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99Y1 -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99Y1
KR920003799Y1 KR2019880008790U KR880008790U KR920003799Y1 KR 920003799 Y1 KR920003799 Y1 KR 920003799Y1 KR 2019880008790 U KR2019880008790 U KR 2019880008790U KR 880008790 U KR880008790 U KR 880008790U KR 920003799 Y1 KR920003799 Y1 KR 920003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ehicle
elevating device
moving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33U (ko
Inventor
구니미쯔 이와하시
Original Assignee
스기야스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기우라 야스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야스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기우라 야스나리 filed Critical 스기야스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91Asymmetric linkages, i.e. Y-configu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의 정면도.
제2도는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에 있어서의 이동승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3도는 이동승강장치의 차량받침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트 2,6 : 레일
3 : 이동승강장치 4, 8 : 이동로울러
5 : 지점로울러 7 : 고정승강장치
9 ; 지지축 10, 10a : 외측링크
11, 11a : 내측링크 12, 12a : 링크축
13, 13a : 차량받침대 14, 14a : 수직상승링크
15, 15a : 유압실린더 16, 16a : 피스톤로드
17 : 케리어 18 : 이동측유압유니트
19 : 이동모터 19a : 회전축에 부착된 스프로켓
20a, 20b, 20c, 20d : 지주 21 : 스프로켓
22 : 로울러체인 23 : 고정측유압유니트
24 : 와이어 25 : 전기코드
F : 바닥면
본 고안은 고정설치장소의 피트내에 설치되는 매설형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트내에 설치되는 차량승강장치로서, 하강시의 전체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링크신축기구를 갖추고서 얕은 피트내에서라도 수용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배치되는 2기 이상의 차량승강장치중 적어도 1기 이상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시키므로서 사용범위가 넓고 또한 조작성, 안전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매설형의 차량정비용 리프트에는 한쪽 피트형, 전체피트형등이 있고, 그중 전체피트형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0-72495호나 동 60-145194호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수직으로 입설된 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선단에 차량받침대를 설치한 승강장치에 의하여 승강동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는 반드시 실린더를 매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트의 깊이를 최저 2.5m정도 확보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피트굴설의 공사비나 리프트고정설치 공사비가 높아짐과 동시에 정비를 유지하기도 번거로왔었다.
또한 한쪽피트형의 것은 한쪽의 승강장치를 바닥면 밑에 매설고정시키기 때문에 배관등의 공사비가 비싸질 뿐아니라 배관이 파손 혹은 부식하면 오일이 누설되는 일이 생기고 실린더장치의 피스톤이 갑자기 하강하므로서 작업상의 위험성이 증대하여 그 수리도 매우 곤란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의 결점을 감안한 피트내에 배치하는 차량승강장치로서 하강시에 전체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평행링크 신축기구를 사용한 승강장치를 채용하므로서 피트깊이를 낮게함과 동시에 그 피트내에 2기 이상의 차량승강장치를 배치하고, 그중 적어도 1기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어떠한 길이의 차량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적어도 한쪽의 링크의 한단에 링크신축용 차륜을 추착하면서 이루어진 링크 신축기구를 평행으로 한쌍 배치하고, 각 링크 신축기구의 적어도 한쪽의 링크의 상단에 차량받침대를 가설함과 동시에 양쪽 링크 신축기구를 신축하여 상기 차량받침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를 설치하여서 평행링크 기구를 채용한 차량승강장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그 차량승강장치를 고정설치 장소의 피트내에 2기이상 배치하고 그중의 적어도 1기 이상에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과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구동기구와 차량승강장치의 이동 고정기구들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피트의 저면에 상기 링크 신축용 차륜과 상기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들이 재치되는 한쌍의 레일을 부설한다.
여기서 링크 신축기구라 함은 외측링크와 내측링크가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X형상 링크 신축기구에 대표되는 모든 링크 신축기구를 총칭하며, 한쪽의 링크 중앙에 다른쪽의 링크선단을 연결한 入형상 또는 人형상으로 한 것은 물론이지만 핀터그래프형도 포함하는 뜻이다. 또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과 링크 신축용 차륜을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겸용하여 구성된 장치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여기서 확인하여 둔다.
실린더 기구의 작동에 수반하여 한쌍의 링크 신축기구(이하 평행링크 신축기구라 함)에 있어서의 각 링크 신축기구의 링크신축용 차륜이 피트의 저면에 부설된 레일에 따라서 이동하고 평행링크 신축기구가 신축하여 차량받침대가 승강한다.
한편 피트내에 배치된 2기 이상의 차량승강장치중 적어도 1기 이상의 차량승강장치에는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이하 이동용 차륜 이라함)과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구동기구(이하 이동용 구동기굴라함)와 차량승강장치의 이동 고정기구(이하 이동 고정기구라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기구에 의한 차량받침대의 승강작동에 덧붙여 이동용 구동기구의 작용에 의하여 차량승강장치가 레일위를 이동하고, 이동 고정기구에 의하여 정지된 장소에서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동용 차륜을 상기 링크 신축기구의 지점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당해 이동용 차륜이 링크신축기구의 지점을 겸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바닥면 F의 아래쪽에 형성된 피트이며, 피트(1)의 저면의 길이방향에서의 한쪽편 절반에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레일(2, 2)이 설치되어 그 레일(2, 2)위에는 이동이 가능한 차량승강장치로서의 이동승강장치(3)가 이동 및 정지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 비트(1)저면의 다른측에도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레일(6, 6)이 설치되어 그 레일(6, 6)위에는 이동하지 않는 차량승강장치로서의 고정승강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승강장치(3)는 외측링크(10, 10)의 중앙부와 내측링크(11, 11)의 선단부를 링크축(12, 12)에서 연결하므로서 한쌍의 入형상링크기구(평행링크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외측링크(10, 10)의 하단에는 링크신축용차륜과 이동용차륜을 겸용한 이동로울러(4, 4)가 축착되어 있으며, 내측링크(11, 11)의 기단에는 이동용차륜으로서의 지점로울러(5, 5)가 추착되어 있다. 외측링크(10, 10)의 선단 부에는 양쪽 링크에 걸쳐 차량받침대(13)가 가설되어 있고, 또 상기 내측링크(11, 11)의 내측에 설치된 수직상승링크(14, 14)의 선단부가 받침대(13)의 하부에 축착되는 것과 동시에 수직상승링크(14, 14)의 기단부가 내측링크(11, 11)의 링크축(12, 12) 위치부근에 축착되어 있다.
수직상승링크(14, 14)의 내측에는 유압실린더(15, 15)가 병설되며, 그 저부는 내측링크(11, 11)기단의 지점로울러(5, 5)윗쪽에 축착되어 유압실린더(15, 15)에 내설된 각 피스톤로드(16, 16)의 헤드부가 외측링크(10, 10)의 링크축(12, 12)의 비스듬한 위쪽 위치에 축착되어 있다.
지점로울러(5, 5)의 축(도시않됨)에는 케리어(17)가 연결되어 그 상부에 유압유니트(18)가 재설(載設)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 이동모터(19)가 부착되고 레일(2)의 한쪽끝에 설치된 지주(20a)에서 상기 이동모터(19)의 회전축(도시않됨)에 부착된 스프로켓(19a)에 로울러체인(22)이 돌출설치되고 그 로울러체인(22)인, 상기 스프로켓(21)에 재차 걸리고, 레일(2)의 타단에 설치된 지주(20b)에 결합되어 이동용구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당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용구동기구로서 로울러체인(22)과 모터(19)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모터(19)가 정지하면 그 회전축에 부착된 스프로켓(19a)도 정지하며 따라서 그 스프로켓(19a)에 돌출설치된 로울러체인(22)이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용 승강장치(3)도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고정기구는 이들의 이동용 구동기구에 의하여 대용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 승강장치(7)는 상기 이동 승장장치(3)로부터 케리어(17), 이동모터(19), 스프로켓(21) 및 로울러 체인(22) 등의 이동 관련장치와 지점로울러(5, 5)를 제외한 구성과 동일하지만 다짐하기 위하여 그 구성을 상술한다.
즉, 고정 승강장치(7)는 외측링크(10a, 10a)와 내측링크(11a, 11a)가 링크축(12a, 12a)에 의하여 연결되어 외측링크(10a, 10a)의 하단에는 링크 신축용 차륜으로서의 이동로울로(8, 8)가 또 선단부에는 양쪽링크에 걸쳐서 차량받침대(13a)가 가설되어 있다. 이 이동로울러(8, 8)는 한쌍의 레일(6, 6)위를 이동하고, 링크의 신축을 행하는 것이며, 그때의 지점이 되는 지지축(9)이 상기 레일(6, 6)위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상승링크(14a, 14a)의 선단부는 차량받침대(13a)의 하부에 축착되며, 또 수직상승링크(14a, 14a)의 기단부는 내측링크(11a, 11a)의 링크축(12a, 12a)위치부근에 축착되어 있다. 수직링크(14a, 14a)의 내측에는 유압실린더(15a, 15a)가 변설되어 그 저부는 내측링크(11a, 1a)기단의 지지축(9) 윗쪽에 축착되고, 피스톤로드(16a, 16a)의 헤드부가 외측링크(10a, 10a)의 링크축(12a, 12a)의 비스듬한 윗쪽위치에 축착되어 있다.
레일(2)과 레일(6) 사이에는 고정측 유압유니트(23)가 설치되고, 전원(도시않됨)으로부터의 배선에 따라 송전을 받아서 고정승강장치(7)에 작동유를 보냄과 동시에 고정측유압니트(23)의 오른쪽(제1도)에 설치된 지주(20c)와 이동승강장치(3)측의 피트 끝에 설치된 지주(20d)와의 사이에는 와이어(24)가 돌출설치되고, 그 와이어(24)에는 전기코드(25)가 매달려서 이동측유압유니트(18)에 접속되며 그 송전에 따라 이동측유압유니트(18)가 작동하고 이동승강장치(3)에 작동유가 이송된다.
양 승강장치의 동기작동은 각각의 유압유니트(18, 23)의 구동모터(도시않됨)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므로서 이루어진다.
피트(1)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접동 가능한 피트커버(도시않됨)가 설치되며 이동승강장치(3)의 이동시에는 그 피트커버가 이동승강장치의 차량받침대(13)에 추종하여 좌우로 이동한다.
이동승강장치(3)의 승강동에 있어서는 이동모터(19)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회전축이 제동되며, 그 회전축에 부착된 스프로켓(19a)이 정지하고, 그 스프로켓(19a)에 돌출설치된 로울러체인(22)이 고정됨과 동시에 이 로울러체인(22)에 감합되어있는 스프로켓(21)도 고정되기 때문에 이 스프로켓(21)과 일체의 케리어(17)가 정지 또는 고정상태로 되므로 지점로울러(5, 5)가 정지 또는 고정되고 지점로울러(5, 5)가 리프트승강동의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이동고정기구로서는 상기 이외의 지점로울러(5, 5) 또는 지점로울러(5, 5)의 축을 혹등으로 고정하여도 되지만 적어도 하나의 이동용차륜을 고정시키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고정승강장치(7)의 승강동에 있어서는 레일(6, 6)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9)이 리프트승강동의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유압유니트(18)로부터 유압실린더(15)에 유압을 보내면 피스톤로드(16)의 신장(伸張)에 의하여 내측링크(11, 11)가 지점로울러(5, 5)축의 둘레에 좌회전함과 동시에 외측링크(10, 10)를 비스듬한 위쪽방향으로 밀어올리고, 그에 따라서 외측링크(10, 10)의 기부에 축착된 이동로울러(4, 4)가 링크신축용 차륜으로서 레일(2, 2)에 따라 지점로울러(5, 5)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측링크(10, 10)와 내측링크(11, 11)가 일어서서 받침대(13)를 지점로울러(5, 5)의 축의 연직선상(鉛直線上)으로 밀어 올리고, 이때 수직상승링크(14, 14)의 작용에 따라 받침대(13)는 항상 수평이 유지된다. (제3도 참조).
하강시는 상승시와 반대로 작용하며 하강최종기에 있어서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받침대(13)이외의 외측링크(10, 10), 내측링크(11, 11), 수직상승링크(14, 14) 및 실린더(15, 15), 피스톤로드(16, 16)등은 모두 피트내에 수용된다.
고정승강장치(7)의 승강작동기능은 상기 이동승강자치(3)와 거의 같으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이동승강장치의 이동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동모터(19)의 회전에 따라 스프로켓(21)이 로울러체인(22)을 끌어당기어 케리어(17)와 일체의 이동로울러(4, 4) 및 지점로울러(5, 5)가 이동용차륜으로서 레일(2, 2)에 따라서 이동하므로 이동승강장치(3)가 고정승강장치(7)방향으로 전진하며, 이동모터(19)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이동승강장치(3)는 바람직한 위치에 정지한다. 이동모터(19)를 역회전시키면 이동승강장치(3) 및 케리어(17)는 원래의 방향으로 후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入형상링크의 한쪽편의 링크하단에 링크신축용차륜을 추착하고 있으나, 양 링크의 하단에 링크신축용차륜을 추착할 수도 있다. 또 평행 링크신축기구의 한쪽의 링크상단에 차량받침대를 가설하고 있으나 X형상 평행링크신축기구의 양 링크상단 즉, 4링크상단에 걸쳐서 차량받침대를 가설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승강장치를 1기 설치하고 있으나 2기이상의 이동승강장치를 배치하여 특수차량용의 리프트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한쌍의 차량승강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나 한쪽편의 차량승강장치만을 한쪽 상승의 리프트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평행링크신축기구는 하중의 크기, 상승시의 차량받침대 전체높이등의 조건에 따라서 X형성, 入형상, 人형상 및 판타그래프형등의 각종 링크의 조합이나 링크길이, 실린더의 크기 및 그 부착위치등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는 평행링크신축기구와 차량받침대를 승강동 시키는 실린더기구로서 이루어진 차량승강장치이므로 하강시의 전체높이가 낮아지고 리프트를 수용하는 피트의 깊이를 종래피트의 1/3정도까지 얕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피트굴설의 공사비 및 리프트고정설치공사비의 절감, 정비유지의 용이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전체 승강장치를 동일 피트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바닥면 밑의 배관등을 할 필요가 없고 공사비의 절약배관파손에 의한 사고발생의 위험방지 및 정비유지의 용이화가 기대될 뿐 아니라 적어도 1기 이상의 승강장치가 피트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길이에 관계없이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는등 차량정비상의 실익은 큰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한쪽의 링크(10, 10a) 하단에 링크신축용 차륜(4, 8)을 추착시켜 이루어지는 신축기구(3, 7)를 평행으로 한쌍 배치하고, 각 링크 신축기구(3, 7)의 적어도 한쪽의 링크 상단에 차량받침대(13, 13a)를 가설시킴과 동시에 양 링크 신축기구(3, 7)를 신축시켜 상기 차량받침대(13, 13a)를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15, 15a)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차량승강장치를 고정 설치장소의 피트(1)내에 2기이상 배치하되 그중의 적어도 1기 이상에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4, 5)과,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구동기구(22, 19)와 차량승강장치의 이동 고정기구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피트의 전면에 상기 링크 신축용 차륜(4, 8)과 상기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5)이 재치되는 한쌍의 레일(2, 6)을 부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매설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 신축기구(3, 7)는 외축링크(10, 10a)와 내측링크(11, 11a)가 X형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매설리프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승강장치의 이동용 차륜(4, 5)의 적어도 2개는 상기 링크신축용차륜(4)과 겸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매설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1)가 상기 차량승강장치를 완전히 피트(1)내에 매몰시키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매설리프트.
KR2019880008790U 1987-07-10 1988-06-08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KR92000379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06538 1987-07-10
JP1987106538U JPH0450310Y2 (ko) 1987-07-10 198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33U KR890002733U (ko) 1989-04-08
KR920003799Y1 true KR920003799Y1 (ko) 1992-06-10

Family

ID=1443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790U KR920003799Y1 (ko) 1987-07-10 1988-06-08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86145A (ko)
JP (1) JPH0450310Y2 (ko)
KR (1) KR9200037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05B1 (ko) * 2000-09-14 200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밀 제어용 자유 링크장치
CA2875383C (en) 2004-05-17 2016-08-02 Stertil B.V. Device and system for lifting a motor vehicle
JP2006021858A (ja) * 2004-07-07 2006-01-26 Daifuku Co Ltd 昇降搬送装置
US20150224967A1 (en) * 2014-02-12 2015-08-13 Rodney Lee Rensink Trailer Jack
EP3138807A1 (de) * 2015-09-04 2017-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Hubvorrichtung
JP6579599B1 (ja) * 2019-04-25 2019-09-25 株式会社ヤスヰ 車両用リ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90682A (fr) * 1930-02-26 1930-09-24 Dispositif perfectionné pour soulever les véhicules et particulièrement les voitures automobiles
US2576158A (en) * 1946-11-22 1951-11-27 Walco Inc Hoisting apparatus
FR1123199A (fr) * 1954-05-08 1956-09-18 Plateau élév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56492U (ko) 1989-04-07
JPH0450310Y2 (ko) 1992-11-26
US4886145A (en) 1989-12-12
KR890002733U (ko) 198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9887B1 (en)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CN214570555U (zh) 一种可伸缩扩展作业平台的升降机
CN205500624U (zh) 一种矿用折叠臂式随车吊平板车
KR920003799Y1 (ko) 차량정비용 매설형리프트
KR20010040011A (ko) 크레인 등의 다리용 유니버설 트래버스 어셈블리
KR860001274A (ko) 캔틸레버형 시추용 구조물(Canti ever Drillinq Structure)
CN110552262A (zh) 铺轨机
US5129483A (en) Hoist for motor vehicles
KR960031743A (ko)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KR200345342Y1 (ko)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KR100488467B1 (ko)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의 승강회전장치
JPH0423912Y2 (ko)
CN215364777U (zh) 用于机电设备检修的升降装置
CN219344619U (zh) 移动式钻机平台
CN217173214U (zh) 一种可移动的多功能带电作业的升降平台
CN215482321U (zh) 桥梁雨水管施工车
CN218998006U (zh) 一种离网型阀室
CN220449740U (zh) 一种维修电力工程车
RU94963U1 (ru) Подъемник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
JPH043087Y2 (ko)
GB2106464A (en) Motive power unit
SU1379220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KR200230789Y1 (ko) 고소작업차의 붐인출장치
SU1511363A1 (ru) Лестница дл обслуживани рабочих платфор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