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548B1 -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 Google Patents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548B1
KR101069548B1 KR1020110041845A KR20110041845A KR101069548B1 KR 101069548 B1 KR101069548 B1 KR 101069548B1 KR 1020110041845 A KR1020110041845 A KR 1020110041845A KR 20110041845 A KR20110041845 A KR 20110041845A KR 101069548 B1 KR101069548 B1 KR 10106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ocking
air
hous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봉
박형근
김태호
김태걸
최애진
이선화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진유압기계 filed Critical (주) 대진유압기계
Priority to KR102011004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548B1/ko
Priority to PCT/KR2011/010251 priority patent/WO20121507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1Locking mechanisms using positive interengagement, e.g. balls and grooves, for locking in the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66F3/2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0Constructional features with positive brakes o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리프팅 시스템의 피스톤이 승강하여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도달된 위치에서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에어 리프팅 시스템에 포함된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지점까지 승강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피스톤의 외경부에 형성된 잠금홈을 구속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된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Air lifting system having piston locking means}
본 발명은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리프팅 시스템의 피스톤이 승강하여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도달된 위치에서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기기는, 에어펌프(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고압의 에어가 펌핑되는 단계와, 펌핑된 고압의 에어가 에어실린더로 공급되는 단계와,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이 승강하면서 받침 대상물(고중량의 차량, 산업기계, 선박 부품, 엔진 등)을 들어올리는 단계와, 피스톤이 일정 지점까지 승강된 후에 피스톤을 잠금 고정시키는 단계와, 에어실린더에 대한 에어 공급을 해제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작동된다.
상기 에어실린더에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승강 위치까지 승강하게 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받침 대상물이 고정되도록 피스톤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야 한다.
이렇게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며 승강된 피스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에 작용하는 에어압을 조절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는 에어실린더에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결국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의 작동이 지속되어 에어펌프의 과부하 및 과열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 대상물의 하중이 피스톤에 계속 작용함에 따라, 피스톤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피스톤에 국부적인 피로하중이 가해져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위치까지을 승강될 때, 피스톤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잠금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 리프팅 시스템에 포함된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지점까지 승강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피스톤의 외경부에 형성된 잠금홈을 구속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까지 승강된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실린더 장착을 위한 제1장착자리면과, 에어펌프 장착을 위한 제2장착자리면이 전후 위치에 형성되고, 이동을 위한 구름바퀴가 장착된 이동형 대차프레임과; 외경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잠금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피스톤과,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피스톤이 승하강 가능하게 내재되는 실린더 바디로 이루어진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과 함께 공압경로로 공급된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이 승강할 때,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피스톤의 잠금홈과 락킹 결합되어 피스톤을 고정시키는 피스톤 잠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에어실린더의 실린더 바디는 내부 실린더 바디와 외부 실린더 바디로 구성되고, 내부 실린더 바디와 외부 실린더 바디의 사이공간은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는 내부 실린더 바디의 바닥에서 상면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는 승강용 공압경로와, 내부실린더 바디의 바닥에서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으로 연장되는 하강용 공압경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받침대상물과 접촉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저면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면에 잠금홈이 형성된 바디부로 구성되고, 바디부가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은: 에어실린더의 실린더 바디의 상단 외주면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피스톤의 승하강시, 피스톤의 잠금홈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으로부터 분리 작동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잠금링크부재와; 하우징의 저부에 조립되어 잠금링크부재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공압구동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링크부재는: 하우징의 양쪽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잠금링크 및 제2잠금링크; 제1잠금링크 및 제2잠금링크의 일단부 간을 연결하는 제3잠금링크; 제1잠금링크 및 제2잠금링크의 각 타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저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구동바; 로 구성되고, 제1,2,3잠금링크의 내측면에는 피스톤의 잠금홈내에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압구동수단은: 하우징의 저부에 조립되는 양방향 공압실린더와; 양방향 공압실린더내에 내재되는 제1 및 제2구동피스톤과; 상기 제1 및 제2구동피스톤과 제1 및 제2구동바 간을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수직 형상의 제1 및 제2구동링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은: 에어실린더의 실린더 바디의 상단 외주면에 조립되는 하우징과; 피스톤의 승하강시, 피스톤의 잠금홈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으로부터 분리 작동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잠금링크와; 각 잠금링크의 후면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잠금링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각 잠금링크의 저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구동바와; 하우징의 외주부에 내장되는 공압실린더; 로 구성되고,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을 구동바의 하단에 일체로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대차프레임의 후단부에는 연결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바에는 핸들이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지점까지 승강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피스톤의 외경부에 형성된 잠금홈을 구속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받침대상물을 받쳐주는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피스톤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피스톤에 국부적인 피로하중이 가해져 균열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스톤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며 승강하는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피스톤의 고정 위치에서 에어펌프의 작동을 중지시켜 에어펌프의 과부하 및 과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피스톤 잠금수단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피스톤 잠금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피스톤 잠금수단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피스톤 잠금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에어실린더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일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피스톤의 상강 및 하강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피스톤 잠금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피스톤 잠금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피스톤 잠금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피스톤 잠금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받침 대상물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특히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지점까지 승강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피스톤의 외경부에 형성된 잠금홈을 구속시켜서,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양측부에 이동을 위한 구름바퀴(106)가 장착되는 이동형 대차프레임(100)이 구비되고, 또한 작업자가 직접 이동형 대차프레임(100)을 끌거나 밀어주기 위하여 이동형 대차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일체로 된 연결바(108)에 핸들(109)이 힌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이동형 대차프레임(100)의 전단부에는 에어실린더(110) 장착을 위한 제1장착자리면(102)이 형성되고, 바로 그 뒤쪽에는 에어펌프(120) 장착을 위한 제2장착자리면(104)이 형성되며, 미도시되었지만 제1장착자리면(102)과 제2장착자리면(104)은 공압라인으로 상호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110)는 잠금홈(111)을 갖는 피스톤(112)과, 피스톤(112)의 승하강 경로 및 피스톤(112)의 승하강을 위한 에어 공급 경로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114)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112)의 상단부는 받침대상물(들어 올림 대상물)과 접촉하는 헤드부(118)로 형성되고, 헤드부(118)의 하단에는 중공형의 바디부(119)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바디부(119)의 외경면에는 마치 톱니가 반복 형성된 것과 같은 잠금홈(111)이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바디(114)는 중실형의 내부 실린더 바디(115)와 중공형의 외부 실린더 바디(116)가 서로 겹쳐진 배열로 구성되고, 내부 실린더 바디(115)와 외부 실린더 바디(116)의 사이공간 즉, 내부 실린더 바디(115)의 외경과 외부 실린더 바디(116)의 내경 사이공간은 피스톤의 바디부(119)가 내재되어 승하강하는 공간이 되는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117)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바디(114)에는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가 형성되는 바, 이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는 내부 실린더 바디(114)의 바닥에서 상면까지 직선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의 헤드부(118) 저면과 통하게 되는 승강용 공압경로(132)와, 내부 실린더 바디(114)의 바닥에서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117)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의 바디부(119)와 통하게 되는 하강용 공압경로(134)로 구성된다.
한편,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어펌프(120)의 구동과 함께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112)이 승강하게 되며,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피스톤 잠금수단(200)이 잠금 작동되어 피스톤(112)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의 구성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피스톤 잠금수단(200)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내에서 공압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112)을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의 상단 외주면에 하우징(202)이 조립되고, 하우징(202)내에는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111)으로부터 분리 작동되는 잠금링크부재(210)가 설치되고, 또한 하우징(202)의 저부에는 잠금링크부재(21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공압구동수단(22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링크부재(210)의 구성중 아치형의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가 하우징(202)의 양쪽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의 상단부에는 아치형의 제3잠금링크(213)가 배치되며, 제1,2,3잠금링크(211,212,213)의 내측면에는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는 잠금돌기(217)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의 각 일단부 즉, 각 상단부에는 제3잠금링크(213)의 양단이 힌지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잠금링크(213)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길다란 안내슬롯(218)이 관통 형성되는 바, 이 안내슬롯(218)에는 하우징(202)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안내핀(219)이 삽입되어, 제3잠금링크(213)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의 각 타단부 즉, 각 하단부에는 하우징(202)의 바닥에 형성된 슬롯(214)을 통과하여 하우징(202)의 저부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제1 및 제2구동바(215,216)가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215,216)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구동바(215,215)를 피스톤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구동수단(220)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압구동수단(220)의 일 구성중 하우징(202)의 저부에 양방향 공압실린더(223)가 설치되고, 이 양방향 공압실린더(223)내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제1 및 제2구동피스톤(221,222)이 내재되며, 수직 형상의 제1 및 제2구동링크(224,225)의 상단이 제1 및 제2구동바(215,216)에 각각 연결되는 동시에 제2 및 제2구동링크(224,225)의 하단이 제1 및 제2구동피스톤(221,222)의 외끝단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의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피스톤 잠금수단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보듯이 제1,2,3잠금링크(211,212,213)가 외주방향으로 벌어진 상태, 즉 제1,2,3잠금링크(211,212,213)의 잠금돌기(217)가 피스톤(112)의 잠금홈(111)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잠금돌기(217)가 삽입되지 않아, 피스톤(112)이 공압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피스톤(112)의 승강 작동을 보면 첨부한 도 5a에서 보듯이, 에어펌프(120)가 구동하여 고압의 에어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에 형성된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중, 내부 실린더 바디(114)의 바닥에서 상면까지 직선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의 헤드부(118) 저면과 통하게 되는 승강용 공압경로(132)로 공급되면, 피스톤(112)이 고압의 에어에 의하여 밀리면서 승강하게 된다.
반면, 상기 피스톤(112)의 승강 작동을 보면 첨부한 도 5b에서 보듯이, 에어펌프(120)가 구동하여 고압의 에어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에 형성된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중, 내부 실린더 바디(114)의 바닥에서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117)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의 바디부(119)와 통하게 되는 하강용 공압경로(134)로 인가됨으로써, 에어압이 피스톤(112)의 바디부(119)에 부착된 실링(113)에 작용하여 피스톤(112)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펌프(120)가 구동하여 고압의 에어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에 형성된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중, 내부 실린더 바디(114)의 바닥에서 상면까지 직선으로 연장되어 피스톤(112)의 헤드부(118) 저면과 통하게 되는 승강용 공압경로(132)로 공급되면, 첨부한 도 5a에서 보듯이 피스톤(112)이 고압의 에어에 의하여 승강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112)이 받침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높이 위치까지 승강하면, 상기 피스톤 잠금수단(200)을 작동시켜서 피스톤(112)을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3은 피스톤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에서 보듯이 하우징(202)의 저부에 양방향 공압실린더(223)에 잠금을 위한 공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구동피스톤(221,222)이 내측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구동링크(224,225)도 내측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제1 및 제2구동링크(224,225)와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구동바(215,216)가 슬롯(214)의 외측에서 내측쪽으로 직선 이동을 하면서 제1 및 제2잠금링크(211,212)를 안쪽으로 오무려지게 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잠금링크(211,212)와 힌지 연결된 제3잠금링크(213)도 안쪽으로 오무려지는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2)에 고정된 안내핀(219)이 제3잠금링크(213)의 안내슬롯(218)의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이동되면서 제3잠금링크(213)의 오무림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제1,2,3잠금링크(211,212,213)가 외주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내주방향으로 오무려지는 작동을 하여, 제1,2,3잠금링크(211,212,213)의 잠금돌기(217)가 피스톤(112)의 잠금홈(111)으로 삽입되어 피스톤(112)을 잠금시킴으로써, 결국 피스톤(112)이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의 구성을 첨부한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300)도 피스톤(112)의 잠금홈(111)을 구속하여 피스톤(112)을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의 상단 외주면에 하우징(202)이 조립되고, 하우징(202)내에 외주방향으로 잠금해제 이동을 하고 내주방향으로 잠금 이동을 하는 구성들이 집약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12)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일 구성중, 복수개의 잠금링크(302)가 하우징(202)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바, 각 잠금링크(302)는 피스톤(112)의 승하강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111)으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잠금링크(302)의 후면과 하우징(202)의 내주면 사이에는 잠금링크(302)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04)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각 잠금링크(302)의 저부에는 바 형상의 구동바(306)가 일체로 연결되고, 특히 하우징(202)의 외주부에는 공압실린더(308)가 내설되며, 공압실린더(308)의 피스톤(310)에는 구동바(306)의 하단이 일체로 조립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잠금수단의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피스톤 잠금수단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서 보듯이 각 잠금링크(302)가 에어실린더(110)의 피스톤(112)에 형성된 잠금홈(111)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피스톤의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첨부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120)가 구동하여 고압의 에어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에 형성된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로 공급되어, 피스톤(112)의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2)의 외주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308)에 공압이 인가되면, 공압실린더(308)의 피스톤(310)이 내측방향으로 전진하는 동시에 피스톤(310)과 연결된 구동바(306)가 전진을 하게 된다.
연이어, 구동바(306)와 일체로 연결된 잠금링크(302)도 피스톤(112)쪽으로 전진을 하는 동시에 잠금링크(302)가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어, 피스톤(112)이 원하는 높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면에, 공압실린더(308)에 공압이 해제되면 스프링(30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링크(302)가 피스톤(112)의 잠금홈(111)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와 같이 피스톤(112)이 승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이 받침 대상물을 들어올리면서 원하는 지점까지 승강하면, 그 승강된 위치에서 피스톤의 외경부에 형성된 잠금홈을 구속시킴으로써,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받침대상물을 받쳐주는 피스톤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100 : 이동형 대차프레임 102 : 제1장착자리면
104 : 제2장착자리면 106 : 구름바퀴
108 : 연결바 109 : 핸들
110 : 에어실린더 111 : 잠금홈
112 : 피스톤 113 : 실링
114 : 실린더 바디 115 : 내부 실린더 바디
116 : 외부 실린더 바디 117 : 피스톤의 승하강 안내공간
118 : 헤드부 119 : 바디부
120 : 에어펌프 130 :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
132 : 승강용 공압경로 134 : 하강용 공압경로
200 : 피스톤 잠금수단 202 : 하우징
210 : 잠금링크부재 211 : 제1잠금링크
212 : 제2잠금링크 213 : 제3잠금링크
214 : 슬롯 215 : 제1구동바
216 : 제2구동바 217 : 잠금돌기
218 : 안내슬롯 219 : 안내핀
220 : 공압구동수단 221 : 제1구동피스톤
222 : 제2구동피스톤 223 : 양방향 공압실린더
224 : 제1구동링크 225 : 제2구동링크
300 : 피스톤 잠금수단 302 : 잠금링크
304 : 스프링 306 : 구동바
308 : 공압실린더 310 : 피스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에어실린더(110) 장착을 위한 제1장착자리면(102)과, 에어펌프(120) 장착을 위한 제2장착자리면(104)이 전후 위치에 형성되고, 양측부에 이동을 위한 구름바퀴(106)가 장착된 이동형 대차프레임(100)과;
    외경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잠금홈(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피스톤(112)과,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피스톤(112)이 승하강 가능하게 내재되는 실린더 바디(114)로 이루어진 에어실린더(110)와;
    상기 에어펌프(120)의 구동과 함께 공압경로(130)로 공급된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112)이 승강할 때,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과 락킹 결합되어 피스톤(112)을 고정시키는 피스톤 잠금수단(200,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 잠금수단(200)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의 상단 외주면에 조립되는 하우징(202)과;
    피스톤(112)의 승하강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111)으로부터 분리 작동되도록 하우징(202)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잠금링크부재(210)와;
    하우징(202)의 저부에 조립되어 잠금링크부재(21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공압구동수단(22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링크부재(210)는:
    하우징(202)의 양쪽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의 일단부 간을 연결하는 제3잠금링크(213);
    상기 제3잠금링크(213)의 중앙부에 형성된 안내슬롯(218)에 삽입되도록 하우징(202)에 고정되는 안내핀(219)과;
    제1잠금링크(211) 및 제2잠금링크(212)의 각 타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하우징(202)의 바닥에 형성된 슬롯(214)을 통과하여 저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구동바(215,216);
    로 구성되고, 제1,2,3잠금링크(211,212,213)의 내측면에는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는 잠금돌기(217)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압구동수단(220)은:
    하우징(202)의 저부에 조립되는 양방향 공압실린더(223)와;
    양방향 공압실린더(223)내에 내재되는 제1 및 제2구동피스톤(221,222)과;
    상기 제1 및 제2구동피스톤(221,222)과 제1 및 제2구동바(215,216) 간을 각각 일체로 연결하는 수직 형상의 제1 및 제2구동링크(224,22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8. 에어실린더(110) 장착을 위한 제1장착자리면(102)과, 에어펌프(120) 장착을 위한 제2장착자리면(104)이 전후 위치에 형성되고, 양측부에 이동을 위한 구름바퀴(106)가 장착된 이동형 대차프레임(100)과;
    외경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잠금홈(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피스톤(112)과, 피스톤 승하강용 공압경로(130)가 내부에 형성되고 피스톤(112)이 승하강 가능하게 내재되는 실린더 바디(114)로 이루어진 에어실린더(110)와;
    상기 에어펌프(120)의 구동과 함께 공압경로(130)로 공급된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112)이 승강할 때, 원하는 승강 위치에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과 락킹 결합되어 피스톤(112)을 고정시키는 피스톤 잠금수단(200,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 잠금수단(300)은:
    에어실린더(110)의 실린더 바디(114)의 상단 외주면에 조립되는 하우징(202)과;
    피스톤(112)의 승하강시, 피스톤(112)의 잠금홈(111)내에 삽입되거나 잠금홈(111)으로부터 분리 작동되도록 하우징(202)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잠금링크(302)와;
    각 잠금링크(302)의 후면과 하우징(202)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잠금링크(302)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04)과;
    각 잠금링크(302)의 저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구동바(306)와;
    하우징(202)의 외주부에 내장되는 공압실린더(308);
    로 구성되고,
    상기 공압실린더(308)의 피스톤(310)을 구동바(306)의 하단에 일체로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9. 삭제
KR1020110041845A 2011-05-03 2011-05-03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KR10106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5A KR101069548B1 (ko) 2011-05-03 2011-05-03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PCT/KR2011/010251 WO2012150753A1 (en) 2011-05-03 2011-12-28 Air lifting system having piston lock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5A KR101069548B1 (ko) 2011-05-03 2011-05-03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548B1 true KR101069548B1 (ko) 2011-10-05

Family

ID=4503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45A KR101069548B1 (ko) 2011-05-03 2011-05-03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9548B1 (ko)
WO (1) WO20121507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571A (ko) 2021-11-11 2023-05-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스톤 락킹구조를 갖는 실린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3861A1 (de) * 2013-04-17 2014-11-06 Herrmann Ag Hebebühne mit hydraulischer Kopplung der Hubstemp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9288U (ko) 1981-06-16 1982-12-17
JPH0630793Y2 (ja) * 1987-08-06 1994-08-17 杉安工業株式会社 オイル駆動型オ−トリフトにおける下降防止用安全装置
KR101010582B1 (ko) * 2010-07-05 2011-01-24 (주) 대진유압기계 조선블록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90Y2 (ja) * 1993-12-28 1997-06-18 杉安工業株式会社 埋込み式車輛整備用リフト
US6371254B1 (en) * 1995-10-06 2002-04-16 John W. Koshak Jack arres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9288U (ko) 1981-06-16 1982-12-17
JPH0630793Y2 (ja) * 1987-08-06 1994-08-17 杉安工業株式会社 オイル駆動型オ−トリフトにおける下降防止用安全装置
KR101010582B1 (ko) * 2010-07-05 2011-01-24 (주) 대진유압기계 조선블록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571A (ko) 2021-11-11 2023-05-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스톤 락킹구조를 갖는 실린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0753A1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714B1 (en) Pothole protection mechanism
CN107635905B (zh) 法兰提升工具
US20120223280A1 (en) Jack with safety device
US20030156935A1 (en) Fork movement assembly for lift trucks
KR1012990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KR101069548B1 (ko) 피스톤 잠금수단을 갖는 에어 리프팅 대차 장치
CN105813803B (zh) 夹紧装置
EP2768761B1 (en) Remote activation of scissor lift cylinder prop
KR101510681B1 (ko) 시저스 리프트
KR101860886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롤러 어셈블리
KR101794473B1 (ko) 차량 리프트 상판
CN113120780B (zh) 回转平台及作业机械
KR100682404B1 (ko) 틈새 잭
KR200444278Y1 (ko) 포크의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
KR101144311B1 (ko) 수동 리프트용 가변식 유압전달 장치
KR101015941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WO2015140429A1 (fr) Outillage de presse d'emboutissage a remontee securisee du coulisseau a came
WO2021093322A1 (zh) 一种用于海洋平台的升降装置及海洋平台
JP2006016208A5 (ko)
KR102476112B1 (ko)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KR102403692B1 (ko) 전기굴삭기용 전원케이블 지지장치
KR101230577B1 (ko)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KR101857744B1 (ko) 카 캐리어의 안전 락 고정장치
KR101947222B1 (ko)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지게차
KR102449493B1 (ko) 2주식 리프트의 받침아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