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420B1 -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 Google Patents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420B1
KR101893420B1 KR1020180009720A KR20180009720A KR101893420B1 KR 101893420 B1 KR101893420 B1 KR 101893420B1 KR 1020180009720 A KR1020180009720 A KR 1020180009720A KR 20180009720 A KR20180009720 A KR 20180009720A KR 101893420 B1 KR101893420 B1 KR 10189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front body
fork
mast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웅
Original Assignee
제니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니스테크(주) filed Critical 제니스테크(주)
Priority to KR102018000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2Masts; Guides; Chains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4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66F9/165Foldable forks, i.e. where only the horizontal section move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동차축이 설치된 앞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조인트로 연결되고, 구동차축 및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뒷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를 꺾어 이동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와, 상기 앞차체와 하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 및 상기 앞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마스트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FOLDING TYPE REMOTE CONTROLLED FORK LIFT TRUCK}
본 발명은 원격조정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화물을 화물차량에 상차 및 하차하기 위해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짐이나 화물을 실어 옮기는데 사용하는 산업용 특수차량으로, 화물수송 과정에서 각종 하물을 하역하거나 운반할 때 등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4륜식 지게차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한 쌍의 전륜(13)과 후륜(12)이 구비되고, 차체(1)의 전방에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되며, 상기 차체(1)의 내부에는 엔진 또는 배터리 등의 동력원이 구비된다.
그리고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마스트 조립체(2)는 하역 작업 시의 안전을 위해 틸트 액추에이터(Tilt Cylinder)(10)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6)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포크(7)는 좌우로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백 레스트(Back Rest)(5)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석(9)이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9)의 상측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1)의 후방에는 화물의 무게에 따른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게차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화물차량에 싣고 다니기가 어려워서 화물차량과 별개로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화물이 적재된 장소로 천천히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경우 일반 차량에 비해 주행속도가 현저히 느린 지게차의 특성상 화물차량보다 도착시각이 늦을 수밖에 없어 화물의 하적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3842호 및 제10-1569874호에 지게차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채로 화물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화물을 하역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지게차의 포크(fork)와 마스트(mast)를 접어서 그 부피를 줄이는 구조에 불과하여 지게차의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의 무게에 따른 차량의 무게 중심을 잡기가 매우 어려운 데다 하역 작업 시 포크에 의해 들어 올려진 중량물의 하중으로 인해 차량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리면 반대쪽이 쉽게 들리거나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지게차는 조향 핸들을 이용하는 이른바 뒷바퀴 조향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좋으나 회전 반경이 커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곤란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며, 조향장치로 인해 차체의 높이가 상당히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423842 B1(2014.07.21) KR 10-1569874 B1(2015.11.11) KR 10-2016-0032898 A(2016.03.2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접이식 지게차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무거운 짐이나 화물 등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무게 중심을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중량물의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아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차체(차량)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차체에 대한 포크와 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하역 작업 시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차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유동차축이 설치된 앞차체와, 구동차축 및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뒷차체와, 상기 앞차체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와, 상기 앞차체와 하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와, 상기 앞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마스트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양쪽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마스트를 탑재한 채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앞차체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결정 및 뒤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무거운 짐이나 화물 등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어 중량물의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아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뒷차체의 하부에 장착 및 고정되는 고정 카운터 웨이트와, 지게차의 전체 카운터 웨이트를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하도록 상기 뒷차체의 양측부를 상기 구동차축의 상부로 연장 형성하여 구비되는 카운터 웨이트 조정부에 추가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다수개의 판상형상의 조정 카운터 웨이트로 이루어짐으로써,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지게차의 전체 카운트 웨이트를 더욱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유동차축이 설치된 앞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조인트로 연결되고, 구동차축 및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뒷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를 꺾어 이동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와, 상기 앞차체와 하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와, 상기 앞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마스트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양쪽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마스트를 탑재한 채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앞차체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결정 및 뒤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런싱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무거운 짐이나 화물 등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어 중량물의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아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차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유동차축이 설치된 앞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조인트로 연결되고, 구동차축 및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뒷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를 꺾어 이동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와, 상기 앞차체와 하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와, 상기 앞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마스트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뒷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너클 조인트를 기울여서 상기 뒷차체에 대한 상기 앞차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포크를 중량물 밑에 밀어 넣고 들어올릴 때 앞쪽 또는 뒤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어 더욱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아울러 차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유동차축이 설치된 앞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조인트로 연결되고, 구동차축 및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 뒷차체와,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와 상기 뒷차체 사이를 꺾어 이동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 액추에이터와, 상기 앞차체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와, 상기 앞차체와 하부가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와 상기 캐리지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 및 상기 앞차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와 상기 마스트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앞차체의 양쪽 하부에 장착되고,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및 수축 작용으로 지면에 밀착되어 포크가 들어올리는 짐의 하중을 버티어 전도를 방지하는 아우트리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중량물을 싣고 들어올릴 때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무거운 짐이나 화물 등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무게 중심을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중량물의 무게가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아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차체의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포크를 중량물 밑에 밀어 넣고 들어올릴 때 캐리지와 마스트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어 한층 더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게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캐리지와 포크 및 마스트를 접어서 부피를 줄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중 포크의 잠금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조향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무게 중심을 잡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무게 중심을 잡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무게 중심을 잡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중 아우트리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캐리지와 포크 및 마스트가 기울어지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뒷차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는, 크게 가이드 레일(13)과 슬라이더(14)를 갖춘 앞차체(10), 뒷차체(20), 조인트(J), 조향 액추에이터(30), 캐리지(41), 포크(42), 마스트(43), 폴딩 액추에이터(40), 밸런싱 액추에이터(50), 틸팅 액추에이터(60) 및 아우트리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차체(10)와 뒷차체(20)는 경량이고 강성이 높은 튼튼한 빔(beam) 위에 차체를 실은 새시 프레임 식으로 이루어지며, 앞차체(10)에는 앞바퀴를 통하여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는 유동차축(11)이 설치되어 있고, 뒷차체(20)에는 뒷바퀴를 통하여 차체의 중량을 지지 및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고 도로면에서 받는 힘을 지지하는 구동차축(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3)은 앞차체(10)의 양쪽 하부에 슬라이더(14)의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14)는 캐리지(41)와 포크(42) 및 마스트(43)를 탑재한 채로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14)는 앞차체(10)의 가이드 레일(13) 사이에 위치하면서 그 안내면을 따라 밸런싱 액추에이터(50)에 의해 앞뒤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캐리지(41)와 포크(42) 및 마스트(43)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뒷차체(20)의 하부에는 중량물을 운반 시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22)가 고정되어 있고, 전기 모터나 연소 엔진으로 이루어져 포크(42)와 마스트(43)를 작동시킬 동력과 구동차축(21)에 차량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부(23)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카운터 웨이트(22)는 뒷차체(20)의 하부에 장착 및 고정할 수도 있고, 또는 소정 범위 내에서 그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뒷차체(20) 양측의 구동차축(21)의 상측에 장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22)는 판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중심 조정 등에 따라 다수 개를 켜켜이 쌓아서 구동차축(21)의 상측에 장착하거나 일부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동력부(23)를 비롯하여 폴딩 액추에이터(40), 마스트(43)의 유압 장치, 밸런싱 액추에이터(50), 틸팅 액추에이터(60) 및 아우트리거(70)의 유압 실린더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각각 작동 및 조종이 이루어지며, 그 제어부는 작동을 지시 및 조절하고 여러 가지 명령을 전송하는 조이스틱이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별도의 원격 입력장치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조종석을 마련하지 않고도 작동을 제어 및 조종할 수 있어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한 채로 화물차량에 싣을 수 있다.
조인트(J)는 뒷차체(20)에 대한 앞차체(10)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상하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앞차체(10)의 너클 암(12)과 뒷차체(20)의 너클 암(미부호)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조인트(J)는 앞차체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상하로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볼 조인트나 너클 조인트 혹은 유니버셜 조인트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조향 액추에이터(3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앞차체(10)와 뒷차체(20) 사이를 꺾어 이동 방향을 조종하도록 앞차체(10)와 뒷차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향 액추에이터(3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에 따라 뒷차체(20)에 앞차체(10)의 이동 방향을 자연스럽게 바꿀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앞차체(10)와 뒷차체(20)에 핀 이음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조향 액추에이터(30)로는 스위치 개폐에 따라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작동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 실린더나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캐리지(41)는 포크(42)를 지지한 채로 앞차체(10)의 앞쪽, 즉 마스트(43)의 앞쪽에서 그 마스트(43)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41)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42)가 캐리지(41)에 대하여 접힌 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캐리지(41)에 걸쇠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쇠구멍(44)에 한쪽이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채로 위치 이동에 따라 다른 한쪽이 포크(42)와 선택적인 접촉 간섭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마치 'Г'자 형상의 걸쇠(45)가 구비되어 있고, 걸쇠구멍(44) 속에는 걸쇠(45)가 포크(42)의 잠금(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쇠(45)의 당김에 의한 압축 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6)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46)은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 예를 들어 고무 스프링과 같이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포크(42)는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2개의 암으로 이루어져 캐리지(41)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각각 캐리지(41)와 힌지(H)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포크(42)는 팰릿(pallet)의 차입구에 끼워 넣어 팰릿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납작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트(43)는 앞차체(10)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앞차체(10)와 힌지(H)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캐리지(41)와 포크(42)를 동시에 승강시키도록 장치되어 있다.
여기서 마스트(43)는 캐리지(41)의 승강 작동을 위해 캐리지(41)를 올리고 내리는 통상의 리프트 체인과 크로스 헤드 및 유압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2단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폴딩 액추에이터(4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캐리지(41)와 마스트(43)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앞차체(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폴딩 액추에이터(4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에 따라 캐리지(41)와 마스트(43)를 앞차체(10)와 뒷차체(20)에 대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마스트(43)의 하부와 앞차체(10)에 핀 이음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폴딩 액추에이터(40)로는 스위치 개폐에 따라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작동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 실린더나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밸런싱 액추에이터(5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앞차체(10)에 대한 슬라이더(14)의 위치를 결정 및 뒤로 이동시키도록 앞차체(10)와 슬라이더(1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밸런싱 액추에이터(5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에 따라 캐리지(41)와 포크(42) 및 마스트(43)를 탑재한 슬라이더(14)를 앞차체(10)에 대하여 전후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앞차체(10)와 슬라이더(14)에 핀 이음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밸런싱 액추에이터(50)로는 스위치 개폐에 따라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작동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 실린더나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틸팅 액추에이터(6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조인트(J)를 기울여서 뒷차체(20)에 대한 앞차체(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뒷차체(20)에 설치되어 있다.
즉, 틸팅 액추에이터(60)는 신장 및 수축 작용에 따라 앞차체(10)와 뒷차체(20) 간의 연결 상태를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조인트(J)의 상부와 뒷차체(20)에 핀 이음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틸팅 액추에이터(60)로는 스위치 개폐에 따라 컴프레셔 등의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그 실린더 로드를 가동시키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작동하는 구조의 통상적인 유압 실린더나 액추에이터 기구나 장치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트리거(70)는 유압 실린더(유압 잭)의 신축 및 수축 작용으로 지면에 밀착되어 포크(42)가 들어올리는 짐의 하중을 버티어 전도를 방지하도록 앞차체(10)의 양쪽 하부에 링크 조합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아우트리거(70)는 짐의 하중을 버티어 차체를 지지함으로 인해 포크(42)가 중량물을 싣고 들어올릴 때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물차량에 싣고 다닐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42)를 그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캐리지(41)에 밀착되도록 접은 후, 걸쇠(45)로 걸어 잠가 포크(42)를 캐리지(41)에 구속하고, 이 상태로 폴딩 액추에이터(40)를 신장 방향으로 제어하여 마스트(43)의 하부를 그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밀어서 앞차체(10)와 뒷차체(20)에 대하여 접어서 눕힘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물차량에 싣고 다니다가 화물을 화물차량에 상차 및 하차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는 화물차량에서 내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액추에이터(40)를 수축 방향으로 제어하여 캐리지(41)와 마스트(43)를 앞차체(10)에 대하여 세우고, 걸쇠(4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포크(42)를 수평으로 곧게 폄으로써 무거운 짐이나 화물 등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포크(42)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캐리지(41)와 수직한 상태를 이루면, 그 힌지(H) 주변이 서로 면접촉되면서 수평으로 펴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차체(10)의 양쪽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아우트리거(70)의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방향으로 제어하여 지면에 밀착시키면, 포크(42)가 들어올리는 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이 과정에서 차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포크(42)가 들어올린 중량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릴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싱 액추에이터(50)를 수축하도록 제어하여 캐리지(41)와 포크(42) 및 마스트(43)를 탑재한 슬라이더(14)를 앞차체(10)에 대하여 뒤로 위치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하중이 이동하므로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잡아 차체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역 작업이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할 때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액추에이터(30)는 신장 및 수축 방향으로 제어하여 조인트(J)의 축을 중심으로 앞차체(10)와 뒷차체(20) 사이를 꺾음으로써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조종할 수 있다.
즉, 앞차체(10)와 뒷차체(20)를 2등분으로 나누고, 이를 조인트(J)로 연결하여 자유롭게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앞차체(10)와 뒷차체(20) 사이에 조향 액추에이터(30)를 설치하여 조향 액추에이터(30)의 신축 작용으로 앞차체(10)와 뒷차체(20) 사이의 조인트(J)가 꺾여 조향이 이루어짐으로써 차체의 회전 반경이 작아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뒷바퀴 조향 방식에 비해 차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화물차량에 싣을 때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포크(42)를 중량물 밑에 밀어 넣고 들어올릴 때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1)와 마스트(43)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일 없이 한층 더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운반 및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앞차체 11: 유동차축
12: 너클 암 13: 가이드 레일
14: 슬라이더 20: 뒷차체
21: 구동차축 22: 카운터 웨이트
30: 조향 액추에이터 40: 폴딩 액추에이터
41: 캐리지 42: 포크
43: 마스트 44: 걸쇠구멍
45: 걸쇠 46: 스프링
50: 밸런싱 액추에이터 60: 틸팅 액추에이터
70: 아우트리거 J: 조인트

Claims (4)

  1. 유동차축(11)이 설치된 앞차체(10);
    구동차축(21) 및 카운터 웨이트(22)가 설치된 뒷차체(20);
    상기 앞차체(10)의 앞쪽에 설치된 캐리지(41);
    상기 캐리지(41)에 대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부가 상기 캐리지(41)와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되고, 짐을 들어올리기 위해 구비된 포크(42);
    상기 앞차체(10)와 하부가 힌지 이음(hinged joint)으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고, 유압 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포크(42)와 상기 캐리지(41)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마스트(43);
    상기 앞차체(10)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캐리지(41)와 상기 마스트(43)를 세우거나 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액추에이터(40);
    상기 앞차체(10)의 양쪽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3);
    상기 캐리지(41)와 상기 포크(42) 및 상기 마스트(43)를 탑재한 채로 상기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14); 및
    상기 앞차체(10)와 상기 슬라이더(14)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및 수축 작용으로 상기 앞차체(10)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14)의 위치를 결정 및 뒤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런싱 액추에이터(50);
    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22)는, 상기 뒷차체(20)의 하부에 장착 및 고정되는 고정 카운터 웨이트와, 지게차의 전체 카운터 웨이트를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하도록 상기 뒷차체(20)의 양측부를 상기 구동차축(21)의 상부로 연장 형성하여 구비되는 카운터 웨이트 조정부에 추가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판상 형상의 다수 개의 조정 카운터 웨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차체(10)의 양쪽 하부에 장착되고, 유압 실린더의 신축 및 수축 작용으로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포크(42)가 들어올리는 짐의 하중을 버티어 전도를 방지하는 아우트리거(70);
    를 더 포함하는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42)가 상기 캐리지(41)에 대하여 접힌 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캐리지(41)에 걸쇠구멍(44)이 형성되고, 상기 걸쇠구멍(44)에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채로 위치 이동하면서 다른 한쪽이 상기 포크(42)와 접촉 간섭으로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걸쇠(45)가 구비되고, 상기 걸쇠구멍(44) 속에 내장되어 상기 걸쇠(45)가 상기 포크(4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축 시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6)이 구비된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4. 삭제
KR1020180009720A 2018-01-26 2018-01-26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KR10189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20A KR101893420B1 (ko) 2018-01-26 2018-01-26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20A KR101893420B1 (ko) 2018-01-26 2018-01-26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420B1 true KR101893420B1 (ko) 2018-08-30

Family

ID=6345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20A KR101893420B1 (ko) 2018-01-26 2018-01-26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4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46B1 (ko) * 2017-06-12 2018-02-26 제니스테크(주)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46B1 (ko) * 2017-06-12 2018-02-26 제니스테크(주)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146B1 (ko)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ES2691293T3 (es) Cargador de carga con mecanismo de ajuste para una aeronave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EP0775666B1 (en) Fork lift
KR101740877B1 (ko)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US10501296B2 (en)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GB2526356A (en) Forklift arrangement
US20030168286A1 (en) Lift truck and lift truck operating method
KR101893420B1 (ko) 폴더형 원격조정 지게차
JP4658463B2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CN112408272A (zh) 一种侧面叉车及其车架倾斜系统
CN210366851U (zh) 一种叉车
CN214360087U (zh) 一种侧面叉车及其车架倾斜系统
JPS59179412A (ja) 車輌
JPS6014756B2 (ja) フオ−クリフトのリ−チフオ−ク装置
JP4153701B2 (ja) 貨物自動車の荷役装置
JPH06316399A (ja) 履帯式フォークリフト車
JP2575826Y2 (ja) 運搬車の荷台傾動構造
KR20230102617A (ko) 사다리차의 아웃트리거 구동 장치
JP4341906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JPH0665598B2 (ja) 車両の積込み・積卸し装置
JP3717367B2 (ja) 荷役用車両
CN114920172A (zh) 可变轮距的多功能转载装卸车
JPH0712171Y2 (ja) 車輌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