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06B1 -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06B1
KR970007906B1 KR1019940003612A KR19940003612A KR970007906B1 KR 970007906 B1 KR970007906 B1 KR 970007906B1 KR 1019940003612 A KR1019940003612 A KR 1019940003612A KR 19940003612 A KR19940003612 A KR 19940003612A KR 970007906 B1 KR970007906 B1 KR 97000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nan
rhamnose
sulfuric acid
ulc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304A (ko
Inventor
마사토 나가오카
슈우수케 하시모토
쭈네카주 와타나베
테루오 요코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토혼샤
쿠와하라 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토혼샤, 쿠와하라 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토혼샤
Publication of KR94001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본 발명은 위내점막에 있어서 궤양의 발생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항궤양제로서는 위산분비억제를 목적으로 한 H-블로커(blocker) 및 프로톤펌프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 이들 약제는 그 투여를 중지하면 궤양이 재발하는 일이 많기때문에, 근래에는 프로스타그란딘 또는 위점막 방어제 등의 이용도 검토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등은 특정 종의 비피도박테리아 또는 유산균의 균체 및 이것들로부터 추출된 다당류가 궤양의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촉진에도 유효하고, 항궤양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먼저 발견하였다(일본국 특개평 4-5236호 공보 참조). 그 항궤양작용이 확인된 비피도박테리아 균체 자체의 다당류는, 람노오스(rhamnose),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스아민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다당류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미생물 균체나 다당류의 항궤양작용의 메카니즘은 아직 해명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등에 의해 상기한 복합다당류 이외의 다당류에 대해서도 확인된 항궤양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궤양의 예방과 치료촉진에 유효한 신규한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호모다당류인 람난(rhamnam)을 함유하는 항궤양제와 람노오스 또한 람노오스올리고머를 함유하는 항궤양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조류(藻類)로부터 람난황산을 분리하고, 그 람난황산에 탈황산처리를 실시하여 반응생성물로부터 람난을 회수하여 그것을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치료법,
(2)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조류로부터 람난황산을 분리하고, 그 람난황산에 탈황산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람난을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로부터 저분자화한 람난 및/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를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제조법, 또는
(3) 비피도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또는 비피도박테리아의 균체를 가수분해하고, 가수분해 반응생성물로부터 호모다당류인 람난 및/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를 회수하여 그것을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7분자 이상의 람노오스로 이루어지는 호모다당류를 람난으로 칭하고, 광의의 다당류에 속하는 것은 상기한 람난보다 적은 2-6분자의 람노오스로 이루어지며, 용해성, 맛, 화학적 성질등이 람난과는 현저하게 다른 다당류를 람난과 구별하여 람노오스로 칭한다.
호모다당류인 람난, 람노오스 및 람노오스올리고머는 상기한 비피도박테리아 자체의 복합다당류 정도의 항궤양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항궤양제는 경구적으로 투여되며, 소화관에 들어가서 환부에 도달하므로써 궤양치료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작용메카니즘은 아직 해명되지 않고 있다.
람난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궤양치료제는 제조법(1)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조류로부터 람난황산을 회수한다. 여기에서 황산람난을 함유한 조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푸른 김(학명 Monostroma nitidum)이 있다. 황산람난을 함유한 조류로부터 람난황산을 분리하는 데는, 예를 들어 건조 조류를 물에 현탁시키고, 가열하여 람난황산을 추출시킨다.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에탄올을 첨가하면 다당류가 침전되며 이것을 모아서 물에 용해하고, 투석(1)에 의해 저분자량성분을 제거한다.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투석내액에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약 100℃로 가열하면, 탈황산이 일어난다. 다시 투석하면, 내액에 람난이 얻어진다.
람난황상의 탈황산에는 용매화분해(solvolysis)에 의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주쿠-세이카가쿠 지켄 코자 4, 후쿠고 탄파쿠 켄큐호 Ⅱ(생화학실험강의 4. 복합다당류 리서치 Ⅱ, 토오쿄오 카가쿠 도진)가 있다. 이 경우는 물 또는 메탄올을 10% 정도 함유하는 디메틸술폭시드중에서 가열하여 탈황상반응을 일으키고, 그후 에탄올 등 비용매를 가하여 람난을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모으고 투석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면, 람난이 얻어진다.
람난황산의 탈황산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람난을 항궤양제에 사용하는 경우, 탈황산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황산결합을 하는 것도 실용상 지장은 없다.
란노오스올리고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궤양제를 상기한 제조법(2) 또는 (3)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제조법(1)에 람난을 제조한다. 이것을 가수분해 또는 과요오드산산화에 의해 분석하여, 람노오스올리고머를 얻는다. 또 상기한 분석처리를 경도로 받은 결과, 저분자화됐지만 아직 람난으로, 역시 본 발명의 항궤양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람노오스올리고머는 또한 람난을 세포벽 구성성분으로 하는 비피도박테리아를 원료로 하여 상기한 제조법(3)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임의의 배양법에 의해 비피도박테리아를 배양한다. 사용가능한 비피도박테리아의 예로서는, B. breve, B. bifidum, B. asolescentis, B. catenulatum, B. longum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B. breve YIT 4008(FERM BP-4538)은 그 균체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의 대부분이 호모다당류이므로 바람직하다. B. breve YIT 4008은 통상산업성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기술연구소(일본 이바라키 305, 추쿠바시, 히가시 1쪼오메, 1-3)에 1993년 2월 19일 기탁번호 FERM-4538로 기탁되어 있다.
배양은 비피도박테리아를 위한 배양으로서 공지의 액체배양지에서, 예를 들면, KFCC 카타로그에 기재되어 있는 로고사(Rogosa's)배양지 등을 이용해서 임의의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배양종료후,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법 등 상법에 의해 집균한 후, 배지성분이 소실될 때까지 증류수로 세정하여 청정한 균체를 얻는다.
집합된 균체로부터 균체구성성분인 다당류인 추출한다. 추출은 임의로 하지만, 예를 들면, 균체를 등장액에 현탁하여 세포벽 용해효소 즉-아세틸루라미다아스로 처리한다. 이 처리에 앞서서 초음파처리나 프렌치프레스 등에 의해서 균체를 파쇄하여도 좋다. 효소처리후 균체현탁액으로부터 고형 세포질을 원심분리하여 제거하고, 상청액을 핵산분해효소로 처리하고, 계속해서 트립신 또는 프로나아제로 처리하여 단백질을 분해하고, 최종적으로 증류수로 투석하여 저분자회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한다.
얻어진 다당류를 산(예를들어 묽은 염산, 묽은 황산 또는 트리플르오르아세토산, 또는 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여 람노오스올리고머를 회수한다.
비피도박테리아균체를 직접 가수분해처리하고 다당류의 추출과 가수분해를 평행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람노오스올리고머의 순도가 낮아도 무관한 경우에 유리하다.
상기한 처리조건에 따라서 균체를 구성하는 람난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저분자 올리고머로 쪼개지지 않고 비교적 저분자량의 람난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같이 저분자화된 람난 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혼합물도 물론 본 발명의 항궤양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궤양제는 오래전부터 유제품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비피도박테리아나 식용 조류에서 얻는 당 또는 다당류로 이루어지므로, 안정성이 높고, 따라서 제제형태나 투여량은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본제를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활제 등을 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dusts), 분말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항궤양제는 경구투여하거나 또는 음료수나 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복용할 수 있다.
본제의 성인 1일당 바람직한 투여량은 약 1-500mg/kg, 바람직하게는 5-50mg/kg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변성로고사 배지에서 배양한 Bifidobacterium breve YIT 4008의 동결건조균체를 50mg/ml의 비율로 0.1N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으로 현탁하고, 100℃에서 15분간 가열했다. 그후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농축건조했다. 얻어진 건조물을 물에 용해하고 투석에 의해서 탈염하고, 투석내액을 분리분자량 5000의 막을 사용하는 한외여과(ultrafiteration)를 실시하였다.
한외여과막 투과액은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호모다당류인 람난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
건조한 푸른 김(학명 Monostroma nitidum)을 10배 양의 물에 현탁하고, 100℃로 2시간 가열하여 람난황산을 추출하였다.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에탄올을 첨가했다. 다당류를 모아서 물에 용해 하고, 투석에 의해서 저분자량성분을 제거하여, 액내에 람난황산을 얻었다.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투석내액에 농도가 약 0.01N이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고, 100℃에서 가열하여 탈염산반응을 실시한다. 그후 다식 투석을 실시하여 람난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얻어진 람난황산을, 메탄올 10%를 함유하는 디메티술폭시드중에서 가열하여 탈황산반응을 실시하고, 그후 에탄올을 가하여 람난을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모으고 투석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한 람난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람난을 산가수분해하고, 겔여과 및 활성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별(fractionate)을 실시하여 람노오스올리고머를 얻었다.
시험예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람난 및 람노오스올리고머와 시판되는 람노오스에 있어서, 항궤양작용을 아세트산 유발궤양을 이용하여 시험했다. 아세트산 유발궤양은 8주된 SD랫트(체중 250-300g) 각 군당 10마리를 넴부탈마취하에서 개복하여, 위체부 점막하조직에 20% 아세트산올 0.03ml 주입하므로써 발생시켰다. 상기와 같이 실시한 2일째부터 9일째사이에, 표 1-5에서 표시한 일일투여량을 경구적을 투여했다. 시험기간동안 임의로 먹이와 물을 주었다. 10일째에 위를 적출하여 궤양형성부의 면적(긴지름×짧은 지름)을 측정하고, 그것을 궤양지수로서 다음 식에 의해 치료율을 산출했다.
치료율=(1-약물투여군의 궤양지수/대조군의 궤양지수)×100
시험결과를 표 1-5에 표시했다. 표중에서 유발된 궤양은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되었다.
[표 1]
실시예1의 람난의 항궤양효과
주)* 위험율 5% 이하(이하 동일함)
[표 2]
실시예 2의 람난의 항궤양효과
[표 3]
실시예 3의 난의 항궤양효과
[표 4]
실시예 4의 람노오스올리고머의 항궤양효과
[표 5]
람노오스 모노다당류의 항궤양효과(시그마 케미칼 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궤양치료 촉진작용에 우수하며 안정성이 높고 제조도 용이한 항궤양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자의 정시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Claims (8)

  1. 람난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궤양제.
  2. 람노오스 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궤양제.
  3.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조류(藻類)로부터 람난황산을 분리하고, 그 람난황산에 탈황산처리를 실시하여 반응생성물로부터 람난을 회수하여 그것을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제조법.
  4. 람난황산을 함유하는 조류로부터 람난황산을 분리하고, 그 람난황산에 탈황산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람난을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로부터 저분자화한 람난 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중 적어도 1종의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제조법.
  5. 비피도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한 다당류 또는 비피도박테리아의 균체를 가수분해하여 람난을 회수하고, 가수분해 반응생성물로부터 호모다당류인 람난 또는 라노오스올리고머중 적어도 1종을 회수하여 그것을 항궤양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항궤양제의 제조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테리아가 Bifidobacterium breve YIT 4008(학명, 기탁번호 : FERM BP -4538)인 항궤양제의 제조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람난이 Bifidobacterium breve YIT 4008(FERM BP -4538)로부터 유도된 항궤양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람노오스 또는 람노오스올리고머가 Bifidobacterium breve YIT 4008(FERM BP -4538)로부터 유도된 항궤양제.
KR1019940003612A 1993-02-26 1994-02-26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KR970007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61447A JPH06247861A (ja) 1993-02-26 1993-02-26 抗潰瘍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93-61447 199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04A KR940019304A (ko) 1994-09-14
KR970007906B1 true KR970007906B1 (ko) 1997-05-17

Family

ID=1317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612A KR970007906B1 (ko) 1993-02-26 1994-02-26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98534A (ko)
EP (1) EP0612527A3 (ko)
JP (1) JPH06247861A (ko)
KR (1) KR970007906B1 (ko)
AU (1) AU678566B2 (ko)
CA (1) CA2116516A1 (ko)
FI (1) FI940908A (ko)
NO (1) NO305305B1 (ko)
NZ (1) NZ2509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0590A (ja) * 1997-08-22 1999-03-02 Yakult Honsha Co Ltd オリゴフコース誘導体又はオリゴラムノース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WO1999064469A1 (fr) * 1998-06-09 1999-12-16 Ghen Corporation INHIBITEURS DE FIXATION DE $i(HELICOBACTER PYLORI)
US6797705B2 (en) * 2002-12-16 2004-09-28 Endomatrix, Inc. Rhamnan sulphate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endothelial dysfunction
US20040208893A1 (en) * 2002-12-16 2004-10-21 Daniels Bruce Alan Seaweed extract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US20070036821A1 (en) * 2004-03-05 2007-02-15 Daniels Bruce A Seaweed extract composition for retardation of cardiovascular disorders and preservation of healthy cardiovascular function
JP5202851B2 (ja) * 2007-01-26 2013-06-05 株式会社桃屋 血糖値上昇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JP5038012B2 (ja) * 2007-04-27 2012-10-03 江南化工株式会社 ラムナン硫酸の製造方法
US9861702B2 (en) 2012-10-22 2018-01-0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Lipid-conjugated rhamnose for immune system recruitment and onco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98A (en) * 1980-07-03 1982-01-28 Kureha Chem Ind Co Ltd Prostaglandin controller containing aminobenzoic derivative
JPS62126193A (ja) * 1985-11-26 1987-06-08 Towa Kasei Kogyo Kk L−ラムノ−スの製造方法
DE3631008A1 (de) * 1986-09-12 1988-03-24 Bayer Ag Organisch-chemische verbindung, mikrobiologisch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JPH0631287B2 (ja) * 1986-09-24 1994-04-27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L−ラムノ−スの製造方法
JPH0699461B2 (ja) * 1986-12-10 1994-12-07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L−ラムノ−スの製造方法
JP2855283B2 (ja) * 1990-04-23 1999-02-1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抗潰瘍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18401A (ja) * 1990-05-11 1992-01-22 Tsumura & Co 多糖体および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40634D0 (no) 1994-02-24
KR940019304A (ko) 1994-09-14
AU5640894A (en) 1994-09-01
US5698534A (en) 1997-12-16
EP0612527A2 (en) 1994-08-31
NO305305B1 (no) 1999-05-10
EP0612527A3 (en) 1994-11-23
CA2116516A1 (en) 1994-08-27
FI940908A (fi) 1994-08-27
JPH06247861A (ja) 1994-09-06
FI940908A0 (fi) 1994-02-25
NZ250968A (en) 1995-10-26
NO940634L (no) 1994-08-29
AU678566B2 (en) 199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906B1 (ko) 항궤양제 및 그 제조법
JPS62145026A (ja) 抗発癌剤
WO2020076004A1 (ko)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U191746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proteins for diminishing level of cholesterol in the blo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N117645955A (zh) 具有促进肠上皮细胞恢复作用的直肠真杆菌及其应用
EP0132981B1 (en) Hypotriglyceridem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JPS61257930A (ja) 感染防御剤
JPS58131917A (ja) 抗動脈硬化剤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EP0196858B1 (en) Liver function-improving agent and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JP2855283B2 (ja) 抗潰瘍剤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20115158A1 (en) Novel microorganism isolated from chinese elm (Ulmus sp.) and process for preparing exopolysaccharides by employing the microorganism
US4824945A (en) Hypocholesterolemically active RNA fractions
JPH06116155A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JP4689060B2 (ja) 免疫賦活組成物
US4833129A (en) Hypocholesterolemically and/or hypotriglyceridemically active RNA fractions
JP3013064B2 (ja) 乳酸菌生育促進剤
JPH03170503A (ja) 細胞外エキソポリマー、その調製方法及び該エキソポリマーを含む薬剤組成物
JP2841237B2 (ja)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菌体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圧降下剤
JPH09227391A (ja) 腸管内細胞溶解活性抑制剤
JPH06116156A (ja) 血糖値低下剤
JP2749484B2 (ja)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増殖促進物質及びその製造法
NO159452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en carcinostatisk substans.
JPS58162524A (ja) 抗潰瘍剤
RU2281104C2 (ru) Блокирование накопле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у пти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