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873B1 -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873B1
KR102261873B1 KR1020200141931A KR20200141931A KR102261873B1 KR 102261873 B1 KR102261873 B1 KR 102261873B1 KR 1020200141931 A KR1020200141931 A KR 1020200141931A KR 20200141931 A KR20200141931 A KR 20200141931A KR 102261873 B1 KR102261873 B1 KR 10226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ire
seating
coupled
portab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마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제이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제이글로벌 filed Critical (주)제이앤제이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4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 지주, 상기 지주와 결합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모듈, 타이어를 받치고, 상기 승하강 모듈과 결합되어 승하강되되, 상기 타이어 중에서 지면에 접지된 부분과 밀착되기 쉽도록 폭의 조절이 가능한 타이어 안착모듈 및 상기 승하강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되는 부분에 따라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작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Portable lift for car maintenance}
본 발명은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을 타이어 중에서 지면에 접지된 부분에 부합하도록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차량 수리와 관련된 간단한 작업은 오너가 직접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간단한 부품 및 용품의 교환과 수리는 물론이고 기계적 이해가 높은 오너들은 정비사의 정비범위까지 근접하는 자가정비를 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자동차가 지면에 있을 때 작업할 수 있는 정비의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지만, 일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승이 되면 그 범위는 매우 크게 늘어난다. 따라서 자동차를 수리할 때는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를 사용한다. 하지만 자동차의 자가 정비를 위해 오너들이 소유하고 있는 리프트 들은 사용이 불편한 것이 많거나, 리프트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오너들도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가정비를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도 필요한데, 주차공간이 부족하고 협소한 현 실정을 고려하면, 일정시간 자동차를 주차한 상태에서 자가정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최근에는 리프트를 단위시간당 사용할 수 있도록 장소를 대여해주는 셀프 정비업소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려하고 개성 넘치는 외관을 선호하는 경향 및 제동거리 단축과 코너링 안정성 등의 주행 성능 향상을 위해 광폭 타이어를 장착하는 오너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크기가 큰 광폭 타이어를 들어 올리기 위해 종래 리프트들 또한 크기가 커지면서 리프트의 보관 및 자가정비시 공간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그런데 광폭 타이어와 일반 타이어의 접지면적은 실제로 같고 단지 접지되는 형태가 일반타이어보다 광폭타이어가 타이어 폭 방향으로 넓고 타이어 회전 방향으로 좁을 뿐이기 때문에, 리프트가 타이어의 접지면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다면 작은 형태의 리프트로도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리프트들은 단순히 타이어를 들어올리는데 치중해 있어서 이러한 점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26657호
본 발명은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을 타이어 중에서 지면에 접지된 부분에 부합하도록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 지주, 상기 지주와 결합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모듈, 타이어를 받치고, 상기 승하강 모듈과 결합되어 승하강되되, 상기 타이어 중에서 지면에 접지된 부분과 밀착되기 쉽도록 폭의 조절이 가능한 타이어 안착모듈 및 상기 승하강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되는 부분에 따라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서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작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타이어가 지면상에 있는 상태에서 타이어 안착모듈을 타이어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타이어가 타이어 안착모듈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조절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타이어를 들어올리기 전에 타이어가 타이어 안착모듈에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타이어 안착모듈이 상승하면서 타이어에 밀착되는 경우보다 차체의 흔들림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의 타이어 안착모듈의 폭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의 승하강 모듈의 동작에 의해 타이어 안착모듈이 승하강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에 자동차 바퀴가 배치될 때, 타이어 안착 모듈의 폭을 조절하여 타이어에 밀착시킨 후 들어올리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를 이용하여 자동차 하부를 들어올릴 때, 들어 올리기 위한 타켓 지점을 찾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피팅 모듈이 결합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는 베이스부(110), 지주(120), 승하강 모듈(130), 타이어 안착모듈(140) 및 구동 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내부에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이 배치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제1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지주(120)가 상기 베이스부(110)와 결합되어 있는 후면의 반대쪽인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타이어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베이스 본체(111), 제1스토퍼(112) 및 제2스토퍼(1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111)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제1스토퍼(11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좌측인 일측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111)와 교차하는 방향인 전면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113)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우측인 타측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111)와 교차하는 방향인 전면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즉, 상기 제1스토퍼(112)와 상기 제2스토퍼(113)는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스토퍼(112) 및 상기 제2스토퍼(113)는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이 최대로 이격될 수 있는 거리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주(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120)는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지주(120)는 내부에 상기 승하강 모듈(130)이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120)는 전면 중심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부 또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개구된 지주(120)의 상부는 탈착 가능한 캡(121)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 모듈(130)은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을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하강 모듈(130)은 상기 지주(120)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승하강 모듈(140)은 상기 지주(120) 내부의 중공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승하강 모듈(130)은 나선축(131) 및 승강구(132)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축(131)은 상기 지주(120) 내부의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나선축(131)은 상기 구동 모듈(150)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어(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감속기어(미도시)는 상기 구동 모듈(150) 및 상기 나선축(131)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132)는 상기 나선축(13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나선축(13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구(132) 중에서 상기 지주(120)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중심부에 상기 나선축(131)이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승강구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132)는 직육면체의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111)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구(132)가 상기 베이스 본체(111)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132)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도 승하강 된다.
상기 승강구 홀에는 상기 나선축(13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상보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모듈(130)이 상기 지주(120) 내부의 중공에서 상하로 이동 시, 상기 지주(120)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승하강 모듈(130)의 외측면 윤활제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구(132)의 외주면에는 윤활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윤활제는 구리스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주(120)의 내측면에 윤활제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승강구(132)의 외측면 및 상기 지주(120)의 내측면 모두에 각각 윤활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타이어를 받쳐서 승하강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상기 승하강 모듈(130)과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상기 승하강 모듈(13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한다.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바(141), 제1안착부(142) 및 제2안착부(143) 및 회전바 구동부(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회전바(141)는 일측은 상기 제1안착부(14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안착부(143)와 연결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1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상기 회전바(141)가 제자리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가까워 지면서 폭이 좁아지고, 상기 회전바(1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멀어지면서 폭이 넓어지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바(1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폭이 넓어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142)는 상기 회전바(141)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14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142)는 상기 제1스토퍼(112)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안착부(143)는 상기 회전바(141)의 일측의 반대쪽인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부(142)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바(14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143)는 상기 제2스토퍼(113)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안착부(142)는 상기 제2안착부(14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안착부(143)는 상기 제1안착부(14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안착부(143)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1안착부(142)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제2안착부(143)는 원위치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는 상기 지주(12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폭을 좁힐 때, 상기 제1안착부(142)가 상기 제2안착부(143)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상기 제1안착부(142)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140)은 폭을 넓힐 때는, 상기 제1안착부(142)가 상기 제2안착부(14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상기 제1안착부(14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가 동일하다. 따라서 타이어는 항상 상기 제1안착부(142)와 상기 제2안착부(143)의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제1안착부(142)는 타이어와의 밀착을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상기 제2안착부(143)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안착부(142)는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인 것을 예로 든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안착부(14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삼각기둥 형태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각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부분은 상기 제1스토퍼(112) 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지면과 타이어의 접지된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갖는 외주면이 상기 제1안착부(142)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안착부(143)는 상기 제2스토퍼(113)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안착부(142)와 대칭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2안착부(143) 또한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를 갖는데, 직각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제2스토퍼(113) 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는 상기 회전바(141)의 중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바(14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회전바 구동부(144)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 및 상기 회전바(141)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14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은 모터인 것을 얘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바(14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이 상기 승하강 모듈(13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모듈(150)은 상기 승하강 모듈(130)이 상기 지주(12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듈(150)은 모터(151) 및 수동 조절장치(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151)는 자동차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모듈(130)을 작동(승하강)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50)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의 동력 전달 장치인 감속기어(미도시)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 조절장치(152)는 상기 모터(151)를 이용할 수 없거나, 직접 수동으로 동력을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조절 장치(152)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과 연결되고, 상기 수동 조절 장치(152)는 상기 승하강 모듈(130)을 승하강 시킬 때 상기 감속기어(미도시)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자동차 타이어가 도 1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의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 사이에 배치되어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는 도 6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타이어가 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서로 가까워 지면서 타이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타이어가 들어올려 지므로 타이어 상승시 차체의 흔들림이 적고,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하여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를 이용하여 타이어 부분을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차체 하부를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기 위한 피팅 모듈(160)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통상적으로 차체를 들어올릴 때, 차체 하부에는 리프트가 결합할 수 있는 타겟 위치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타겟 위치는 한 번에 정확이 찾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위치를 옮겨 가며 찾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는 상기 피팅 모듈(160)을 장착 함으로써 상기 타겟 위치를 쉽게 찾아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피팅 모듈(160)은 본체(161), 잭패드 결합장치(162) 및 잭패드(16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61)는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제2안착부(143)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61)는 좌측 하부 및 우측 하부가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의 비스듬한 구조와 부합하도록 비스듬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61)의 상부는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는 상기 잭패드(163)가 좌우 방향(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가 타이어 아래에 배치될 때,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의 폭이 조절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자동차 하부의 상기 타겟 지점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레일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는 상기 본체(161)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의 중심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가 상기 본체(161)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본체(161) 없이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가 상기 제1안착부(142) 및 상기 제2안착부(143)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의 홈은 일측인 좌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홈 및 타측에 우측에 중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홈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든다. 즉,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잭패드(163)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타겟 지점을 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홈을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의 상면이나, 그 외 다른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잭패드(163)는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 상에 결합되어 슬리아딩 될 수 있다. 상기 잭패드(163)는 자동차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를 자동차 하부에 밀착시킬 때, 상기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가 밀착되어야 하는 자동차 하부의 타겟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자동차 하부에는 통상적으로 리프트를 결합할 수 있는 위치가 정해져 있는데, 리프트를 자동차 하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정확한 타겟 위치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100)를 이용하면, 대략적인 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상기 잭패드(163)를 상기 잭패드 결합 장치 상에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서 상기 타겟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잭패드(163)는 결합부(163a) 및 패드(163b)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63a)는 상기 패드(163b) 하부 및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63b)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63b)는 하면의 중심부가 개구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부(163a)는 양 측면인 좌측면과 우측면이 각각 아래쪽 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는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의 홈 위쪽이 상기 결합부(163a)의 중공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63a)는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잭패드 결합장치(162)의 제1홈 및 제2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63a)는 스틸 소재이고, 상기 패드(163b)는 고무 소재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결합부(163a) 및 상기 패드(163b)의 소재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패드(163b)는 상기 결합부(163a) 상에 배치되어 자동차 하부의 타겟에 밀착되도록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163b)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패드(163b)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10: 베이스부
111: 베이스 본체
112: 제1스토퍼
113: 제2스토퍼
120: 지주
121: 캡
130: 승하강 모듈
131: 나선축
132: 승강구
140: 타이어 안착모듈
141: 회전바
142: 제1안착부
143: 제2안착부
144: 회전바 구동부
150: 구동 모듈
151: 모터
152: 수동 조절 장치
160: 피팅 모듈
161: 본체
162: 잭패드 결합 장치
163: 잭패드
163a: 결합부
163b: 패드

Claims (1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 지주;
    상기 지주와 결합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 모듈;
    타이어를 받치고, 상기 승하강 모듈과 결합되어 승하강되되, 상기 타이어 중에서 지면에 접지된 부분과 밀착되기 쉽도록 폭의 조절이 가능한 타이어 안착모듈; 및
    상기 승하강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내부에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제1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지주가 결합되어 있는 후면의 반대쪽인 전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은,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안착부;
    상기 회전바의 일측의 반대쪽인 상기 회전바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바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바가 제자리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안착부는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과 상기 타이어 안착모듈의 하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안착 모듈은,
    폭을 좁힐 때는,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및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제1안착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가 동일하고,
    폭을 넓힐 때는,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2안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 및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제1안착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가 동일한,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타이어와의 밀착을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되, 상기 제2안착부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구조를 갖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를 갖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승하강 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 일부가 개구되어 있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모듈은 상기 지주 내부의 중공에서 상하로 이동하되,
    상기 승하강 모듈의 상하 방향 이동 시 상기 지주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승하강 모듈의 외측면 및 상기 지주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윤활제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자동차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자동으로 상기 승하강 모듈을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승하강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 모듈에 수동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하강 모듈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수동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상에 배치되는 잭패드 결합 장치 및 상기 잭패드 결합 장치 상에 결합되되, 자동차 하부의 타겟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상기 잭패드 결합 장치 상에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잭패드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잭패드는,
    상기 타겟과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 하부에 결합되고,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중 중심부가 개구되어 있어서 상기 잭패드 결합 장치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잭패드 결합 장치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일측에 상기 결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결합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제1홈 및 타측에 상기 결합부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결합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제2홈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KR1020200141931A 2020-10-29 2020-10-29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KR10226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31A KR102261873B1 (ko) 2020-10-29 2020-10-29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31A KR102261873B1 (ko) 2020-10-29 2020-10-29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873B1 true KR102261873B1 (ko) 2021-06-08

Family

ID=7639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931A KR102261873B1 (ko) 2020-10-29 2020-10-29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8452A1 (zh) * 2022-10-11 2024-04-18 广州好想法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汽车升降机构及装置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0880A1 (en) * 2006-09-07 2008-03-13 Gerhard Finkbeiner Load suspension means for a lifting apparatus
KR101226657B1 (ko) 2010-03-17 2013-02-05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KR101377992B1 (ko) * 2012-10-23 2014-03-27 (주) 엔텍인더스트리 타이어공급 시스템
JP2016193646A (ja) * 2015-03-31 2016-11-17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輪着脱用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0880A1 (en) * 2006-09-07 2008-03-13 Gerhard Finkbeiner Load suspension means for a lifting apparatus
KR101226657B1 (ko) 2010-03-17 2013-02-05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자동차 정비용 타이어 리프트
KR101377992B1 (ko) * 2012-10-23 2014-03-27 (주) 엔텍인더스트리 타이어공급 시스템
JP2016193646A (ja) * 2015-03-31 2016-11-17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輪着脱用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8452A1 (zh) * 2022-10-11 2024-04-18 广州好想法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汽车升降机构及装置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9355B2 (en) Scissor deck access arrangement
US846915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capacity vehicle lift system
KR102261873B1 (ko) 자동차 정비용 포터블 리프트
CN108357844B (zh) 一种潜伏式agv顶升机构
CN109775613A (zh) 全自主车辆提升机
KR101666344B1 (ko) 타이어 리프트
CN110550124A (zh) 运输机构
KR20170008082A (ko) 차량용 표지판 승강장치
KR20120015541A (ko) 자동차 리프팅 장치
US3862743A (en) Vertical stress-side load member screw jack
JP2005082331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CN218931603U (zh) 一种举升设备
KR101014460B1 (ko) 차량용 나사잭
CN110668351A (zh) 一种汽车维修装置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CN217650816U (zh) 普通型门式举升机
KR100744747B1 (ko) 타이어 반제품 공급용 컨베이어의 승하강장치
CN220468681U (zh) 一种简易式车辆止动装置
US1548373A (en) Lifting jack
JP7310049B2 (ja) タイヤリフタ
KR200388712Y1 (ko) 차량용 스크류 잭
CN220827729U (zh) 一种具备高度调节的道路安全警示装置
KR10055891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공급 리프터
KR102360206B1 (ko) 트레일러 적재함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CN214828681U (zh) 一种汽车修理用移动提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