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16Y1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16Y1
KR200294516Y1 KR2020020024405U KR20020024405U KR200294516Y1 KR 200294516 Y1 KR200294516 Y1 KR 200294516Y1 KR 2020020024405 U KR2020020024405 U KR 2020020024405U KR 20020024405 U KR20020024405 U KR 20020024405U KR 200294516 Y1 KR200294516 Y1 KR 200294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lifting
carry
posts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16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전 포스트의 지지 아암의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지지 아암 또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에는 차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승강판이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본 고안은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전 포스트의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지지 아암과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그 밑에서 자동차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말한다.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에는 기둥의 개수에 따른 2주식과 4주식이 있고, 기둥의 형태에 따른 기둥형과 대문형이 있으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아암의 형태에 따른 X자 형(매립형 X타입과 저상고 X타입 등)이 있다.
전술한 2주식은 기둥(포스트)이 2개인 형태이고, 4주식은 기둥이 4개인 것이며, 기둥형은 기둥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이고, 대문형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크로스 빔을 연결한 형태이다.
이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에 대한 종래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30)이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내부에서 하방에 위치한 유압실린더(13)의 로드(13a)에 고정부재(P)로 캐리(12)를 연결하여 포스트(10)의 가이드홈(11)을 통해 승하강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리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14)이 연설되어 캐리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지지 아암은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쪽의 캐리(12)가 승강될 때 다른 쪽 캐리도 동시에 함께 작동하도록 2개의 캐리(12)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 데, 그 와이어(W)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크로스 빔(30)의 양쪽에 설치한 상부 가이드롤러(R1)에 걸어지면서 한 측에는 내부 케리의 상부 측에 연결되고 다른 측은 포스트(1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내부 캐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의 유압실린더(12)가 동시에 작동될 때 캐리의 상부에 연결한 와이어는 위로 오르게 되고 반대측의 캐리는 하단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캐리(12)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어 캐리가 상승시 와이어를 당기어 주게 됨에 따라 한측에서 풀어진 만큼 당기어주어 와이어는 항시 적정의 텐션을 유지하며 잡아주는 상태가 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 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캐리(12)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 데, 이때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치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T는 유압탱크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차체의 중간 양쪽에 지지 아암(14)이 위치되도록 자동차를 전진시키고 지지 아암(14)을 회전시키고 신축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한다.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 캐리(12)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캐리(12)에 고정된 지지 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캐리(12)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2주식 대문형 리프터의 경우에는 자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매번 정비 작업 시마다 지지 아암의 회전각과 신축 길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지지 아암은 피봇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취약하여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매립형 X타입 및 저상고 X타입과 같은 X자형 리프터의 구성을 보면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아암이 서로 크로스 결합되고, 아암의 상부에는 차체를 들어 올리기 위한 승강판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X자형 리프터는 2주식 리프터와는 달리 지지 아암의 회전각과 신축길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승강판을 이용하여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 영세한 정비업소는 2주식 리프터를 사용하면서도 X자형 리프터의 필요성을 상당히 느끼고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고 설치장소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구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전 포스트의 지지 아암 일측에 차체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지지 아암과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정비작업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유압실린더와 내부캐리의 결합상태를 평면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10 : 포스트 11 : 가이드홈
12 : 캐리 13 : 유압실린더
13a : 로드 14 : 지지 아암
15 : 보조 캐리 20 : 승강판
21 : 홀더 22 : 수 힌지부
23 : 암 힌지부 23a : 삽입홈
22b,23b : 원호형 스톱퍼 H1,H2 : 핀홀
24 : 핀
25: 연결바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에는 차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승강판이 마련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승강판이 수평으로 지지되고 상방으로만 절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아암에는 홀더가 고정되고 그 홀더의 한쪽에는 수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수 힌지부와 핀 결합되는 암 힌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 힌지부의 중간에는 수 힌지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수 힌지부의 접촉면에는 각각 원호형 스톱퍼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위 첨부도면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본 고안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는 좌우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좌우 구성 중 한쪽에만 도면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도면과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1)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30)이 2개의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에는 캐리(12)가 유압실린더(13)에 의해서 가이드홈(11)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된다.
즉, 유압실린더(13)는 포스트(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유압실린더(13)의 상부에 설치된 로드(13a)는 고정부재(P)를 매개로 캐리(12)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3)의 로드(13a)가 승하강되면서 신축되면 로드(13a)에 고정된 캐리(12)도 로드(13a)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12)는 포스트(10)의 가이드홈(11)에 승하강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그 하부 양쪽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14)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쪽의 캐리(12)가 승강될 때 다른 쪽 캐리도 동시에 함께 작동하도록 2개의 캐리(12)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 데, 그 와이어(W)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크로스 빔(30)의 양쪽에는 상부 가이드롤러(R1)가 설치되고, 일측 포스트(10)의 하부에는 하부 가이드롤러(R2)가 설치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 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캐리(12)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 데, 이때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치기구(R)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 지지 아암(14)에는 차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승강판(20)이 마련되는 바, 상기 승강판(20)이 수평으로 지지되고 상방으로만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때에는 승강판(20)을 접어두고 승강판(20)을 사용할 때에는 승강판(20)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승강판(20)을 펼쳤을 때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지지 아암(14)에는 홀더(21)가 고정되고 그 홀더(21)의 한쪽에는 수 힌지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20)의 일측에는 수 힌지부(22)와 핀(24) 결합되는 암 힌지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수 힌지부(22)의 중간에는 수 힌지부(22)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암수 힌지부(23)(22)의 접촉면에는 각각 원호형 스톱퍼(22b)(23b)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수 힌지부(22)는 홀더(21)를 통해서 지지 아암(14)쪽에 고정되고 암 힌지부(23)는 승강판(20)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암 힌지부(23)는 그 중간에 삽입홈(23a)이 형성되는 데, 그 삽입홈(23a)에 수 힌지부(22)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암수 힌지(23)(22)는 각각 그 중심에 핀홀(H1,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 힌지부(22)가 암 힌지부(23)의 삽입홈(23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24)이 그 핀홀(H1,H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승강판(20)은 고정핀(2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승강판(20)이 차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유지되고 상방으로만 회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암수 힌지부(23)(22)의 접촉부위에는 각각 원호형 스톱퍼(23b)(22b)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 원호형 스톱퍼(23b)(22b)들은 승강판(20)을 수평으로 펼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고, 반대로 승강판(20)을 회동시킬 때에는 서로 비 접촉되도록 서로 엇갈린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판(20)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혀진 승강판(20)을 펼쳐 수평으로 유지하여 정비작업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 아암(14)을 사용하거나 또는 승강판(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경량 차를 정비하거나 또는 정비할 부위가 가려져 승강판(20)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지 아암(14)을 사용하며, 그리고 중량 차를 보다 안전하게 리프팅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승강판(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경우는 종래의 작동과 동일한 바 그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체의 중간 양쪽에 지지 아암(14)이 위치되도록 자동차를 전진시키고, 지지 아암(14)을 회전시키거나 신축시켜서 그 위치를 조절한다.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구동시켜 로드(13a)를 신장시키면, 이때 로드(13a)에 고정된 캐리(12)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캐리(12)에 고정된 지지 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캐리(12)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승강판(20)을 사용할 때에는 접혀져 있는 승강판(20)을 내리면 고정핀(24)을 중심으로 승강판(20)이 회동되면서 펼쳐진다.
이때, 승강판(20)이 회전하는 중에는 원호형 스톱퍼(23b)(22b)들이 서로 비접촉되어 승강판(20)이 원활하게 회동되고, 승강판(20)이 수평위치에 이르면 원호형 스톱퍼(23b)(22b)들이 서로 접촉되어 승강판(20)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수평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으로 승강판(20)이 차체를 소정높이로 들어 올리며 이때 지지 아암(14)은 사용되지 않고 양쪽으로 벌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승강판(20)을 절첩시킴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힌지 타입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지지 아암(14)과 승강판(20)에 각각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을 형성한 슬라이드 타입으로 변형할 수도 있으며, 승강판(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판(20)의 측면에 신축 가능한 연장편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승강판(20)을 제거할 경우에는 승강판(20)을 연결하고 있는 힌지(22,23)에 끼운 핀(24)을 빼내어 주면 승강판(2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양 지지 아암(14)에 각각 설치되어 동일한 위치에서 함께 승하강되는 양 승강판(20)을 양측에 연결바아(25)로 연결하여 줄 수 있다. 이는 연결바아(25)로 양 승강판(20)을 잡아주므로 한 쪽의 승강판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 서로 불균형하게 승하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작동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지지 아암(14)을 사용할 수도 있고 승강판(20)을 사용하여 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전 2주식 리프트에 차체를 쉽게 리프팅할 수 있는 승강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작업자가 작업상황에 따라 지지 아암과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정비작업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의 2주식 리프터에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2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정비업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가 지면에 직설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는 크로스 빔이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며, 각 포스트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에는 캐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캐리의 하부 양쪽에는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 아암이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에는 차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승강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이 수평으로 지지되고 상방으로만 절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아암에는 홀더가 고정되고 그 홀더의 한쪽에는 수 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는 상기 수 힌지부와 핀 결합되는 암 힌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 힌지부의 중간에는 수 힌지부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수 힌지부의 접촉면에는 각각 원호형 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승강판(20)을 연결바아(25)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2020020024405U 2002-08-16 2002-08-16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200294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05U KR200294516Y1 (ko) 2002-08-16 2002-08-16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405U KR200294516Y1 (ko) 2002-08-16 2002-08-16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40A Division KR20040012254A (ko) 2002-08-02 2002-08-02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16Y1 true KR200294516Y1 (ko) 2002-11-08

Family

ID=7307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05U KR200294516Y1 (ko) 2002-08-16 2002-08-16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6843A1 (en) * 2003-07-23 2005-01-27 Lgreen Co., Ltd. Film for growing turfgrass sod
KR102279631B1 (ko) * 2020-01-31 2021-07-21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6843A1 (en) * 2003-07-23 2005-01-27 Lgreen Co., Ltd. Film for growing turfgrass sod
KR102279631B1 (ko) * 2020-01-31 2021-07-21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147A (en) Jacking device
CN110844832B (zh) 车辆用升降装置
EP2716267B1 (en) Wheelchair lift
KR102458584B1 (ko) 고소 작업용 안전 리프트
KR200294516Y1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20040012254A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100747158B1 (ko) 드롭 리프트
BR0106005A (pt) Aparelho para içar para dentro e/ou para baixar uma corrente
CA2480060A1 (en) Hoist
CN208918545U (zh) 一种可伸缩式隧道开挖作业台架
CN101531313B (zh) 无机房电梯
US5031727A (en) Lift for vehicles
KR20040012252A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WO2016076632A1 (ko) 실린더 매립형 차량용 리프트장치
JP3228954B2 (ja) プラットホーム上に自動車を駐車させるためのパーキング装置
US4886145A (en) Underground vehicle lift
KR200294515Y1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KR200313119Y1 (ko) 지게차용 승강리프트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0156654Y1 (ko) 리프트장치
ITVE970038A1 (it) Dispositivo automatico di copertura della fossa per ponti sollevatori a parallelogramma da incasso.
KR102279631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KR102449493B1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20040092198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960031743A (ko)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