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496A -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496A
KR970004496A KR1019950018246A KR19950018246A KR970004496A KR 970004496 A KR970004496 A KR 970004496A KR 1019950018246 A KR1019950018246 A KR 1019950018246A KR 19950018246 A KR19950018246 A KR 19950018246A KR 970004496 A KR970004496 A KR 97000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zero
mobile communication
valu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312B1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1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312B1/ko
Publication of KR97000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는 64-칩 의사랜덤 잡음(PN) 오프셋 자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PN 오프셋 발생기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정확한 시스템 동기를 확립키 위한 시프트된 값만을 출력토는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PN 오프셋 자동 발생기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PN 오프셋 발생기에서 프라이머리 출력값을 발생시키는 연유로 인해, 시스템 구현이 상당히 복잡해져, 시스템 구현 면적이 커짐에 따라 비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프라이머리 값 출력 부분을 제거하고, 시프트 출력 값에 제로 비트를 삽입하는 부분을 간단하게 구성하므로써, 시스템 면적을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와 그 제어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PN 오프셋 자동 발생기 회로도이다.

Claims (3)

  1.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구현시 사용되는 의사랜덤 잡음(PN) 오프셋 자동 발생기에 있어서, 스테이트 출력값을 출력하는 15-비트 선형시프트시퀀스레지스터(LSSR)(1)와; 마스크 테이블(5)에서 출력되는 마스크 출력값과, 상기 15-비트 LSSR(1)에서 출력되는 스테이트 출력값을 입력받아 조합하여 출력하는 마스크 회로(2)와; 상기 마스크 회로(2)를 통해 출력된 시트프 출력값과, 로드 인에이블 신호(L_E)를 노아 연산하는 노아-게이트(11)와; 상기 노아-게이트(11)를 통해 출력된 값(S1)의 비트에, 제로 비트를 삽입하여 출력키 위한 제로비트 삽입회로(10) 및; 일측은 시스템 클럭을 인가받고, 타측은 상기 제로비트 삽입회로(10)에서 출력되는 값을 입력받는 앤드-게이트(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비트 삽입회로(10)는, 상기 노아-게이트(1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S1)를 카운팅 하는 4-비트 이진 카운터(10-1)와; 상기 4-비트 이진 카운터(10-1)의 각 단자에서 출력되는 값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14번째의‘0’비트를 검출하는 시점에서 제로 인에이블(Zero_En)값을‘로우’값으로 변화시키는 제로 인에이블(Zero_En) 제어단(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3.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구현시 사용되는 의사랜덤 잡음(PN) 오프셋 자동 발생기의 출력값에 '0’비트를 삽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회로(2)에서 출력되는 시프트 값을 카운팅하여, 연속적인 14개의‘0’비트를 검출하는 시점에서 제로 인에이블 제어단(10-2)에 의해 제로 인에이블(Zero_En)값을 '로우'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로 인에이블 신호의 변화에 따라 15-비트 LSSR(1)에 입력되는 클럭(MFSR_CLK)의 주기를 제로 인에이블 값 변화 시점에서, 그 전 상태 1주기를 지속시키므로써, 이 지속되는 클럭의 비트에‘0’비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제어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8246A 1995-06-29 1995-06-29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KR10026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246A KR100260312B1 (ko) 1995-06-29 1995-06-29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246A KR100260312B1 (ko) 1995-06-29 1995-06-29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96A true KR970004496A (ko) 1997-01-29
KR100260312B1 KR100260312B1 (ko) 2000-07-01

Family

ID=194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246A KR100260312B1 (ko) 1995-06-29 1995-06-29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471B1 (ko) * 1998-07-24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pn 코드 생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836B1 (ko) 2008-12-16 2012-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사잡음코드 생성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471B1 (ko) * 1998-07-24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pn 코드 생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312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735A (ko) 디지탈 집적회로에 있어서의 테스트 용이화 회로
KR960036749A (ko) 가변길이 복호화 장치
KR970031265A (ko) 정합필터장치(matched filter system)
KR970016939A (ko) 무작위 수 발생기로부터 판독되는 수의 무작위성을 향상시키는 대기 제어 회로를 지니는 무작위 수 발생기
KR970004496A (ko) 디지탈 이동통신 방식에서 의사랜덤 잡음 오프셋 자동 발생기와 그 제어 방법
JPH08181679A (ja) 疑似乱数雑音発生装置
TW377505B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910014949A (ko) 시프트 레지스터
EP0878932A3 (en) Circuit and method for arbitrarily shifting M-sequence
KR20050084153A (ko) 진정한 난수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890015244A (ko) 디지탈 클립회로
KR970076821A (ko) 래치회로
KR920015712A (ko) 선택적 펄스 발생회로 장치
KR930018844A (ko) 쉬프트신호의 구간을 조정하는 쉬프트클럭발생회로
KR20010091164A (ko) 의사잡음 코드 발생 장치
JP2577986B2 (ja) 擬似ランダム雑音符号発生器
KR100465873B1 (ko) 클럭홀드회로
KR970056139A (ko) 직접대역확산 시스템의 2차 동기장치
KR19980028923U (ko) 입력신호의 지연회로
KR910013841A (ko) 디지탈 전화기의 인크립션과 디크립션회로
SE9501176D0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en integrerad krets
KR950029926A (ko) 이진 보수 발생을 위한 병렬 곱셈기
KR950022328A (ko) 동기식 전송장치의 포인터값 오류 발생/해제 회로
JPH02288433A (ja) 拡散符号発生器
KR900001150A (ko) Pcm데이타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