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473B1 - 차량 리프트 상판 - Google Patents

차량 리프트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73B1
KR101794473B1 KR1020170049004A KR20170049004A KR101794473B1 KR 101794473 B1 KR101794473 B1 KR 101794473B1 KR 1020170049004 A KR1020170049004 A KR 1020170049004A KR 20170049004 A KR20170049004 A KR 20170049004A KR 101794473 B1 KR101794473 B1 KR 10179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ridge
protrusion
b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래
Original Assignee
이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래 filed Critical 이광래
Priority to KR102017004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지지 부재를 브리지로 연결하고, 특히 이 지지 부재를 적어도 두 개로 분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므로, 얇으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벼우면서도 차량 리프트를 사용할 때 차량이 쉽고 안전하게 상판 위로 올라갈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와 브리지, 그리고 브리지와 지지 부재 사이를 연결할 때 어느 한쪽을 끼워서 돌린 다음 요철 형태로 결합한 뒤에 체결 고정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리프트 상판{LIFT PLATFOR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리프트 상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와 같은 승강 수단을 장착하는 베이스와 실제 차량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사이를 브리지로 연결하여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분리하여 쉽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고, 특히 이들 구성을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므로 가벼우면서도 얇게 제작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는 차량을 바닥에서 이루어지나, 차량의 하부 작업이나 타이어 교체와 같은 작업을 할 때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차체를 들어올려야 한다. 이 때문에, 자동차 리프트는 차체 중량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자동차 리프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457606호
간단한 구성으로 구비되어 제작공정을 대폭적으로 단순화시킴으로 인해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차륜슬립 지지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구비되어 차량의 차륜이 미끄러지도록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상에 다수의 지지 볼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지지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일정 면적으로 연결된 단일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상기 지지 볼이 끼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차륜슬립 지지플레이트가 제공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0778호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 및 하강 되는 좌우 리프트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동조기능을 갖는 유압실린더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갑작스러운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수단이 더 설치되며 지면에 설치된 바닥레일의 일부분이 절첩 및 신장 되도록 하여 자동차 장비시 작업자의 이동 및 각종 정비에 필요한 기계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병은 자동차의 하체를 받치는 받침 판과 상기 받침 판을 승, 하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링크부재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레일로 이루어진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이동프레임과 레일절첩수단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고정베이스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송하며 걸림플레이트가 구비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링크부재의 끝단에 설치된 축봉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걸림플레이트에 걸림과 해지 작동에 의하여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걸림부재가 구비된 레일수단과;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동조수단과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66421호
안전장치의 연결구조를 개선하고 이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된 솔레노이브 밸브를 채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구조의 단순화 및 공간의 효율성을 높인 차량 정비용 리프트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승강장치는 바닥 프레임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을 승하강시키고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장치의 링크기구는 상하방향 접철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을 통해서 일체로 체결되고, 승강장치의 스크류식 안전장치는 실린더의 유량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솔레노이드밸브를 내장한다.
하지만, 기존 차량 리프트에 사용하는 상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차량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면서 안전하게 하부 작업 등을 할 수 있게 하려면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이에, 상판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구조적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제작해야 한다.
(2) 이에, 차량 리프트 상판의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도 많이 필요하다.
(3) 또한, 차량의 길이에 따라 차량 리프트 상판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지지 부재를 운반하거나 운반 후 조립하는 데도 긴 시간과 조립 인원이 필요하다.
(4) 이처럼 상판의 중량이 무거움에 따라 상판과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려면 그 지지 구조와 승강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같은 작동 수단의 크기도 더 커져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457606호 (등록일 : 2014.10.28)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0778호 (공개일 : 2016.03.21) 한국등록특허 제1666421호 (등록일 : 2016.10.1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승강 수단에 장착하는 베이스와 실제 차량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브리지로 연결하고, 특히 이 지지 부재를 적어도 두 개로 분리하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여러 개로 나눠서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 차량 리프트 상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베이스와 지지 부재 그리고 브리지를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므로, 얇으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벼우면서도 차량 리프트를 사용할 때 차량이 쉽고 안전하게 상판 위로 올라갈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 리프트 상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와 브리지, 그리고 브리지와 지지 부재 사이를 연결할 때 어느 한쪽을 끼워서 돌린 다음 요철 형태로 결합한 뒤에 체결 고정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차량 리프트 상판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 상판은, 승강 수단을 설치할 수 있게 미리 정한 간격으로 체결 구멍(110)을 관통 성형하고, 한쪽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마주하게 삽입 돌기(120)를 돌출 성형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100)에 장착하되, 한쪽 가장자리를 상기 삽입 돌기(120)에 끼우면서 베이스(100)와 밀착하게 체결 고정한 브리지(200); 상기 브리지(200)에 체결 고정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지지 부재(300)는 상기 브리지(200)에 장착하는 제1지지 부재(300')와 이 제1지지 부재(300')의 양쪽에 각각 설치하는 제2지지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제2지지 부재(300")가 서로 접하는 가장자리에는, 두께 면의 한쪽 가장자리가 나란하게 밖으로 돌출하여 제1 돌기(311)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돌기(311)보다 더 길게 바깥으로 돌출하여 제2 돌기(31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돌기(312)의 끝에는 상기 두께 면보다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체결 부분(313)을 돌출 성형한 제1고정 부분(310), 그리고 한쪽 면의 일부를 미리 정한 두께로 절개하여 상기 제1 돌기(311)와 제2 돌기(312)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321)와 다른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폭으로 절개하되 상기 체결 부분(313)이 끼워지는 걸림 홈(322)을 갖춘 제2고정 부분(320) 중에서 어느 하나씩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여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리지(200)는, 차량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적어도 하나의 홈(2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걸쳐지는 부분과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우는 부분이 턱(230)지게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100)와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가 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어느 하나의 제2지지 부재(300") 사이에는, 양쪽에 각각 상기 제1고정 부분(310)과 제2고정 부분(320)을 형성한 중간 부재(300a)를 더 추가하여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200)는,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워서 체결 고정하고,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우는 한쪽이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는, 각각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판은, 두께가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프트 상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상판을 베이스, 브리지, 그리고 지지 부재로 나누고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2) 특히, 상판을 구성하는 이들 베이스, 브리지, 그리고 지지 부재를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므로, 가벼우면서도 차량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물성을 얻을 수 있다.
(3) 이에, 상판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상판 위에 차량을 탑재할 때 차량이 상판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쉽게 정해진 상판 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4) 베이스와 브리지, 그리고 브리지와 지지 부재 사이를 요철 형태로 끼운 다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정해진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조립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지지 부재 사이에 중간 부재를 추가하여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차량의 길이에 따라 상판 길이를 적절하게 맞춰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는 엔진이 앞쪽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브리지가 중간 부재의 길이 중앙에서 앞쪽으로 지지할 수 있게 중간 부재를 추가하므로, 브리지가 차량의 무게 중심 위치에서 지지 부재를 지지하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리프트 상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와 브리지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부재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저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제1지지 부재와 제2지지 부재를 끼워서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결합 전 상태를, (b)는 결합 후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브리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저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브리지로 베이스와 지지 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 리프트 상판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100),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특히, 브리지(200)는 베이스(100)와 지지 부재(300)를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고, 지지 부재(300)는 제1지지 부재(300')와 두 개의 제2지지 부재(300")로 구성하므로, 쉽게 분리하여 운반하고 쉽게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는 각각 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므로, 얇게 제작하면서도 차량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어 차량이 지지 부재(300) 위로 쉽고 편리하게 넘나들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와 브리지(200), 브리지(200)와 지지 부재(300) 사이를 연결할 때 요철 형태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한 다음, 체결 고정하여 장착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승강 수단은 차량을 지지하는 상판을 위로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예를 들어서 유압 실린더나, 모터나 실린더 등으로 동작하는 링크 기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면에서, 윗면은 차량이 탑재되는 면을, 아랫면은 지면을 향하는 면을 각각 나타낸다.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미리 정한 크기로 형성한다. 이때, 베이스(100)는 승강 수단에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브리지(200)를 설치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체결 구멍(110)을 관통 성형한다. 체결 구멍(110)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100)를 승강 수단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말한다. 이러한 체결 구멍(110)은 베이스(100)의 중심에 미리 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할 수 있으나, 통상 차량이 좌우 대칭이므로 이에 맞게 좌우 대칭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체결 구멍(110)은 베이스(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원 위에 같은 간격으로 6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주나, 차량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가상의 원의 지름과 간격 그리고 그 개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한쪽 면에 삽입 돌기(120)를 돌출 성형한다. 삽입 돌기(120)는 상기 베이스(100)에 브리지(200)를 장착할 때 이 브리지(200)의 한쪽 가장자리가 걸리게 끼워서 밀리지 않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 돌기(120)는 베이스(100)에 브리지(200)가 양쪽으로 돌출하게 장착하므로 베이스(100)의 한쪽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마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삽입 돌기(120)는 베이스(100)의 양쪽에 각각 두 개씩 브리지(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두 쌍의 삽입 돌기(120)를 돌출 성형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00)는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I는 구상흑연주철을 오스템퍼 처리한 것으로 인장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연신, 충격치, 피로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말한다. 이처럼, 베이스(100)를 ADI로 제작하여 중량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100) 두께를 얇게 제작하더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브리지(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00)와 후술할 지지 부재(300)를 연결시켜 준다. 이를 위해, 상기 브리지(200)는, [도 2]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삽입 돌기(120)에 걸리게 하면서 베이스(100)에 밀착하게 장착한다. 이때, 상기 브리지(200)의 다른 한쪽은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하여 지지 부재(300)에 고정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리지(200)는, [도 2]와 같이,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한 한쪽 끝을 트랙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제1지지 부재(300')에 형성한 장착 구멍(330)에 조립하려고 끼울 때 쉽게 끼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브리지(200)는, [도 2]와 같이,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마주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2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210)은 브리지(200)의 전체 중량을 줄이면서도 그 구조적 강성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 홈(210)은 두 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이루어진 브리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을 삽입 돌기(120)에 끼워서 베이스(100) 위에 밀착하게 장착하고, 이 베이스(100) 밖으로 돌출한 다른 한쪽을 지지 부재(3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브리지(200)와 이들 베이스(100)와 지지 부재(300) 사이에는 융착 방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구성하여 때에 따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브리지(200)에는, [도 2]와 같이, 브리지(200)를 베이스(100)와 지지 부재(300)에 체결 고정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위치에 체결 구멍(220)을 관통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베이스(100)에 체결 고정할 하나와 지지 부재(300)를 체결 고정할 두 개의 체결 구멍(220)을 관통 성형한 예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상기 브리지(200)는 상술한 베이스(100)와 마찬가지로 ADI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30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00)의 양쪽에 각각 설치한 브리지(200)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장착한다. 이러한 지지 부재(3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지지 부재(300')와 이 제1지지 부재(300')의 양쪽에 각각 장착하는 두 개의 제2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제2지지 부재(3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리 정한 크기로 제작하며, 특히 제1지지 부재(300')의 양쪽에 각각 제2지지 부재(300")를 연결하여 길이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제2지지 부재(300")의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에는 제1고정 부분(310)과 제2고정 부분(320) 중에서 어느 하나씩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도면에서, 제1고정 부분(310)은 제1지지 부분(300')에, 그리고 제2고정 부분(320)은 제2지지 부분(300")에 각각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 부분(3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돌기(311), 제2 돌기(312), 그리고 체결 부분(3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돌기(311)와 제2 돌기(312)는 두께 면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나란하게 돌출 성형하고, 특히 제2 돌기(312)는 제1 돌기(311)보다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분(313)은 길게 돌출한 제2 돌기(312) 끝에 돌출 성형하되, 이 두께보다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제2고정 부분(3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걸림 돌기(321)와 걸림 홈(322)을 포함한다. 걸림 돌기(321)는 한쪽 면 일부를 절개하여 미리 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특히 상기 제1 돌기(311)와 제2 돌기(312) 사이에 끼워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 홈(322)은 제2고정 부분(320)이 상술한 제2 돌기(312)와 맞닿게 조립했을 때 이 제2 돌기(312) 끝에 형성한 체결 부분(313)을 수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고정 부분(310)과 제2고정 부분(320)은,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제1지지 부재(300')와 제2지지 부재(30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도 4(a)]와 같이 제2지지 부재(300")를 제1지지 부재(300')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걸림 돌기(321)가 제1 및 제2 돌기(311, 312) 사이에 끼워지게 한 다음, 이 제2 지지 부재(300")를 제1지지 부재(300')와 한 평면을 이루게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 홈(322)이 체결 부분(313)에 끼워지게 하여 체결 고정함에 따라 제1 및 제2지지 부재(300', 300")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 부재(3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측면에 장착 구멍(330)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술한 브리지(200)가 끼워지게 하여 편리하게 조립 및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 부재(3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지지 부재(300)를 조립할 때 끝의 가장자리가 사면(340)을 이루게 구성하여 차량이 쉽게 지지 부재(300) 위로 등판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다른 구성과 마찬가지로 ADI로 제작하여 얇으면서도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지면을 향하는 면에 격자나 강성 리브(350)를 형성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300)는 가능한 한 이러한 여러 구성을 조립했을 때 차량을 지지하는 면이 하나의 평면, 바람직하게는 평면 형태가 되게 구성함으로써, 이 평면 위에 차량을 탑재했을 때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브리지(200)를 통해 양쪽에 지지 부재(300)를 장착하여 전체적으로 "H"자 형태로 제작하여 그 위에 차량을 탑재하여 승강하게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들 베이스(100),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재질로 ADI를 이용하므로 충분한 물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의 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바람직하게는 두께 30~60㎜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판 위로 차량이 지나가더라도 두께가 두껍지 않아 쉽게 건너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중간 부재(300a)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중간 부재(300a)는 제1지지 부재(300')와 어느 하나의 제2지지 부재(30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지지 부재(300)의 길이를 연장하여 길이가 길거나 차량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량도 지지 부재(300)에 안정적으로 탑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간 부재(300a)는 양쪽에 각각 상술한 제1 및 제2고정 부분(310, 320)을 형성하는 데, 이는 상술한 제1 및 제2지지 부재(300', 300")에 형성한 고정 부분을 고려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함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량 리프트 상판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브리지(20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브리지(200')를 제작할 때, 베이스(100)에 걸쳐지는 부분과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우는 부분에 각각 턱(230)을 형성한 것이다. 이는, 이처럼 브리지(200') 위에 베이스(100)와 지지 부재(300)를 중첩 형태로 걸쳐지게 구성함에 따라 겹쳐지는 가장자리 부분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단턱은 차량이 탑재되는 지지 부재(300)의 윗면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볼록하게 튀어나올 수 있으므로, 이 턱(230)을 통해 베이스(100),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가 하나의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재(300) 위에 차량을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게 한다.
100 : 베이스 110 : 체결 구멍
120 : 삽입 돌기 200, 200' : 브리지
210 : 홈 300 : 지지 부재
300' : 제1지지 부재 300" : 제2지지 부재
310 : 제1고정 부분 311 : 제1 돌기
312 : 제2 돌기 313 : 체결 부분
320 : 제2고정 부분 321 : 걸림 돌기
322 : 걸림 홈 330 : 장착 구멍

Claims (7)

  1. 승강 수단을 설치할 수 있게 미리 정한 간격으로 체결 구멍(110)을 관통 성형하고, 한쪽 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마주하게 삽입 돌기(120)를 돌출 성형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100)에 장착하되, 한쪽 가장자리를 상기 삽입 돌기(120)에 끼우면서 베이스(100)와 밀착하게 체결 고정한 브리지(200);
    상기 브리지(200)에 체결 고정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지지 부재(300)는 상기 브리지(200)에 장착하는 제1지지 부재(300')와 이 제1지지 부재(300')의 양쪽에 각각 설치하는 제2지지 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제2지지 부재(300")가 서로 접하는 가장자리에는, 두께 면의 한쪽 가장자리가 나란하게 밖으로 돌출하여 제1 돌기(311)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돌기(311)보다 더 길게 바깥으로 돌출하여 제2 돌기(31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돌기(312)의 끝에는 상기 두께 면보다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체결 부분(313)을 돌출 성형한 제1고정 부분(310), 그리고 한쪽 면의 일부를 미리 정한 두께로 절개하여 상기 제1 돌기(311)와 제2 돌기(312)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321)와 다른 한쪽 면에 미리 정한 폭으로 절개하되 상기 체결 부분(313)이 끼워지는 걸림 홈(322)을 갖춘 제2고정 부분(320) 중에서 어느 하나씩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여 체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2. 제1 항에서,
    상기 브리지(200)는,
    차량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적어도 하나의 홈(2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3. 제1 항에서,
    상기 브리지(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걸쳐지는 부분과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우는 부분이 턱(230)지게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100)와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가 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4. 제1 항에서,
    상기 제1지지 부재(300')와 어느 하나의 제2지지 부재(300") 사이에는,
    양쪽에 각각 상기 제1고정 부분(310)과 제2고정 부분(320)을 형성한 중간 부재(300a)를 더 추가하여 길이를 연장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5. 제1 항에서,
    상기 브리지(200)는,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워서 체결 고정하고,
    상기 지지 부재(300)에 끼우는 한쪽이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브리지(200) 그리고 지지 부재(300)는,
    각각 ADI(Austempered Ductile Iron)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7. 제6 항에서,
    상기 상판은,
    두께가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리프트 상판.
KR1020170049004A 2017-04-17 2017-04-17 차량 리프트 상판 KR10179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04A KR101794473B1 (ko) 2017-04-17 2017-04-17 차량 리프트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04A KR101794473B1 (ko) 2017-04-17 2017-04-17 차량 리프트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473B1 true KR101794473B1 (ko) 2017-11-06

Family

ID=6038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04A KR101794473B1 (ko) 2017-04-17 2017-04-17 차량 리프트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50Y1 (ko) 2018-09-03 2020-01-28 이광래 차량용 리프트 상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380A1 (en) 2007-08-13 2009-02-19 Mark Aiken Lift stand
KR101672170B1 (ko) 2016-07-29 2016-11-02 이광래 실린더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380A1 (en) 2007-08-13 2009-02-19 Mark Aiken Lift stand
KR101672170B1 (ko) 2016-07-29 2016-11-02 이광래 실린더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50Y1 (ko) 2018-09-03 2020-01-28 이광래 차량용 리프트 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0716C (en) A movable cover for covering a pit
EP3177560B1 (en) Linear motion linkage assembly for automotive lift
KR100863734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
KR101794473B1 (ko) 차량 리프트 상판
CN103085684B (zh) 一种汽车、汽车座椅及其滑轨机构
US20220205218A1 (en) Coupl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EP3556717B1 (en) Construction machine
EP11549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uspension of a cab on a vehicle frame
JP5037721B1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US20070170001A1 (en) Working machine and device cover used in the same
KR200456181Y1 (ko)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EP2915771B1 (en)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KR101458203B1 (ko) 레일 프레임 구조의 싱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크레인 조종석 승강장치
CN110937547A (zh) 应用于检测汽车底盘的举升台
KR200417312Y1 (ko)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
WO2014127238A2 (en) Two-post vehicle lift with opposing lifting carriages
JPS6141752Y2 (ko)
KR102066793B1 (ko) 지게차의 틸트 캐빈용 록킹장치
JP6622514B2 (ja) 建設機械およびカーボディウエイトの取付方法
CN214112165U (zh) 用于车轮的拆装装置
CN110450871B (zh) 履带底盘和工程车辆
JP3179441U (ja) 車両用リフト
KR200233249Y1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중량분산 승하강장치
KR20080069497A (ko) 접혀짐이 가능한 지게차의 포크장치
CN210011753U (zh) 用于磁悬浮列车的转向架助行器和具有其的转向架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