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24Y1 -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24Y1
KR970005624Y1 KR2019940029865U KR19940029865U KR970005624Y1 KR 970005624 Y1 KR970005624 Y1 KR 970005624Y1 KR 2019940029865 U KR2019940029865 U KR 2019940029865U KR 19940029865 U KR19940029865 U KR 19940029865U KR 970005624 Y1 KR970005624 Y1 KR 970005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cylinder
rack
piston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77U (ko
Inventor
구니미쯔 이와하시
Original Assignee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스기우라 야스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스기우라 야스나리 filed Critical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8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램식 리프트의 설명도
제2도는 리프트업 상태의 램식 리프트를 나타낸 설명도
제3도는 (a), (b)는 변형예의 설명도
제4도는 (a), (b)는 변형예의 설명도
제5도는 변형예의 설명도
제6도는 (a), (b)는 모두 종래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1a : 플랜지
1b : 내저면2 : 램
2a : 천정면3 : 차량받침대
4 : 피트5 : 피스톤식 실린더
5a : 실린더부5b : 피스톤 로드
6 : 랙6a : 랙톱니(tooth)
7 : 프라켓8 : 가이드부재
9 : 걸어멈춤포올10 : 에어실린더
11 : 지지축12 : 램식 실린더
본 고안은 땅속에 매설한 상면개방의 외통내에, 그 외통내를 상하 방향으로 설동가능한 램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구성되는 램식구조의 승강구기구를 가진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수직 설치된 실린더의 상단에 차량 받침대를 설치한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는 피스톤식 실린더의 실린더부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과의 섭접면적에 비하여, 램식 실린더의 외통내주면과 램의 외주면과의 섭접면적의 쪽이 넓어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램식실린더가 많이 이용되고 있어, 예를 들면, 제6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6)을 램식실린더(12)와 병행하게 되도록 차량받침대(3)의 하면에 설치하고, 또는 제6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립(倒立)시킨 램식실린더(12)의 외통(1)에 랙(6)을 설치하여, 걸어멈춤포올(9)에 의하여 강하방지를 도모한 랙 외장타입이나, 도시 생략했으나,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1-12110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통의 내면에 랙을 배치하여 램에 걸어멈춤포올을 설치한 구조 및 실용신안 공개 평2-2300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램내에 지지축과 랙상 부재를 나란히 배치하고, 지지축의 상부에 걸어멈춤부재를 설치한 랙 내장타입이라고 하는 램식 구조의 승각기구를 가진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가 알려져 있다.
램식 실린더의 밖에 랙을 배치한 전자의 랙 외장타입은 그만큼 설치 스페이스가 커지며, 랙이 플로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므로 그 돌출위치에 개구부가 필요하게 되어 그 개구부를 완전하게 시일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그곳으로부터 먼지나 세차등에서 사용한 물이 유입되어 버린다.
또, 노출된 랙에 접촉하면 부상을 받거나, 그리스 및 그 그리스에 부착하고 있는 먼지 때문에 의복이 오염된다고 하는 불편도 가지고 있다.
한편, 후자의 랙 내장타입은 완전히 시일된 실린더내에 먼지나 물이 유입할 염려는 없으나, 시일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외부로부터 내장된 걸어멈춤부재를 원격 조작하는 계탈(係脫)기구를 짜넣는 일이 곤란하다.
더구나, 실린더내에는 유압이 가해지므로 걸어멈춤부재의 작동이 불완전해지기 쉬워 신뢰성이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램식구조의 승강기구를 가진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이하, 램식리프트라 함)에 관하여 발생하고 있던 결점의 해소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먼저 제1고안은 외통(1)내에 위쪽에서 삽입한 램(2)을 하면개방의 중공형상으로 하고, 그 중공내에 피스톤식 실린더(5)와 랙(6)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는 실린더부(5a)의 하단과 피스톤로드(5b)의 선단중 어느 한 쪽을 외통(1)의 내저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쪽을 램(2)의 천정면(2a)에 고착하고, 또 랙(6)은 램(2)에 일체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에 상기 랙(6)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를 부설하고, 그 가이드부재(8)에 상기 랙(6)의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고안은 랙(6)과 걸어멈춤포올(9)을 승강측과 고정측과의 반대위치, 즉 상기 램(2)의 중공내에 피스톤식 실린더(5)와 지지축(11)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는 실린더부(5a)의 하단과 피스톤로드(5b)의 선단중 어느 한쪽을 외통(1)의 내저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쪽을 램(2)의 천정면(2a)에 고착하고, 또한 지지축(11)은 램(2)에 일체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의 지지축(11)의 면한 측면에 랙(6)과 상기 지지축(11)의 수직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를 설치하고, 그 가이드부재(8)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지지축(11)에 상기 랙(6)의 상기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의 하단이란 피스톤로드(5b)의 돌출측과 반대측의 단부를 말한다.
피스톤식 실린더를 작동시키면, 피스톤에 의하여 램이 밀어 올려지고, 그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받침대는 상승한다.
차량받침대의 상승에 따라 랙 또는 지지축도 상승하고, 걸어멈춤포올에 강하방지가 도모됨과 동시에, 가이드 부재의 개재에 의하여 회전방지도 된다.
또 외통 및 램내에는 유압이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완전밀폐의 구조로 할 필요는 없어, 걸어멈춤부재의 계탈기구의 짜넣기는 간단해 진다.
다시, 승강기구는 외통과 램으로 구성되는 램식 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외부에는 강하방지부재가 일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안정성에 뛰어나고, 외관은 대단히 간결하다.
본 고안에 관한 램식 리프트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은 상단 연(緣)에 플랜지(1a)를 가진 상면개방의 외통이고, 이 외통(1)내에는 상방으로부터 램(2)이 삽입되어 외통(1)내를 상하 방향으로 섭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램(2)은 하면개방의 중공으로 되어 있어, 상단의 천정면(2a)에는 차량받침대(3)가 위에 올려져 고정되고, 상기 플랜지(1a)를 플로워에 들어나게 설치한(掘設) 피트(4)의 상단에 걸어멈춤시킨 매설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램(2)의 중공내에는 피스톤식 실린더(5)와 랙(6)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는 그 실린더부(5a)의 하단에 외통(1)의 내저면(1b)에 고착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5b)의 선단을 램(2)의 천정면(2a)에 볼트로 고착함으로서 피스톤식 실린더(5)를 작동시키면, 상기 차량받침대(3)가 램(2)과 일체로 승강 작동하게 되어 있다.
또, 외통의 저면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린더부의 하단은 피트의 내저면에 고착시키게 되나, 이 경우는 피트의 내저면을 외통을 내저면으로 간주하게 된다.
또, 랙(6)은 단면이 4각형을 이룬 로드의 측면에 랙톱니(6a)를 설치한 것으로, 상단을 램(2)의 천정면(2a)에 볼트로 고정하여 아래로 내려뜨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한편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의 상방위치에는 상기 랙(6)측에 브래킷(7)이 수평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브래킷(7)의 선단에 상기 랙(6)이 끼워져 그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그 가이드부재(8)에는 상기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이 설치되고, 그 걸어멈춤포올(9)은 랙톱니(6a)와의 걸어멈춤 방향으로 가세됨으로써 항상 걸어멈춤 체제로 되어 있어, 에어 실린더(유압실린더)(10)를 거쳐 해제 조작된다.
또한 랙톱니(6a)와의 계탈조작은 에어나 유체압 대신 케이블, 링크드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원격 조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램식 리프트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피스톤식 실린더(5)에 의하여 램(2)을 밀어 올려, 차량 받침대로 지지되고 있는 차량(도시생략)을 리프트업 시킬 수가 있다.
한편, 랙(6)은 가세력에 대항하여 걸어멈춤포올(9)을 밀어 제치면서 램(2)과 함께 상승하나, 이때 실린더(5a)에 연결된 가이드부재(8)에 의하여 그 상승이 안내되기 때문에 항상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방지 효과도 발휘된다.
정비작업이 종료되었으면 에어실린더(10)에 의하여 걸어멈춤포올(9)의 거세력을 해제함으로써 리프트다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램식 리프트는 하강방지기구를 내장했기 때문에, 외부부착 타입의 결점이 해소되고, 또 외통내에는 유압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걸어멈춤포올을 원격 조작하는 계탈기구의 조립도 용이하게 되어, 내장타입의 결점도 해소된다.
또, 실제로는 피스톤식 실린더에 의하여 승강구동시키고 있으나, 외통과 램으로 구성된 램식 구조를 가지고 있고, 피스톤식 실린더나 랙은 볼트를 폴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멘테넌스가 간단하게 되고, 외관은 심플한 램식 실린더의 형태이며, 기구적으로도 그 램식 구조의 특성이 살려져 안정성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램의 천정으로부터 밑으로 내린 랙에 걸어멈춤포올을 걸어멈춤시키는 구조였으나, 랙은 램과 일체로 승강하면 되므로 램의 내벽면에 고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는 선단면이 개방된 단면 ㄷ자상으로 형성되고, 랙은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ㄷ자상내의 대향하는 2면에 의하여 안내되게 된다.
또, 피스톤식 실린더에 있어서의 실린더부의 측면에 랙을 설치하고, 램측에 걸어멈춤포올을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 그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3도 (a), (b)에 있어서, 램(2)의 천정면(2a)에는 상기 실시예의 랙대신 지지축(11)이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축(11)은 상기 랙과 동일하게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에 브래킷(7)을 거쳐 고착된 가이드부재(8)에 끼워져, 그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부(5a)의 지지로드측의 면에는 표면에 랙톱니(6a)를 가진 랙(6)이 설치되어 있고, 한편 지지로드(11)의 하단측에는 상기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이 설치되고 그 걸어멈춤포올(9)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랙톱니(6a)와의 걸어멈춤 방향으로 가세됨으로써 항상 걸어멈춤체제로 되어 있어 에어실린더(유압실린더)(10)를 거쳐 해제 조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램식 리프트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축을 램의 천정으로부터 수하상태로 설치하고 있으나, 램의 내벽면에 고착할 수도 있음은 최초에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4도(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식 실린더(5)를 도립배치하여, 실린더부(5a)의 하단을 램(2)의 천정면(2a)에 고착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5b)의 선단을 외통(1)의 내저면(1b)에 고정하고, 랙(6)을 외통(1)의 내저면(1b)에 수직 설치하여 승강 작동하는 실린더부(5a)의 하부에 브래킷을 거쳐 가이드부재(8)를 설치하고, 그 가이드부재(8)에 걸어멈춤포올(9)을 설치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아니했으나, 랙 대신 지지축을 수설하고, 그 지지축의 상부에 실린더부의 측면에 고착한 랙과 걸어멈춤조작되는 걸어멈춤포올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램식 리프트는 단일하게 사용되는 싱글타입, 좌우 1쌍의 트윈타입 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길이의 피트(4)내에 1쌍씩 매설하여 각 피트내의 한쪽을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차종에 따라 차량받침대(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해도 지장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랙과 걸어멈춤포올과의 걸어멈춤작용으로 강하 방지를 도모하는 것으로, 핀과 핀 삽입 구멍으로 구성한 낙하방지기구를 적용한 경우, 그것이 단지 부재의 변경에 지나지 않고,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받침대의 상승에 따라 랙 또는 지지축도 상승하고, 걸어멈춤포올에 의하여 강하방지가 도모됨과 동시에, 가이드부재의 개재에 의하여 회동방지도 방지된다.
또, 외통 및 램내에는 유압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완전 밀폐구조로 할 필요는 없고, 걸어멈춤부재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배관이나 배선등은 외통의 저부로부터 도출시킬 수가 있다.
또, 승강기구는 외통과 램으로 구성되는 램식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외부에는 강하 방지부재가 일체 존재하지 않으므로 먼지나 물의 진입이 없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외관은 극히 심플하고 콤팩트한 것이 된다.

Claims (2)

  1. 땅속에 매설한 상면 개방의 외통(1)내에 그 외통(1)내를 상하 방향으로 섭동가능한 램(2)을 상면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램(2)의 상단에 차량받침대(3) 고착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램(2)을 하면 개방의 중공 형상으로하여 그 중공내에 피스톤식 실린더(5)와 랙(6)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는 실린더부(5a)의 하단과 피스톤로드(5b)의 선단중 어느 한 쪽을 외통(1)의 내저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쪽을 램(2)의 천정면(2a)에 고착하고, 또 랙(6)은 램(2)에 그램과 일체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피스톤식 실린더(5)의 실린더부(5a)에 상기 랙(6)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를 부설하여, 그 가이드부재(8)에 상기 랙(6)의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2. 땅속에 매설한 상면 개방의 외통(1)내에 그 외통(1)내를 상하 방향으로 섭동가능한 램(2)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램의 상단에 차량받침대(3)를 고착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램(2)을 하면개방의 중공 형상으로하여 그 중공내에 피스톤식 실린더(5)와 지지축(11)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피스톤식 실린더(5)는 실린더부(5a)의 하단과 피스톤로드(5b)의 선단중 어느 한쪽을 외통(1)의 내저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쪽을 램(2)의 천정면(2a)에 고착하고, 또 지지축(11)은 램(2)에 그 램과 일체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피스톤식 실린더(5)에 있어서의 실린더부(5a)의 지지축(11)에 면한 측면에 랙(6)과 상기 지지축(11)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8)를 설치하고, 그 가이드부재(8)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지지축에 상기 랙(6)의 랙톱니(6a)에 걸어멈추는 강하방지용 걸어멈춤포올(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KR2019940029865U 1993-12-28 1994-11-11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KR9700056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70675U JP2538490Y2 (ja) 1993-12-28 1993-12-28 埋込み式車輛整備用リフト
JP93-70675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77U KR950018177U (ko) 1995-07-22
KR970005624Y1 true KR970005624Y1 (ko) 1997-06-09

Family

ID=1343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865U KR970005624Y1 (ko) 1993-12-28 1994-11-11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8490Y2 (ko)
KR (1) KR970005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32A1 (ko) * 2014-11-11 2016-05-19 최경숙 실린더 매립형 차량용 리프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5067A (ja) * 2009-05-28 2010-12-09 Sugiyasu Corp テレスコープ型リフト及び自動車整備用リフト
KR101069548B1 (ko) * 2011-05-03 2011-10-05 (주) 대진유압기계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KR102207660B1 (ko) * 2019-04-08 2021-01-25 황성일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US11584627B2 (en) * 2020-03-13 2023-02-21 Bosch Automotive Service Solutions Inc. Safety catch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32A1 (ko) * 2014-11-11 2016-05-19 최경숙 실린더 매립형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160056187A (ko) * 2014-11-11 2016-05-19 최경숙 차량용 리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0687U (ja) 1995-07-21
JP2538490Y2 (ja) 1997-06-18
KR950018177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624Y1 (ko)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CN216893787U (zh) 举升安全栅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CN109110697A (zh) 一种便于维护的升降式机电安装平台
JP2888394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床
WO2022262667A1 (zh) 用于轨道式起重机的分离式铁鞋防风装置
CN216272627U (zh) 罐内阻车器、阻车系统及罐笼
KR920003800Y1 (ko) 매설형 리프트
CN212531879U (zh) 一种电梯定位及保护装置
KR920003799Y1 (ko)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JP2881634B2 (ja) 埋設型昇降リフト装置
CN111809576A (zh) 一种复合传动稳定自锁智能测控一体化闸门
KR89000106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5668384A (zh) 电梯轿厢及防轿厢意外移动的方法
CN214265361U (zh) 一种轮胎对位顶升机构
CN210393306U (zh) 电梯可移动停止装置
CN217627017U (zh) 用于电梯系统的可移动止停装置
CN217352356U (zh) 一种升卧式泵闸系统
CN116812717B (zh) 一种建筑施工升降机
EP0294385A1 (en) Lift device
CA1176185A (en) Hydraulic elevators
JP44424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940000677Y1 (ko)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안전장치
CN208182423U (zh) 一种轿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