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660B1 -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60B1
KR102207660B1 KR1020190040717A KR20190040717A KR102207660B1 KR 102207660 B1 KR102207660 B1 KR 102207660B1 KR 1020190040717 A KR1020190040717 A KR 1020190040717A KR 20190040717 A KR20190040717 A KR 20190040717A KR 102207660 B1 KR102207660 B1 KR 10220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support
grou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608A (ko
Inventor
황성일
김성희
Original Assignee
황성일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일, 김성희 filed Critical 황성일
Priority to KR102019004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1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a single central j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6Arrangements in which the platform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a single or plural jacks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발명으로,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부; 유압 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바디부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지면에 매립되어 있던 유압 실린더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에, 받침부가 자동차의 하판에 맞닿아 지지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Automobile lift with a cylinder part embedded in the ground}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부의 하부에서부터 중간지점까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발생되는 홈을 구비하고, 너트부를 캡부의 하부를 향하도록 체결하여 하우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캡부 및 캡부 상부에 결합된 패드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소에서는 자동차의 타이어나 각종 오일 등을 교환할 때 그리고, 자동차의 서스펜션 및 그 인근의 부품을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승용차 등은 차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들어 올린 다음 작업할 수 있도록 차량 정비 리프트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리프트는 지지 기둥(support post)의 개수에 따라 2주식 리프트와 4주식 리프트로 분류되고, 지지 기둥의 형태에 따라 기둥형 리프트와 대문형 리프트로 분류되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암(arm)의 형태에 따라 매립형 타입과 저상고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2주식 또는 4주식 리프트 장치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 세워지는 기둥(또는 포스트)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 동선에 제약을 받게 되고, 부주의에 의해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이 축소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2주식 또는 4주식 리프트 장치는 상대적으로 얇은 기둥으로 인하여 차체를 들어올린 후에 한 쪽으로 기울어져 넘어지는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화되고, 이로 인해 사용 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고율을 줄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고, 작업자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구조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859호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부의 하부에서부터 중간지점까지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발생되는 홈을 구비하고, 너트부를 캡부의 하부를 향하도록 체결하여 하우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캡부 및 캡부 상부에 결합된 패드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부; 상기 유압 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지면에 매립되어 있던 상기 유압 실린더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경우에, 상기 받침부가 자동차의 하판에 맞닿아 지지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기 바디부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유압 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보; 상기 승강보의 상면에서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 상기 승강보와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삽입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블록과 결합되는 단부에 각도기어를 구비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각도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기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는 각각의 상기 각도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맞물려 상기 각도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는 제1홈 가이드부; 및 상면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2홈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부; 내측면이 나선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캡부 및 너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캡부를 상기 하우징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너트부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캡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기 받침부는,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링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금속링부는 금속 재질로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외에 시간에는 승강보가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구조로, 작업자의 이동에 있어서 충돌 요소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하판과 직접 맞닿는 받침부의 위치를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한 쌍의 고정블록 사이에서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시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받침부의 다양한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 형상의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각도기어와 결합기어의 구성으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한 위치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결합기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캡부의 내주면을 따라 하우징부가 회동될 때, 제2 캡부 하부에 형성되는 홈으로 인하여 하우징부와의 틈새가 발생하여 제2 캡부와 하우징부의 회동은 큰 마찰을 없이 작은 힘만을 사용할 수 있고, 마찰로 인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부의 상승하는 최소 높이가 제한되어 있는 점을 캡부, 너트부 및 하우징부만을 사용하여 패드부의 수직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이 개선되어 작업의 효율성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부의 유체를 사용하는 특징으로 정전 또는 유압회로의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 승강보가 비정상으로 하강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링부를 승강보의 홈에 암수 결합하는 구조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바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확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바디부와 지지부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받침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단면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캡부의 확대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예의 받침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안전링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바디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확대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바디부와 지지부의 결합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받침부를 확대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받침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a)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캡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캡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예의 받침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안전링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유압 실린더부(100), 바디부(200), 지지부(300), 받침부(400) 및 안전링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유압 실린더부(100) 및 바디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유압 실린더부(100)는 지면에 일정 깊이 매립되고, 실린더, 피스톤 로드 및 승강압력을 제공하는 압력펌프로 구성된다. 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는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바디부(200)는 승강보(210), 제1 플레이트(220), 제2 플레이트(230), 제3 플레이트(240), 제4 플레이트(250), 고정블록(260), 슬라이딩 블록(270) 및 결합부(280)를 구비한다.
승강보(210)는 원통 형상으로, 유압 실린더부(100)의 상부와 결합되어 유압 실린더부(1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매립될 수도 있고, 지면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외에 시간에는 승강보(210)가 지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이동에 있어서 충돌 요소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는 승강보(210)의 상면에 위치한다. 도 2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한 쌍의 고정블록(260) 중 하나의 고정블록(260)이 승강보(210)와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 사이에 결합되고, 나머지 고정블록(260)이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블록(260)의 내주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플레이트(250)의 회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며, 제1 플레이트(220)와 제2 플레이트(230)가 한 쌍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제3 플레이트(240)와 제4 플레이트(250)가 한 쌍으로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구동 원리이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에서,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고정블록(260)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일측면은 상면 및 하면에서부터 소정의 두께만 제외하고, 일측면에서 소정의 길이가 함몰되어 디귿(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일측면에서 상,하부에 직육면체의 단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위와 같은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상,하부의 단부를 관통하는 고정리벳(212)이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상면 및 하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260)과도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는 고정리벳(212)과 힌지 결합하게 되어, 고정리벳(212)을 축으로 한 쌍의 고정블록(260)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하판과 직접 맞닿는 후술할 받침부(400)의 위치를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를 회동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시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받침부(400)의 다양한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하부의 단부에는 반원 형상의 플레이트가 기어로 형성되는 각도기어(221), (231)가 구비된다. 또한, 각각의 각도기어(221), (231) 사이에서 한 쌍의 고정블록(260)을 관통하여 스크류(282)가 결합되고, 스크류(282)와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결합기어(28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기어(281)가 스크류(282)를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각도기어(221), (231) 사이에서 동일한 수평선에서 암수 결합하여 각각의 각도기어(221), (231)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기어 형상의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각도기어(221), (231)와 결합기어(281)의 구성으로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를 한 위치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결합기어(28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슬라이딩 블록(270)이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블록(270)은 후술할 지지부(300)의 제1홈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블록으로 후술할 받침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가 한 쌍의 고정블록(260)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여 일정한 각도를 형성함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270)이 제1홈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270)의 일측면은 제1 플레이트(220) 내지 제4 플레이트(250)의 타측면에서 힌지 결합되고, 타측면은 지지부(300)의 제1홈 가이드부(310)와 결합된다. 이는, LM 가이드의 종류로 볼 슬라이드 블록 및 롤러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지지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300)는 한 쌍으로 중공부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1홈 가이드부(310), 제2홈 가이드부(320) 및 스크류 샤프트(330)로 구비된다.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홈 가이드부(310)와 두 개의 슬라이딩 블록(270)과 결합되고, 나머지 제1홈 가이드부(310)와 두 개의 슬라이딩 블록(270)과 결합되어, 바디부(20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제1홈 가이드부(310)는 위치된다.
제2홈 가이드부(320)는 제1홈 가이드부(310)와 수직되는 지점인 지지부(30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홈으로 절삭되어 구비되고, 후술할 복수 개의 받침부(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300) 내부에는 스크류 샤프트(330)가 삽입되어 있어 후술할 받침부(400)가 수직방향으로 체결된다(도 4참조). 여기서, 받침부(400)와 스크류 샤프트(300)의 체결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부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의 종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받침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받침부(400)는 패드부(410), 캡부(420), 너트부(430) 및 하우징부(440)로 구비된다.
패드부(410)는 원판 형상으로 자동차 하부와 직접 접촉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부(410)는 차량의 지지시에 차량의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성된다.
캡부(420)는 패드부(4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캡부(420)의 내부에 하우징부(440)의 일부가 삽입되어 나사산을 따라 하우징부(440)는 회동될 수 있게 되어, 패드부(410) 및 캡부(420)는 하우징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44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스크류 샤프트(330)와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패드부(410) 및 캡부(420)의 길이방향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캡부(420)는 내경이 상이한 제1 캡부(421) 및 제2 캡부(422)로 구비된다. 제2 캡부(422)의 내경이 하우징부(44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부(440)의 외경을 따라 제2 캡부(42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캡부(422)의 하부에는 외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이 구비되어 너트부(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제2 캡부(422)의 하면에서 볼 때, 십자가 형상으로 홈(4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2 캡부(422)의 하면에서 볼때, 90도 간격으로 네개 개의 홈(423)이 구비되어, 제2 캡부(422)의 중간지점부터 하부까지 네 개의 홈(423)으로 인하여 제2 캡부(422)는 네 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캡부(422)의 내주면을 따라 하우징부(440)가 회동될 때, 제2 캡부(422) 하부에 형성되는 홈(423)으로 인하여 하우징부(440)와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제2 캡부(422)와 하우징부(440)의 회동은 마찰력이 줄어들어, 작은 힘만을 사용할 수 있고, 마찰로 인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2 캡부(422)의 외측면에 너트부(430)가 결합되어 제2 캡부(422)의 하부로 갈수록 제2 캡부(422)와 하우징부(440)를 압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하우징부(440)의 외측면을 따라 제2 캡부(422)를 회동하여 위치시킨 후에, 너트부(430)를 제2 캡부(422)의 하부로 위치시켜 제2 캡부(422)와 하우징부(440)를 압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를 사용할 때마다 유압 실린더부(100)를 작동시켜 차량을 들어 올리지 않고도, 캡부(420), 너트부(430) 및 하우징부(440)를 사용하여 패드부(41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차량을 많이 들어올리지 않는 적은 작업 공간만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부(100)를 사용하지 않고, 차체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유압 실린더부(100)의 구동력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오일량 및 탱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부(100)는 상승하는 최소 높이가 제한되어 있는 점을 본 발명의 캡부(420), 너트부(430) 및 하우징부(440)만을 사용하여 패드부(410)의 수직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이 개선되어 작업의 효율성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캡부(421)와 제2 캡부(422)의 상이한 내경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부(440)의 상부에 외측면을 따라 단부를 구비하여 제1 캡부(421)의 단턱에 걸릴 수 있게 되어 하우징부(4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인 금속링부(450)를 설명하도록 한다.
금속링부(450)는 금속재질을 가지는 금속 링의 종류로써, 제2 캡부(422)와 하우징부(440)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캡부(422)를 하우징부(440)의 외측면에서 회동하여 위치를 선정한 후에, 너트부(430)를 제2 캡부(422)의 하부를 향하여 제2 캡부(422)와 하우징부(440)를 압착시킬 때, 금속링부(450)가 가운데 삽입됨으로 인해 압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안전링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안전링부(500)는 니은'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 형태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안전링부(500)는 승강보(210)의 외측면에 안전링부(5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홈(21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승강보(210)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홈(211)을 구비할 수 있고, 안전링부(500)는 승강보(210)가 유압 실린더부(1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위치할 때, 홈(211)에 암수 결합되어 승강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홈(211)의 하면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안전링부(500)가 암수 결합되어질 때, 승강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유압 실린더부(100)는 유체를 사용하는 특징으로 정전 또는 유압회로의 이상이 발생될 경우, 승강보(210)가 비정상으로 하강함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유압 실린더부, 200 : 바디부,
210 : 승강보, 220 : 제1 플레이트,
221 : 각도기어, 222 : 고정 리벳,
230 : 제2 플레이트, 240 : 제3 플레이트,
250 : 제4 플레이트, 260 : 고정블록,
270 : 슬라이딩 블록, 280 : 결합부,
281 : 결합기어, 282 : 스크류,
300 : 지지부, 310 : 제1홈 가이드부,
320 : 제2홈 가이드부, 330 : 스크류 샤프트,
400 : 받침부, 410 : 패드부,
420 : 캡부, 421 : 제1 캡부,
422 : 제2 캡부, 423 : 홈,
440 : 하우징부, 500 : 안전링부.

Claims (7)

  1.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부;
    상기 유압 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지면에 매립되어 있던 상기 유압 실린더부가 수직방향으로 구동될 경우에, 상기 받침부가 자동차의 하판에 맞닿아 지지하여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디부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유압 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보;
    상기 승강보의 상면에서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
    상기 승강보와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제4 플레이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삽입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블록과 결합되는 단부에 각도기어를 구비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각도 및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4 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관통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기어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는 각각의 상기 각도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맞물려 상기 각도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길이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는 제1홈 가이드부; 및
    상면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받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하는 제2홈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우징부;
    내측면이 나선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캡부 및 너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캡부를 상기 하우징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너트부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링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금속링부는 금속 재질로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1020190040717A 2019-04-08 2019-04-08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10220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17A KR102207660B1 (ko) 2019-04-08 2019-04-08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717A KR102207660B1 (ko) 2019-04-08 2019-04-08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08A KR20200118608A (ko) 2020-10-16
KR102207660B1 true KR102207660B1 (ko) 2021-01-25

Family

ID=7303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717A KR102207660B1 (ko) 2019-04-08 2019-04-08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0104A (zh) * 2022-02-28 2022-05-31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一种组合式航空维修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440Y1 (ko) * 2003-01-10 2003-04-26 헤스본주식회사 자동차 엔진 정비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90Y2 (ja) * 1993-12-28 1997-06-18 杉安工業株式会社 埋込み式車輛整備用リフト
KR100387566B1 (ko) * 2000-12-01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프트 장치
JP4279547B2 (ja) * 2002-12-26 2009-06-17 株式会社スギヤス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1671859B1 (ko) * 2014-11-11 2016-11-03 최경숙 차량용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440Y1 (ko) * 2003-01-10 2003-04-26 헤스본주식회사 자동차 엔진 정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608A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660B1 (ko)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N205500675U (zh) 一种升降装置
CN103287805B (zh) 料斗提升机
JP2017523939A (ja) 搭乗橋のロタンダ高さ調節装置
CN106276724A (zh) 一种三自由度液压装配小车
KR200431074Y1 (ko) 터빈로터 조립용 터닝장치
CN111874837A (zh) 一种叉车用支撑装置
KR101860886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롤러 어셈블리
US9878726B2 (en) Carrying structure of a rail vehicle
CN105764829A (zh) 用于电梯系统的底板
KR101542302B1 (ko)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유압 토우-잭
CN202527994U (zh) 摩擦轮浮动驱动装置
CN201997987U (zh) 抬起定心装置
CN204533202U (zh) 一种三自由度自位调姿的重载滚滑复合导轨
CN212655434U (zh) 三维工作台丝杠升降装置
KR102261873B1 (ko)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CN218434612U (zh) 固定式龙门架车机
CN216005056U (zh) 一种用于采油领域的螺旋驱动井管提升机
CN111007200B (zh) 一种汽车磨损扫描检测用探头控制器
CN104261289B (zh) 多层钢丝绳卷筒排绳装置
CN103447319B (zh) 一种三工位大托辊装置
RU40746U1 (ru) Домкрат
CN211336234U (zh) 一种顶升转向机构及agv车
KR102595261B1 (ko) 랙기어블럭이 구비된 리프팅장치
KR20190031020A (ko) 조명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