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305B1 -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305B1
KR970007305B1 KR1019940700564A KR19940700564A KR970007305B1 KR 970007305 B1 KR970007305 B1 KR 970007305B1 KR 1019940700564 A KR1019940700564 A KR 1019940700564A KR 19940700564 A KR19940700564 A KR 19940700564A KR 970007305 B1 KR970007305 B1 KR 97000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tion
electrode wire
tension setting
se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따다 가지또리
Original Assignee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몬 filed Critical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방전 가공기는 긴장 상태에서 주행하는 전극 와이어와 피가공 공작물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양자간에 발생하는 방전 현상을 이용해서 상기 가공물을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다. 상기 전극 와이어는 와이어 반송 장치에 의해 와이어 보빈(wire bobbin)으로부터 인출되어 가공 영역에 설치된 상하 가이드 사이를 주행한다.
이 전극 와이어를 소정의 장력으로 긴장 상태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 보빈과 와이어 반송 장치 사이에 설치된 여러가기 종류의 와이어 장력 설정장치가 제공되어 왔다.
제3도를 참조하여 종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3도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전극 와이어(2)에 제동 토오크를 부여하는 브레이크 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 롤러(6)는 파우더 클러치(74 : powder clutch)의 출력축(75)에 연결되어 있고, 이 출력축(75)을 중점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극 와이어(2)는 회전하는 브레이크 롤러(6)에 감겨서 소정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다. 파우더 클러치(74)의 입력축(82)은 커플링(76)을 거쳐서 감속 장치(79)의 출력축(80)에 연결되어 있다. 감속 장치(79)의 입력축(도시안됨)이 전극 와이어(2)를 송출하기 위한 DC모터(78)의 출력축(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있다.
파우더 클러치(74)는 하우징내에 자성 분체(粉體)와 여자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토오크 전달 수단이다. 상기 여자 코일에 전류를 통전하면 자장이 형성된다. 이 자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자동 제어용 분체가 상기 입력축(82)과 출력축(75)을 연결하여 입력축(82)으로부터 출력축(75)으로 토오크가 전달된다. 상기 자성 분체는 입력축(82)과 출력축(75)간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한다. 입력축(82)에서 출력축(75)에 전달되는 토오크는 상기 여자 코일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양자간의 상기 미끄럼 이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방전 가공기가 통상의 가공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전극 와이어(2)는 브레이크 롤러(6)에 걸리는 제동 토오크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된다.
방전 가공기를 기동할때 또는, 전극 와이어가 단선된 경우에, 상기 와이어 보빈(도시안됨)으로부터 전극 와이어(2)의 새로운 선 부분을 인출하여 방전 가공기의 하부 가이드(guide)또는 컬럼(column)에 설치된 와이어 반송 장치와 결합되야 한다. 이것을 와이어의 결선(結線)이라 칭한다.
제3도에 도시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와이어를 결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전극 와이어(2)의 새로운 선을 와이어 보빈으로부터 인출해서 브레이크 롤러(6)에 감은후 DC 모터(78)를 회전 구동한다. 이 DC모터(78)의 회전은 캡 링(76)을 거쳐서 파우더 클러치(74)의 입력축(82)에 전달된다. 파우더 클러치(74)에 여자 전류를 통전하여 입력축(84)과 출력축(75)을 연결하면, 상기 DC 모터(78)의 회전이 출력축(75)에서 브레이크 롤러(6)로 전달된다. 브레이크 롤러(6)의 회전에 의해 전극 와이어(2)는 상기 와이어 반송 장치로 향하여 송출된다. 이 와이어 결선은 방전 가공기의 기능으로서 자동적으로 실시되므로 자동 결선이라 불린다.
전극 와이어(2)의 자동 결선이 완료되면, DC 모터(78)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차단된다. 브레이크 롤러(6)의 외주에는 전극 와이어(2)가 감겨있으므로, 양자간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롤러(6)가 회전한다. 제3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파우더 클러치(74)의 입력축(82)은 감속 기어(7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DC 모터(78)가 정지하면, 파우더 클터치(74)는 출력축(75)과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브레이크 롤러(6)에 제동 토오크를 전달한다. 파우더 클러치(74)가 적절한 제동 토오크를 발생하는 것에 의해 여자 전류가 제어된다. 이 제동 토오크가 전극 와이어(2)에 장력을 부여한다.
상술한 기재 내용으로부터 이때되는 바와 같이, 제3도에 도시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파우더 클터치(74)와 DC 모터(78)를 직렬로 배치해서 와이어 송출기능과 와이어 장력 설정 기능등 두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로는 자동 결선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요컨대, 와이어 전극의 결선시에 DC 모터(78)로 전극 와이어(2)를 송출하는 중에는 그 DC 모터(74)의 회전을 브레이크 롤러(6)에 전달하기 위하여 파우더 클러치(74)의 입력축(82)과 출력축(75)을 연결해야 한다. 파우더 클러치(74)의 제동 토오크는 와이어 반송 장치가 전극 와이어(2)를 인입하는 힘에 대한 저항으로 되어서 전극 와이어(2)의 양호한 자동 결선을 손상시킨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DC 모터를 구비하는 와이어 송출 장치와, 파우더 클러치(74)를 구비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를 독립되게 설치한 와이어 방전 가공기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와이어 송출 장치와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2개의 독립된 장치가 필요하게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3-300823호 공보에 기재된 와이어 장력 부여 장치는 큰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큰 토오크 전자 브레이크(15)와, 작은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은 토오크 전자 브레이크(13)를 구비하여 넓은 범위의 장력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상기 공보 제1도 참조). 그렇지만, 그 장치는 와이어 송출용의 전동 모터와 전자 브레이크와의 배열에 관해서 아무것도 기술하고 있지 않고 있다. 아울러, 작은 장력을 전극 와이어에 부여하기 위한 작은 토오크 전자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은 미세한 전극 와이어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극 와이어의 자동 결선을 양호하게 실시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한편, 제3도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를 사용하면서 양호한 자동 결선을 달성하기 위하여, 큰 인입력을 발휘하도록 개량된 와이어 반송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들면, 방전 가공기의 하부 가이드에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기 위한 결합롤러를 설치하고, 가공액의 분사류로 결합 롤러를 회전시켜서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는 와이어 반송 장치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롤러 대신에, 하부 가이드의 아암부재 내부에 가공액을 분사류 상태로 흐르게 하여 이 가공액의 흐름에 의해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도록 구성한 와이어 반송 장치가 있다. 그러나, 가공액 분사류를 이용하는 상기 2개의 장치는 와이어 결선시에 전극 와이어(2)를 인입하는 힘을 충분히 크게 하는데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전동 모터와 그 모터에 연결된 결합 롤러에 의해 와이어 인입력을 충분히 증가시키는 방안이 고려된다. 그러나, 요즈음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공물을 가공액에 침지하는 형식의 방전 가공기로는 와이어 반송 장치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공액에 침지되므로 특히, 하부 가이드내의 와이어 반송장치에서는 종래의 전기적 구동 수단을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그리고,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컬럼내에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벨트를 매개로 상기 결합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도 있다. 이 경우, 와이어 반송 장치는 파우더 클러치(74)에 의한 제동 토오크와 비교하여 충분히 큰 인입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밸트를 가공조내로 인입해야하므로 가공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seal)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와이어 송출 기능과 와이어 장력 설정 기능을 일체적으로 가지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로서, 와이어의 자동 결선시에 와이어 반송 장치가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는 경우,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저항을 충분히 낮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전극 와이어에 소정의 장력을 부가하여 가공 영역을 주행시키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상기 가공 영역의 전단 영역에서 상기 전극 와이어와 결합하고 제1회전축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롤러와,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롤러에 제동 토오크를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상기 제1회진축과 병렬로 배치된 제2회전축상에 설치되어 그 제2회전축외 소정 방향 회전만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전달 수단과, 상기 제2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을 거쳐서 상기 제1회전축에 전극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부여하며 이로써, 전극 와이어 결선시에 상기 와이어의 새로운 선 부분을 송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브레이크 롤러를 거쳐서 주행시키고, 전극 와이어 결선시에는 상기 회전 구동 수단으로 상기 전극 와이어를 송출하며, 평상시는 상기 제동 장치도 상기 가공 영역을 주행하는 상기 전극 와이어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잇점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에 의해 와이어 결선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저항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전자기적으로 작동하는 파우더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은 일방향 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이 그 축과 함께 회전하는 풀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 풀리가 벨트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의 일방향 클러치와 연결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양호한 상태
제1도에서,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는 상부 가이드부(20)와 하부 가이드부(26)와의 사이에서 긴장 상태로 주행하는 전극 와이어(2)와, X-Y 테이블(30,32)에 의해 소정 평면내에서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공작물 설치대(24)를 구비하고 있다.
공작물 설치대(24)에 고정된 공작물(22)은 X-Y 테이블(30,32)에 의해 가공형상에 따라 소정의 경로로 이송되면서 전극 와이어(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가공전압이 인가되어 소망 형상으로 가공된다.
와이어 전극(2)과 공작물(22)과의 사이의 방전 현상을 안정화시킴과 아울러 가공 영역을 냉각하기 위하여, 탈이온수 혹은, 케로신(kerosine)등의 가공액(25)이 사용된다. 종래에 이 가공액은 상하부 가이드(20,26) 근방에 설치된 노즐에서 가공 영역으로 분사되고 있었다. 그러나, 근래의 방전 가공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액(25)이 채워진 가공조(21)를 X-Y 테이블(30,32)의 상면에 구비하고 있고, 그 가공조(21)내에서 그 가공액(25)내에 공작물(22)과, 공작물 설치대(24)와, 하부 가이드(26) 및 그 가이드를 지지하는 아암 부재(28)가 침지된다.
전극 와이어(2)는 보빈(4)에서 인출되어, 화살표 ①에서 ⑤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롤러(6)와 보조 롤러(8)사이에 걸쳐져 있다. 전극 와이어(2)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0)를 거쳐서 상하 가이드부(20,26)로 보내지고, 와이어 반송장치(27,34,36)에 의해 상하 가이드부(20,26)사이에서 긴장 상태로 주행하면서, 하부 가이드부(26)의 지지 아암(28)내에 인입된다. 그리고, 방전 가공 작용을 종료한 와이어(2)는 최종적으로 베드(14 ; bed)내에 구비된 사용 전극 와이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용기내에 퇴적된다.
제3도에 일예로서 도시한 와이어 반송 장치는 결합 롤러(27)와, 와이어 도관(34)과, 와이어 인입 롤러(36)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롤러(27)는 가공조(21)내에 유지된 가공액(25)을 분사류 상태로 적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인입 롤러(36)는 전동 모터(도시안됨)등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1도의 일점 쇄선(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측벽(42)과 측벽(46) 및 복수의 지주(44)로 구성됨과 아울러, 방전 가공기의 측벽(40)에 장착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전극 와이어(2)는 보빈(4)의 방향에서 화살표 ①을 따라서 화살표 ⑤로 도시되는 보조 롤러(10)의 방향으로(제2도 참조) 브레이크 롤러(6)에 감겨 있다. 전극 와이어(2)는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롤러(6)에 1회 감겨 있지만, 그 이상의 횟수로 감겨도 좋은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브레이크 롤러(6)는 플랜지(74)를 거쳐서 제1회전축(66)에 장착되어 있다. 제1회전축(66)은 롤러 베어링등의 공지된 베어링 수단(70)에 의해 측벽(46)에 형성된 관통구멍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회전축(66)의 브레이크 롤러(6)가 장착되어 잇는 단부와 반대측 단부는 커플링(64)을 거쳐서 파우더 브레이크(60)의 회전축(62)에 연결되어 있다. 파우더 브레이크(60)는 플랜지(43)에 의해 측벽(42)에 고정되어 있다.
파우더 브레이크(60)는 상술한 파우더 클러치(74)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는 공지의 회전 제동 수단이다. 파우더 브레이크(60)는 하우징내에 자성 분체와 여자 코일(도시안됨)을 구비하고 있다. 여자 코일로 통전하면 자장이 형성되고, 그 자장의 작용에 의해 자성 분체가 회전축(62)과 하우징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축(62)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성 분체는 또한 회전축(62)과 하우징간의 미끄럼 이동을 허용한다. 여자 코일로 통전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상기 미끄럼이동이 제어되고, 이에 의해 회전축(62)의 제동 토오크가 제어된다.
제1회전축(66)은 베어링 수단(70)과 커플링(64)과의 사이에 풀리(68)를 가지고 있다. 이 풀리(68)는 끼워맞춤 또는 키이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1회전축(66)에 고정되어 있고, 양자는 일체적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회전축(54)은 일방향 클러치(56)를 가지고 있다. 일방향 클러치(56)는 공지된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으로서, 그 일방향 클러치가 장착된 회전축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일방향으로만 회전을 전달한다. 일방향 클러치로는 여러가지 종류의 형식이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전 토오크가 가능한한 작고, 또한, 공전시에 회전축의 반경 방향 진동이 가능한한 작은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풀리(68)와 일방향 클러치(56)와의 사이에는 벨트(72)가 걸쳐져 있다. 벨트(72)는 제1회전축(66)의 회전을 제2회전축(54)에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예컨대 체인등의 수단이어도 좋다. 그 경우, 풀리(68)가 스프로켓으로 치환되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제2회전축(54)의 한쪽 단부는 롤러 베어링등의 베어링 수단(58)에 의해 측벽(46)에 형성된 관통 구멍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회전축(54)의 다른쪽 단부는 커플링(52)을 거쳐서 전극 와이어(2)의 결선시에 전극 와이어(2)를 송출하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48)의 회전축(50)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회전 구동 수단(48)은 DC 모터와 감속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외에 일반적인 전동 모터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가 통상의 가공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전극 와이어(2)는 와이어 보빈(4)으로부터 브레이크 롤러(6)와 보조 롤러(8)와의 사이를 제1도의 화살표 ①에서 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돌아서 걸쳐져 가공 영역으로 급송된다. 이 사이에, 브레이크 롤러(6)는 전극 와이어(2)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한다. 일방향 클러치가 공전하므로, 브레이크 롤러(60)의 회전은 DC 모터(48)에 전달되지 않는다. 파우더 브레이크(60)에 여자 전류가 통전되어 파우더 브레이크(60)가 제동 토오크를 발생한다. 여자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파우더 브레이크(60)는 하우징(도시안됨)과 회전축(62)과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전극 와이어(2)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한다.
전극 와이어(2)는 새로운 가공 작업을 개시하는 경우나, 혹은 가공 작업중에 전극 단선된 경우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동 결선된다.
전극 와이어(2)가 와이어 보빈(4)으로부터 인출되어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브레이크 롤러(6)에 감긴다. DC 모터(48)가 일방향 클러치(56), 벨트(72), 풀리(68)를 거쳐서 브레이크 롤러(6)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보빈(4)으로부터 인출되어 브레이크 롤러(6)에 감긴 전극 와이어⑵가 송출된다. 전극 와이어(2)가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하부 가이드부(26)에 도달하면, 이 전극 와이어(2)는 와이어 반송 장치의 결합 롤러(27)에 걸린다. 결합 롤러(27)는 브레이크 롤러(6)의 송출 속도 보다도 높은 속도로 전극 와이어(2)를 인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극 와이어는 와이어 반송 장치(27,34,36)에 의해 하부 가이드(26) 및 그 지지 아암 부재(28)로 삽입 통과하여 복구된다. 이 경우, 일방향 클러치(56)가 공전하여 전극 와이어에 걸리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저항이 차단된다. 이 사이에, 파우더 클러치(60)에는 여자 전류가 통전되지 않으므로, 그 파우더 브레이크(60)는 제동 토오크를 전극 와이어(2)에 부여하지 않는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일방향 클러치(56)가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저항을 차단하므로, 결합 롤러(27)가 상술한 가공액(25)의 분사류에 의해 동작하는 종류의 반송 장치로서,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는 능력이 작은 장치라 하더라도 전극 와이어를 인입하여 양호한 자동 결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는 전극 와이어 송출 장치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치의 소형화나 제조 비용의 절감에 효과를 발휘한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단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많은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시에 전극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로서, 방전 가공기의 전극 와이어 결선(結線)용 와이어 송출 장치와 일체식으로 구성된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첨부된 명세서와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에 있어서,
제1도는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개략적인 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의 선분 I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Claims (6)

  1.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전극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 가공 영역을 주행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 영역의 전단 영역에서 상기 전극 와이어와 결합하고, 제1회전축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 롤러와,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롤러에 제동 토오크를 부여하기 위한 제동 장치와, 상기 제1회전축과 병렬로 배치된 제2회전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일방향 회전만 상기 제1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과, 상기 제2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을 거쳐서 상기 제1회전축에 전극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부여하며, 이로써 전극 와이어 결선시 상기 전극 와이어의 새로운 선 부분을 송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와이어를 상기 브레이크 롤러를 거쳐서 주행시키고, 전극 와이어 결선시에는 상기 회전 구동 수단에 의해 와이어를 송출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해 상기 가공 영역을 주행하는 전극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가 전자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가 파우더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 전달 수단이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이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풀리를 가지며, 이 풀리가 벨트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의 일방향 클러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이 DC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KR1019940700564A 1992-06-26 1993-06-25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KR970007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69481A JP2661840B2 (ja) 1992-06-26 1992-06-26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ワイヤ張力設定装置
JP92-169481 1992-06-26
PCT/JP1993/000869 WO1994000266A1 (en) 1992-06-26 1993-06-25 Wire tension setting apparatus for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305B1 true KR970007305B1 (ko) 1997-05-07

Family

ID=1588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564A KR970007305B1 (ko) 1992-06-26 1993-06-25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22454A (ko)
EP (1) EP0605733B1 (ko)
JP (1) JP2661840B2 (ko)
KR (1) KR970007305B1 (ko)
DE (1) DE69305621T2 (ko)
WO (1) WO1994000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7705C2 (de) * 1996-02-29 2000-06-29 Agie Sa Drahtlaufsystem für eine Funkenerosionsvorrichtung
CH692340A5 (de) * 1997-05-09 2002-05-15 Hunkeler Ag Papierverarbeitung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 Papier-, Textil-, Kunststoff- oder andere Stoffbahn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von solchen Bahnen.
JP3889175B2 (ja) 1999-02-26 2007-03-07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ワイヤ電極の張力制御装置
US7429031B1 (en) 2005-12-20 2008-09-30 Zephyr International Llc Ground support system
CN102699459B (zh) * 2012-06-08 2014-01-22 南昌大学 线切割磁座夹线装置
JP5734270B2 (ja) * 2012-12-21 2015-06-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コーナ角度に応じて自動的に加工経路の補正を行うワイヤ放電加工機
TWI773326B (zh) * 2021-05-18 2022-08-01 國立臺北科技大學 磁吸式放電加工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127A (ja) * 1985-08-13 1987-02-20 Fanuc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送り出し装置
JPS62236627A (ja) * 1986-04-05 1987-10-16 Fanuc Ltd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用ワイヤ電極に張力を印加する装置
JPH01146620A (ja) * 1986-11-13 1989-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S63214554A (ja) * 1987-02-28 1988-09-07 Mita Ind Co Ltd 回転機構の駆動方法
JPH08336B2 (ja) * 1987-05-29 1996-01-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張力付与装置
JPS6411731A (en) * 1987-07-02 1989-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S6464724A (en) * 1987-09-07 1989-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veling device for fine electric discharge wire
JPH01121129A (ja) * 1987-11-05 1989-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張力設定方法
JP2812492B2 (ja) * 1988-06-21 1998-10-22 株式会社アマダワシノ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においてワイヤ電極がワイヤ搬出側のワイヤガイド部を挿通したことを確認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241826A (ja) * 1988-07-28 1990-02-13 Fanuc Ltd ワイヤ張力制御方式
JP2644543B2 (ja) * 1988-08-16 1997-08-25 株式会社アマダ ワイヤ放電加工機の結線方法
JP2686783B2 (ja) * 1988-10-03 1997-12-08 西部電機株式会社 ワイヤ電極のテンション装置
JPH0326421A (ja) * 1989-06-24 1991-02-05 Amada Washino Co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JP2832398B2 (ja) * 1990-12-29 1998-12-09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2979755B2 (ja) * 1991-08-12 1999-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巻上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00266A1 (en) 1994-01-06
EP0605733A1 (en) 1994-07-13
EP0605733B1 (en) 1996-10-23
DE69305621D1 (de) 1996-11-28
EP0605733A4 (en) 1994-11-02
JPH068056A (ja) 1994-01-18
JP2661840B2 (ja) 1997-10-08
DE69305621T2 (de) 1997-04-03
US5422454A (en) 1995-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305B1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장력 설정 장치
US6747236B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910007362B1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송출기구
JPH0326421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KR20130002130U (ko) 필름 권취 및 권출 장치
US3672586A (en) Winding apparatus
TWI728807B (zh) 電線放電加工裝置及電線放電加工方法
CN111531888A (zh) 一种可不间断打印的3d打印机自动换料装置
US4103833A (en) Yarn winding apparatus
JP6905003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US2997017A (en) Waxing attachment for winding machines
JPH0547332B2 (ko)
JPH04250924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JPH0718692Y2 (ja) 散布機のホース送出装置
JP3537251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張力発生装置
JPS569133A (en)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H10113823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排出装置
KR970001308Y1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이송장치
JPH05337744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673326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H0462988B2 (ko)
JP2000042467A (ja) 液状物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100476941B1 (ko) 코일용 테플론 실의 코팅 장치
JPH0890346A (ja) 放電加工機
JPH05212623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電極自動装填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