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921B1 - 사출 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921B1
KR970009921B1 KR1019940700049A KR19940700049A KR970009921B1 KR 970009921 B1 KR970009921 B1 KR 970009921B1 KR 1019940700049 A KR1019940700049 A KR 1019940700049A KR 19940700049 A KR19940700049 A KR 19940700049A KR 970009921 B1 KR970009921 B1 KR 97000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aten
molding machine
injection molding
pu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이또
고이찌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B29C45/1755Means for receiving or discharging purged material; Purge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7Machine parts provided with a shroud or cover or shield, e.g. for preventing oil or dust scat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사출 성형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출 성형기의 일부 파단측면도.
제2도는 제 1 도 표시의 사출 성형기의 고정 플래턴의 정면도.
제3도는 제 2 도의 Ⅲ-Ⅲ선을 따른 횡 단면도.
제4도는 제 2 도에 표시한 고정 플래턴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출 성형기의 요부를 표시하는 횡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출 성형기의 요부를 표시하는 횡 단면도.
제7도는 제 6 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퍼지 시일드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 특히 베이스상에 서로 마주대해서 각각 설치된 형 체결 유닛과 사출 유닛과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에 관한다.
배경기술
베이스상에 서로 마주대해서 각각 설치된 형 체결 유닛과 사출 유닛과를 구비한 사출 성형기에서는, 형 체결 유닛에 고정된 금형에 사출 유닛의 노즐선단이 맞닿아서 사출이 실시된다. 그리고 금형을 교환한 당초, 사출 유닛측의 실린더 어셈블리를 교환한 당초, 혹은 부품을 교환하는 등을 위하여 사출 유닛을 선회시킨 후에는, 노즐 터치시에 사출 유닛의 노즐 선단이 금형의 스프루(sprue) 푸시 전면에 정확하게 맞닿아 있는가의 여부를, 사출 유닛을 수동 조작으로 혹은 완속 작동시키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스프루 푸시와 사출 노즐 선단과의 맞닿음, 즉, 노즐 터치의 상태의 종래, 작업자가 형 체결 유닛의 정면측에서 고정 플래턴의 전면(사출 유닛측의 면)을 드려다 보도록 하고, 퍼지 시일드(purge shield)의 틈으로 부터 관찰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프루 푸시와 사출 노즐 선단과의 맞닿는 장소는 고정 플랜턴의 전면에서 깊숙한 곳에 있고, 더욱이 어둡기 때문에, 맞닿은 양상을 정확히 알기는 곤란했다.
이 상황은 사출 성형기가 대형이 되어 고정 플래턴의 두께가 클수록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부적절한 노즐 터치에 의하여 수지 누설등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스프루 푸시와 사출 노즐 선단의 맞닿은 상태를 관찰하기 쉬운 사출 성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출 성형기는, 가동 플래턴 및 고정 플래턴을 갖는 형 체결유닛을 구비하고, 고정 플래턴은, 금형의 스프루가 위치 지어지는 로케이트 홀과, 측면에서 상기 로케이트 홀로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공과를 가지며, 이 감시공을 통해서 형 체결 유닛의 측쪽으로 부터 로케이트홀의 부위가 관찰될 수 있다.
감시공은, 작업자가 형 체결 유닛의 정면 및 배면의 적어도 한쪽의 측으로 부터 로케이트 홀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감시공을 위한 셧터를 설치할 수 있고, 이 셧터는 퍼지 시일드의 개폐와 연동하여 개폐되고, 퍼지 시일드가 열린때, 감시공을 개방한다. 셧터는, 퍼지시에 분출하는 가스나 수지가 작업자측으로 분출하여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정 플랜턴의 전부를 덮는 퍼지 시일드에 창을 설치하고, 상기의 창 및 상기의 감시공을 통해서 외부에서 로케이트 홀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퍼지 시일드의 창은 감시공과 함께 동작하여, 사출 유닛이 퍼지 작동중이라도 로케이트 홀 장소의 관찰을 가능케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출 성형기를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형 체결 유닛(70)과 사출 유닛(80)은 베이스(60)상에 마주대해서 설치되고, 형 체결 유닛(70)의 가동 플래턴(40)과 고정 플래턴(10)과의 사이에 유지된 금형(50)의 스프루(51)에 사출 유닛(80)의 사출 노즐(81) 선단이 맞닿아서 사출성형이 행하여 진다.
제 2 도 및 제 3 도와 같이, 고정 플래턴(10)에는 가동 플래턴(40)측 (후방측)의 중앙부에 로케이트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래턴(10)의 본체(14)는 사출 유닛(80)측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벽(15)을 가지며, 가이드벽(15)내에는 가이드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공(13)은 후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하여 로케이트 홀(12)에 연이어져 있다. 가이드벽(15)에는 작업자의 위치에 대해서 정면측이 되는 측면과, 그 반대측의 측면에서 감시공(16a 및 16b)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감시공(16a)는, 가이드벽(15)의 외측면에서, 상기 로케이트 홀(12)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가이드공(13)까지 관통하고, 작업자가 형 체결 유닛(70)의 정면측으로 부터 이 감시공(16a)을 통해서 로케이트 홀(12)의 부위 전체를 볼 수 있는 구멍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배면측의 감시공(16b)은 정면측의 감시공(16a)과 배치가 대칭될 뿐이고,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펀칭홀(17)은 가이드벽(15)의 주위에 배치되고, 고정 플래턴(1)의 중량을 경감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18)은 타이바의 장착공을 표시한다.
고정 플래턴(10)에 금형(50)이 장착되면, 금형(3)의 스프루 푸시(51)는 로케이트 홀(12)내에 위치지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노즐 터치 동작시에 사출 유닛(80)의 사출 노즐(81)선단과 스프루 푸시(51)의 위치 관계, 즉, 노즐 터치 상태를, 감시공(16a 또는 16b)에서 확실하게 관찰할 수 있다. 그때에 작업자는, 감시공(16a) 및 (16b)를 통해서 다이플래턴 유닛(70)의 정면과 배면에서 노즐 터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또 감시공이 볼수있다면, 관찰에 사용하고 있는 감시공 이외의 감시공으로 부터 빛이 들어가고, 스프루 푸시(51)과 사출 노즐(81)의 맞닿은 상태가 관찰하기 쉽다.
또한, 스프루 푸시(51)와 사출 노즐(81)의 맞닿은 상태를 조정할때는, 사출 유닛(80)에 구비되어 있는 잭 볼트나 나비 위치 조정 볼트(도시 않음)에 의하여 스프루 푸시(51)와 사출 노즐(81)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켜서 적당한 맞닿은 상태로 한다.
다음에, 제 5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 플래턴(10)에는 플래턴커버(19)가 장착되고, 이 커버(19)에 퍼지시일드(20)의 문짝판 (21a 및 21b)와 감시공(16a 및 16b)를 위한 셧터(22a 및 22b)가 설치되어 있다. 문짝판 (21a 및 21b)는 그 기부가 플래턴 커버(19)의 전면에 경첩(23)으로 회전 운동 가능으로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 공(13)의 전방을 정면 및 배면에 있어서 덮는(닫는)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했지만, 문짝판 (21a 및 21b)의 위쪽에는 천판(天板)이 설치되어 있고, 퍼지 시일드(20)는 전체로서 전면에서 보다 아래쪽이 개방된 직각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셧터(22a 및 22b)는, 감시공(16a 및 16b)의 가상 연장선이 플래턴 커버(19)의 전면을 대시하는 부분의 커버(19)의 일부를 잘라내도록 하여 형성되고, 각각 경첩(24)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퍼지 시일드(20)의 문짝판(21a 및 21b)와 셧터(22a 및 22b)는 가는링(25)으로 결합되고, 문짝판(21)이 플래턴 커버(19)의 전면에 대해서 직각이된 닫는 위치에 있을때, 셧터(22)는 플래턴 커버(19)의 전면판과 동일면이 되는 즉, 감시공(16a 및 16b)가 닫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 퍼지 시일드(20)는 문짝판(21a 및 21b)의 열린 상태를 검출하는 리밋트 스위치(도시 않음)를 구비하고, 문짝판(21a 및 21b)가 열려있을때에, 사출 유닛의 퍼지 작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퍼지 시일드의 문짝판(21a 및 21b)가 열려 있을때에만, 즉, 문짝판(21a 및 21b)가 열러 리밋트 스위치가 작동하고, 사출 유닛의 퍼지 작동이 불능이 되어 있을때에만, 셧터(21a 및 21b)가 열리어 감시공(16a 및 16b)를 드려다 볼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스프루 푸시(51)와 사출 노즐(81)이 맞닿은 상태를 관찰중에 퍼지에 의한 수지나 가스를 받는 적이 없다. 또, 퍼지 작동중은 퍼지 시일드(20)의 문짝판(21a 및 21b)가 닫히고, 셧터(22a 및 22b)도 닫혀지기 때문에 퍼지에 의한 가스나 수지등이 외부에 새는 적이 없다.
다음에, 제 6 도 및 제 7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고정 플래턴(10)에는 플래턴 커버(19')가 장착되고, 이 커버(19')의 전면에 퍼지 시일드(30)과 장착되어 있다.
퍼지 시일드(30)은, 본체(31)와 뚜껑체(32)의 2개의 부재로 이루고, 전체로서 전방으로 오므라지는 각뿔대의 꼴이 되어 있다. 단, 제 7 도에 표시와 같이, 퍼지 시일드(30)은 천판(33)을 갖지만 후면과 하면이 없다. 뚜껑에(32)는 상기의 각뿔대의 한쪽의 측면을 형성하고, 투명한 합성 수지판이 끼워넣어진창(34a)을 구비하고, 플래턴 커버(19')의 전면에 나비판(35)으로 정면측으로 회전 운동가능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 본체(31)의 전면판(36)은 실린더 어셈블리(20)의 선단부가 진입하는 개구(37)을 구비하고, 측판(38)은 창(34a)와 동일한 창(34b)를 구비한다. 본체(31)는 플래턴 커버(19')의 전면에 경첩판(39)에 의하여 배면측으로 회전운동 가능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퍼지 시일드(30)는 전체로서, 양측의 창(34a 및 34b)가 감시공(16a 및 16b)의 가상 연장선과 교차하는 위치가 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제 6 도 참조).
상기 구성에 의하여, 감시공(16a 및 16b)를 통해서, 사출 유닛(20)가 퍼지 작동중이라도, 상시, 스프루 푸시(51)와 사출노즐(81)의 맞닿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감시공(16a 및 16b)는 형 체결 유닛(70)의 정면 측에만 설치할 수 있다. 또, 제 2 의 실시예에 있어서 퍼지 시일드의 문짝판(21a 및 21b)이 크게, 문짝판(21a 및 21b)를 열면 감시공(16a 및 16b)가 감추어져 버리는 경우에는, 이 문짝판(21a 및 21b) 자체를 투명한 것으로 하고, 문짝판(21a,21b)를 통해서 감시공(16a 및 16b)를 알아보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동 실시예에 있어서 링크(25)를 생략하고, 퍼지 시일드(20)의 셧터(22a 및 22b)를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고, 이 창을 통해서 감시공(16a 및 16b)를 알아보는 구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의 스프루 푸시와 사출 유닛의 노즐 선단과의 맞닿은 상태를 관찰하면서 노즐터치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 터치가 정확해진다. 고정 플래턴의 벽두께가 커진다 해도, 노즐 터치의 관찰이 용이하다. 또, 퍼지 작동시의 가스나 수지에 의한 위험이 없는 상태로 노즐 터치의 관찰을 할 수 있고, 퍼지 작동시에 가스나 수지가 감시공을 지나서 외부로 새는 적이 없다.

Claims (5)

  1. 금형을 끼우는 가동 플래턴 및 고정 플래턴을 갖는 형 체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플래턴은 금형의 스프루가 위치 고정되는 로케이트 홀과 측면에서 상기 로케이트홀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감시공을 가지며, 상기 감시공을 통해서 형 체결 유닛의 측방에서 상기 고정 플래턴의 로케이트홀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공은, 작업자에 대해서 정면이 되는 고정 플래턴의 측면 및 작업자에 대해서 배면이 되는 고정 플래턴의 측면에서 상기 로케이트 홀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는 사출 성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 체결 유닛은 상기 고정 플래턴의 외주를 덮는 플래턴 커버와 개폐가 자유로운 퍼지 시일드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플래턴 커버는 상기 감시공을 바라보는 셧터를 가지며, 상기 셧터는 상기 퍼지 시일드의 개폐와 연동하여 개폐되고, 퍼지 시일드가 열린때 상기 셧터가 열리어 상기 감시공을 통해서 상기 로케이트 홀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 체결 유닛은 상기 고정 플래턴의 전방에 각각 설치되고 또 창을 갖는 퍼지 시일드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퍼지 시일드의 창 및 상기 감시공을 통해서 상기 로케이트 홀의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형체결 유닛은 상기 고정 플래턴의 외주를 덮는 플래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퍼지 시일드는 상기 플래턴 커버에 장착되어 있는 사출 성형기.
KR1019940700049A 1992-05-29 1993-05-25 사출 성형기 KR970009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61646 1992-05-29
JP4161646A JP2694489B2 (ja) 1992-05-29 1992-05-29 射出成形機
PCT/JP1993/000691 WO1993024297A1 (en) 1992-05-29 1993-05-25 Injection moul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21B1 true KR970009921B1 (ko) 1997-06-19

Family

ID=1573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049A KR970009921B1 (ko) 1992-05-29 1993-05-25 사출 성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60505A (ko)
EP (1) EP0597121B1 (ko)
JP (1) JP2694489B2 (ko)
KR (1) KR970009921B1 (ko)
DE (1) DE69312862T2 (ko)
WO (1) WO1993024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711A (en) * 1995-06-07 1997-01-1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Uniformly compressible platen
JP3609537B2 (ja) * 1996-06-17 2005-01-12 東芝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フィードバック制御装置
JP4612216B2 (ja) * 2001-04-06 2011-01-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金属射出成形機のパージカバー装置
US7080978B2 (en) * 2003-04-17 2006-07-2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laten
JP3792689B2 (ja) 2003-10-28 2006-07-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ノズルの位置合わせ装置
US20060099293A1 (en) * 2004-11-10 2006-05-11 Adas James O Molding apparatus
US20070036879A1 (en) * 2005-08-09 2007-02-15 Andreas Ujma Machine platen and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4928133B2 (ja) * 2006-02-13 2012-05-09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成形機
DE102009033134B3 (de) * 2009-07-15 2010-12-02 Netstal-Maschin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augung von Dämpfen bei einer Spritzgießmaschine
JP5607775B2 (ja) * 2013-02-27 2014-10-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ノズルタッチ確認用照明装置
US8840391B1 (en) * 2013-03-29 2014-09-23 Dan Sherrill Drool shield for injection molding
JP6062890B2 (ja) * 2014-07-16 2017-01-18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樹脂飛散防止カバー
JP6010084B2 (ja) * 2014-10-22 2016-10-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
CN108995137A (zh) * 2018-06-28 2018-12-14 芜湖中科智捷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功能的伺服节能注塑机
JP6882253B2 (ja) * 2018-12-21 2021-06-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用排気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057A (en) * 1970-09-02 1973-04-17 New Britain Machine Co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safety mechanism
JPS5756843Y2 (ko) * 1979-08-22 1982-12-07
JPS5756843A (en) * 1980-08-27 1982-04-05 Toppan Printing Co Ltd Set-up method of television picture photoengraving device
JPS57109620A (en) * 1980-12-26 1982-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lding apparatus of disk like recording medium
JPS58101023A (ja) * 1981-12-09 1983-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盤状記録媒体成形装置
JPS58133416A (ja) * 1982-02-01 1983-08-09 Mikuni Kogyo Co Ltd ラジエタ−用シヤツタ−のベ−ン
JPS58133416U (ja) * 1982-03-03 1983-09-08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射出成形装置
JPH0818347B2 (ja) * 1987-08-01 1996-02-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ノズルタッチ方法
JPH0260723A (ja) * 1988-08-26 1990-03-01 Fanuc Ltd 射出成形機のパージシールド
JPH0263710A (ja) * 1988-08-31 1990-03-05 Fanuc Ltd 射出成形機のパージシールド
JPH04339622A (ja) * 1991-05-17 1992-11-26 Sumitomo Jukikai Plast Mach Kk ロケートリング可変式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7121B1 (en) 1997-08-06
JP2694489B2 (ja) 1997-12-24
EP0597121A1 (en) 1994-05-18
DE69312862T2 (de) 1997-11-27
US5460505A (en) 1995-10-24
EP0597121A4 (en) 1995-02-22
DE69312862D1 (de) 1997-09-11
JPH05329899A (ja) 1993-12-14
WO1993024297A1 (en) 199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921B1 (ko) 사출 성형기
US5299844A (en) Sealed latch assembly
US3652114A (en) Security hasp
US4073172A (en) High security deadbolt lock
CA1045402A (en) Lock cover device
SK8472000A3 (en) Padlock
CN110712347B (zh) 注塑成型机
EP1952967B1 (en) Safety door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10511156A (ja) ドア特に配電盤ドア用のロック機構
KR920007887A (ko) 모터사이클의 연료탱크 뚜껑 조립체
CN217346576U (zh) 用于注塑机的射嘴防护装置
CA2264472A1 (en) Actuator for a safety switch
KR20010048214A (ko) 배전반용 핸들
DK2553190T3 (en) Protection device for a lock to protect against manipulation of the lock
JP2506088Y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0263710A (ja) 射出成形機のパージシールド
KR102263292B1 (ko) 차량용 연료도어 장치
KR0123332Y1 (ko) 도어내 배치형 4축은폐경첩
JP2013221314A (ja) 保護キャップ
JP2018199975A (ja) 差圧緩和装置
KR102558155B1 (ko) 도어경첩 보호덮개
JP3132255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構造
JPH0599399A (ja) 切断装置の安全機構
JP3920432B2 (ja) ガードアーム錠におけるストライク
JPH09201466A (ja)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の封印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