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493B1 -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 Google Patents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493B1
KR102449493B1 KR1020220043703A KR20220043703A KR102449493B1 KR 102449493 B1 KR102449493 B1 KR 102449493B1 KR 1020220043703 A KR1020220043703 A KR 1020220043703A KR 20220043703 A KR20220043703 A KR 20220043703A KR 102449493 B1 KR102449493 B1 KR 10244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wheel
rotating body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규
Original Assignee
송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규 filed Critical 송정규
Priority to KR102022004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와 포스트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블록에 한 쌍으로 결합된 아암부와 아암부의 일단에 회동되게 결합된 지지부 및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자동차의 바퀴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TWO-POST LIFT FULCRUM ARM DEVICE}
본 발명은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교체 및 정비할 수 있도록 리프팅 할 수 있는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용 리프터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 자동차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기둥의 개수에 따른 2주식과 4주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주식 리프트를 예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로 리프트의 구성의 구성을 설명한다.
자동차용 리프트는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바를 포함한다.
먼저, 수직 포스트는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직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들어올리는 캐리어가 구비된다.
또한, 캐리어는 수직 포스트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이동블록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설되어 임의 각도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받침아암이 구비된다.
또한, 받침아암은 길이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2주식 리프트는 자동차를 리프팅할 때 받침아암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려주어 자동차의 저면 받침위치에 받침부재를 위치시키어 리프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가 상당히 보급됨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정비작업에 있어 배터리모듈을 정비하거나 교환할 경우에 기존의 2주식 리프트로는 정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저부에 배터리의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치면적으로 최대한으로 확장시키어 구비함에 따라 자동차의 양측 폭에 근접되게 배터리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기존의 2주식 리프트로 리프팅할 경우 받침아암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려 자동차의 저면 내부로 진입시키어 받쳐야 한다.
이때, 경사지게 위치하는 받침아암이 배터리모듈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가 겹치게 됨에 따라 배터리모듈을 탈거하여 빼낼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체할 배터리를 거치하기 위해 테이블 리프트가 진입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탈거할 수 있도록 탈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상승시키어 거치를 위한 테이블 리프트가 진입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등의 자동차용 리프트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047637호 (2021.04.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을 교체 및 정비할 수 있도록 리프팅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의 곡선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전기자동차의 하중에 대응하여 바퀴의 하부 양측이 밀착되어 바퀴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블록에 한 쌍으로 결합된 아암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회동되게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자동차의 바퀴를 안착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아암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퀴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바퀴의 원주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부의 일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의 하부 양측이 밀착되어 상기 바퀴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회동본체; 상기 지지부의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삽입홀에 연통하도록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하는 체결홀; 및 일단이 상기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동본체의 일면에 상기 체결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지지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상기 지지홀에 연통하도록 관통된 홀로 형성된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통해 상기 지지홀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축으로 상기 회동본체를 회동하여 상기 경사부가 상기 바퀴의 하부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를 지지하여 리프팅 시, 바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공간을 확보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의 교체 및 정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의 곡선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전기자동차의 하중에 대응하여 바퀴의 하부 양측이 밀착되어 바퀴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하부면이 리프팅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는 전기자동차의 바퀴의 하부 양측으로 밀착되는 받침부에 인접하게 정차하고 바퀴의 하부 양측으로 회동부를 축으로 받침부를 회동하여 밀착시키는 단순한 작업으로 전기자동차를 리프팅 장치에 승하강 시키는 번거로운 작업공정 없이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가 리프트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의 안착부에 전기자동차의 바퀴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가 리프트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를 평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의 안착부에 전기자동차의 바퀴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10)는 아암부(100), 지지부(200) 및 안착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10)는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11)와 포스트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블록(12)에 한 쌍으로 결합된 아암부(100), 아암부의 일단에 회동되게 결합된 지지부(200) 및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자동차의 바퀴(13)를 안착시키는 안착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스트(11)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고, 자동차의 폭보다 넓은 거리로 이격되어 동일한 포스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포스트(1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가 형성되어 포스트(11)를 견고하게 위치시킨다.
승강블록(12)은 포스트(11)의 길이방향 내측을 따라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여 전기자동차, 내연기관의 자동차 등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암부(100)는 승강블록(12)의 양측에 회동되게 결합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특히, 전기자동차 및 내연기관의 자동차 등의 정비가 없는 경우 승강블록(12)의 회동수단을 축으로 회동하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포스트(11)의 사이를 비워 정비할 차량(전기자동차 및 내연기관의 자동차 등)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또한, 아암부(100)는 차량의 길이에 대응하여 신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아암부(100)의 일단에 회동되게 결합된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된 'ㄷ'자 프레임(21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손잡이(220) 및 링크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20)는 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프레임(210)을 작업자가 들고 이동시 떨어뜨리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230)는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아암부(10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판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판의 일면을 관통한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아암부(100)의 일단은 판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아암판을 형성하고, 관통홀과 연통하는 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링크부(230)는 아암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프레임(210)을 둔각의 범위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300)는 지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자동차의 바퀴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안착부(300)는 회동부(310), 받침부(320) 및 경사부(330)를 더 포함한다.
회동부(310)는 지지부(200)의 양단에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하는 것으로, 회동본체(311), 체결홀(313) 및 축부재(314)를 더 포함한다.
회동본체(311)는 지지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210)의 양단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일측이 원호로 이루어져 프레임(210)의 내부면에 마찰없이 축부재(314)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체결홀(313)은 지지부(200)의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삽입홀(312)에 연통하도록 회동본체(311)를 관통하는 홀이다.
축부재(314)는 일단이 제1 삽입홀(312)을 통해 체결홀(313)에 결합된다.
여기서, 축부재(314)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링형상의 손잡이를 형성한다.
이때, 프레임(210)의 양단에 회동본체(311)를 삽입시키고, 회동본체(311)에 형성된 체결홀(313)과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2)을 연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축부재(314)를 각 홀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로 인해, 회동본체(311)는 축부재(314)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10)의 회동부(310)는 지지홀(315), 제2 삽입홀(316) 및 지지부재(317)를 더 포함한다.
지지홀(315)은 회동본체(311)의 일면에 체결홀(313)에 인접하여 형성된 홀이다.
제2 삽입홀(316)은 지지부(200)의 양단에 지지홀(315)에 연통하도록 관통된 홀로 형성된다.
지지부재(317)는 제2 삽입홀(316)을 통해 지지홀(315)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7)는 축부재(314)를 축으로 회동본체(311)를 회동하여 경사부(330)가 바퀴(13)의 하부 양측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삽입홀(316)에 인접하여 프레임(210)의 일면을 관통한 수납홀(318)을 형성하여, 회동본체(311)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지지부재(317)를 수납홀(318)에 끼워 수납한다. 그리고 회동본체(311)의 회동이 완료되면 수납홀(318)에 수납된 지지부재(318)를 꺼내어 지지홀(315)에 삽입시켜 회동본체(311)의 움직임을 제한 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320)는 회동부(310)로부터 연장되고, 회동부(310)의 회전에 의해 바퀴(13)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한다.
경사부(330)는 전기자동차의 하중에 대응하여 바퀴(13)의 하부 양측이 밀착되어 바퀴(13)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를 위해 포스트(11)의 내측으로 진입한 전기자동차의 바퀴(13)가 위치하면, 아암부(100)를 바퀴(1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프레임(210)을 바퀴(13)의 원주와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프레임(210)이 바퀴(13)의 외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 지지부재(317)를 빼낸 후, 축부재(314)를 축으로 회동본체(311)를 회동하여 받침부(320)가 바퀴(13)의 하부 양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경사부(330)의 일면에 바퀴(13)의 하부 양측 단부면이 밀착되도록 받침부(320)를 밀어낸다.
이때, 지지부재(317)를 제2 삽입홀(316)을 통해 지지홀(315)에 결합시켜 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한 회동본체(311)의 움직임을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바퀴(13)의 하부 양측 단부면에 밀착된 경사부(330)가 견고하게 위치하여 전기자동차가 안착부(300)에 안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11 : 포스트 12 : 승강블록
13 : 바퀴 100 : 아암부
200 : 지지부 210 : 프레임
220 : 손잡이 230 : 링크부
300 : 안착부 310 : 회동부
311 : 회동본체 312 : 제1 삽입홀
313 : 체결홀 314 : 축부재
315 : 지지홀 316 : 제2 삽입홀
317 : 지지부재 320 : 받침부
330 : 경사부

Claims (4)

  1. 수직하게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블록에 한 쌍으로 결합된 아암부;
    상기 아암부의 일단에 회동되게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본체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삽입홀에 연통하도록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하는 체결홀 및 일단이 상기 제1 삽입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바퀴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바퀴의 원주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부의 일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회동본체의 일면에 상기 체결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지지홀;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상기 지지홀에 연통하도록 관통된 홀로 형성된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통해 상기 지지홀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축부재를 축으로 상기 회동본체를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회동하여 상기 바퀴의 일면으로 상기 지지부를 평행하게 인접시키고, 상기 경사부를 상기 바퀴의 원주의 단부면 양측으로 밀착하도록 상기 회동본체를 회동한 후, 상기 제2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43703A 2022-04-08 2022-04-08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102449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703A KR102449493B1 (ko) 2022-04-08 2022-04-08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703A KR102449493B1 (ko) 2022-04-08 2022-04-08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493B1 true KR102449493B1 (ko) 2022-09-29

Family

ID=834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703A KR102449493B1 (ko) 2022-04-08 2022-04-08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03369A1 (en) * 2018-08-29 2023-09-28 Mohawk Lifts, LLC Two-post vehicle lift and adapter system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160A (en) * 1996-11-27 1999-09-21 Mohawk Resources Ltd. Wheel engaging vehicle lift
JP2005059702A (ja) * 2003-08-11 2005-03-10 Honda Motor Co Ltd 車体の移載装置
KR101686749B1 (ko) * 2015-09-09 2016-12-15 김경수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20210047637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20220005248A (ko) * 2020-07-06 2022-01-13 (주)엠티엠 차량 리프트의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160A (en) * 1996-11-27 1999-09-21 Mohawk Resources Ltd. Wheel engaging vehicle lift
JP2005059702A (ja) * 2003-08-11 2005-03-10 Honda Motor Co Ltd 車体の移載装置
KR101686749B1 (ko) * 2015-09-09 2016-12-15 김경수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20210047637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KR20220005248A (ko) * 2020-07-06 2022-01-13 (주)엠티엠 차량 리프트의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03369A1 (en) * 2018-08-29 2023-09-28 Mohawk Lifts, LLC Two-post vehicle lift and adapter system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67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ft assembly
US8496090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AU603519B2 (en) Platform elevating apparatus
CN104884369B (zh) 堆装起重机及其运转方法
KR102449493B1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WO2008010033A1 (en) Pipe-laying machine
KR20050040900A (ko)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102027885B1 (ko) 용접 보조 장치
CN110546103B (zh) 升降平台
KR20010054382A (ko) 아치형 교량의 교량점검대 주행장치
US9096415B2 (en) Lifting device for scissor lifts
WO2003022725A1 (en) Lifting and transfer device for heavy objects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014460B1 (ko) 차량용 나사잭
US4875415A (en) Rotary jack assembly for a crane
CN110668351A (zh) 一种汽车维修装置
CN216687291U (zh) 一种车辆定位平台的导轨
CN212476015U (zh) 一种市政施工员升降梯
CN217516521U (zh) 一种圆柱形工件自锁固定吊装装置
KR200294516Y1 (ko) 자동차 정비용 2주식 리프터
CN208666982U (zh) 剪式举升机及汽车
CA2121111A1 (en) Vehicle lift adapter
KR20230081374A (ko) 타이어 리프트
KR200239392Y1 (ko) 아치형 교량의 교량점검대 주행장치
JP2523343Y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