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325B1 -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325B1
KR970000325B1 KR1019930018180A KR930018180A KR970000325B1 KR 970000325 B1 KR970000325 B1 KR 970000325B1 KR 1019930018180 A KR1019930018180 A KR 1019930018180A KR 930018180 A KR930018180 A KR 930018180A KR 970000325 B1 KR970000325 B1 KR 97000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ase
ball
wheel hub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95A (ko
Inventor
벨쇼프 한스-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뢰어 앤드 브롬캄프 게엠베하
베른트 피어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뢰어 앤드 브롬캄프 게엠베하, 베른트 피어부르크 filed Critical 뢰어 앤드 브롬캄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4000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7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where the grooves are composed of radii and adjoining straight lines, i.e. undercut free [UF] ty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0Couplings with means for vary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f two coaxial shafts dur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60B27/0084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caulking to fix inner r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2Elements arranged in the hollow space between the end of the inner shaft and the outer join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26Attachments to the outer joint member, i.e. attachments to the exterior of the outer joint member or to the shaft of the outer join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6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spaced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제1도는 중실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1실시예의 이론적 제1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2도는 중실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2실시예의 이론적 제1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3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3실시예의 이론적 제1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4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4실시예의 이론적 제1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5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5실시예의 이론적 제1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6도는 중실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1실시예의 이론적 제2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7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2실시예의 이론적 제2해결책을 제기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8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3실시예의 이론적 제2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9도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의 형태인 외부 조인트부를 갖는 제4실시예의 이론적 제2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공지 기술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2단계로 도시하는 도면.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제1해결책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복수 단계로 도시한 도면.
제12a도 내지 제12d도는 제2해결책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복수 단계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1,101,151,201,251,301,351 : 휘일 허브
2,52,102,152,202,252,302,352 :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
3,53,103,153,203,253,303,353 : 베어링 조립체
4,54,104,154,204,254,304,354 : 휘일 플랜지
5,55,105,155,205,255,305,355 : 외부 조인트부
6,56,106,156,206,256,306,356 : 볼트/너트
7,57,107,157,207,257,307,357 : 기저부
8,58,108,158,208,258,308,358 : 돌출부(외부 조인트부측)
9,59,109,159,209,259,309,359 : 돌출부(휘일 플랜지축)
10,60,110,160,210,260,310,360 : 내부 베어링 링
11,61,111,161,211,261,311,361 : 베어링 볼
12,62,112,162,212,262,312,362 : 외부 베어링 링
13,63,113,163,213,263,313,363 : 돌출부(휘일 호브측)
14,64,114,164,214,264,314,364 : 내치 부(외부 조인트부측의 돌출부 내)
15,65,115,165,215,265,315,365 : 외부 치(휘일 허브측의 돌출부 내)
16,17 : 평탄부
18,68,118,168,218,268,318,368 : 내부 조인트 부
19,69,119,169,219,269,319,369 : 트랙(외부 조인트부측)
20,70,120,170,220,270,320,370 : 트랙(내부 조인트부측
21,71,121,221,271,321,371 : 볼
22,72,122,172,222,272,322,372 : 볼케이지
23,73,123,173,223,273,323,373 : 축
24,74,124,174,224,274,324,374 : 내부 치(내부 조인트부측)
25,75,125,175,225,275,325,375 : 치(축)
26,76,126,176,226,276,326,376 : 유지 링
27,77,127,177,227,277,327,377 : 구멍(허브단부측)
28,78,128,178,228,278,328,378 : 구멍(축 단부측)
81,131,181,231,281,331,381 : 외부 치(기저부측),
82,132,182,232,282,332,382 : 장착 링
83,133,183,233,283,333,383 : 내부 홈
188,288 : 나사 가공된 저어널, 195,245 : 지지부재
196,246 : 표면(구형), 197,247 : 표면(내부 구형)
본 발명은, 휘일 허브 상에 배치되고 유니머설 조인트의 외부 조인트부에 의해 휘일 허브에 대해 인장력을 받는 베어링 조립체와, 볼트/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휘일 허브 및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의 풀림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외부 조인트부 및 내부 조인트부가 상호 반경 방향에 대향으로 배치되고 토크-전달 볼을 보유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볼 트랙을 가지며, 또한 상기 볼이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에 위치한 볼 케이지(ball cage)의 개별 창 내의 한 평면에서 유지되고 조인트의 관절 회전시 각의 이등분 평면상으로 이동되어 외부 조인트부가 한 단부에서 기저부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 조인트부가 축에 연결되는,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용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양호하게는, 이 볼 케이지는 적어도 축 단부쪽으로 외부 조인트부의 내부 표면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용 조인트는 DB 36 18 130 C2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외부 조인트부 및 휘일 허브 사이의 토크 전달용 수단에 관한 한, 그리고 휘일 허브에 대하여 베어링 조립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외부 조인트부의 관점에서 이미 효과적인 설계를 공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외부 조인트부의 돌출부는 대응하는 외부 치와 휘일 허브의 단부에서 결합하는 축방향 내부 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는 베어링 조립체의 내부 베어링 링의 단부 표면에 위치하고 있고, 이 내부 베어링 링은 휘일 허브의 계단부(step)에 지지되고 있다. 인장의 목적으로 긴 생크(shank)를 구비한 나사 가공된 볼트가 사용되므로, 연결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떤 고정 작업도 기능적인 단점을 일으키지 않고서 보상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조인트의 외부 부분은 성형된(formed-on) 기저부와 일체로 설계되거나 또는 분리 제작되어 성형-끼워 맞춤 방식으로 성형된 (formed-in)기저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기저부는 볼트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가공된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인트와 조립체는 어떤 특별한 특성에 의해 특정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는 서로에 대해 90°로 축을 피봇함으로써 상호 삽입되고, 이후 상호간에 동축상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나서, 외부 조인트부의 축에 대해 90°로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의 동축 정렬된 축을 피봇함으로써, 이것들은 외부 조인트부 내에 공동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게 되고, 이 각도는 각각의 최대 작동 각 보다 크며, 볼들은 외부로부터 각의 이등분 평면에 위치되도록 설정된 케이지의 창안으로 각각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창은 외부 조인트부로부터 드러나며, 동시에 이 볼들은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 안으로 삽입되고 이 내부 조인트부를 외부 조인트부의 후면으로 피복함으로써 단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조인트부내의 트랙으로 진입된다.
상기 언급한 방법으로 외부 조인트부에 대해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의 조립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축 근처에서 외부 조인트부에 자유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공간은 조립 목적만으로 사용되고 또한 볼 중심 평면 E에 의해 결정된 조인트 중심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
공간을 덜 요하게 하고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 내에 수용될 모우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인트 중심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의 거리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은 외부 조인트가 휘일 허브 단부로부터 휘일 허브 단부쪽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고, 휘일 허브, 베어링 조립체 및 외부 조인트부를 상호간에 인장하기 위한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저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저부가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 조인트의 조립에 필요한 외부 조인트부내의 자유공간내로 영구히 연장되어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때까지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될 수 없다는 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인트 중심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전체 길이가 감소되도록 기저부와 내부 조인트부/케이지 조립체를 축방향으로 밀착되게 합칠 수 있게 한다. 레버 아암이 짧아지기 때문에, 연결부 내의 모우멘트는 감소되고 반면에 정력학적힘 및 동력학적 힘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어떠한 경우에 외부 조인트부에 대한 재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 사이의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공간을 요하는 조인트의 조립공정은 기저부가 최초에 느슨하여 조인트의 조립후까지 그위치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로 방해받지 않게 된다. 특히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 기저부는 유지 링을 휘일 허브 단부로부터 기저부가 삽입되는 휘일 허브 단부 측의 구멍의 내부 외주연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외부 조인트부에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단순한 정지부 또는 칼라(collar)가 조인트 내부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저부 및 외부 조인트부를 상호 용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축방향 인장 목적용인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로서, 너트 또는 볼트로 설계된 기저부는 외부 조인트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간단한 억지 끼워맞춤부, 용접 연결부 또는 특히 효과적인 실시예로서 결합 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언급한 공지 기술에 의해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내부 조인트부가 휘일 허브의 대응 돌출부의 치와 결합하는 내부 치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설계된 기저부의 외부치가 휘일 허브의 내부 치와 동일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연장되는 외부 조인트부의 내부 치와 결합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기저부를 조인트 내부에 축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치의 단부가 상호 코킹(caulking)또는 리벳팅될 수도 있다.
외부 조인트부에서 휘일 허브로 토크를 전달하는 상기 언급한 형태의 것 외에, 외부 조인트부가 치를 통하여 단지 기저부에 결합되는 형태와 또한 저어널형돌출부를 갖는 기저부와 휘일 허브 사이에 결합치의 제2세트를 구비하는 형태가 역시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된 기저부를 통하여 외부 조인트부로부터 휘일 허브로 토크가 전달된다.
상기 언급한 설계는 2개의 상이한 조립 순서에 기초한 2개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가능하게 한다.
제1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의 기저부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최대 작동 각도 보다 큰 볼 끼움용 조립각도가 설정될 때 볼 케이지 및/또는 내부 조인트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 점유되게 된다.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고,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의 조립 각도가 설정되는 동안 볼이 개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케이지 창 및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진입되고, 상기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진입되고, 또한 모든 볼이 삽입된 후에 기저부가 허브 단부로부터 외부 조인트부로 진입되어 외부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조립이 행해지게 된다.
제2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조인트부가 볼 케이지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축상으로 활주될 수 있고,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의 기저부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이 볼을 끼워 맞출 때 내부 조인트부 또는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되고, 또한 조립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경우 내부 조인트부가 지지 부재를 통하여 기저부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고, 내부 조인트부가 허브 단부의 케이지 구멍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착되고, 볼이 축 단부의 케이지 구멍을 통하여 진입되어 내부로부터 케이지 창 및 외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개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고, 볼이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의 단부로 진입되는 동안 내부 조인트부가 축 단부로 다시 당겨지고, 이어서 기저부가 허브 단부로부터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어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조립이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내부 조인트부 자체는 후에 기저부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으로 진입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비록 지지 부재가 모든 볼이 삽입된 후까지 위치하지 않더라도 내부 조인트부와 관련된 지지 부재에 단순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안된 조립 과정은 완전히 새로운 조인트 조립 방법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가 짧아지게 할 수 있다.
조립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볼이 삽입된 설계의 경우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에 연결될 축은 모든 볼이 완전히 끼워진 후에야 일반적으로 진입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이축은 관절 회전 운동을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효과는 , 돌출된 축 단부 내의 개방된 외주연 홈으로 단순한 유지 링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가 사용되는 경우 내부 조인트부를 플러그식 축에 축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착 수단이 상당히 단순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작동은 기저부를 삽입하기 전에 허브 단부의 외부 조인트부 내에 있는 구멍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축 단부가 내부 조인트부에 삽입되기 전에 장착링이 유지 홈(holding groove)의 대응 홈(counter-groove) 속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 필요로 하는 복잡한 축방향 장착 링이 불필요하게 된다.
조인트가 동축상의 위치에 있을 때 볼이 삽입되고 또한 내부 조인트부가 기저부 상에 지지되어야 하는 설계의 경우에 있어서, 축 단부 또는 내부 조인트상에 배치된 지지 캡, 구형 세그먼트 형상의 단부 표면을 갖는 내부 조인트부 측의 황형 돌출부, 또는 구형 세그먼트 형상의 단부 표면을 갖는 중앙의 저어널 돌출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립 중에 단지 축방향 이동만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축은 내부 조인트부와 일체로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축방향 조립으로 인하여, 케이지 창의 외주연 길이는 감소하고, 그 결과 케이지의 파괴 강도는 증가되게 된다. 이 창 길이는 최대 작동 각도에서 볼의 외주연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된다.
내부 조인트부가 외부 조인트부의 내부 쪽으로 직접 또는 간접으로 기저부상에서 지지되고, 또한 볼 및 케이지를 통하여 외부쪽으로 외부 조인트부의 안내면상에 지지된다면, 내부 조인트부가 케이지에 대하여 직접 안내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형태의 지지 수단은 볼이 조립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단지 삽입될 수 있는 설계들에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지의 내부가 접지될 필요가 없고 또한 외부 외주연 상의 트랙 이외에 내부 조인트부가 기계 가공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효과적이다. 추가적인 효과를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가 기저부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조인트 내의 유격은 외부 조인트부 내에 기저부를 축방향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유지 링의 두께를 결정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효과를 갖는 실시예는 후속 청구 범위에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가장 주요한 상세부로서 휘일 허브(1),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2) 및 베어링 조립체(3)을 포함하는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를 도시하고 있다. 휘일 플랜지(4)는 휘일 허브(1)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휘일 허브(1) 및 유니버설 조인트(2)의 외부 조인트부(5)는 휘일 플랜지 상에서 지지되는 볼트(6)과 외부 조인트(5)의 너트형 기저부(7)을 포함하는 볼트/너트 조립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다. 이 외부 조인트부는 휘일 플랜지의 계단부(9)에 대해 휘일 베어링(3)의 분리 생산된 내부 베어링 링(들)에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돌출부(8)을 허브 단부측에 구비하고 있다.
이 베어링 조립체는 도면의 상반부에 2개의 분리된 내부 베어링 링(10a,10b)를 가지고 하반부에 하나의 분리된 내부 베어링 링(10c)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2열의 볼(11a 및 11b) 및 외부 베어링(12)를 볼 수가 있다. 돌출부(8)내의 휘일 허브(1)에는 베어링 조립체(3)의 길이를 초과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출부(13)이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8)내에는, 토크 전달 목적으로 환형 돌출부(13)의 외부치(15)와 상호 작용하는 내부 치(14)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의 아래쪽에 도시된 상세도는 기저부(7)이 역전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은 역전 위치로 피봇된 후 스스로 지지할 수 있는 외부 조인트부(5)의 허브 단부 측의 구멍 속으로 활주될 수 있도록 대향의 평탄부(16,17)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기저부(7)이 외부 조인트부(5)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탄부(16,17)과 상호 작용하는 외부 조인트부(5)의 대응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외부 조인트부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게된 추가 조인트 요소, 즉 내부 조인트부(18), 볼(21) 및 볼 케이지(22)를 수납하며, 또한 이 외주 조인트부에는 트랙(19)가 그리고 내부 조인트부에는 각각이 볼(21)을 수용하는 트랙(20)이 구비되어 있다. 외주연 방향으로 분포된 이 볼들은 조인트 중심 M을 지나 연장되는 공통 평면 E상에서 통상의 볼 케이지(22)내에 유지되고 있다.
축(23)은 내부 조인트부(18)에 삽입되는데, 이 내부 조인트부 내의 내부 치(24) 및 상기 축 상의 외부 치(25)가 비회전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 축(23)은 상기 치 단부의 유지 링(26)에 의해 내부 조인트 부(18)내에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외부 조인트부에 대한 내부 조인트부 및 볼 케이지의 관절 회전이 최대 작동 각도에서 축 중심선 A에 대하여 50°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하반부에 내부 조인트부가 50°만큼 관절 회전했을 때 내부 조인트부로 가정되는 선 MG로 내부 조인트부의 중심 평면이 도시되도록 허브 단부 측의 내부 조인트부의 윤곽선 (contour)이 도시되어 있다. 내부 조인트부가 상기 관절 회전된 위치에 있을때의 볼 케이지의 윤곽선이 역시 도시되고 있고, 이 케이지의 중심 평면은 참조부호 MK를 갖는다.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는 공히 휘일 허브 단부 측에서 외부 조인트부(5)의 구멍(27)로 부분적으로 진입하고, 조립 목적상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관절 회전은 도시된 위치 삽입된 기저부(7)에 의해 방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기저부(7)이 허브 단부로부터 외부 조인트부(5)로 도입되기 전에 모든 볼이 삽입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모든 볼이 삽입된 후에만 축(23)이 내부 조인트부(18) 안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이유는 50°를 초과하는 임의의 관절 회전이 축(23)에 대한 축 단부에서의 외부 조인트부의 구멍(28)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2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상세부의 도면 부호는 50만큼 증가되었다. 제1도의 설명이 각각 참조되고 있다. 제2도는 기저부(57)이 돌출부(58)의 내부 치(64)와 결합하는 외부 치(81)을 구비하여 너트 형태로 제공된 기저부(57)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제1도와 차이가 있다. 돌출부(58)의 치(64)내의 내부 홈(83)과 결합되는 장착 링(82)는 외주 조인트부(55)에 대해 기저부(57)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장착 링(82)는 조인트의 조립이 완료된 후 또한 기저부가 삽입된 후에 구멍(77)내로 삽입된다. 이 기저부가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별한 장착 수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유니트가 인장력을 받은 후에도 상기 수단은 불필요하다. 그러나, 조인트 내측의 내부 치(64)는 코킹될 수도 있고, 따라서 기저부가 축방향 내향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외에는, 제1도와 차이가 없다.
제3도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상세부의 도면 부호는 다시 50만큼 증가한다. 모든 면에서, 제1도 및 제2도의 설명이 참조된다. 제3도는 외부 조인트부(105)가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제2도와 차이가 있다. 이외에는, 제3도는 제2도와 전적으로 동일하다.
제4도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된 상세부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50만큼 증가되었다. 모든 면에서, 제3도의 설명을 참조하고, 어느 면에서는 그 전 도면들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4도는 기저부(157)이 나사 가공된 저어널(188)과 일체로 되게 설계되고 반면에 볼트/너트 결합부의 대응 너트(156)이 휘일 플랜지 상에 지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제3도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설계에 전적으로 일치한다.
제5도 및 제4도에서 동일한 상세부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따라서 모든 면에서, 제3도의 설명을 참조하고, 어느 면에서는 그 전 도면들을 참조한다.
제5도는 기저부(157')이 판재 금속 캡으로 설계된 지지 부재(195)를 통하여 내부 조인트부(168')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내부의 구형 표면(197) 및 외부의 구형 단부 평면(196)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4도와 차이가 있다. 반대 방향에서, 내부 조인트부(168')은 볼(171) 및 케이지(172)를 통하여 외부 조인트부(155)상에 간접 지지되고 있다. 이 설계에 의하면, 내부 조인트부(168')은 케이지(172)의 내부 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의 유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양표면은 기계 가공되지 않는다.
제6도는 가장 중요한 상세부로서 휘일 허브(201), 정속 유니버설 조인트(202) 및 베어링 조립체(203)을 포함하는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를 도시하고 있다. 휘일 플랜지(204)는 휘일 허브(201)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휘일 허브(201) 및 유니버설 조인트(202)의 외부 조인트부(205)는 볼트(206)과 외부 조인트(205)의 너트형 기저부(207)을 포함하는 볼트/너트 조립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있다. 이 외부 조인트부는 휘일 플랜지의 계단부(209)에 대해 휘일 베어링(203)의 분리 생산된 내부 베어링 링(들)에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는 돌출부(203)을 허브 단부측에 구비하고 있다. 이 베어링 조립체는 도면의 상반부에 2개의 분리된 내부 베어링 링(210a,210b)를 가지고 하반부에 하나의 분리된 내부 베어링 링(210c)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2열의 볼(211a 및 211b) 및 외부 베어링 링(212)를 볼 수가 있다. 돌출부(208) 내의 휘일 허브(201)에는 베어링 조립체(203)의 길이를 초과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돌출부(213)이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208)내에는, 토크전달 목적으로 환형 돌출부(213)의 외부 치(215)와 상호 작용하는 내부 치(2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저부(207)은 돌출부(208)의 내부 치(214)와 결합하는 외부 치(231)을 구비하여 너트 형태로 제공된 기저부(207)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208)의 치(214)내의 내부 홈(233)과 결합하는 장착 링(232)는 외주 조인트부(205)에 대해 기저부(207)을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 장착된 링(232)는 조인트의 조립이 완료된 후 또한 기저부가 삽입된 후에 휘일 허브 단부에서 외부 조인트부의 구멍(227)내로 삽입된다. 이 기저부가 추가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별한 장착 수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유니트가 인장력을 받은 후에도 상기 수단은 불필요하다. 그러나, 조인트 내측의 내부 치(214)는 코킹될 수도 있고, 따라서 기저부가 축방향 내향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 외부 조인트부(205)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계된 추가 조인트 요소, 즉 내부 조인트부(218), 볼(221) 및 볼 케이지(222)를 수납하며, 또한 이 외주 조인트부에는 트랙(219)가 그리고 내부 조인트부에는 각각이 볼(221)을 수용하는 트랙(220)이 구비되어 있다. 외주연 방향으로 분포된 이 볼들은 조인트 중심 M을 지나 연장되는 공통 평면 E상에서 통상의 볼 케이지(222)내에 유지되고 있다. 축(223)은 내부 조인트부(218)에 삽입되는데, 이 내부 조인트부 내의 내부 치(224) 및 상기 축상의 외부 치(225)가 비회전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 축은 상기 치단부의 유지 링(226)에 의해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조립 목적에 따라 내부 조인트부(218)의 외부는, 휘일 허브 단부의 케이지(222)의 구멍을 통하여 그리고 기저부(207)이 아직 끼워지지 않은 한 외부 조인트부(207)내에 있는 기저부(207)용의 구멍(227)을 통하여 활주될 수 있는 방법으로 회전된다. 축 단부의 케이지(202)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내부로부터 케이지의 창 및 외부 조인트부(205)의 트랙(219)로 반경 방향으로 진입되는 볼이 끼워진 후에, 단부면에서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220)으로 볼(221)이 들어가도록 내부 조인트부(218)이 움츠러든다. 모든 볼이 삽입된 후에, 축(223)은 내부조인트부로 축방향으로 진입될 수 있다.이 내부 조인트부는 허브 단부에 구형 표면(246)을 갖는 환형 돌출부(245)를 포함하고 있고, 이 구형 표면을 통하여 내부 조인트부가 기저부(207)의 내부 구형표면(247)상에 축방향으로 휘일 허브 단부 쪽으로 직접 지지되고 있다. 볼 트랙의 형상으로 인하여 내부 조인트부는 볼(221) 및 케이지 (222)를 통하여 외부 조인트부(205)의 내부 구형 표면상에 축단부쪽으로 간접적으로 축방향 지지되고 있다. 조인트내의 축방향의 유격은 외부 조인트부(205)의 돌출부(208)내에 있는 홈(233)에 삽입된 장착 링(232)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제6도의 상세부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50만큼 증가된다.
어느 정도 제6도의 설명이 참조된다. 제7도는 외부 조인트부(255)가 거의 균일한 벽 두께를 갖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로 설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6도와 차이가 있다. 내부 조인트부(268)에서의 돌출부 대신에, 기저부(257)의 내부 구형 표면(297)상에서 지지되는 구형 세그먼트 형태인 밀폐 표면(296)을 포함하는 고정된 (clamped-on) 판재 금속 캡(295)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한 차이가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기저부(257)에는 허브 및 외부 조인트부를 서로 인정하기 위한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나사 가공된 저어널(288)이 구비되어 있고, 반면에 너트(256)은 휘일 플랜지상에 지지되고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제7도의 상세부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50만큼 증가된다.
역시 외부 조인트부(305)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로서 설계되어 있다. 기저부(307)이 휘일 허브 및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의 볼트/너트 인장 조립체의 너트로서 설계되었고 또한 휘일 플랜지 상에서 지지된 볼트(306)이 상기 너트 내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8도는 제7도와는 상이하나 제6도와는 유사하다. 축(323) 및 저어널형 돌출부(345)가 공히 내부 조인트부(318)과 일체식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에 추가적인 차이가 있다. 단부면에서 저어널형 돌출부는 구형 세그먼트 형태인 표면(346)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표면을 통하여 기저부(307)의 내부 구형 표면(347)상에 지지되고 있다.
제9도에 있어서, 제8도의 상세부에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50만큼 증가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조인트부는 성형된 판재 금속부로서 설계되어 있다. 내부 조인트부(368)은 제6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고 또한 구형 세그먼트의 형태인 단부 표면(396)을 통하여 기저부(357)의 내부 구형 표면(397) 상에 지지되어 있는 환형 돌출부(39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저부는 휘일 플랜지(354)상에 지지되는 너트(356)이 인장력을 받도록 나사 가공된 저어널(388)과 일체식으로 설계되었다. 이 도면의 상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에서, 기저부(357)은 외부 조인트부(355)에 제거할 수 없도록 용접되어 있다. 이 도면의 하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에서, 기저부(357)은 외부 조인트부(355)의 내부치 (364)와 결합된 외부 치(38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저부 및 외부 조인트부는 외부 조인트부(355)의 벽 뒤에서 결합되고 또한 기저부의 외부 치(381) 내에 있는 환형 홈(383)에 위치하는 유지 링(382)에 의해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조인트부 및 휘일 허브(351) 사이에는 어떠한 토크 직접 전달도 없다. 기저부에 제공되고 볼트로서 작용하는 저어널(388)은 외부 조인트부(355)로부터 휘일 허브(351)로 토크흐름선에 위치한 기저부(357)을 통하여 토크의 간접 전달이 발생하도록 휘일 허브(351)내의 내부 치(389)와 결합하는 외부치(390)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베어링 링은 치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 휘일 허브를 초과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공지 기술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2단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외부 조인트부에 대해 축상으로 90°피봇된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 내로 나사 결합된다(제10a)도. 그후, 이 케이지는 기능상 정확히 위치 되도록 외부 조인트부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내부 조인트부는 이미 케이지 안에 동축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에 끼워진 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립체 각도는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로 설정되어야 하고, 이 각도에서 상기 각의 2등분 평면에 위치되도록 설정된 하나의 창을 갖는 케이지는 내부 조인트부의 각각의 트랙으로 상기 창을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볼이 진입될 수 있도록 외부 조인트부의 바깥에 피봇된다(제10b도). 외부 조인트부에 대해 내부 조인트부를 후면 피봇팅 함으로써, 단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조인트부의 각각의 트랙으로 볼이 진입된다.
이것은 단일체로 생산된 외부 조인트부의 내부 크기가 축소될 수 없고 특히 축방향 크기가 작아질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설명하고 있다.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3단계로 도시하고 있다. 비록 볼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로 진입될 때 그리고 볼을 삽입하는 중에 이 볼 케이지가 휘일 허브 단부에서 외부 조인트부의 구멍으로 들어온다 할지라도, 제11a도 및 제11b도의 도시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대응한다. 제11c도는 조립 목적장 필요한 자유 공간을 휘일 허브 단부로부터 진입되는 기저부가 전적으로 점유한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2a도 내지 제12d도는 제6도 내지 제9도에 의한 조인트의 조립 순서를 4단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90°회전된 케이지가 (도시되지 않은)외부 조인트부 내로 삽입되어 동축상으로 피봇되어 있다(제12a도). 따라서, 내부 조인트부는 축방향으로 활주되고 케이지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압착되고 있다. 이 위치에서 볼은 축 단부에 있는 케이지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고 내부로부터 외부쪽으로 향하여 외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진입된다(제12b도). 이어서, 내부 조인트부가 축 단부 쪽으로 다시 당겨지고, 그 결과로 단부 표면에서 볼이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들어간다(제12c도). 마지막으로 , 지지부재가 허브 단부에 있는 외부 조인트부 구멍을 통하여 진입되고, 선택적으로 내부 조인트부에 연결된다. 이어서, 기저부가 구멍으로 삽입되어 장착링을 통하여 고정된다(제12d도).

Claims (18)

  1. 휘일 허브(1,51,101,151,201,251,301,351)상에 배치되고 유니버설 조인트(2,52,102,152,202,252,302,352)의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의해 휘일 허브에 대해 인장력을 받는 베어링 조립체(3,53,103,153,203,253,303,353)과 볼트/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휘일 허브 및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의 풀림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 및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은 상호반경 방향에 대향으로 배치되고 토크-전달 볼(21,71,121,171,221,271,321,371)을 보유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볼 트랙(19,69,119,169,219,269,319,369,20,70,120,170,220,270,320,370)을 가지며, 상기 볼은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에 위치한 볼 케이지(22,72,122,172,222,272,322,372)의 개별 창 내의 한 평면에서 유지되고 조인트의 관절 회전식 각의 이등분 평면상으로 이동되어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가 한 단부에서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이 축(23,73,123,173,223,273,323,373)에 연결되는, 휘일 허브/유니버설 조인트 유니트용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에 있어서,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가 휘일 허브 단부로부터 휘일 허브 단부쪽의 구멍(27,77,127,177,227,277,327,377)에 삽입될 수 있고 휘일 허브(1,51,101,151,201,251,301,351), 베어링 조립체(3,53,103,153,203,253,303,353) 및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를 상호간에 인장하기 위한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를 성형하는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를 포함하고,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이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연결된 후 조인트의 조립체에 필요한 외부 조인트부내의 자유공간내로 영구히 연장되어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때까지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연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조인트(5,55,105,155,205,255,305,355)에 연결된 후의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은, 유니버설 조인트(2,52,102,152,202,252,302,352)의 최대 작동 각도보다 큰 볼 끼움용 조립 각도가 설정될 때 볼 케이지(22,72,122,172,222,272,322,372) 및/또는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에 의해 부분 점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이 볼 케이지(22,72,122,172,272,322,372)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축상으로 활주될 수 있고,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연결된 후의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이 볼을 끼워 맞출 때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 또는 내부 조인트부에 연결되어 있는지지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되고, 또한 조립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경우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가 지지 부재를 통하여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4. 제3항에 있어서, 볼케이지(22,72,122,172,222,272,322,372)가 유니버설 조인트(2,52,102,152,202,252,302,352)의 최대 작동 각도가 설정될 때 볼의 이동에 의해 결정된 치수로 외주연 길이가 제한되는 케이지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 및 휘일 허브(1,51,101,151,201,251,301,351) 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하여,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27,77,127,227,277,327,377)이 외부 치(15,65,115,165,215,265,315,365)를 통하여 휘일 허브에 의해 결합되는 내부 치(14,64,114,164,214,264,314,3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기저부(7)을 외부 조인트부(5)에 삽입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저부(7)이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27) 내의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평탄부(16,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7. 제5항에 있어서, 기저부가 외주 조인트부(55,105,155,205,255,305,355)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기저부(57,107,157,207,307,357)이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77,127,177,227,277,327,377)내의 내부 치(64,114,164,214,264,314,364)와 결합하는 외부 치(81,131,181,231,281,331,38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조인트부 및 휘일 허브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하여, 기저부(357)이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에 용접되고, 이 기저부가 휘일 허브 단부 측에서 만나고 또한 휘일 허브 내의 내부 치와 결합하는 외부 치를 갖는 저어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조인트부 및 휘일 허브 사이의 토크 전달을 위하여, 휘일 허브 단부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은 기저부(357)의 외부 치와 결합되는 내부 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저부는 휘일 허브 단부 측에서 만나고 또한 휘일 허브 단부 내의 내부치와 결합하는 외부 치를 갖는 저어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0. 제7항에 있어서, 기저부(57,107,157,207,257,307,357)이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 내에 삽입된 장착 링(82,132,182,232,282,332,382)에 의해 외부 조인트부(55,105,155,205,255,305,355)에 대해 휘일 허브 단부 쪽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1. 제1항 내지 제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링(27,76,126,176,226,276,326,376)이 휘일 허브 단부측의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의 구멍(27,77,127,177,227,277,327,377)을 통해 삽입되고 또한 조인트 조립이 완료된 후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 내로 끼워지는 축(23,73,123,173,223,273,323,373)을 장착하도록 끼워 맞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2. 제3항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168,268)이 허브 단부 측의 내부 조인트부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구형세그먼트 형상의 단부 표면(196,296)을 구비하고 있는 캡(195,295)을 통해 기저부(157,257)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3. 제3항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218,318,368)이 구형 세그면트 형상의 단부 표면(246,346,396)을 구비하고 있는 동축상의 저어널형 또는 환형 돌출부(345,345,395)를 통하여 기저부(207,307,357)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4. 제3항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318)이 축(323)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15. 휘일 허브(1,51,101,151,201,251,301,351)상에 배치되고 유니버설 조인트(2,52,102,152,202,252,302,352)의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의해 휘일 허브에 대해 인장력을 받는 베어링 조립체(3,53,103,153,203,253,303,353)과 볼트/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휘일 허브 및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의 풀림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 및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은 상호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토크-전달 볼(21,71,121,171,221,271,321,371)을 보유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볼 트랙(19,69,119,169,219,269,319,369,20,70,120,170,220,270,320,370)을 가지며, 상기 볼은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에 위치한 볼 케이지(22,72,122,172,222,272,322,372)의 개별 창 내의 한 평면에서 유지되고 조인트의 관절 회전시 각의 이등분 평면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외부 조인트부가 한 단부에서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내부 조인트부가 축(23,73,123,173,223,273,323,373)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가 휘일 허브단부로부터 휘일허브 단부쪽의 구멍(27,77,127,177,227,277,327,377)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휘일허브, 상기 베어링 조립체 및 상기 외부 조인트부를 상호간에 인장하기 위한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를 성형하는 상기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가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 조인트의 조립체에 필요한 외부 조인트부내의 자유 공간내로 영구히 연장되어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때까지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될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의 상기 기저부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 공간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의 최대 작동 각도보다 큰 볼 끼움용 조립 각도가 설정될 때 상기 볼 케이지 및/또는 상기 내부 조인트부에 의해 부분 점유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고,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의 조립 각도가 설정되는 동안 볼이 개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케이지 창 및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진입되고, 상기 각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진입되고, 또한 모든 볼이 삽입된 후에 기저부가 허브 단부로부터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어 외부 조인트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의 조립방법.
  16. 휘일 허브(1,51,101,151,201,251,301,351)상에 배치되고 유니버설 조인트(2,52,102,152,202,252,302,352)의 외부 조인트부(5,55,105,155,205,255,305,355)에 의해 휘일 허브에 대해 인장력을 받는 베어링 조립체(3,53,103,153,203,253,303,353)과 볼트/너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휘일 허브 및 유니버설 조인트 사이의 풀림 가능한 연결부를 갖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 및 내부 조인트부(18,68,118,168,218,268,318,368)은 상호 반경방향에 대향으로 배치되고 토크-전달 볼(21,71,121,171,221,271,321,371)을 보유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볼 트랙(19,69,119,169,219,269,319,369,20,70,120,170,220,270,320,370)을 가지며, 상기 볼은 내부 조인트부 및 외부 조인트부 사이에 위치한 볼 케이지(22,72,122,172,222,272,322,372)의 개별 창 내의 한 평면에서 유지되고 조인트의 관절 회전시 각의 이등분 평면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외부 조인트부가 한 단부에서 기저부(7,57,107,157,207,257,307,357)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내부 조인트부가 축(23,73,123,173,223,273,323,373)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가 휘일 허브 단부로부터 휘일허브 단부쪽의 구멍(27,77,127,177,227,277,327,377)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휘일 허브, 상기 베어링 조립체 및 상기 외부 조인트부를 상호간에 인장하기 위한 볼트/너트 조립체의 일부를 성형하는 상기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가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 조인트의 조립체에 필요한 외부 조인트부내의 자유 공간내로 영구히 연장된 조인트가 완전히 조립될때까지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될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 조인트부가 상기 볼 케이지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축상으로 활주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된 후의 상기 기저부에 의해 점유되는 자유공간이 볼을 끼워 맞출 때 상기 내부 조인트부 또는 내부 조인트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되고, 또한 조립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경우 상기 내부 조인트부가 지지 부재를 통하여 상기 기저부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내부 조인트부 및 케이지가 외부 조인트부로 삽입되고, 내부 조인트부가 허브 단부의 케이지 구멍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착되고, 볼이 축 단부의 케이지 구멍을 통하여 진입되어 내부로부터 케이지 창 및 외부 조인트부의 트랙으로 개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삽입되고, 볼이 내부 조인트부의 트랙의 단부로 진입되는 동안 내부 조인트부가 축 단부로 다시 당겨지고, 이어서 기저부가 허브 단부로부터 외부 조인트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의 조립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기저부를 삽입 시키기 전에, 구형 세그먼트 형상의 단부 표면을 갖는 캡이 내부 조인트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의 조립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기저부 (57,107,157,207,257,307,357)이 휘일 허브 단부 측의 외부 조인트부 구멍 내에 삽입된 장착 링(82,132,182,232,282,332,382)에 의해 외부 조인트부(55,105,155,205,255,305,355)에 대해 휘일 허브 단부 쪽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KR1019930018180A 1992-09-12 1993-09-10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KR970000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30639A DE4230639C1 (de) 1992-09-12 1992-09-12 Kugelgleichlaufdrehgelenk
DEP4230639.6 1992-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95A KR940007395A (ko) 1994-04-27
KR970000325B1 true KR970000325B1 (ko) 1997-01-08

Family

ID=646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180A KR970000325B1 (ko) 1992-09-12 1993-09-10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49514A (ko)
JP (1) JPH06193645A (ko)
KR (1) KR970000325B1 (ko)
BR (1) BR9303761A (ko)
DE (1) DE4230639C1 (ko)
ES (1) ES2081748B1 (ko)
FR (1) FR2695694B1 (ko)
GB (1) GB227055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1114B2 (en) 2005-04-20 2011-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D flash memory device having dummy memory cell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1454905B1 (ko) * 2013-04-12 2014-10-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및 이를 사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2535B1 (fr) * 1993-11-18 1998-06-26 Gkn Automotive Ag Unité insérable pour un montage de roulement, notamment de roue de véhicule.
GB2303428A (en) * 1994-06-10 1997-02-19 Gkn Automotive Ag Hub assembly for motor vehicle
GB9411715D0 (en) * 1994-06-10 1994-08-03 Gkn Technology Ltd Hub assembly for motor vehicle
FR2738775B1 (fr) * 1995-09-18 1997-12-05 Guimbretiere Pierre Moyeu de roue motrice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87817C (zh) * 1995-12-26 2002-07-17 株式会社Ntn 等速万向联轴节
DE19602407C1 (de) * 1996-01-24 1997-08-21 Gkn Automotive Ag Baueinheit zum Antrieb und zur Lagerung eines Rades eines Kraftfahrzeuges
US6193419B1 (en) 1996-01-24 2001-02-27 Gkn Automotive Ag Wheel hub/joint unit with intermediate ring
FR2745234B1 (fr) * 1996-02-27 1998-05-15 Guimbretiere Pierre Accouplement en rotation d'une bride de roue a un organe de sortie d'un joint d'articulation d'une transmission
FR2745235B1 (fr) * 1996-02-27 2000-04-28 Guimbretiere Pierre Accouplement en rotation d'une bride de roue a un organe de sortie d'un joint d'articulation d'une transmission
JP3403572B2 (ja) * 1996-03-08 2003-05-06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等速自在継手
IT1289778B1 (it) 1996-12-20 1998-10-16 Skf Ind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e sbloccaggio di un gruppo d'accoppiamento tra organi meccanici utilizzante un elemento elastico bistabile.
IT1289780B1 (it) * 1996-12-20 1998-10-16 Skf Ind Spa Gruppo mozzo-giunto omocinetico per una ruota motrice,particolarmente per un autoveicolo.
IT1289779B1 (it) * 1996-12-20 1998-10-16 Skf Ind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reversibile di un gruppo omocinetico sul proprio mozzo, particolarmente per un autoveicolo.
DE19706864C1 (de) * 1997-02-21 1998-06-25 Loehr & Bromkamp Gmbh Gleichlaufdrehgelenk
DE19731331C2 (de) * 1997-07-22 1999-06-02 Daimler Chrysler Ag Gelenkwelle
DE19744870A1 (de) * 1997-10-10 1999-04-15 Itt Mfg Enterprises Inc Vormontage-Baueinheit für Kraftfahrzeuge
DE19751493C1 (de) 1997-11-20 1999-07-22 Gkn Loebro Gmbh Gleichlauffestgelenk mit Steuerelement
DE59712204D1 (de) * 1997-12-06 2005-03-24 Iprotec Masch & Edelstahlprod Radaufhängung
JPH11182537A (ja) * 1997-12-17 1999-07-06 Nippon Seiko Kk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DE29910810U1 (de) * 1998-07-30 1999-09-16 Gkn Loebro Gmbh Monoblocgelenk mit Zentrierung
US6431988B1 (en) * 1999-09-17 2002-08-13 Ntn Corporation Fixed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DE19963652B4 (de) * 1999-12-30 2008-02-07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ugelgleichlauffestgelenk mit mehrteiligem Gelenkaußenteil
DE19963653B4 (de) * 1999-12-30 2008-02-07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ugelgleichlauffestgelenk mit mehrteiligem Gelenkaußenteil
JP2003527271A (ja) * 2000-02-23 2003-09-16 ジー・ケー・エヌ・オートモーティヴ・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車輪を支持しかつ駆動結合する構成ユニット
DE10032854C1 (de) * 2000-07-06 2002-04-04 Gkn Loebro Gmbh Kugelgleichlaufdrehgelenk
JP2002089572A (ja) * 2000-07-10 2002-03-27 Koyo Seiko Co Ltd 軸受装置
US6648518B2 (en) * 2001-02-08 2003-11-18 Gkn Automotive, Inc.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JP3639258B2 (ja) * 2001-02-21 2005-04-20 ジー・ケー・エヌ・ドライブライン・ドイチェランド・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等速度継ぎ手用外方継ぎ手部分
US6524012B1 (en) * 2001-09-06 2003-02-25 Gkn Automotive, Inc. Securing members together by spring rings
US6739978B2 (en) 2001-09-28 2004-05-25 The Timken Company Wheel hub/joint unit with clamping and separating device
JP2004116666A (ja) * 2002-09-26 2004-04-15 Ntn Corp 固定型等速自在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US7048341B2 (en) * 2003-02-06 2006-05-23 Koyo Seiko Co., Ltd Bearing device for an axle
US6991380B2 (en) * 2003-09-24 2006-01-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heelend assembly with detachable outboard joint
US6969125B2 (en) * 2003-10-21 2005-11-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heelend assembly with detachable outboard joint
US7195399B2 (en) * 2003-10-24 2007-03-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heelend assembly with detachable outboard joint
JP2006096143A (ja) * 2004-09-29 2006-04-13 Jtekt Corp 車両用ハブユニット
DE102004048079C5 (de) * 2004-10-02 2011-05-12 Gkn Driveline Deutschland Gmbh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m Wellenzapfen und einem Gleichlaufdrehgelenk mit Verschraubungshülse
DE102005018126A1 (de) * 2005-04-20 2006-10-26 Schaeffler Kg Radlagergelenkeinheit
DE102005018127A1 (de) * 2005-04-20 2006-10-26 Schaeffler Kg Stirnverzahnung an einem Kupplungselement zum Übertragen von Drehmomenten
DE102005036626A1 (de) * 2005-08-04 2007-02-08 Volkswagen Ag Anordnung aus einem Gleichlaufgelenk und einer Radnabe
DE102005061389A1 (de) * 2005-12-22 2007-08-23 Schaeffler Kg Radnabe mit axialen Ausnehmungen zwischen den Löchern für Radschrauben
EP1969245B1 (en) * 2006-01-03 2012-03-28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Direct torque flow constant velocity joint having collet connection
JP5241078B2 (ja) 2006-03-31 2013-07-17 Ntn株式会社 固定式等速自在継手
JP2007331467A (ja) * 2006-06-13 2007-12-27 Jtekt Corp 車両用駆動輪ハブユニット
EP2105321B1 (en) * 2008-03-28 2013-03-20 JTEKT Corporation Wheel bear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0012284A1 (en) * 2008-07-26 2010-02-04 Ab Skf Method for producing a wheel bearing unit and wheel bearing unit
EP2202092B1 (en) * 2008-12-24 2011-10-26 Aktiebolaget SKF Coupling of a constant velocity joint and a hub bearing unit of a motor vehicle wheel
US8616779B2 (en) 2010-11-29 2013-12-31 Honda Motor Co., Ltd. Shortened driveshaft stem
JP6320695B2 (ja) * 2013-07-16 2018-05-09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N106391633A (zh) * 2016-12-09 2017-02-15 无锡银联齿轮传动机械有限公司 小件清洗机行走式底架的限位支撑轮组件
DE202019105391U1 (de) * 2019-09-27 2019-10-16 Kwd Kupplungswerk Dresden Gmbh Kupplung für Schienenfahrzeuge
JP2021148225A (ja) * 2020-03-19 2021-09-2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等速ジョイント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97368A (ko) * 1970-04-30 1972-11-22
DE3114290C2 (de) * 1981-04-09 1984-04-19 Lö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Gleichlaufdrehgelenk"
DE3116775C2 (de) * 1981-04-28 1984-12-20 Lö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Lagerungsanordnung einer über ein Gleichlaufdrehgelenk antreibbaren Radnabe
DE3116720C1 (de) * 1981-04-28 1982-10-28 Loehr & Bromkamp Gmbh Lagerungsanordnung einer ueber ein Gleichlaufdrehgelenk antreibbaren Radnabe
DE3132364C1 (de) * 1981-08-17 1983-02-24 Uni-Cardan Ag, 5200 Siegburg Lagerungsanordnung einer ueber ein Gleichlaufdrehgelenk antreibbaren Radnabe
DE3536437A1 (de) * 1985-10-12 1987-04-16 Kugelfischer G Schaefer & Co Waelzlager fuer raeder von kraftfahrzeugen
DE3618130A1 (de) * 1986-05-30 1987-12-03 Loehr & Bromkamp Gmbh Radlagerungs-gleichlaufgelenk-einheit
DE4014399A1 (de) * 1990-05-04 1991-11-07 Porsche Ag Radlager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1114B2 (en) 2005-04-20 2011-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D flash memory device having dummy memory cell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1454905B1 (ko) * 2013-04-12 2014-10-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및 이를 사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1748A2 (es) 1996-03-01
GB9318847D0 (en) 1993-10-27
BR9303761A (pt) 1994-04-12
US5549514A (en) 1996-08-27
ES2081748R (ko) 1998-03-16
DE4230639C1 (de) 1993-10-07
GB2270553B (en) 1995-03-01
FR2695694B1 (fr) 1995-04-14
FR2695694A1 (fr) 1994-03-18
ES2081748B1 (es) 1998-11-16
JPH06193645A (ja) 1994-07-15
GB2270553A (en) 1994-03-16
KR940007395A (ko) 199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325B1 (ko)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US4950206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US4460058A (en) Bearing assembly for a wheel hub driven by a rotary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2441594B1 (en) Wheel support apparatus
US6146022A (en) Hub unit bearing for wheel
KR101078460B1 (ko) 대향 경로 조인트
US11124020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integrated with wheel hub unit
US8944694B2 (en) Bearing device for driving wheel, and its assembling method
JPH0529561B2 (ko)
KR20010032310A (ko) 구동 샤프트의 연결 조립체
US6488589B2 (en) Apparatus for driving wheel of automobile
GB2339465A (en) Drive assembly
US6709338B2 (en) Constant velocity fixed ball joint as a counter track joint
US4275571A (en) Homokinetic universal joint
JP5212710B2 (ja) 車輪用軸受装置
GB2295440A (en) Constant velocity ratio universal joints.
JP4245849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等速自在継手
US4634402A (en) Universal joint capable of accommodating thrust loads
JP4212693B2 (ja) 駆動軸
JP4889875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
JP2001105806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2002210A (ja) 車輪駆動用軸受ユニット
JPH0747617Y2 (ja) 弾性カップリング
CA1212846A (en) Universal joint
JPS6464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