-11-02 1987-11-02 Fuel oil addi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303A KR890008303A (ko) 1989-07-10
KR970010865B1 true KR970010865B1 (ko) 1997-07-01

Family

ID=1062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393A KR970010865B1 (ko) 1987-11-02 1988-11-02 연료유 첨가제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5364419A (ko)
EP (1) EP0316108B1 (ko)
JP (1) JP2641925B2 (ko)
KR (1) KR970010865B1 (ko)
CN (1) CN1025747C (ko)
AT (1) ATE72455T1 (ko)
AU (1) AU615004B2 (ko)
BR (1) BR8805623A (ko)
DD (1) DD275880A5 (ko)
DE (1) DE3868311D1 (ko)
DK (1) DK611388A (ko)
ES (1) ES2038770T3 (ko)
FI (1) FI95478C (ko)
GB (1) GB8725613D0 (ko)
GR (1) GR3004493T3 (ko)
IN (1) IN174267B (ko)
MX (1) MX171922B (ko)
NO (1) NO172186C (ko)
PL (1) PL158733B1 (ko)
RU (1) RU207306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4110A (en) * 1986-09-24 1998-09-29 Exxon Chemical Patents Inc. Chemical compositions and use as fuel additives
JPH0733518B2 (ja) * 1992-02-24 1995-04-12 小池化学株式会社 ガソリン用水分除去剤
GB9410820D0 (en) * 1994-05-31 1994-07-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Oil additives and compositions
GB9610363D0 (en) 1996-05-17 1996-07-24 Ethyl Petroleum Additives Ltd Fuel additives and compositions
US5681359A (en) * 1996-10-22 1997-10-28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Ethylene vinyl acetate and isobutylene terpolymer as a cold flow improver for distillate fuel compositions
GB9725581D0 (en) 1997-12-03 1998-02-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Additives and oil compositions
GB9725579D0 (en) 1997-12-03 1998-02-04 Exxon Chemical Patents Inc Additives and oil compositions
KR100306787B1 (ko) * 1999-06-17 2001-09-24 배석만 귀걸이 착탈구
US20050086855A1 (en) * 2003-10-15 2005-04-28 Tack Robert 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deposits in jet engine
JP4775180B2 (ja) * 2006-08-28 2011-09-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水切り機能を備えたバスレフ型スピーカユニット
EP2025737A1 (en) 2007-08-01 2009-02-18 Afton Chemical Corporation Environmentally-friendly fuel compositions
PL3046999T3 (pl) * 2013-09-20 2019-07-31 Basf Se Zastosowanie specjalnych pochodnych czwartorzędowanych związków azotowych jako dodatków w paliwach silnikowych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8596A (en) 1955-12-20 1960-08-09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Non-stalling gasoline fuel compositions
US2906613A (en) * 1956-06-21 1959-09-29 Sun Oil Co Suppression of fuel icing
FR1247926A (fr) * 1957-06-20 1960-12-0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Fuel-oils perfectionnés
US3033665A (en) * 1958-08-01 1962-05-08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Nonstalling gasoline motor fuel
US3116128A (en) 1959-12-28 1963-12-31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Fuel oil composition and composite improvement agent therefor
FR1311567A (fr) * 1960-12-30 1962-12-07 Shell Int Research Nouveaux composés et liquides organiques de conductivité électrique améliorée
US3116218A (en) * 1962-07-17 1963-12-31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enicillin-splitting enzyme preparations
US3578422A (en) * 1969-03-03 1971-05-11 Lubrizol Corp Emulsion resistant fuel compositions
US3961916A (en) * 1972-02-08 1976-06-08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iddle distill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filterability and process therefor
US4105418A (en) * 1973-05-29 1978-08-08 Mohnhaupt Dietrich Fritz Arthu Fuel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059414A (en) * 1976-05-28 1977-11-22 Phillips Petroleum Company Ashless fuel detergent additives
US4113443A (en) * 1977-06-27 1978-09-12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Antistatic additives
US4211534A (en) * 1978-05-25 1980-07-0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Combination of ethylene polymer, polymer having alkyl side chains,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to improve cold flow properties of distillate fuel oils
CA1137101A (en) * 1978-12-29 1982-12-07 Vijaya K. Varma Oil soluble sulfonated polyol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esters of unsaturated c.sub.4-c in10 xx dicarboxylic acid materials with said sulfonated polyols
US4464182A (en) * 1981-03-31 1984-08-0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Glycol ester flow improver additive for distillate fuels
US4620855A (en) * 1984-11-07 1986-11-04 The Lubrizol Corp. Amino sulfonic acid derivatives of carboxylic acid-containing interpolymers, and fuels, lubricants and aqueous systems containing said derivatives
US5215548A (en) * 1991-12-20 1993-06-01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Distillate fuels containing an amine salt of a sulfonic acid and a low volatility carrier fluid (PNE-5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611388D0 (da) 1988-11-02
AU2458788A (en) 1989-05-04
DD275880A5 (de) 1990-02-07
NO884859L (no) 1989-05-03
RU2073065C1 (ru) 1997-02-10
FI885036A (fi) 1989-05-03
ES2038770T3 (es) 1993-08-01
DE3868311D1 (de) 1992-03-19
DK611388A (da) 1989-05-03
GR3004493T3 (ko) 1993-03-31
EP0316108A1 (en) 1989-05-17
BR8805623A (pt) 1989-07-18
FI95478C (fi) 1996-02-12
FI95478B (fi) 1995-10-31
ATE72455T1 (de) 1992-02-15
JPH0284490A (ja) 1990-03-26
JP2641925B2 (ja) 1997-08-20
GB8725613D0 (en) 1987-12-09
EP0316108B1 (en) 1992-02-05
IN174267B (ko) 1994-10-22
CN1034951A (zh) 1989-08-23
AU615004B2 (en) 1991-09-19
NO172186C (no) 1993-06-16
CN1025747C (zh) 1994-08-24
US5364419A (en) 1994-11-15
NO884859D0 (no) 1988-11-01
NO172186B (no) 1993-03-08
MX171922B (es) 1993-11-24
KR890008303A (ko) 1989-07-10
PL158733B1 (pl) 1992-09-30
FI885036A0 (fi) 1988-11-01
PL275591A1 (en) 198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244B1 (ko) 유기 액체용 첨가제
US4211534A (en) Combination of ethylene polymer, polymer having alkyl side chains,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to improve cold flow properties of distillate fuel oils
KR100356328B1 (ko) 오일첨가제,그에사용되는조성물및중합체
EP0283293B1 (en) Use of low temperature flow improvers in distillate oils
EP0214786B1 (en) Middle distill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perties
US6475250B2 (en) Multifunctional additive for fuel oils
EP0225688B1 (en) Oil and fuel oil compositions
EP0306290B1 (en) Flow improvers and cloud point depressants
KR960014926B1 (ko) 연료 조성물
KR970010865B1 (ko) 연료유 첨가제
EP0308176A1 (en) Fuel oil additives
US6610111B2 (en) Fuel oils having improved lubricity comprising mixtures of fatty acids with paraffin dispersants, and a lubrication-improving additive
CA2256426C (en) Paraffin dispersants for crude oil middle distillates
KR100534166B1 (ko) 개선된 오일 조성물
JP2839291B2 (ja) 燃料組成物
DE69802198T3 (de) Zusätze für ölzusammensetzungen
KR100356329B1 (ko) 오일첨가제,그에사용되는조성물및중합체
EP0343981B2 (en) Use of an additive in a fuel oil composition as a flow improver
KR20050061341A (ko) 저온 흐름을 개선시킨 연료용 조성물
US5092908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old flow properties of middle distillates (OP-3571)
EP0465042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old flow properties of middle distillates
WO1988002394A2 (en) Middle distillate compositions with reduced wax crystal size
KR20000065259A (ko) 오일에 사용하기 위한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52753B1 (ko) 오일 조성물용 부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