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637B1 -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 Google Patents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637B1
KR100723637B1 KR1020050026900A KR20050026900A KR100723637B1 KR 100723637 B1 KR100723637 B1 KR 100723637B1 KR 1020050026900 A KR1020050026900 A KR 1020050026900A KR 20050026900 A KR20050026900 A KR 20050026900A KR 100723637 B1 KR100723637 B1 KR 10072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lift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load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600A (ko
Inventor
김차규
김선집
Original Assignee
김차규
김선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규, 김선집 filed Critical 김차규
Priority to KR102005002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63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 각각 적재대(2000)가 배치되어 있되,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200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2000)에는 작업공간용 홈(21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대(2000)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 함께 결합되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피견인차량의 이송시에 측면 리프트 장치와 주변구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프트 작업을 보다 작은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적재 위치를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차량 리프트가 곤란한 장소에서도 피견인차량의 리프트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TOW CAR FOR SIDE LIFT MOUNTED WITH LOADING REST}
도 1은, 종래의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피견인차량을 리프트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피견인차량의 리프트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견인차량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작업전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또 다른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또 다른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주요 구동부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의 주요 구동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견인차량을 장거리 이송할 때 주변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프트 작업을 보다 작은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적재 위치를 차체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에 관한 것이다.
견인차량은 노상에 불법으로 주정차되어 있는 다른 차량이나 고장난 차량을 견인하여 소정의 장소에 이동시키는 차량으로서, 그 뒤쪽에서 피견인차량의 앞쪽이나 뒤쪽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견인차량이 앞뒤로 촘촘하게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견인차량을 설치할 공간이 나오지 않아 견인작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측면에서 리프트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견인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예가 한국등록실용산안공보 제028070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그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팅 장치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P)에 피견인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들어올리는 한 쌍의 리프팅유닛(10,20)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리프팅유닛(10,20)은 차체프레임(P)을 따라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유닛(10,20)은, 상기 차체프레임(P)의 상부에 그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좌우이송기구에 의해 메인프레임(11)을 따라 차체프레임(P)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송프레임(12)과, 상기 좌우이송프레임(12)에 상하이송기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P) 길이를 따라 리프팅유닛(10,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전후이송기구(3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예에서는, 리프팅유닛(10,20)이 피견인차량을 상승시킨 후 차체프레임(P)에 적재한 상태에서 그대로 운송하게 되어 있다. 즉, 별도의 적재대가 없이 피견인차량의 운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피견인차량을 싣고 장기간 운송시, 그 동하중으로 인해 리프팅유닛(10,20) 및 그 주변기기가 손상될 우려가 높았다.
또한, 리프팅유닛(10,20)이 견인차량의 폭방향으로 바퀴가 있는 지점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리프팅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리프팅포크(40)의 기본길이가 있기 때문에, 견인차량의 폭과 피견인차량의 폭에 더하여 리프팅포크(40)의 기본길이 만큼의 여유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공간이용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P) 길이가 한정되어 있고, 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리프팅유닛(10,20)의 이동이 조정되었기 때문에, 견인차량이 위치할 수 없도록 구덩이나 장애물이 형성된 곳에서는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피견인차량을 이송할 때 리프터 및 주변구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프트 작업을 보다 작은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적재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리프트 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은,
측면 리프트 장치가 차체프레임에 지지되며,
측면 리프트 장치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로 각각 적재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에는 작업공간용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리프트 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은,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면 리프트 장치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 각각 적재대가 배치되어 있되,
상기 적재대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에 함께 결합되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리프트 장치가 장착된 견인차량은,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면 리프트 장치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 각각 적재대가 배치되어 있되,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에는 작업공간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대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에 함께 결합되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체프레임에 지지되는 아우트리거가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에는, 상기 작업공간용 홈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덮개가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의 접촉 단부에는 홈이나 돌기 등의 결합수단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은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차체프레임(1100) 위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는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1200)와, 상기 수직이동부재(1200)를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횡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횡이동부재(1300)와, 상기 수직이동부재(1200)에 설치된 리프팅포크(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는 도시된 구성 외의 다른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는 각각 적재대(20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적재대(2000)는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고정 가이드(290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함께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앞뒤의 적재대(2000) 끼리는 적당한 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200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2000)에는 작업공간용 홈(210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업공간용 홈(2100)은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승강하면서 통과할 정도로 넓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적재대(2000)에 상기 작업공간용 홈(21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작업이 작업공간용 홈(2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차폭 방향에서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작동공간이 대폭 감축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차체프레임(1100)에 보다 근접된 상태에서 리프트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피견인차량의 자중으로 인한 회전모멘트 및 이로 인한 이동가이드(1200) 등의 굽힘응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대(2000)에는 상기 작업공간용 홈(2100)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덮개(2200)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덮개(2200)는 상기 적재대(2000)에 각각 설치되어 여닫이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2200)와 적재대(2000) 사이에는 제3액추에이터(22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2200)의 접촉 단부에는 돌기 또는 홈 등의 결합수단(2250)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의 폐쇄시 피견인차량의 동적하중에 의한 비틀림 변형 등을 방지하고 적재대 위의 물건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적재대(2000)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프레임(1100) 위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체프레임(1100)과 상기 적재대(2000) 또는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는 제1액추에이터(115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1110)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1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는 가이드롤러(29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재대(2000)에도 롤러(230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롤러(2300)가 상기 차체프레임(1100) 윗면을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견인차량의 뒤쪽에는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 지지되는 아우트리거(3000)가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는 가이드(1130)가 형성되어 있고, 아우트리거(3000)가 상기 가이드(1130)를 통해 왕복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우트리거(3000)와 차체프레임(1100) 사이에는 제2액츄에이터(3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2000) 위에는 피견인차량을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지지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인차량의 캐빈(cabin) 뒤쪽에는 통상적인 적재대 결합프레임(5000)이 설치되어 있어, 이송 전의 원래 위치(견인시)에서 적재대(2000)와 결합하여 견인시 발생하는 동적하중 등에 의해 적재대(2000)가 비틀리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적재대(2000)와 적재대 결합프레임(5000)의 결합 단부에는 적당한 결합수단(홈과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등의 작동은 별도의 (유압)제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장착된 견인차량을 피견인차량의 측면에 근접시킨다. 이 때, 피견인차량의 길이방향 위치가 리프트 작업에 적합치 않은 경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와 적재대(2000)를 차체프레임(1100)을 따라 함께 적절한 위치로 후방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2000)로부터 슬라이드식 덮개(2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공간용 홈(2100)을 개방시킨다.
다음,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횡방향 이동시켜서 작업공간용 홈(2100)이 성된 부분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리프팅포크(1400)를 피견인차량의 바닥부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리프팅포크(1400)를 횡방향으로 더 이동시켜서 피견인차량의 바닥을 지지한다.
다음, 리프팅포크(1400)를 상승시켜서 리프트작업을 실시하고, 피견인차량의 바퀴가 적재대(2000) 위면에 올라갈 정도에 이르렀을 때, 견인차량을 향해 횡방향으로 리프팅포크(1400)를 이동시킨다.
피견인차량의 폭이 적재대(2000)에 적절히 안착되는 위치에 왔을 때 횡방향 이동을 정지하고, 리프팅포크(1400)를 다소 하강시켜서 피견인차량을 적재대(2000) 위에 올려 놓는다. 이 때, 안착성을 높이기 위해, 피견인차량의 바퀴를 상기 적재대(2000) 위의 고정지지장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음, 뒤쪽으로 이송하였던 적재대(2000)와 측면 리프트 장치(1000) 및 피견 인차량을 앞쪽으로 이송하여 고정프레임(5000)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를 목적지로 견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견인차량을 안착시키는 적재대가 마련되어 있어, 피견인차량의 이송시에 측면 리프트 장치와 주변구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양 적재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적재대의 하부 폭보다 넓도록 작업공간용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 작업을 보다 작은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고 작용 모멘트도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대가 측면 리프트 장치와 함께 차체 길이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적재가 곤란한 장소에서도 피견인차량의 리프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삭제
  2.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차체프레임(1100)에 지지되어 장착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로 각각 적재대(2000)가 배치되어 있되,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200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2000)에는 작업공간용 홈(2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3. 차체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장착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 각각 적재대(2000)가 배치되어 있되,
    상기 적재대(2000)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 함께 결합되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 용 견인차량.
  4. 차체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면 리프트 장치(1000)가 장착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를 사이에 두고 차체 길이방향 앞뒤에 각각 적재대(2000)가 배치되어 있되,
    견인차량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기 양 적재대(200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의 전체 폭보다 넓도록, 상기 양 적재대(2000)에는 작업공간용 홈(21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대(2000)는 상기 측면 리프트 장치(1000)에 함께 결합되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 지지되는 아우트리거(3000)가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1100)에 지지되는 아우트리거(3000)가 차체 길이방향을 따 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7.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2000)에는, 상기 작업공간용 홈(2100)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식 덮개(2200)가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덮개(2200)의 접촉 단부에는 결합수단(22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KR1020050026900A 2005-03-31 2005-03-31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KR10072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00A KR100723637B1 (ko) 2005-03-31 2005-03-31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00A KR100723637B1 (ko) 2005-03-31 2005-03-31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600A KR20060104600A (ko) 2006-10-09
KR100723637B1 true KR100723637B1 (ko) 2007-06-04

Family

ID=3763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900A KR100723637B1 (ko) 2005-03-31 2005-03-31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63B1 (ko) * 2007-12-27 2010-02-11 장일도 차량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600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1089B2 (en) Lifting device, particularly a mobile lifting device
KR100809040B1 (ko) 철도차량용 탈선복구장치
KR102127606B1 (ko) 컨테이너 적재차량
US7338248B2 (en) Battery chang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KR100723637B1 (ko)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JP4215449B2 (ja) 重量物運搬治具
JPH1171098A (ja) 鉄道車両の持ち上げ装置
KR101478780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US5411361A (en) Truck for handling pallets
JP3599720B2 (ja) 牽引車両の側面リフティング装置
CN209919845U (zh) 一种裙板拆装装置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CA2436498A1 (en) Wheelchair lift for automobile
US1931746A (en) Truck mechanism
KR102279631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US3331470A (en) Two-post frame contact lift
KR20120011384A (ko) 견인차량용 차량 적재장치
JPS6014756B2 (ja) フオ−クリフトのリ−チフオ−ク装置
CN220664805U (zh) 一种多规格叉车式转运agv
JP3903230B2 (ja) スイングアップ装置を備えた車両
CN212954196U (zh) 一种低位举升机构的稳定装置及自动引导车
KR200197026Y1 (ko) 슬라브 이송용 스키드카
JP3717367B2 (ja) 荷役用車両
KR101893420B1 (ko)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JP3044968B2 (ja) 荷役作業車輌における積荷プラットフォームのストッパ兼ガイド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