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187A - 차량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6187A KR20160056187A KR1020140156277A KR20140156277A KR20160056187A KR 20160056187 A KR20160056187 A KR 20160056187A KR 1020140156277 A KR1020140156277 A KR 1020140156277A KR 20140156277 A KR20140156277 A KR 20140156277A KR 20160056187 A KR20160056187 A KR 20160056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ylinder
- lifting
- pedestal
- li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10)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120)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10)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120)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시키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높이로 들어올린 후 그 밑에서 차량의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차량용 리프트장치는 기둥의 개수에 따라 2주식과 4주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기둥의 형태에 따른 기둥형과 대문형이 있으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아암의 형태에 따라 X자 형이 있다.
상기한 2주식은 기둥(또는 포스트)이 2개인 형태이고, 4주식은 기둥이 4개인 것이며, 기둥형은 기둥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이고, 대문형은 기둥과 기둥사이에 크로스 빔을 연결한 형태이다.
상기한 2주식 대문형 리프트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 크로스 빔(30)이 상기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의 내부에서 하방에 위치한 유압실린더(13)의 로드(13a)에 고정부재(P)로 캐리(12)를 연결하여 포스트(10)의 가이드홈(11)을 통해 승강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캐리(12)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아암(14)이 연결되어 캐리(12)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지지아암(14)은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쪽의 캐리(12)가 승강될 때 다른 쪽 캐리(12)도 동시에 작동하도록 2개의 캐리(12)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W)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크로스빔(30)의 양쪽에 설치한 상부 가이드롤러(R1)에 걸어지면서 한 측에는 내부 캐리(12)의 상부 측에 연결되고 다른 측은 포스트(1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내부 캐리(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의 유압실린더가 동시에 작동될 때 캐리의 상부에 연결한 와이어는 위로 오르게 되고, 반대측의 캐리는 하단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캐리(12)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어 캐리(12)가 상승시 와이어를 당기어 주게 됨에 따라 한 측에서 풀어진 만큼 당기어주어 와이어는 항시 적정의 텐션을 유지하며 잡아주는 상태가 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캐리(12)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데, 이때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칫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2주식 대문형 리프트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차량의 중간 양쪽에 지지아암(14)이 위치되도록 차량을 전진시키고 지지아암(14)을 회전시키고 신축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한다.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 캐리(12)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캐리(12)에 고정된 지지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량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캐리(12)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와 같이, 2주식 또는 4주식 리프트장치는 지면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기둥(또는 포스트)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동선에 제약을 받게 되고, 부주의에 의해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이 축소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화되고, 이로 인해 사용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세차장 또는 광택회사 등에서는 물 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리프트장치들이 쉽게 부식되는 노후화의 진행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는 사용의 제한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와; 상기 중앙받침대에 복수로 구성되어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 및 상기 중앙받침대와 회동받침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받침대는, 상기 회동받침대가 결합되는 회동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역에는 상기 중앙받침대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구역에는, 상기 회동받침대의 일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가 'H'형 또는 'X'형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받침대는,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중앙받침대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받도록 하는 회동돌기;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부가 지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시키면 승강부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연한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세차장이나 광택회사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차장 또는 광택회사 등에서 리트프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에 대한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의 세차 또는 광택이 가능함으로써, 종래에서는 비교할 수 없는 세차 또는 광택서비스의 제공으로 소비자들의 신뢰성 확보에 의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는 기둥(또는 포스트)이 세워진 상태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간섭되었지만, 본 발명은 차량을 리프팅한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이동동선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부에 차량 또는 대상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일정높이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차량을 작업자가 밀면 상기 받침부가 고정된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작업자가 제자리에서 차량 또는 대상물 전체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2주식 리프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압실린더와 내부 캐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평면도로서,
4a는 'H'형이고, 4b는 'X'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보조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유압실린더와 내부 캐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평면도로서,
4a는 'H'형이고, 4b는 'X'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보조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프트장치(100)는 지면에 매립되고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기 승강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차량을 받침하는 받침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110)는 지면에 일정깊이 매립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승강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12)는 상단부가 지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112)에는 상기 압력펌프(116)에서 제공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유압의 입구와 출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12)는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112)의 외주에는 지면에 구성된 흙 또는 콘크리트에 의해 노후화의 방지 및 입구와 출구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단에 받침부(120)가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로 제공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받침부(120)를 일정높이 승강시킨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상기 실린더(112)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실린더(11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펌프(1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112)에 유압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압력펌프(116)는 지면에 매립시켜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승강부(110)의 끝단에 구성되고, 상단에 차량이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차량을 일정높이 승강시킨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122)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구성되어 차량을 받침하는 받침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124), 및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받침대(122)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끝단에 다수의 볼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끝단에 상기 중앙받침대(1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받침대(1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동구역(1222)이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역(1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받침대(122)의 모서리 부분 즉, 4개소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구역(1222)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224)와, 상기 돌출부(1224)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을 안내하도록 하는 삽입홈(1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224)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1226)도 상기 돌출부(12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할 때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제1연장부(1228)과 제2연장부(1229)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연장부(1228)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받침대(124)를 회전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H'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1229)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받침대(124)를 회전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X'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상기 중앙받침대(122)의 복수의 회동구역(1222) 각각에 구성되어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차량의 크기 또는 기타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각도를 변환시켜 받침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일단에 상기 회동구역(1222)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구역(1222)의 안내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1242)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되도록 안내하는 안착홈(1244)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1242)에는 상기 회동구역(1222)의 삽입홈(1226)에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를 받는 회동돌기(1243)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1242)는 상기 회동구역(1222)의 돌출부(1224)와 동일 또는 유사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1224)를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244)은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보조기구의 일측이 상기 안착홈(124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보조기구는,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124)를 'H'형으로 형성할 때 양단 각각에 삽입시켜 차량의 중앙 하부가 받침되도록 하는 일자형의 발판(128) 및 'X'형으로 형성할 때 각각에 삽입시켜 차량의 하부에 구성된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보조발판(129)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보조기구는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각기 원하는 것을 취사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기구는 발판(128) 또는 보조발판(129)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착탈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차량 또는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조기구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회동받침대(124)로만 차량 또는 대상물을 받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회동부(1242)에는 회동축(126)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126)은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축(126)은 핀 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용이하게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에 승강부(110)의 실린더(112)가 매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차량 또는 대상물(이후, 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함)의 크기에 따라 받침부(120)의 회동받침대(124)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대,중형승용차나 트럭과 같이 차폭이 큰 것은 'H'형으로 하면서 끝단에 일자형의 발판(128)을 결합시키고, 소형승용차와 같이 차폭이 작은 것은 'X'형으로 하면서 각각의 끝단에 보조발판(129)를 결합시켜 사용한다.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기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보조기구의 결합이 완료되면(경우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차량을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안정적으로 받침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압력펌프(116)에서 제공되는 상승력이 상기 실린더(112)로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112)에 구성된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승된 차량의 세척, 광택 또는 정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실린더(112)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세척, 광택 또는 정비작업 중 승강된 상태의 차량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자리에서 승강된 차량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압력펌프(116)에서 하강력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하강하여, 차량을 지면에 내려놓는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실린더(112)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차량의 최초 진입위치와 무관하게 원하는 위치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내려놓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용 리프트장치(100)는 지면에 승강부(110)가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면에는 받침부(120)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는 기둥(또는 포스트)이 세워진 상태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간섭되었지만, 본 발명은 차량을 리프팅한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이동동선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리프트장치
110: 승강부
112: 실린더 114: 피스톤로드
116: 압력펌프 120: 받침부
122: 중앙받침대 1222: 회동구역
1224: 돌출부 1226: 삽입홈
1228: 제1연장부 1229: 제2연장부
124: 회동받침대 1242: 회동부
1244: 회동돌기 1246: 안착홈
126: 회동축 128: 발판
129: 보조발판
112: 실린더 114: 피스톤로드
116: 압력펌프 120: 받침부
122: 중앙받침대 1222: 회동구역
1224: 돌출부 1226: 삽입홈
1228: 제1연장부 1229: 제2연장부
124: 회동받침대 1242: 회동부
1244: 회동돌기 1246: 안착홈
126: 회동축 128: 발판
129: 보조발판
Claims (5)
-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10)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120)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122)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복수로 구성되어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124); 및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동축(1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받침대(122)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결합되는 회동구역(1222)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중앙받침대(122)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224); 및
상기 돌출부(1224)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홈(12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일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124)가 'H'형 또는 'X'형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126)에 의해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1242)와;
상기 회동부(1242)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받도록 하는 회동돌기(1243);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2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277A KR101671859B1 (ko) | 2014-11-11 | 2014-11-11 | 차량용 리프트장치 |
PCT/KR2015/012133 WO2016076632A1 (ko) | 2014-11-11 | 2015-11-11 | 실린더 매립형 차량용 리프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6277A KR101671859B1 (ko) | 2014-11-11 | 2014-11-11 | 차량용 리프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6187A true KR20160056187A (ko) | 2016-05-19 |
KR101671859B1 KR101671859B1 (ko) | 2016-11-03 |
Family
ID=5595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6277A KR101671859B1 (ko) | 2014-11-11 | 2014-11-11 | 차량용 리프트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1859B1 (ko) |
WO (1) | WO201607663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8608A (ko) * | 2019-04-08 | 2020-10-16 | 황성일 |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1565B1 (ko) | 2020-12-02 | 2022-09-08 | 배영식 | 차량용 리프트 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970A (ko) | 1993-06-22 | 1995-01-04 | 김주용 | 반도체소자의 접촉창 형태 확인방법 |
KR950017537A (ko) * | 1993-12-10 | 1995-07-20 | 전성원 | 자동차의 방향전환장치 |
KR950031714A (ko) * | 1994-05-13 | 1995-12-20 | 스기우라 야스나리 | 차량정비용 리프트 |
KR970005624Y1 (ko) * | 1993-12-28 | 1997-06-09 |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
KR100331702B1 (ko) | 1999-05-17 | 2002-04-09 | 이승균 | 오일교환용 리프트 |
KR20040012254A (ko) | 2002-08-02 | 2004-02-11 |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
KR20040057878A (ko) * | 2002-12-26 | 2004-07-02 |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632Y2 (ja) * | 1991-05-30 | 1995-07-12 | 杉安工業株式会社 | 車輌整備用リフト |
JP2527306Y2 (ja) * | 1991-08-15 | 1997-02-26 | 株式会社イヤサカ | 車両整備装置 |
KR970002445Y1 (ko) * | 1993-09-28 | 1997-03-24 | 이만호 | 절첩식 리프트의 신축아암 지지장치 |
-
2014
- 2014-11-11 KR KR1020140156277A patent/KR1016718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11-11 WO PCT/KR2015/012133 patent/WO20160766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970A (ko) | 1993-06-22 | 1995-01-04 | 김주용 | 반도체소자의 접촉창 형태 확인방법 |
KR950017537A (ko) * | 1993-12-10 | 1995-07-20 | 전성원 | 자동차의 방향전환장치 |
KR970005624Y1 (ko) * | 1993-12-28 | 1997-06-09 |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 매립식 차량정비용 리프트 |
KR950031714A (ko) * | 1994-05-13 | 1995-12-20 | 스기우라 야스나리 | 차량정비용 리프트 |
KR100331702B1 (ko) | 1999-05-17 | 2002-04-09 | 이승균 | 오일교환용 리프트 |
KR20040012254A (ko) | 2002-08-02 | 2004-02-11 |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
KR20040057878A (ko) * | 2002-12-26 | 2004-07-02 |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 차량 정비용 리프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8608A (ko) * | 2019-04-08 | 2020-10-16 | 황성일 |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76632A1 (ko) | 2016-05-19 |
KR101671859B1 (ko) | 201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3941B1 (ko) |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 |
KR101317334B1 (ko) | 자동차 제자리 회전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 |
KR101671859B1 (ko) | 차량용 리프트장치 | |
KR101773645B1 (ko) | 건축자재용 윈치 | |
KR102340469B1 (ko) | 무동력 리프트 장치 | |
JP4316514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 |
KR101063308B1 (ko) |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 |
KR100387566B1 (ko) | 자동차용 리프트 장치 | |
CN105692411A (zh) | 一种无机房电梯布置结构 | |
JP2017039397A (ja) | アウトリガー装置 | |
JP3968362B2 (ja) | トンネル補修作業車 | |
KR20110019806A (ko) |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 |
KR102271799B1 (ko) | 레일 리프팅 장치 | |
KR20130000823U (ko) | 고소 작업용 장치 | |
KR100500133B1 (ko) |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 |
KR20100077072A (ko) | 가로등 파이프 굽힘 및 램프 승하강장치 | |
JP2002226187A (ja) | 車両整備用リフト | |
KR200294516Y1 (ko)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 |
KR20170003984U (ko) | 캠핑트레일러 | |
CA2168316C (en) | Lifting and swivell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 |
KR102279631B1 (ko) |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 |
KR101192581B1 (ko) | 인화물 겸용 리프트용 카 케이지 락킹 장치 | |
CN113979384B (zh) | 基于举升车的u型型材安装方法 | |
JP2010189081A (ja) | 巻上機据付装置 | |
KR101470354B1 (ko) |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