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04B1 - 틈새 잭 - Google Patents

틈새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404B1
KR100682404B1 KR1020060073738A KR20060073738A KR100682404B1 KR 100682404 B1 KR100682404 B1 KR 100682404B1 KR 1020060073738 A KR1020060073738 A KR 1020060073738A KR 20060073738 A KR20060073738 A KR 20060073738A KR 100682404 B1 KR100682404 B1 KR 100682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gap
cylindrical
couple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현
박현자
Original Assignee
문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현 filed Critical 문재현
Priority to KR102006007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틈새 잭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및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양정을 늘일 수 있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있어,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정격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키, 잭, 틈새, 원통형

Description

틈새 잭{Jack for ga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새 잭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동작 상태 사시도,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틈새 잭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압제공부 12 : 지지부
14 : 유압펌프 16 : 펌핑브래킷
18 : 레버 20 : 자키부
21 : 베이스플레이트 22 : 원통형 보스부
23 : 편심바아 24 : 연결보스
24b : 바아삽입부 26 : 액추에이터
30 : 원통형 승강부 32 : 링부재
33 : 핀공 34 : 핀
40 : 틈새용 발판 34 : 발판부
48 : 안내가이드 50 : 탄성부재
60 : 연결라인
본 발명은, 틈새 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양정을 늘일 수 있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있어,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정격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틈새 잭에 관한 것이다.
흔히, 자키라고도 불리는 잭(Jack)은, 기어, 나사, 유압 등을 이용해서 무거운 물체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기구이다. 원동력은 인력 또는 모터이며, 사용목적에 따라 나사 잭(screw jack), 래크 잭(rack jack), 유압 잭(oil pressure jack)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나사 잭은 가장 간단한 것으로서, 잭의 몸체에 암나사를 만들어 이것에 나사봉을 끼우고, 이 나사봉을 회전시켜 나사봉의 상하움직임에 따라 중량물을 올렸다 내렸다 한다. 잭 몸체에 암나사를 깎은 램(플런저 모양의 원통)을 삽입하고 이것에 나사봉을 맞물리게 하여 베벨기어로 이 나사봉을 회전시켜 램을 오르내리게 하는 것도 있다. 들어올릴 수 있는 하중은 2 내지 50 톤, 양정(揚程)은 10 내지 30 cm, 잭의 무게는 5∼50 kg으로 들어 나르기가 쉽다.
래크 잭은 여러 개의 기어 조합으로 마지막 기어에 래크(봉에 치형을 절삭한 것)가 맞물려 있는 것이다. 수동으로 기어를 돌려 래크를 오르내리게 하여 래크에 붙어 있는 받침대 위의 것을 올렸다 내렸다 한다. 기계 조립이나 고정시키는 일 등에 사용한다. 2 내지 20 톤의 하중을 움직일 수가 있다. 양정은 30 내지 40 cm이다.
유압 잭은 펌프에 의해 압력유를 실린더로 보내 램을 움직인다. 큰 하중으로 양정이 작을 때 사용한다.
주변에 보면, 잭은 보통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수단으로 자주 사용된다. 즉, 자동차의 타이어 펑크, 스노 체인 장착, 기본 정비 등이 필요할 때, 차체를 소정 거리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잭은 위와 같은 작업 외에도, 군부대의 공병작업이나 혹은 일반 건설 현장에도 많이 사용된다.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혹은, 중량물을 떠받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두 물체 사이의 틈새(gap)를 벌리는 등의 작업에 주로 이용되기도 하고, 틈새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중량물을 올리거나 벌리는 등의 작업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을 일컬어 틈새 잭(Jack for gap)이라 한다.
통상적인 틈새 잭은, 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기준이 되는 고정체에 대해 틈새끼움용 발판이 결합된 이동체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틈새 잭의 경우에는,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소위, 양정이 상대적으로 짧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지 않고 편심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정격 하중을 견디 기 어렵고,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양정을 늘일 수 있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있어,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정격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틈새 잭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및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원통형 보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보스부 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연결보스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되, 상기 원통형 보스부의 내부에는 그 지름을 따라 편심바아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보스의 하면에는 상기 편심바아에 결합되는 바아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새용 발판은, 링부재에 의해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용 발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하부가 삽입되게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외면에는 상기 원통형 승강부가 승강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씩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공들에는 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외부에는 상기 틈새용 발판과 함께 승강하는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단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보스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승강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새 잭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동작 상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틈새 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새 잭은,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부(10)와, 유압제공부(10)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는 자키부(20)와, 유압제공부(10)와 자키부(2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60)을 구비한다.
유압제공부(10)는, 지지부(12)와, 지지부(12)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14)와, 유압펌프(14)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16)과, 펌핑브래킷(16)을 동작시키는 레버(18)를 구비한다.
유압펌프(14)는 원통형의 실린더(14a)와, 실린더(14a) 내에 장착되어 실린더(14a) 내에서 승강하는 피스톤(14b)과, 피스톤(14b)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바아(14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펌핑브래킷(16)은 그 일측이 지지부(12)에 힌지(16a) 결합된 상태에서 바아(14c)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레버(18)는 펌핑브래킷(16)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가 레버(18)를 가압하면(하방으로 내리면), 힌지(16a) 결합된 펌핑브래킷(16)에 의해 바아(14c)가 가압되면서 피스톤(14b)을 하강시키고, 이어 실린더(14a) 내에 충전된 유압은 연결라인(60)을 통해 자키부(20)로 제공된다.
그러면 자키부(20)에서는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승의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 될 수록 유압의 양과 힘은 높아진다.
한편, 유압제공부(10)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자키부(20)는, 지지 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와, 하부영역이 베이스플레이트(21)에 지지되고 유압제공부(10)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26)와, 액추에이터(26)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30)와, 원통형 승강부(30)에 결합되고 원통형 승강부(30)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40)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1)는 자키부(20)를 지지면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도면과 같이 반드시 사각판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원형을 포함하여 기타의 다각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의 판면에는 다수의 관통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관통부(21a)는 지지면에 베이스플레이트(21)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구조물과 베이스플레이트(21)를 상호간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물론, 관통부(21a)는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원통형 보스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보스부(22) 내에는 연결보스(24)가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연결보스(24)는 베이스플레이트(21)와 액추에이터(26)를 상호간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보스(24)의 상면에는 액추에이터(26)가 결합되는 결합홈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보스부(22)의 측벽에는 절취부(22a)가 형성되어 연결라인(60)이 삽입된 다음에 액추에이터(26)로 향하는 통로로 활용된다. 한편, 원통형 보스부(22)의 내부에는 그 지름을 따라 편심바아(23)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편심바아(23)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보스(24)의 하면에는 바아삽입부(24b)가 형성되어 있다.
바아삽입부(24b)는 편심바아(23)와 거의 형상맞춤될 수 있는 정도의 부피로 형성된다.
이처럼 편심바아(23)에 바아삽입부(24b)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원통형 보스부(22)에 연결보스(24)가 결합되고, 이러한 연결보스(24)에 액추에이터(26) 및 원통형 승강부(30)가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틈새용 발판(40)에 부가되는 하중의 중심을 적절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20 톤 내지 30 톤 정도의 하중이 틈새용 발판(40)에 부가되더라도 거뜬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액추에이터(26)는 유압제공부(10)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실질적으로 승하강 동작하는 요소이다. 통상의 실린더 구조를 갖는다. 즉, 액추에이터(26)는 실린더본체(26a)와, 실린더본체(26a)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되면서 원통형 승강부(30)를 동작시키는 실린더로드(26b)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실린더본체(26a)의 내부에는 피스톤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실린더로드(26b)와의 사이에는 유압이 누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실(seal) 등이 개재된다. 도면부호 27은 실린더본체(26a)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부캡(27)의 실린더본체(26a)의 상부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원통형 승강부(30)는 그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되며, 실린더로드(26b)의 영역에 결합되어 실린더로드(26b)와 함께 승강한다.
원통형 승강부(30)의 상면은 수 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차폐되어 있으며, 원 통형 승강부(30)의 하부에는 링부재(32)가 결합되어 있다. 링부재(32)에 의해 틈새용 발판(40)이 원통형 승강부(30)에 결합된다.
틈새용 발판(4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틈새용 발판(40)은,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내부에 형성되고 원통형 승강부(30)의 하부가 삽입되게 결합되는 결합공(42)과, 몸체부(41)의 일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발판부(43)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발판부(43)가 작업 대상의 틈새(gap)에 끼워지는 부분이며, 발판부(43)가 틈새에 끼워진 상태에서, 액추에이터(26)에 의해 원통형 승강부(30)가 승강함으로써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원통형 승강부(30)에 대해 설명하면, 원통형 승강부(30)의 외면에는 원통형 승강부(30)가 승강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씩 형성된 복수의 핀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공(33)으로는 핀(34)이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의 틈새 잭에서, 원통형 승강부(30)의 승강 높이, 다시 말해 양정은 대략 400 밀리미터(mm) 이상이며, 적어도 20 톤 내지 30 톤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채로 원통형 승강부(30)와 틈새용 발판(40)이 상승된 상태에서, 이상 원인 등에 의해 제공되던 유압이 소실되면, 원통형 승강부(30)와 틈새용 발판(40)이 임의로 하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원통형 승강부(30)의 외면에 핀공(33)을 형성하고, 핀공(33)들의 적당한 위치에 핀(34)을 삽입함으로써, 유압이 소실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원통형 승강부(30)와 틈새용 발판(40)이 임의로 하강하더라도 핀(34)에 의해 그 하부의 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핀공(33)과 핀(34)은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원통형 승강부(30)의 외부에는 틈새용 발판(40)과 함께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30)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가이드(4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가이드(48)들은 원통형 승강부(30)의 안정적인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역할 외에도 자키부(20)를 들고 다닐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겸한다.
한편, 이러한 안내가이드(48)의 외측에는 탄성부재(50)가 더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재(50)의 상단(50a)은 안내가이드(48)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50b)은 연결보스(24)나 혹은 베이스플레이트(21) 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0)는 인장스프링으로 채용되는데,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틈새용 발판(40)과 함께 원통형 승강부(30)가 상승될 때, 팽창하였다가 자키부(20)로 제공되는 유압이 소실되면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원통형 승강부(30)가 도 1과 같이, 본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틈새 잭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 위치로 틈새 잭을 옮기고, 평평한 위치를 골라 유압제공부(10)와 자키부(20)를 배치한다. 그리고는, 상승시키고자 하는 중량물이나 혹은 이격시키고자 하는 틈새에 틈새용 발판(40)의 발판부(43)를 배치하거나 삽입시켜 작업 준비를 한다.
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작업자가 레버(18)를 가압한다. 그러면, 힌지(16a) 결합된 펌핑브래킷(16)에 의해 바아(14c)가 가압되면서 피스톤(14b)을 하강시키고, 이어 실린더(14a) 내에 충전된 유압은 연결라인(60)을 통해 자키부(20)로 제공된다.
자키부(20)에 유압이 제공되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액추에이터(26)가 동작한다. 즉, 실린더본체(26a)에 대해 실린더로드(26b)가 길이 연장되면서, 그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승강부(30)와 틈새용 발판(40)을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승시키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만일,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원하는 위치로 원통형 승강부(30)가 상승되고 나면, 적당한 위치의 핀공(33)으로 핀(34)을 삽입함으로써, 임의로 원통형 승강부(30)가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양정을 늘일 수 있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있어,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정격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틈새 잭이 동작되는 총 이동거리인 양정을 늘일 수 있고, 중량물을 견딜 수 있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있어, 중량물의 중력방향 축선에 대한 틈새 잭의 동작 축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정격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틈새 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원통형 보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보스부 내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연결보스가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되,
    상기 원통형 보스부의 내부에는 그 지름을 따라 편심바아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보스의 하면에는 상기 편심바아에 결합되는 바아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
  3.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틈새 잭에 있어서,
    상기 틈새용 발판은, 링부재에 의해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용 발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하부가 삽입되게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
  4.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틈새 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외면에는 상기 원통형 승강부가 승강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씩 복수의 핀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공들에는 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
  5.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에 마련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펌핑브래킷과, 상기 펌핑브래킷을 동작시키는 레버를 구비한 유압제공부;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상하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게 동작하되, 지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하부영역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지지되고 상기 유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승강하는 원통형 승강부와, 상기 원통형 승강부와 함께 승강하면서 중량물을 떠받치거나 틈새를 벌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틈새용 발판을 구비한 자키부; 상기 유압제공부와 상기 자키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틈새 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외부에는 상기 틈새용 발판과 함께 승강하는 상기 원통형 승강부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
  6. 제5항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안내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보스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승강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측으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잭.
KR1020060073738A 2006-08-04 2006-08-04 틈새 잭 KR100682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38A KR100682404B1 (ko) 2006-08-04 2006-08-04 틈새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738A KR100682404B1 (ko) 2006-08-04 2006-08-04 틈새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404B1 true KR100682404B1 (ko) 2007-02-16

Family

ID=381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738A KR100682404B1 (ko) 2006-08-04 2006-08-04 틈새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0Y1 (ko) * 2008-07-28 2011-01-12 한국철도공사 선로 보수용 저상형 유압잭
KR2020009510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에이스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유압잭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997A (ja) * 1995-01-18 1996-07-30 Chinshu Boku 油圧ジャッキの補助装置
JP2001163592A (ja) * 1999-12-13 2001-06-19 Kayaba Ind Co Ltd 油圧ジャッキ
KR20020037972A (ko) * 2000-11-16 2002-05-23 이구택 길이 및 각도 가변형 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997A (ja) * 1995-01-18 1996-07-30 Chinshu Boku 油圧ジャッキの補助装置
JP2001163592A (ja) * 1999-12-13 2001-06-19 Kayaba Ind Co Ltd 油圧ジャッキ
KR20020037972A (ko) * 2000-11-16 2002-05-23 이구택 길이 및 각도 가변형 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0Y1 (ko) * 2008-07-28 2011-01-12 한국철도공사 선로 보수용 저상형 유압잭
KR20200095101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에이스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유압잭 장치
KR102152345B1 (ko) 2019-01-31 2020-09-04 주식회사 에이스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유압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2534B1 (en) Cylinder apparatus for hydraulic lift jack with transmission
CN105517945A (zh) 用于使车辆上升和下降的升降装置
KR20120072587A (ko) 굴삭기의 카운터 웨이트 볼트 체결 장치
US6027102A (en) Hydraulic jack stand
KR100682404B1 (ko) 틈새 잭
CA2998248C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US6244390B1 (en) Inground lift
AU2017413555B2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JP2007326680A (ja) 伸縮装置
CN203112393U (zh) 一种工程机械支腿及具有该支腿的起重机
KR20120010504A (ko) 성형용 및 교정용 분말 프레스기
CN214301273U (zh) 一种桥梁高墩爬模提升装置
KR101542302B1 (ko) 회전방지 기능을 갖는 유압 토우-잭
CN112091873B (zh) 一种曲柄销螺丝拆装工具
CN216305421U (zh) 一种用于钢梁整体提升施工的混合支撑装置
CN219384625U (zh) 一种炉盖检修升降平台结构
CN220201316U (zh) 一种可倾式液压升降机用可拆卸防偏载装置
CN204607502U (zh) 三合一修理架
CN217951147U (zh) 伸缩臂架及作业机械
KR100579909B1 (ko) 유압식 리프트 잭의 유체 펌핑용 실린더 장치
CN203143999U (zh) 一种固定在淤泥里的千斤顶
KR101266508B1 (ko)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CN201610509U (zh) 多级液压缸起道拨道器
US11332350B2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JP2000198688A (ja) 油圧ジャ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