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681B1 - 시저스 리프트 - Google Patents

시저스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681B1
KR101510681B1 KR20140012882A KR20140012882A KR101510681B1 KR 101510681 B1 KR101510681 B1 KR 101510681B1 KR 20140012882 A KR20140012882 A KR 20140012882A KR 20140012882 A KR20140012882 A KR 20140012882A KR 101510681 B1 KR101510681 B1 KR 10151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link assembly
moving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2014001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승강하는 시저스 리프트에 관련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복수의 링크로 짜여져 링크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링크조립체, 상기 링크조립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연결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링크조립체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조립체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링크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링크조립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복원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시저스 리프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은 하나의 링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축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저스 리프트{Scissors-type lift}
본 발명은 중량물을 승강하는 시저스 리프트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중량물이 안착되는 상부 테이블을 초기 위치로 자동 정렬시키는 시저스 리프트와 관련된다.
자동차 조립 공장이나 차량 정비소에서는 엔진이나 하체 등 중량물을 조립 위치 또는 정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리프트를 사용하게 된다. 그 중 시저스 리프트는 큰 중량물을 안정되게 상하로 이동하기에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립 공정에 사용되는 시저스 리프트는 대개 상하로 만나 조립되는 부품 중 하부에서 접근하는 부품을 받쳐 올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저스 리프트는 파워 트레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새시를 들어올리고, 이에 결합되는 자체 프레임은 행거에 의해 매달린 채 상승하는 새시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상승하면서 서로 접근하여 조립되는 양 부품은, 최종적으로 정밀하게 상하 위치를 맞추어야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시저스 리프트를 통해 상승한 하부 부품의 조립 위치를 미세 조절하기 위하여 부품을 받치는 시저스 리프트의 상단, 즉 부품이 올려지는 테이블은 수평면 상에서 어느 정도 이동이 가능하게 설계된다.
조립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평면 상에서 움직였던 시저스 리프트의 상단 테이블은 다음의 부품을 받치기 위해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평면 상 이동하였던 테이블을 자동으로 복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복귀 장치를 시저스 리프트의 주변에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귀 장치는 시저스 리프트의 정상 작동에 간섭하지 아니하도록 시저스 리프트의 인근에 설치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복귀 장치들은 시저스 리프트의 인근에 설치되어 일정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승강 작동을 위한 구성이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적은 시저스 리프트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복귀 장치들은 대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으며 고장의 우려가 큰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993호 (2013.01.30)
본 발명은 시저스 리프트에서 중량물이 올려지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정렬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기계적 구성을 가능한 줄여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하며, 구성을 간소화하여 건전성을 높여 고장이나 오작동의 우려를 줄인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복수의 링크로 짜여 링크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링크조립체, 상기 링크조립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연결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링크조립체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조립체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링크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링크조립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복원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시저스 리프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은 하나의 링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축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하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경사면에는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함몰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링크조립체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하나씩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촉부재가 통과하는 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홀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 구간이 제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저스 리프트의 기본 구성인 링크에 가이드판을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이동플레이트를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간명히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작비용의 상승을 방지하면서 복귀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고 고장의 확률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링크의 관절축에 고정되는 가이드판은 링크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링크조립체의 강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저스 리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저스 리프트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저스 리프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시저스 리프트(100)는 링크조립체(10), 연결플레이트(20), 구동부를 포함한다. 링크조립체(10)는 복수의 링크로 짜여져 있으며, 링크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크조립체(10)는 4개의 링크부(10a, 10b, 10c, 10d)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제1 링크부(10a)와 제2 링크부(10b)는 동일한 형태이고,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1 링크부(10a)와 제2 링크부(10b)가 전후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과 마주보게 제3 링크부(10c)와 제4 링크부(10d)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링크부 내지 제4 링크부는 베이스판(12)에 연결된다. 각 링크부에서 하단에 위치하는 어느 한 링크는 베이스판(12)에 힌지 결합되고, 나머지 링크의 하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베이스판(12)에 형성된 가이드판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구름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링크부(10a)와 제2 링크부(10b)는 하나의 축부재(103)에 의해 베이스판(12)에 연결되고, 제3 링크부(10c)와 제4 링크부(10d)는 다른 하나의 축부재(103)에 의해 베이스판(1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축부재들은 그 길이 방향이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것이다.
한편 전방으로부터 제1 링크부(10a), 제3 링크부(10c), 제2 링크부(10b)가 놓이고 최후방에 제4 링크부(10d)가 놓여, 제1 링크부 내지 제4 링크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링크부 내지 제4 링크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각 링크부가 신축 작동할 때에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판에는 링크조립체를 승강 작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다. 도시를 생략한 구동부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실린더에서 신장되는 피스톤이 링크조립체의 중간에 놓인 어느 한 회전축을 밀어 올려 전체 링크조립체가 신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동부로 유압모터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연결플레이트를 밀어 올리는 수직 체인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구동부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플레이트(20)는 링크조립체(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링크조립체(10)의 작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연결플레이트(20)는 제1 링크부 내지 제4 링크부 각각이 연결플레이트와 힌지 결합하게 된다.
연결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이동플레이트(30)가 설치된다.
연결플레이트(20)에 대하여 이동플레이트(30)가 일방향(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이동 방향을 구속하는 것으로 엘엠 가이드(21)가 사용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엘엠 가이드는 직선 운동 기구이고, 다른 직선 운동 기구로 대체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연결플레이트(20)의 상부에는 도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동플레이트(40)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플레이트(20) 상에는 가동플레이트(40)의 하면에 접촉하는 구름볼부재(31)가 구비되어 연결플레이트(20)에 대한 가동플레이트(40)의 미끄럼 이동을 가능케 한다. 구름볼부재(31)는 전술한 엘엠 가이드나 다른 직선 운동 기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시저스 리프트를 이용하여 운반할 적재물을 안치하기 위한 전용 지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처에 따라 적재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가동플레이트를 생략하고, 연결플레이트 상에 적재함이나 전용 지그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생략 가능한 추가 구성으로 링크조립체(10)의 중간 관절에 연결되는 링크케이지(11)가 구비된다. 링크케이지(11)에는 지그재그로 설치된 각 링크부의 외곽 관절이 힌지결합되며, 내측의 관절들은 링크케이지에 형성된 장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케이지(11)는 링크조립체의 건전성을 향상시킨다.
시저스 리프트(100)를 사용함에 있어 링크조립체(10)의 작동으로 적재물을 실은 연결플레이트(20)가 상승되고, 작업자가 적정한 조립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이동플레이트(30) 또는 가동플레이트(40)를 평면 이동시키게 된다.
적재물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 조립 차례의 적재물을 싣기 위하여 로딩 높이까지 링크조립체(10) 및 연결플레이트(20) 등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이동플레이트(30)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정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링크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판(13)과 이동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접촉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이드판(13)은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 링크부(10a)의 어느 한 링크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서 가이드판(13)은 연결플레이트(20)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링크(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판(13)은 상부 링크(101)와 다른 링크들이 힌지결합되는 관절축(102)을 통해 상부 링크(101)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관절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통해 가이드판과 상부 링크를 고정할 수도 있다.
링크들이 연결되는 관절축(102)을 통해 가이드판(13)이 고정되는 경우, 하나의 링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축에 가이드판이 결합됨으로써 그 링크와 가이드판은 일체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관절축(102)을 통해 링크와 고정되는 가이드판(13)은 해당 링크를 이중으로 설치한 형태가 되므로 보강판으로 기능한다. 즉, 상부 링크를 이중으로 덧댄 구조이므로 해당 부위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판(13)이 상부 링크(101)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링크(101)와 가이드판(13)은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즉 링크조립체(10)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부 링크(101)가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와 높낮이가 변경되는데, 가이드판도 상부 링크와 동일하게 변위된다.
가이드판(13)의 상부면은 링크조립체(1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131)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조립체(10)의 중심 부근에서 경사면(131)은 하부로 함몰되어 함몰턱(13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판(13)은 링크조립체(10)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전방의 가이드판과 후방의 가이드판은 링크조립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의 가이드판(13)은 제1 링크부(10a)의 좌측에 구비되며, 후방의 가이드판(13)은 제4 링크부(10d)의 우측에 구비된다. 제1 링크부(10a)와 제4 링크부(10d) 각각은 링크조립체(10)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놓이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므로, 제1 링크부(10a)의 상부 링크에 연결된 가이드판(13)과, 제4 링크부(10d)의 상부 링크에 연결된 가이드판(13)도 링크조립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링크조립체(10)의 전방에 구비되는 가이드판(13)과 후방에 구비되는 가이드판(13)은 링크조립체(10)의 수축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만일 링크조립체 전방의 좌우에 가이드판들 모두를 결합한 경우, 가이드판의 사이즈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링크조립체의 수축 시에 서로 간섭될 우려가 있다.
접촉부재(32)는 이동플레이트(30)의 전단의 중심과 후단의 중심에 구비된다. 접촉부재(32)는 이동플레이트의 하부로 연장되는 브래킷(321)과, 브래킷의 하단에 결합되는 롤러(322)를 포함한다.
연결플레이트(20)에는 접촉부재(32)의 하부가 통과하는 장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30)에서 하부로 연장된 형태의 접촉부재(32)는 이 장홀(22)을 통과하여 연결플레이트(20)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된다. 즉 접촉부재(32)의 하단에 구비되는 롤러(322)의 높이는 연결플레이트(20)보다 낮다.
장홀(22)의 장축 길이는 접촉부재(32)의 좌우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재(32)가 이 장홀(22)을 통과한 상태로 결합되면서 장홀(22)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플레이트(30)와 함께 접촉부재(32)가 이동하므로, 장홀(22)의 장축 길이가 이동플레이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약하게 된다. 즉, 장홀이 이동플레이트의 좌우 길이를 제한하는 스톱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링크조립체(10)의 하강에 따라 이동플레이트(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링크조립체(10)는 적재물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높이로 상승한 상태이고, 이동플레이트(30)는 연결플레이트(20)에 대하여 엘엠 가이드(21)를 타고 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적재물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링크조립체(10)는 다음에 조립될 적재품을 싣기 위하여 하강하도록 제어된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이동플레이트(30)는 여전히 왼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링크조립체(10)가 더 내려감에 따라 접촉부재(32)의 하단이 가이드판(13)의 경사면(131)에 접촉한 상태이다.
도 4의 (a)와 (b)를 함께 살펴보면, 링크조립체(10)가 수축함에 따라 상부 링크(101)는 경사각도가 완만해지면서 높이가 하강하게 되고, 가이드판(13) 역시 상부 링크(101)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이드판이 하강함에 따라 경사각도는 다소 완만해지지만, 여전히 경사면(131)은 링크조립체(1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링크조립체(10)가 더 수축함에 따라 접촉부재(32)의 하단의 롤러(322)가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13)의 경사면(131)을 타고 링크조립체(10)의 중앙을 향하여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접촉부재(32)가 결합되어 있는 이동플레이트(3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인 연결플레이트(20)의 중심까지 복원된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링크조립체(10)는 더욱 수축하였고, 접촉부재(32)의 롤러(322)는 가이드판(13)의 경사면(131) 끝에 형성된 함몰턱(132)으로 수용된다. 함몰턱(132)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접촉부재(32)의 하단, 즉 롤러(322) 등이 수납되는 공간의 깊이가 더 증대되므로 링크조립체(10)의 추가적인 수축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플레이트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경우라면, 시저스 리프트의 후방에 구비된 가이드판과 접촉부재에 의해 이동플레이트의 복원이 이루어진다.
접촉부재(32)의 롤러(322)가 함몰턱(13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함몰턱의 측벽에 막히므로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b)에서 전방의 가이드판(13)에 형성된 함몰턱(132)은 이동플레이트(30)가 도면의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후방의 가이드판(13)에 형성된 함몰턱은 이동플레이트(30)가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전후방의 가이드판이 전방과 후방의 접촉부재를 가두어 하강한 이동플레이크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새로운 적재물을 싣고, 다음의 조립 작업을 위하여 링크조립체(10)가 신장되면서 연결플레이트(20) 등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링크조립체(10)가 상승함에 따라 연결플레이트(20)와 이동플레이트(30)는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윽고 접촉부재(32)의 하단은 가이드판(13)보다 높게 상승하여, 다시 가이드판(13)의 간섭 없이 이동플레이트(3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링크부(10a, 10b, 10c, 10d)가 구비된 형태로 링크조립체(10)를 제시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을 가지는 링크조립체에도 전술한 가이드판과 접촉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조립체는 하나의 링크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이드판과 접촉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링크부의 구성 개수와, 하나의 링크부를 구성하는 링크의 개수와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6은 가동플레이트(40)의 복원과 관련된다. 도면에서 링크조립체 등 일부의 구성요소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동플레이트(40)는 링크조립체가 수축하여 가동플레이트(40)가 하강함에 따라 가동플레이트(40)와 결합되면서 일측(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었던 가동플레이트(4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정렬부재를 통해 달성된다.
정렬부재는 가동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격된 한 쌍의 안내롤러(41)와, 링크케이지(11)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안내롤러들(41) 사이로 삽입되는 가이드브래킷(111)을 포함한다. 이 가이드브래킷(111)의 상단 모서리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가동플레이트(40)는 이동플레이트(30)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링크조립체(10)가 수축하여 연결플레이트(20)가 하강하면, 이동플레이트(30)와 가동플레이트(40) 모두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링크케이지(11)는 중간 높이의 관절에 연결된 부재이므로 가동플레이트(40)보다 더디게 내려가게 된다. 그 결과, 링크조립체(10)가 내려갈수록 가동플레이트(40)와 링크케이지(11)에 구비된 가이드브래킷(111)는 점차 가까워진다.
도 6의 (b)에서, 하강하던 가동플레이트(40)의 안내롤러(41)는 가이드브래킷(111)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된다. 링크케이지(11)와 가이드브래킷(111)은 상하로만 이동할 뿐이고 전후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아니하므로, 상대적으로 더 하강하는 안내롤러(41)가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브래킷(111)의 측면으로 이동된다. 즉 왼쪽으로 이동하였던 가동플레이트(40)가 중앙으로 이동되어 복원된다.
도 6의 (c)에서 링크조립체(10)가 더 수축하여 내려감에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안내롤러(41) 사이에 가이드브래킷(111)이 완전히 삽입되며, 가이드브래킷(111)의 수직한 양 측면이 안내롤러들(41) 사이에 갇히게 된다. 이로써 가동브래킷(321)의 정렬이 종료된다.
100 : 시저스 리프트
10 : 링크조립체
10a : 제1 링크부 10b : 제2 링크부 10c : 제3 링크부 10d : 제4 링크부
101 : 상부 링크 102 : 관절축 103 : 축부재
11 : 링크케이지 111 : 가이드브래킷
12 : 베이스판
13 : 가이드판 131 : 경사면 132 : 함몰턱
20 : 연결플레이트 21 : 엘엠 가이드 22 : 장홀
30 : 이동플레이트 31 : 구름볼부재
32 : 접촉부재 321 : 브래킷 322 : 롤러
40 : 가동플레이트 41 : 안내롤러

Claims (5)

  1. 복수의 링크로 짜여져 링크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링크조립체;
    상기 링크조립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플레이트 상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연결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링크조립체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조립체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링크와 일체로 승강하면서 회전하여 상기 링크조립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복원시키는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하단부에 자유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경사면에는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함몰턱이 형성되어 있는 시저스 리프트.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판은 하나의 링크에 구비되는 적어도 2개의 관절축에 결합되어 있는 시저스 리프트.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링크조립체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하나씩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시저스 리프트.
  5. 제1항에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접촉부재가 통과하는 장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홀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 구간이 제약되는 시저스 리프트.
KR20140012882A 2014-02-05 2014-02-05 시저스 리프트 KR10151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2882A KR101510681B1 (ko) 2014-02-05 2014-02-05 시저스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2882A KR101510681B1 (ko) 2014-02-05 2014-02-05 시저스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681B1 true KR101510681B1 (ko) 2015-04-10

Family

ID=5303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2882A KR101510681B1 (ko) 2014-02-05 2014-02-05 시저스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737A (zh) * 2016-06-13 2017-12-19 重庆三希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安装维护装置
KR20200034122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대성목공기계산업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KR102203594B1 (ko) 2019-09-05 2021-01-15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이동제어용 리미트 스위치의 파손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리프트
KR102619852B1 (ko) 2023-06-20 2024-01-04 주식회사 더하임 사면 구조의 시저스 리프트와 그에 대한 변형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475A (ja) * 1994-10-18 1996-05-07 Toyota Motor Corp リフター装置
JPH1160176A (ja) * 1997-08-07 1999-03-0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スライドテーブル付きリフタ
KR101035478B1 (ko) 2010-10-22 2011-05-18 이재용 적재면의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한 지게차용 승하강 리프트
KR101229993B1 (ko) 2012-08-03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엔피 벙 받침용 벙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475A (ja) * 1994-10-18 1996-05-07 Toyota Motor Corp リフター装置
JPH1160176A (ja) * 1997-08-07 1999-03-02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スライドテーブル付きリフタ
KR101035478B1 (ko) 2010-10-22 2011-05-18 이재용 적재면의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한 지게차용 승하강 리프트
KR101229993B1 (ko) 2012-08-03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엔피 벙 받침용 벙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737A (zh) * 2016-06-13 2017-12-19 重庆三希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安装维护装置
KR20200034122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대성목공기계산업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KR102130895B1 (ko) * 2018-09-21 2020-07-28 주식회사 대성목공기계산업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KR102203594B1 (ko) 2019-09-05 2021-01-15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이동제어용 리미트 스위치의 파손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리프트
KR102619852B1 (ko) 2023-06-20 2024-01-04 주식회사 더하임 사면 구조의 시저스 리프트와 그에 대한 변형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36B1 (ko) 승강하는 짐받이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01510681B1 (ko) 시저스 리프트
US8496090B2 (en)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EP1713714B1 (en) Pothole protection mechanism
CN105501128A (zh) 用于接近升降车辆的设备
US20140221167A1 (en) Tilting and folding device for a treadmill
CN106715319B (zh) 车辆抬升器
JP2011016618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2010506632A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可能なガイド組立部品
WO2010098025A1 (en) Conveyor apparatus
JP4581396B2 (ja) 昇降機能付き台車
EP3331808B1 (en) Improved lift for motor vehicles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JP3235296U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6086693B2 (ja) 積荷取扱トロリー
JP5570858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2021059447A (ja) 輪軸昇降装置
KR20100113658A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1750227B1 (ko) 차량 헤드램프부의 가고정 모듈
JP2019202839A (ja) 車両整備用リフト及びリフト装置
KR20120033446A (ko)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CN220787239U (zh) 翻转设备
JP2006312520A (ja) 昇降装置
KR100723637B1 (ko)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CN217205661U (zh) 自动导引车及停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