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446A -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446A
KR20120033446A KR1020100094959A KR20100094959A KR20120033446A KR 20120033446 A KR20120033446 A KR 20120033446A KR 1020100094959 A KR1020100094959 A KR 1020100094959A KR 20100094959 A KR20100094959 A KR 20100094959A KR 20120033446 A KR20120033446 A KR 2012003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ame
lifting
cylind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순
Original Assignee
정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순 filed Critical 정미순
Priority to KR102010009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446A/ko
Publication of KR2012003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자동차를 정비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릴 때 두 개의 승강프레임 중 하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프레임의 하단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하여 밀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한 쌍이 평행하게 바닥면에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으로 교차하여 실린더(21)에 의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의 하단은 가이드로울러가 장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의 상단에는 승강받침판이 장착되는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에 제1 기어이가 형성되는 레크와;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인접하여 끝단 방향으로 로드가 연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크의 제1 기어이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2 기어이가 형성되는 밀림방지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The lift fixing equipment for an automobil}
본 발명은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로 자동차를 정비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릴 때 두 개의 승강프레임 중 하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프레임의 하단이 자동차의 하중에 의하여 밀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동차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비소에서 자동차의 바퀴나 각종 오일 등을 교환할 때 그리고 자동차 하부를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승용차나 웨건 등은 차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들어올린 다음 작업할 수 있도록 리프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리프팅 장치는 여러 가지를 예로 들 수 있으나 대표적인 것 중 하나는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절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받침판이 설치된 씨저형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7은 종래 대표적인 자동차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대표적인 자동차 리프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한 쌍이 평행하게 바닥면에 바닥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의 상부에 X자형으로 교차하여 실린더(21)에 의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승강프레임(2)의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1)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은 가이드로울러가 장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1)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의 상단에는 승강받침판(4)이 장착되는 자동차 리프트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승강받침판은 자동차의 앞바퀴와 뒷바퀴사이 차체 저면을 받쳐 차량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으로 앞바퀴가 위치하는 전방판넬과 뒷바퀴가 위치하는 후방판넬의 사이에 위치한다.
문제는 상기 승강프레임은 두 개의 프레임이 중간에 힌지로 연결되어 X자를 이루게 되어 하나의 프레임은 하단이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과 힌지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승할 때 하단이 바닥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하중에 안정적인 고정이 되지 않아 하중에 의하여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밀림현상은 프레임의 변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장비의 내구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승강받침판에 의하여 들어올릴 때 고정되지 않은 승강프레임의 하단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이 평행하게 바닥면에 바닥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으로 교차하여 실린더(21)에 의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승강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의 하단은 가이드로울러가 장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의 상단에는 승강받침판이 장착되는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에 제1 기어이가 형성되는 레크와;
상기 제2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인접하여 끝단 방향으로 로드가 연장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크의 제1 기어이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2 기어이가 형성되는 밀림방지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밀림방지기어는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따라 제2 기어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크의 제1 기어이는 상기 실린더 방향은 수직면으로 그 반대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기어의 제2 기어이는 상기 제1 기어이에 상응하도록 수직면과 경사면를 가지되 저면은 수직면에서 경사면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진 미끄럼 경사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밀림방지기어는 제2 기어이가 형성되는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소폭 연장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로드와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을 따라 하단이 이동하는 승강프레임의 하단을 필요에 따라 일정한 이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중에 자동차가 흔들리거나 밀림 현상에 의하여 장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종래 대표적인 자동차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 대표적인 자동차 리프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트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고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한 쌍이 평행하게 바닥면에 바닥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의 상부에 X자형으로 교차하여 실린더(21)에 의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승강프레임(2)의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1)에 힌지(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은 가이드로울러(31)가 장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1)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의 상단에는 승강받침판(4)이 장착되는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에 제1 기어이(51)가 형성되는 레크(5)와;
상기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에 인접하여 끝단방향으로 로드(61)가 연장되는 실린더(6)와;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 끝단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크(5)의 제1 기어이(51)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2 기어이(71)가 형성되는 밀림방지기어(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리프트를 상승시키면 하단이 고정되지 않은 제2 승강프레임(3)이 하중에 의하여 밀리게 되면 작업자가 정비하던 도중에 자동차(10)가 흔들리거나 밀림이 반복되면 제2 승강프레임(3)에 피로파괴 또는 절곡이 발생하여 자동차(10)가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의 작동은 자동차(10)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실린더(6)를 작동하도록 하여 로드(61)에 장착된 밀림방지기어(7)와 레크(5)가 결합하여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들어올리는 높이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일정하지 않기에 상기 밀림방지기어(7)는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따라 제2 기어이(71)가 형성하도록 하여 다양한 각도의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6)는 상기 제2 승강프레임(3)과 평행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다소 각도가 틀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레크(5)의 제1 기어이(51)는 상기 실린더(6) 방향은 수직면으로 그 반대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기어(7)의 제2 기어이(71)는 상기 제1 기어이(51)에 상응하도록 수직면과 경사면를 가지되 저면은 수직면에서 경사면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진 미끄럼 경사면(72)을 가지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레크(5)와 실린더(6)의 로드(61)는 수직이 아닌 다양한 각도를 이루게 되어 원활한 레크(5)와 밀림방지기어(7)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 경사면(72)은 진입시 레크(5)의 제1 기어이(51)의 상단이 상기 미끄럼 경사면(72)과 최초 밀착하게 되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자연스럽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밀림방지기어(7)는 제2 기어이(71)가 형성되는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소폭 연장되는 장공(73)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와 힌지축(62)에 의하여 결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반원형의 밀림방지기어(&)의 경우 레크(5)와 결합하는 제2 기어이(71)는 하나 또는 두 개에 불과하여 하중에 의하여 제2 기어이(71)가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의 기어이가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기어(7)는 어떠한 각도에도 상기 제2 기어이(71)가 형성된 저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대부분의 하중이 상기 힌지축(62)의 아래로 집중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축(61)이 좌우 무게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장공(73)은 그 중앙이 상부로 소폭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공(73)은 기어이가 상호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하여 장공(73)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62)이 소폭 이동하여 정확하게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바닥프레임
2 : 제1 승강프레임
21 : 실린더
3 : 제2 승강프레임
31 : 가이드로울러
4 : 승강받침판
5 : 레크
51 : 제1 기어이
6 : 실린더
61 : 로드 62 : 힌지축
7 : 밀림방지기어
81 : 제2 기어이 82 : 미끄럼 경사면
83 : 장공
10 : 자동차

Claims (4)

  1. 한 쌍이 평행하게 바닥면에 바닥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1)의 상부에 X자형으로 교차하여 실린더(21)에 의하여 절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승강프레임(2)의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1)에 힌지(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은 가이드로울러(31)가 장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1)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프레임(2, 3)의 상단에는 승강받침판(4)이 장착되는 자동차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면에 제1 기어이(51)가 형성되는 레크(5)와;
    상기 제2 승강프레임(3)의 하단에 인접하여 끝단방향으로 로드(61)가 연장되는 실린더(6)와;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 끝단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크(5)의 제1 기어이(51)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제2 기어이(71)가 형성되는 밀림방지기어(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기어(7)는 하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을 따라 제2 기어이(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크(5)의 제1 기어이(51)는 상기 실린더(6) 방향은 수직면으로 그 반대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기어(7)의 제2 기어이(71)는 상기 제1 기어이(51)에 상응하도록 수직면과 경사면를 가지되 저면은 수직면에서 경사면 방향으로 상향되게 경사진 미끄럼 경사면(7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기어(7)는 제2 기어이(71)가 형성되는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소폭 연장되는 장공(73)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와 힌지축(62)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프트 고정장치.
KR1020100094959A 2010-09-30 2010-09-30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KR20120033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59A KR20120033446A (ko) 2010-09-30 2010-09-30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59A KR20120033446A (ko) 2010-09-30 2010-09-30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46A true KR20120033446A (ko) 2012-04-09

Family

ID=4613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59A KR20120033446A (ko) 2010-09-30 2010-09-30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4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4819A (zh) * 2017-09-19 2017-11-21 济南璐宇万特科贸有限公司 一种液压卸车机用连杆滑块式保护装置
CN109879197A (zh) * 2019-03-21 2019-06-14 广州市顺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举升机的定位保险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4819A (zh) * 2017-09-19 2017-11-21 济南璐宇万特科贸有限公司 一种液压卸车机用连杆滑块式保护装置
CN107364819B (zh) * 2017-09-19 2021-08-03 济南璐宇万特科贸有限公司 一种液压卸车机用连杆滑块式保护装置
CN109879197A (zh) * 2019-03-21 2019-06-14 广州市顺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举升机的定位保险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8609B (zh) 一种桥式作业平台
JP4333720B2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WO2017008544A1 (zh) 一种轻型双向堆垛车
US10189690B2 (en) Vehicle lift
CN110860873B (zh) 用于大直径轴安装的装置
JP2015057337A5 (ko)
US20160221810A1 (en) Fork carriage for an industrial truck
KR20120033446A (ko) 자동차 리프팅 고정장치
KR100942593B1 (ko) 고소작업차용 포트홀 바
KR101510681B1 (ko) 시저스 리프트
KR20120015541A (ko) 자동차 리프팅 장치
JP6368299B2 (ja) 昇降台装置
CN105137313B (zh) 电力避雷器测试装置
CN104528607B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WO2007113441A3 (fr) Vehicule elevateur pour des charges et des personnes travaillant en hauteur
JP7104414B2 (ja) 昇降機構及び貨物容器昇降基台
CN209411717U (zh) 一种便于货架维修的倾倒装置
CN210340193U (zh) 一种汽车提升机
DE102006002635A1 (de) Mobile Wechseleinrichtung für einen Batterieblock eines Flurförderzeugs
CN210419105U (zh) 垂直升降装置
JP4097657B2 (ja) 家具などの支持装置
CN103628711A (zh) 一种地坑维修室
CN109110685A (zh) 一种用于固定式货架的倾倒装置
JPH0680790U (ja) 自動車整備用リフト
CN203654818U (zh) 一种地坑维修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