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68B1 -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 Google Patents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68B1
KR970004868B1 KR1019900008742A KR900008742A KR970004868B1 KR 970004868 B1 KR970004868 B1 KR 970004868B1 KR 1019900008742 A KR1019900008742 A KR 1019900008742A KR 900008742 A KR900008742 A KR 900008742A KR 970004868 B1 KR970004868 B1 KR 97000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ip
coin
tool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124A (ko
Inventor
마사아기 나까야마
마사유기 오오가와
게이이찌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111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048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77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plate-like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ly on the chip-forming plane and at the same time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2274Apertured tool
    • Y10T407/2276Apertured tool with means projecting through aperture to force tool laterally against reaction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10T407/228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including tool holding clamp and clamp actuator
    • Y10T407/2286Resiliently biased clamp j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드로우어웨이 팁을 공구홀더에 고정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클램프코인(clamp quoin)을 공구홀더 윗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클램프코인의 평면도.
제4도는 클램프코인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드로우어웨이 팁과 클램프코인의 결합상태를 가상적으로 표시하는 도면.
제7도 내지 제10도는 클램프코인을 사용하여 드로우어웨이 팁을 공구홀더에 고정하는 방법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1도 및 제12도는 클램프코인이 공구홀더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서 클램프코인의 슬라이드면과 공구홀더의 경사면이 선접촉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3도는 드로우어웨이 팁을 공구홀더에 고정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4도는 클램프코인의 정면 단면도.
제15도는 클램프코인의 평면도이다.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종래의 클램프기구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공구홀더 19a : 공구홀더의 윗면
19b : 공구홀더의 경사면 19d : 공구홀더의 정지벽
20 : 팁 부착시이트 20a : 팁 부착시이트의 저면
20b : 팁 부착시이트의 측면 21 : 팁(드로우어웨이 팁)
24a : 나사구멍부 25 : 클램프코인
25a : 클램프나사 관통구멍 27 : 클램프코인의 돌기
29 : 클램프코인의 결합부 29a : 클램프코인의 슬립면
29b : 클램프코인의 정지벽 30 : 클램프나사
31 : 코일스프링(탄성부재) O1: 클램프코인의 스포트페이싱구멍의 축심
O2: 클래프나사구멍의 축심 O3: 공구홀더의 스포트페이싱구멍의 축심
본 발명은, 클램프코인을 사용하여 드로우어웨이 팁을 공구홀더에 고정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에 관한 것이다.
공구홀더의 선단부에 드로우어웨이 팁을 고정하여 절삭적업을 행하는 절삭공구 중에, 제16도에 표시되듯이, 드로우어웨이 팁(이하, 팁이라 약칭한다)(1)을 편심핀(2)과 클램프코인(3)에 의하여 공구홀더(4)에 고정하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즉, 공구홀더(4)의 선단각부가 노치되어서 저면(5a)과 측면(5b)을가진 팁 주착시이트(5)가 형성되고, 이 저면(5a)에 시이트 고정용 나사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6)에 상부에 편심핀(2)이 설치된 나사(2a)가 체결되어서 시이트(7)가 고착되고, 이 시이트(7)위에 팁(1)이 배치된다. 한편, 팁 부착시이트(5)로부터 기단쪽의 공구홀더(4)에 나사구멍(4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클램프코인(3)에는 상기 한 공구홀더(4)의 나사구멍(4a)과 반대방향의 나사구멍(3a)이 형성되고, 이들 나사구멍(3a)(4a)에 역나사기구를 보유하는 클램프나사(8)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팁(1)의 부착구멍(1a)내에 있어서의 편심핀(2)을 회전시켜서, 그 돌출부(2b)에 의해 부착구멍(1a)의 내주면을 팁 부착시이트(5)의 측면(5b)방향으로 밀어준다. 또, 클램프나사(8)를 나사구멍(3a)(4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팁 부착시이트(5)의 기단쪽에 배치된 클램프코인(3)을 하강시키고, 클램프코인(3)의 선단부에 형성된 누름면(26)으로 팁(1)의 윗면을 팁 부착시이트(5)의 저면(5a)방향으로 눌러주므로써, 팁(1)을 팁 부착시이트(5)에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클램프기구는, 편심핀(2)과 클램프코인(3)에 의한 2단계 조작으로 팁(1)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팁(1)을 부착할 때에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여 조작성이 나쁘고, 또, 부품의 수량이 많기 때문에 부품관리에도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한 과제를 개선한 팁의 클램프기구로서,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공구홀더(9)의 팁 부착시이트(10)로부터 기단쪽에 나사부(11a)를 보유하는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이 시이트 고정용 나사구멍(12)의 축심에 대하여 θ'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의 상부에, 나사부(11a)보다 직경이 큰 스포트페이싱구멍(spot facing)(11b)이 형성되고, 이 스포트페이싱구멍(11b)속에 단면이 형상으로 굴곡된 클램프코인(13)의 단변부(13a)가 삽입되어 있다. 클램프코인(13)의 장변부(13b)의 선단에는 곡면현상으로 형성된 누름부(14) 및 그의 기단쪽의 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클램프코인(13)의 단변부(13a)에는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을 향하는 위치에 볼트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구멍(16)과 이 볼트구멍(16)과 역방향의 나사가 형성된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의 나사부(11a)에 역나사기구를 보유한 클램프나사(17)를 체결시키므로써, 클램프코인(13)이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팁(18)은 누름부(14)에 의하여 저면(10a)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며, 또, 돌기(15)에 의하여 부착구멍(15a)의 내주면을 밀게 되고 측면(10d)을 향하여 밀어주게 되어, 팁 부착시이트(10)이 고정된다.
상기한 종래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팁(18)이 클램프코인(13)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의 윗면과 측면을 부착시이트(10)에 밀어주게 되어, 공구홀더(9)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클램프코인(13)의 선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4) 및 돌기(15)의 각부는 초결합금 등의 팁(18)을 적은 접촉면적으로 압압하고 있으므로, 이 절삭공구를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접촉부분이 마모되고 고정상태가 이완되어서, 더 큰 체결력이 필요하게 되고, 결국에는, 클램프코인(13) 자체가 사용불가능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클램프코인(13)의 누름부(14) 및 돌기(15)가 팁(18)에 부여할 수 있는 최적의 체결력은,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의 축심과 시이트 고정용 나사구멍(12)이 이루는 각도(θ')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클램프 고정용 구멍(11)을 정밀도 높게 가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하여, 공구 전체로서의 제품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한 요인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클램프기구가 보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는, 공구홀더의 선단부 윗면에 팁 부착시이트가 형성되고, 누름수단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을 밀어서 드로우어웨이 팁을 팁 부착시이트의 저면 및 측면으로 밀어 붙여서 고정하도록 한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공구홀더의 윗면에는 팁 부착시이트로부터 공구홀더의 기단 쪽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아랫면쪽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클램프코인의 아랫면에는 기단쪽에 상기한 공구홀더의 경사면과 맞닿는 슬라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누름수단은 공구홀더의 경사면과 팁 부착시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된 나사부를 보유하는 클램프 고정용 나사구멍 및 클램프코인을 관통하고, 또, 클램프 고정용 관통구멍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클램프 고정용 볼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 기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클램프 고정용 볼트를 클램프 고정용 관통구멍의 나사부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공구홀더에 부착되어 있는 클램프코인과 공구홀더와의 사이에는 클램프 고정용 볼트 근방에 양자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클램프코인과 공구홀더와의 사이에는 양자의 소정범위 이상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정지벽(停止壁)이 형성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클램프코인과 공구홀더와의 사이에는, 클램프코인의 팁 부착시이트를 향해서 소정범위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지벽이 형성됨과 아울러, 클램프코인을 공구홀더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또, 팁 부착시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누름수단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을 눌러주면, 크램프코인이 하강함에 따라 클램프코인의 슬라이드면과 공구홀더의 경사면이 서로 결합되고, 클램프코인은 공구홀더에 대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은, 팁을 팁 부착시이트의 저면 및 측면의 쌍방을 향하여 밀어주게 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클램프나사를 공구홀더의 클램프 고정구멍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클램프코인이 아래쪽으로 밀려서 이동하고, 이 클램프코인의 이동에 의하여 팁은 팁 부착시이트의 저면 및 측면의 쌍방을 향하여 밀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팁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클램프나사가 이완되어 있을 때에는,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하여 클ㄹ매프코인이 윗쪽으로 밀려지게 되어, 클램프나사의 두부와 탄성부재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으므로, 상하좌우의 회진동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클램프나사가 이완되어 있을 때에는, 클램프코인과 공구홀더와의 사이의 정지벽의 접촉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의 소정범위 이상의 횡진동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에 의하면, 클램프나사가 이완되어 있을 때에, 탄성부재가 클램프코인을 비스듬이 누르므로, 공구홀더와의 사이의 정지벽이 접촉되어 클램프코인의 진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또, 클램프코인이 드로우어웨이 팁을 밀어줄 때에, 탄성부재가 클램프코인을 팁 부착시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고 있으므로, 공구홀더의 경사면과 클램프코인의 슬라이드면과의 결합상태는 충분히 유지된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공구홀더(19)의 윗면(19a)의 선단쪽(이하, 도면중에서 왼쪽을 선단쪽, 오른쪽을 기단쪽이라 일컬음)의 각부(角部)에는, 저면(20a)과 측면(20b)으로 되는 팁 부착시이트(20)가 노치되어 형성되고, 이 팁 부착시이트(20)에, 시이트(22)를 개재하여 부착구멍(21a)을 보유하는 판형상의 팁(21)이 배치되어 있다.
팁 부착시이트(20)의 저면(20a)에는 이 면과 수직인 시이트고정용 나사구멍(20c)이 형성되고, 시이트(22)에는 그 중앙의 상단부가 테이퍼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된 관통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22)는, 두부가 원추형상으로 된 나사부재(23)를 관통구멍(22a)을 통과시켜서 시이트고정용 나사구멍(20c)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부착시이트(2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공구홀더(19)의 팁 부착시이트(20)로부터 기단쪽의 윗면(19a)에는, 팁 부착시이트(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아랫면 쪽으로 향하는 경사면(19b)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19b)은 시이트고정용 나사구멍(20c)의 축심에 대하여 예각인 각도(θ)를 보유하고 있다. 또, 이 경사면(19b)으로부터 기단쪽으로 연속하여 오목부(19c)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9c)에는 시이트나사구멍(20c)의 축심에 평행한 정지벽(19d)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홀더(19)의 경사면(19b)과 팁 부착시이트(20)와의 사이에는 나사부(24a)를 보유한 클램프 고정용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클램프 고정용 구멍(24)의 상부에는 보다 직경이 큰 소포트페이싱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홀더(19)의 윗면(29a)에는, 클램프코인(25)이 배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코인(25)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측면에서 보아 L자형성, 평면에서 보다 선단이 예각인 장방형 형상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램프코인(25)의 대략 중앙부에는 클램프코인(2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진 클램프나사 관통구멍(2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클램프나사 관통구멍(25a)의 하부에는, 상기한 공구홀더의 스포트페이싱구멍(24b)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하듯이, 스포트페이싱구멍(25b)의 축심(O1) 위치는 클램프나사 관통구멍(25a)의 축심(O2)의 위치보다 기단쪽으로 Lo의 거리만큼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코인(25)의 선단아랫면은, 팁(21)의 윗면에 맞닿는 누름면(26)으로 되고, 이 누름면(26)으로부터 기단쪽으로는 돌기(2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7)의 기단측면은, 제3도에 표시하듯이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의 블록면(27a)으로 되어 있다. 클램프코인(25)의 돌기(27)에 연속되는 아랫면(28)은 누름면(26)보다 제1도에 있어서의 윗쪽에 위치되어 있다.
클램프코인(25)의 기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29)가 형성되고, 이 각부의 안쪽은, 공구홀더(19)의 경사면(19b)과 대응하는 경사각도를 가진 슬라이드면(29b)에, 또, 공구홀더(19)의 상기한 경사면(19b)에 연속되는 내면은 아랫면(28)에 직교하는 정지벽(29b)으로 되어 있다.
클램프코인(25)은, 클램프나사(30)를 클램프나사 관통구멍(25a)의 윗쪽으로부터 헐겁게 끼워서 나사부(24a)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구홀더(19)에 부착되어 있다. 이 클램프나사(30)의 주위에는, 스포트페이싱구멍(24b)(25b)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 코일스프링(탄성부재)(31)이 그 양단을 스포트페이싱구멍(24b)(25b)에 삽입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클램프나사(30)를 이완시킨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31)의 스프링장력에 의하여 클램프코인(25)은 공구홀더(19)의 윗면(19a)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클램프코인(25)은 상하로부터 글램프나사(30)의 두부(30a)와 코일스프링(31)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이때, 정지벽(29b),(19d)끼리의 접촉에 의하여 클램프코인(25)은 선단쪽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클램프코일(25)의 스포트페이싱구멍(25b)의 축심(O1)이 공구홀더(19)의 스포트페이싱구멍(24b)의 축심(O3)으로부터 기단쪽으로 L1만큼 어긋나게 축심(O1)과 정지벽(29b)의 거리(ℓ) 및 축심(O3)과 정지벽(19d)의 거리(m)가 설정되어 있다. 또, 돌기(27)의 위치는, 제2도의 상태에서, 팁 부착시이트(20)에 배치된 팁(21)의 부착구멍(21a)을 향하는 일정한 윗쪽 위치에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클램프코인(25)의 스포트페이싱구멍(25b)의 축심(O1)이 공구홀더(19)의 스포트페이싱구멍(24b)의 축심(O3)으로부터 기단쪽으로 (L1)만큼 어긋나 있으므로, 코일스프링(31)은 윗쪽으로 향함에 따라 기단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이들의 복원력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은 선단쪽으로 밀려지고 있다. 따라서, 정지벽(29b)(19d)은 항상 접촉되어 있으므로, 클램프코인(25)의 횡진동이 방지되고 있다.
다음에, 클램프코인(25)이 팁(21)을 밀어서 고정하는 순서를, 제7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통상, 팁(21)을 교환하는 작업만으로 끝나므로, 클램프코인(25)을 이 이상 윗쪽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따라서, 제2도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클램프나사(30)가 그 이상 이완되지 않도록 회전방지물을 설치하여 된다.
먼저, 제7도의 상태로부터 클램프나사(30)를 체결하여 클램프코인(25)을 늘어뜨린다. 그때, 축심(O1)(O3)끼리가 L1거리만큼 어긋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31)에 의하여 클램프코인(25)은 선단쪽으로 밀려지고 있으며, 정지벽(29b)(19d)끼리의 접촉도 계속되고 있다. 또, 클램프코인(25)은, 클램프나사(30)의 두부(30a)와 코일스프링(31)에 의해 협지되어 있으므로, 클램프코인(25)이 클램프나사(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클램프코인(25)은 정지벽(29b)(19d)의 접촉에 의해 안내되면서 똑바로 하강하여, 클램프코인(25)의 돌기(27)가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하듯이 팁(21)의 윗면에 올라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부착구멍(21a)의 내부로 이동해 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클램프나사(30)를 더욱 죄어주면, 제8도에 표시하듯이, 정지벽(29b)(19d)과 연속된 슬라이드면(29a)과 경사면(19b)이 접촉되어 클램프코인(25)의 기단쪽으로 저항이 가해져서 기단쪽의 하강이 저지된다.
더욱, 클램프나사(30)를 죄어주면, 제9도에 표시하듯이, 선단쪽만 하강하여 클램프코인(25)이 기울어져, 슬라이드면(29a)과 경사면(19b)이 선접촉된 상태에서 클램프코인(25)의 누름면(26)이 팁(21)의 윗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나사(30)를 죄어주어 더욱 클램프코인(25)을 아랫쪽으로 밀어주면, 클램프코인(25)의 기단쪽이 경사면(19b)을 따라서 비스듬히 이동하여 면접촉으로 복귀하며, 정지벽(29a)(19d)이 떨어지게 되어, 돌기(27)가 부착구멍(21a)의 내벽에 서서히 근접함과 아울러, 축심(O1)(O3)의 거리도 크게 되고, 코일스프링(31)의 만곡도 더욱 크게 된다.
그리고,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슬라이드면(29a)과 경사면(19b)이 면접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코인(25)의 누름면(26)과 돌기(27)의 볼록면(27a)이 팁(20)의 윗면과 부착구멍(21a)의 내벽에 접촉되고, 이에 의하여, 팁(21)은 팁 부착시이트(20)의 저면(20a)으로 향하여 밀려지게 됨과 동시에 측면(20b)을 향하여 밀려지면서 고정된다.
상기한 경우는 클램프코인(25)의 치수가 팁(21)의 치수에 적합한 이상적인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팁(21)의 형식이 다른 경우에도, 본원의 클램프는 유효하다. 즉, 제11도는 팁(21)이 큰 경우 등에 야기되는 것으로, 클램프코인(25)의 아랫면이 공구홀더(19)의 윗면과 평행하게 되지 않고, 클램프코인(25)의 기단쪽이 상승되고, 그에 의하여 슬라이드면(29a)과 경사면(19b)의 상부가 서로 선접촉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만곡된 코일스프링(31)이 클램프코인(25)을 팁 부착시이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그 결합상태는 충분히 유지되어 팁(21)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제12도는 팁(21)이 작은 경우에 야기되는 것으로, 클램프코인(25)의 기단쪽이 내려가서 슬라이드면(29a)이 경사면(19b)의 하부에서 선접촉된 상태에 있어서도, 팁(21)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팁(21)을 공구홀더(19)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클램프나사(30)를 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반대의 과정이 진행된다. 즉, 클램프코인(25)은, 코일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하여 선단쪽 및 윗쪽을 향하여 밀려진 상태에서, 최초에는 경사면(19b)을 따라서 비스듬이 이동하여, 팁의 밀려져 있는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정지벽(291)(19d)끼리가 접촉하는 것에 따라서 윗쪽으로 이동하며, 슬립면(29)은 경사면(19b)으로부터 떨어져서 제2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이 해제과정에 있어서도, 클램프코인(25)이 클램프나사(30)의 두부(30a)와 코일스프링(31)에 의하여 상하로부터 협지되고, 또, 코일스프링(31)의 스프링장력에 의하여 정지벽(29b)(19d)끼리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클램프코인(25)이 항상 일정한 자세로 상승하여 조작성이 양호하다.
제2도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돌기(27)가 팁(21)의 윗쪽으로 되므로, 팁(21)은 옆쪽에서 집어낼 수 있어서, 팁(21)의 교환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프나사(30)에 의하여 클램프코인(25)을 아래쪽으로 밀어서 이동하고, 팁(21)을 팁 부착시이트(20)의 저면(20a) 및 측면(20b)에 밀어붙여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팁(21)에 대한 균일한 체결력을 가하여, 정상적인 절삭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더욱이, 코일스프링(31)이 클램프코인(25)가 공구홀더(19)와의 결합상태를 충분히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공구홀더와 같이 정밀도 높게 가공하지 않고도 그 제작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절삭공구의 제품단가를 내릴 수 있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 팁의 클램프기구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클램프기구는, 제1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한 클램프기구를 보다 간략화 한 것으로, 코일스프링(31)을 삽입하기 위한 스포트페이싱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코일스프링(27)은 단순히 클램프코인을 윗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것이다. 또는, 클램프코인(25)과 공구홀더(19)와의 사이에 정지벽(29b)(19d)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경우, 경사면(19b)과 슬라이드면(29a)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클램프코인(25)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클램프코인(25)이 클램프나사(30)의 회전에 의하여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코일스프링(31)과 클램프나사(30)의 두부(30a)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심하게 흔들리지 않게 되고, 클램프코인(25)이 윗쪽으로 이동을 계속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편한 것으로 되어, 공구 전체로서의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구홀더(19)의 경사면(19b)이 팁 부착시이트(20)의 저면(20a)의 법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를 30° 내지 60°의 범위가 도도록 형성하면, 클램프코인(25)은 균일한 체결력을 팁(21)에 부여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팁(21)의 형상은, 다각형, 원형 등 적당한 것이 사용되고, 팁 부착시이트(20)는 각각의 형상에 맞추어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누름수단에 의하여 클램프코인을 밀어주면, 클램프코인은 경사면과 슬라이드면의 면접촉에 의해 안내되어, 겅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드로우어웨이 팁을 팁 부착시이트의 저면 및 측면에 밀어붙여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의 누름수단에 의하여, 드로우어웨이 팁에 대한 균일한 체결력을 가하여 고정하여, 안정된 절삭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나사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긴밀한 고정이 되므로, 염가로 조작성이 우수한 클램프기구를 제공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코인은, 클램프나사의 두부와 코일스프링의 사이에 협지되므로, 클램프나사가 풀려 있을 때에는, 클램프코인이 나사의 두부에 붙어서 상승하여, 드로우어웨이 팁의 착탈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 횡방향으로의 진동도 경감되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며, 클램프코인과 공구홀더와의 사이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램프나사의 회전시에, 클램프코인이 일정한 폭 이상 동반회전하지 않고, 트로우어웨이 팁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나사가 플램프코인과 공구홀더 사이의 정지벽끼리를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므로, 클램프코인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클램프코인이 드로우어웨이 팁을 밀고 있을 때에, 탄성부재가 클램프코인을 팁 부착시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공구홀더의 경사면과 클램프코인의 슬라이드면과의 결합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공구홀더(19)의 선단부 윗면에 팁 부착시이트(20)가 형성되고, 누름수단에 의하여 클램프코인(25)을 밀어서 드로우어웨이 팁(21)을 팁 부착시이트(20)의 저면(20a) 및 측면(20b)으로 밀어붙여서 고정하도록 한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공구홀더(19)의 윗면에는 상기한 팁 부착시이트(20)로부터 공구홀더(19)의 기단쪽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아랫면쪽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19b)이 형성되고, 상기한 클램프코인(25)의 아랫면에는 기단쪽에 상기한 공구홀더의 경사면(19b)과 맞닿는 슬라이드면(29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누름수단은 공구홀더(19)의 경사면과 팁 부착시이트(20)와의 사이에 형성된 나사부를 보유하는 클램프 고정용 나사구멍 및 클램프코인(25)을 관통하고, 또, 클램프 고정용 관통구멍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클램프 볼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클램프 고정용 볼트를 클램프 고정용 관통구멍의 나사부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공구홀더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한 클램프코인(25)과 상기한 공구홀더(19)와의 사이에는 클램프 고정용 볼트 근방에 양자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프코인(25)과 상기한 공구홀더(19)와의 사이에는 양자의 소정범위 이상의 상대회전을 저지하는 정지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프코인(25)과 상기한 공구홀더(19)와의 사이에는, 클램프코인(25)의 팁 부착시이트(20)를 향해서 소정범위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지벽이 형성됨과 아울러, 클램프코인을 공구홀더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또, 팁 부착시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KR1019900008742A 1989-06-15 1990-06-14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KR970004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9970 1989-06-15
JP6997089 1989-06-15
JP2101228A JP2701514B2 (ja) 1989-06-15 1990-04-17 スローアウエ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2-101228 1990-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24A KR910018124A (ko) 1991-11-30
KR970004868B1 true KR970004868B1 (ko) 1997-04-08

Family

ID=2641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742A KR970004868B1 (ko) 1989-06-15 1990-06-14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00268A (ko)
EP (1) EP0402934B2 (ko)
JP (1) JP2701514B2 (ko)
KR (1) KR970004868B1 (ko)
DE (1) DE6901727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4314C2 (sv) * 1992-04-28 1997-01-13 Sandvik Ab Skärförsett verktyg för avstickning eller liknande svarvningsoperationer samt underläggselement för skär till dylika verktyg
DE4220548A1 (de) * 1992-06-24 1994-01-13 Cerasiv Gmbh Schneidwerkzeug zum Einstechen, Abstechen oder Gewindeschneiden
US5322395A (en) * 1992-12-09 1994-06-21 Cole Larry M Datum point form tool
US5536120A (en) * 1994-05-11 1996-07-16 Miller; Arthur W. Turning tool holder having rotatably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
SE508666C2 (sv) * 1994-05-27 1998-10-26 Sandvik Ab Skärhållare för vändskärsplattor
DE19524945A1 (de) * 1995-07-08 1997-01-09 Cerasiv Gmbh Spanabhebendes Schneidwerkzeug
SE511759C2 (sv) * 1996-12-09 1999-11-22 Sandvik Ab Skärhållare för vändskärsplattor
SE514249C2 (sv) * 1997-09-10 2001-01-29 Seco Tools Ab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IL124496A (en) * 1998-05-14 2003-05-29 Iscar Ltd Tool holder
SE513952C2 (sv) * 1998-05-29 2000-12-04 Seco Tools Ab Verktyg för skärande bearbetning
DE19943632A1 (de) * 1999-09-11 2001-04-05 Afos Geraete Herstellungs Und Werkzeughalter für Schneideinsätze
DE19949743C1 (de) * 1999-10-15 2001-03-22 Hollfelder Hans Peter Zerspanungs-Werkzeug für die Hochgeschwindigkeitsbearbeitung
US6457914B1 (en) 2000-08-24 2002-10-01 Kennametal Inc. Clamping tool holder
DE10113633B4 (de) * 2001-03-21 2006-04-13 Jakob Lach Gmbh & Co. Kg Profil-Drehwerkzeug
EP1402894B1 (en) * 2001-05-21 2007-12-26 Kimiko Murofushi Cancerous metastasis inhibitors containing carbacyclic phosphatidic acid derivatives
DE10208266A1 (de) 2001-07-26 2003-02-13 Ceram Tec Ag Innovative Cerami Spanabhebendes Schneidwerkzeug und Schneidplatte in Donut-Form
US7073986B2 (en) 2001-11-08 2006-07-11 Kennametal Inc. Dimpled insert with retaining clamp
KR100471466B1 (ko) * 2002-04-02 2005-03-08 한국야금 주식회사 이면구속형 클램핑 기구
SE525875C2 (sv) * 2002-11-13 2005-05-17 Sandvik Ab Skär för skärverktyg med upphöjd övergångsyta
EP1621281A1 (fr) * 2004-07-30 2006-02-01 Rollomatic S.A. Dispositif de serrage d'une plaquette d'outil dans une machine d'affûtage
KR100721900B1 (ko) 2006-05-15 2007-05-28 한국야금 주식회사 래치 클램핑 구조를 갖는 밀링커터
US7547163B2 (en) 2007-07-16 2009-06-16 Kennametal Inc. Clamping tool holder
US8491230B2 (en) * 2007-08-10 2013-07-23 Taegutec, Ltd. Clamping device for a cutting insert
DE112008002324B4 (de) * 2007-08-30 2017-11-02 Kyocera Corporation Schneidwerkzeug und Schneidverfahren
DE202008014399U1 (de) * 2008-10-23 2010-04-15 Kemmer Hartmetallwerkzeuge Gmbh Trägerwerkzeug für eine Schneidplatte mit zwei Schneiden
US8057131B2 (en) 2009-01-17 2011-11-15 Kennametal Inc. Clamping tool holder
IL199285A (en) 2009-06-11 2012-12-31 Iscar Ltd Shima and cutting tools for her
CN101602112B (zh) * 2009-06-29 2010-12-01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用于可转位刀片的固定刀夹
KR101075292B1 (ko) * 2010-01-14 2011-10-20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공구
IL206537A (en) 2010-06-22 2013-04-30 Iscar Ltd Cutting tool with cooling mechanism
KR20130094815A (ko) * 2010-08-04 2013-08-26 세람테크 게엠베하 절단 공구 및 절단 인서트
PL2771142T3 (pl) * 2011-10-26 2017-01-31 Ceramtec Gmbh Układ narzędziowy
EP2703104B1 (en) * 2012-08-29 2015-07-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Holder assembly for a cutting tool insert
US20140356085A1 (en) * 2013-05-30 2014-12-04 Eines Canela S.A. Multi-Clamp Insert and Toolholder Assembly
US20150283619A1 (en) * 2014-04-07 2015-10-08 Kennametal India Ltd. Clamp with integrated insert-receiving pocket
CN106001647A (zh) * 2016-06-13 2016-10-12 镇江市富德数控机床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数控机床的刀片固定机构
WO2018143089A1 (ja) * 2017-01-31 2018-08-09 京セラ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06735364A (zh) * 2017-03-05 2017-05-31 贵州大学 一种用于固定可转位刀片的夹持装置
WO2019241881A1 (en) 2018-06-18 2019-12-26 Jambres Filip Cutting tool
AT16570U1 (de) * 2018-08-01 2020-01-15 Ceratizit Austria Gmbh Drehwerkzeug-Halter
US20230053686A1 (en) * 2021-08-17 2023-02-23 Kennametal Inc. Clamping tool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0906A (en) * 1965-01-22 1967-03-08 Charles Churchill & Company Lt An improved tool holder for use in copying lathes
US3243864A (en) * 1964-12-29 1966-04-05 Valeron Corp Indexable cutting tool holder
US3577618A (en) * 1968-08-19 1971-05-04 Saginaw Machine & Tool Co Toolholder construction
US3731356A (en) * 1971-06-18 1973-05-08 Gen Electric Cutting tool
SU797845A1 (ru) * 1978-12-12 1981-01-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793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DE2936869A1 (de) * 1979-09-12 1981-03-19 Karl-Heinz Arnold, Hartmetallwerkzeuge-Großhandel, 7302 Ostfildern Klemmvorrichtung zur fixierung von wendeschneidplatten
DE3136549A1 (de) * 1981-09-15 1983-03-31 Feldmühle AG, 4000 Düsseldorf Schneidwerkzeug
DE3136502A1 (de) * 1981-09-15 1983-03-31 Feldmühle AG, 4000 Düsseldorf Schneidwerkzeug
SU1133039A2 (ru) * 1982-11-12 1985-01-07 Solomko Evgenij D Резец Соломко
JPS60114403A (ja) * 1983-11-28 1985-06-20 Ngk Spark Plug Co Ltd 穴付チップ用クランプバイト
SU1342606A1 (ru) * 1985-08-13 1987-10-07 Харьковский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й Завод Сборный резец
JPS62255004A (ja) * 1986-04-30 1987-11-06 Ngk Spark Plug Co Ltd クランプバ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7272T2 (de) 1995-08-10
EP0402934A3 (en) 1991-05-08
DE69017272T3 (de) 1998-06-18
KR910018124A (ko) 1991-11-30
JP2701514B2 (ja) 1998-01-21
EP0402934B2 (en) 1998-02-04
JPH0392206A (ja) 1991-04-17
EP0402934A2 (en) 1990-12-19
US5100268A (en) 1992-03-31
EP0402934B1 (en) 1995-03-01
DE69017272D1 (de) 199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68B1 (ko)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US5987758A (en) Quick-change blade clamp
JPH0334490Y2 (ko)
US4704929A (en) Device for setting screw
US5746549A (en) Metal cutting tool
US4876932A (en) Cutting tool holder
US7351021B2 (en) Fixing element for inserting into a longitudinal cavity of a carrier
US6962468B2 (en) Clamping device for tool holder
JP2526296B2 (ja) 差込体保持装置
JP2877140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US5888028A (en) Tool holder
KR940002143A (ko) 카트릿지용 삽입 가능한 스토퍼
US4083645A (en) Tool holder
KR950006964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클램프기구
JP2812677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4727802B2 (ja) 針装着具
JPH0310603Y2 (ko)
JP2000000702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JP3737722B2 (ja) 針用糸通し器
KR0124848Y1 (ko)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JPH065806U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970004068Y1 (ko) 전삭공구에 있어서의 팁의 클램프기구
KR0112384Y1 (ko) 자동차의 턴 시그날 램프 마운팅 홀더의 역회전 방지 구조
RU2020195C1 (ru) Комплект для съемного креп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на приводном органе и швейная или вышивальная машина
RU2004979C1 (ru) Резец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