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066Y1 - 카드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066Y1
KR970000066Y1 KR2019900007217U KR900007217U KR970000066Y1 KR 970000066 Y1 KR970000066 Y1 KR 970000066Y1 KR 2019900007217 U KR2019900007217 U KR 2019900007217U KR 900007217 U KR900007217 U KR 900007217U KR 970000066 Y1 KR970000066 Y1 KR 970000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se
holder
fuel card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7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493U (ko
Inventor
무쯔오 쿠로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가사와라 도시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가사와라 도시아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910011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1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for dispensing tickets or toke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0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magazine to conveying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드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카드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카드 케이스 본체의 구성부품 일부를 제1도와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제3도와 제4도는 각각 카드의 수용 취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카드의 수용 취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케이스 본체 내부의 구성 부품 일부를 제1도와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다른 실시예를 제1도, 제11도, 제11도에 대응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단면도, 단면도임.
제16도와 제17도는 종래의 카드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며, 제16도는 단면도, 제17도는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본체 12 : 축
14 : 개폐뚜껑 16 : 연료카드(fuel card)
18 : 해제버튼(button) 20 : 토크죠오(Jaw)
22 : 죠오 24 : 비틀림코일스프링
30 : 카드케이스 32 : 횡벽
34 : 연료카드 36 : 취부구멍
38, 40 :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42, 44 : 凹부
46, 48 : 죠오 52, 54 : 플랜지(flange)
56, 58 : 죠오 60 : 구멍
62, 64 : 홈 66 : 홀더
70 : 안내홈 70A : 안내홈(70)의 뽑아냄쪽 내벽
70B : 안내홈(70)의 삽입방향쪽 내벽
72 : 압축코일스프링
74 : 다리부 76 : 다리부(74)의 돌출부
77 : 누름축 78 : 볼록(block) 형상부
80, 82 : 단부(段部) 84 : 래치캠(latch cam)
86 : 삼각돌기 87 : 다리부
90 : 삼각홈 92 : 경사면
94 : 걸림홈 96 : 부재38의 죠오
98 : 가요편(flexible片) 100 : 클립(clip)
102 : 점착테이프 104 : 종(세로)벽
106 : 취부구멍 108 : 돌출편
110 : 죠오 112 : 홈
114 : 걸림편
본 고안은 가솔린 스탠드에서 발행하는 연료카드(fuel card)등의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케이스(card case)에 관한 것이다.
제16도와 제17도에는, 자동차의 계기판넬등의 차실(車室) 내벽에 취부되어 연료카드의 수납용으로써 이용되는 카드 케이스의 종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 10에 축 12을 통하여 개폐뚜껑 14가 화살표 A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축지(軸支)되어, 개폐뚜껑 14의 개방상태에서 연료카드 16을 넣고 꺼내고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10에는, 누름조작 가능한 해제 버튼 18이 붙어 있으며 해제 버튼 18과 일체로 로크죠오 20(제16도에 도시)이 형성되고, 개폐뚜껑 14의 개방상태에서는 개폐뚜껑 14를 닫는 동작으로 로크죠오 20에 개폐뚜껑에 형성된 죠오 22가 걸려 개폐뚜껑 14가 닫힌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로크죠오 20과 죠오 22의 걸림상태는, 해제 버튼 18의 누름조작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고, 개폐뚜껑 14의 닫힘상태에서는 해제 버튼 18의 누름조작으로 로크죠오 20과 죠오 2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개폐뚜껑 14가 개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케이스 본체 10과 개폐뚜껑 14간에는, 축 12에 감겨져 개폐뚜껑을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가 설치되어, 개폐뚜껑 14의 개방시에는 로크죠오 20과 죠오 2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이와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24의 힘에 의해 개폐뚜껑 14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드 케이스에 있어서는 개폐뚜껑 14의 개폐조작이 연료카드 16을 넣고 빼는 조작과 별도로 행하여져서, 연료카드 16을 넣고 뺄때의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즉, 연료카드 16을 꺼낼때에는 해제버튼 18을 눌려도, 그후 개폐뚜껑 14가 개방되는 것을 기다려서, 연료카드 16을 꺼내야 한다.
또, 연료카드 16의 수납시에는 연료카드 16을 개폐뚜껑 14의 내측에 넣는것 만으로는 연료카드 16을 수납시킬 수 없고, 그후에 개폐뚜껑 14을 닫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연료카드 등의 카드를 간단히 넣고 뺄 수 있는 카드 케이스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카드 케이스에서는, 카드가 삽입되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내에 설치되어 카드에 눌려서 눌려들어가는 압입부재와, 압입부재에 카드의 톱힘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 압입부재를 카드수납위치에서 케이스 본체에 걸음과 동시에 카드수납위치에서 압입부재를 늘려 넣는 동작으로 압입부재의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케이스 본체는 피취부부재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피취부부재에는 취부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에는 취부구멍에 삽입되어 걸리는 죠오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에는, 피취부부재에 걸리는 클립이 착탈가능하도록 취부되고, 클립 또는 점착테이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취부부재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카드 수납시에는 케이스 본체에 카드를 삽입함에 의해서 카드에 눌려서, 압입부재가 힘을 가하는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눌려 넣어진다.
그리고, 카드 수납위치에서 압입부재가 래치에 의해 케이스 본체에 걸리고, 이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내에 카드가 수용된다.
카드 수용상태에서는 카드를 눌려 넣음으로써 압입부재를 힘을 가하는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눌려 넣으면, 이러한 눌러넣는 동작으로 래치에 의해 압입부재의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힘을 가하는 수단의 힘에 의해 카드를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압입부재에 눌려 카드가 뽑혀 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드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드 수납시에는, 케이스 본체에 카드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케이스 본체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카드를 꺼낼시에는 카드를 눌려 넣는것만으로 카드를 꺼낼 수 있게 되고 그후 카드를 끌어내는 것만으로 카드를 뽑아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스 본체를 자동차의 차실내와 가방등의 피취부부재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면, 휴대용 뿐 아니라, 자동차의 차실내와 가방등의 장비품으로써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취부부재에 취부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에 피취부부재의 취부구멍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면, 간단한 취부작업으로 케이스 본체를 피취부부재에 취부가능하다. 또, 케이스 본체에 피취부부재에 걸리는 클립을 착탈식 가능하게 취부되어 클립 또는 점착테이프에 취해 선택적으로 피취부부재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면, 피취부부재에 케이스 본체를 후에 붙이는 경우 등에 편리하다.
제1도 내지 제2도에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카드 케이스 30이 나타나 있다.
카드 케이스 30은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동차 차실내의 횡벽 32에 취부되어 가솔린 스탠드에서 발행하는 연료카드 34(제1도에 도시)의 수납용으로써 이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횡벽 32에는, 제1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가늘고 직사각형의 취부구멍 36이 형성되어, 취부구멍 36에 카드 케이스 30의 케이스 본체가 횡벽 32의 표면 윗쪽에서 부터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이 겹쳐진 상태로 걸러 맞춰져서 박형의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안쪽에 연료카드 34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직삭가형 판형상 부재 38, 40에는, 주위의 6개소에 각각 요(凹)부 42, 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각 요부 42, 44에 인접하여 죠오 46, 48이 형성되어, 겹쳐짐에 의해 요부 42, 44에 그 반대쪽의 죠오 48, 46이 끼워 맞춰져서, 겹쳐진 상태로 서로 걸려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요부 44 및 죠오 48에 대해서는 제2도 참조)
케이스 본체의 외주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에 각각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의 주변부표면(제11도 왼쪽)과 접합하는 플랜지 52, 5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플랜지 52, 54에 대항하여 죠오 56, 58이 형성되어, 죠오 56, 58과 플랜지 52, 54간에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의 주변부를 끼워져 케이스 본체가 횡벽 32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52, 54는 각각 각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의 폭방향 전지역에 걸쳐 설치되고((제1도 참조), 넓은 범위에 걸쳐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의 주변부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죠오 56, 58은 각각 각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의 폭방향 중간부에 부분적으로 설치되고(제1도 참조) 취부구멍 36에 케이스 본체를 삽입할 때에는 취부구멍 36의 내주테두리에 맞닿아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를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취부구멍 36을 관통하고, 취부구멍 36의 관통후에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의 형상 복원에 의해 플랜지 52, 54 사이에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의 주변부를 끼워두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죠오 56에 대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 없으나, 죠오 58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의 폭방향중간부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의 외주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벽 32의 표면 윗쪽(제11도 윗쪽)에 세폭(細幅)의 구멍 60이 형성되어((제1도 참조), 횡벽 32의 표면 윗쪽에서부터 구멍 60을 통하여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 사이의 안쪽에 연료카드 34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멍 60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의 표면에는, 제1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간부에 서로 대향하여 원호형의 홈 62, 64가 형성되고, 이 홈 62, 64의 형성부분에서 부터 눌려 넣음으로써 연료카드 34를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사이의 안쪽에 깊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의 안쪽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카드 34의 삽입로에 홀더 66이 배치되어 있다.
홀더 66은 제2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의 내벽에 연료카드의 삽입과 뽑아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 70에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안내홈 70의 연료카드의 뽑아냄 방향쪽 내벽 70A에 맞닿는 위치(제5도의 위치)에서 부터 안내홈 70의 연료카드의 삽입방향쪽 내벽 70B에 맞닿는 위치(제7도 및 제9도의 위치)까지 연료카드의 삽입과 뽑아냄 방향으로 홀더 6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안내홈 70에는 부재 38의 연료카드 삽입방향 중간부에서부터 연료카드 삽입방향 끝벽에 걸처서 형성되어 있다.
홀더 66의 연료카드 삽입방향 끝쪽에는 제1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 72가 배치되어, 스프링 72에 의해 홀더 66이 연료카드 뽑아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이 스프링 힘을 받아서 홀더 66은 자유상태, 즉 연료카드의 비(非) 삽입상태에서 안내홈 70의 연료카드 뽑아냄 방향쪽 내벽 70A에 맞닿는 위치(제5도의 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홈 70의 내벽 70A에 홀더 66이 맞닿은 상태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카드 34가 케이스 본체내에서 부터 크게 돌출된 삽입위치에서 홀더 66과 맞닿고 있고, 연료카드 34의 수용시에는 압축코일 스프링 72의 힘에 대항하여 연료카드 34에 눌려서 홀더 66이 눌려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홀더 66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부 74사이를 통하여 양다리부 74 사이의 중간부에 연료카드의 삽입방향쪽의 끝부분이 맞닿아 눌려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양다리부에는, 선단부에 연료카드 34의 삽입로드 돌출하는 돌출부 76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76은 연료카드 34의 삽입시에 연료카드 삽입방향(화살표 X방향)쪽의 끝부분이 맞닿아 양다리부 74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휘어지고, 양다리부 74사이의 중간부와 연료카드 34의 맞닿음 상태에서 양다리부 74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카드 34를 그 폭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 76의 선단에서는, 연료카드 34의 표면 또는 뒷면에 맞닿는 누름축 77이 돌출되어, 연료카드 34의 삽입상태에서 누름축 77에 의해 연료카드 34의 두께 방향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양다리부 74 사이의 중간부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상부 78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형사우 78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부 74사이의 중간부에서 연료카드 34의 삽입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돌출되어, 홀더 66은 볼록 형상부 78이 안내홈 70의 내벽 70B에 맞닿을때까지 연료카드 34의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볼록 형상부 78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부재 38과 대항하는 부분에 연료카드 삽입 및 뽑아낼 방향에 대항하여 단부(段部) 80, 82가 형성되어, 연료카드 34의 거의 전체가 케이스 본체내에 수납된 삽입위치에서 단부 82에 케이스 본체가 걸리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내에 연료카드 34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재 38에 볼록형상 78에 대응하여 죠오 96이 형성되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카드 34의 거의 전체가 케이스 본체내에 수납된 삽입위치에서 단부 82에 죠오 96이 걸리어서 홀더 66의 연료카드 뽑아낼 방향으로의 저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케이스 본체내에 연료카드 34의 거의 전체가 수용되어 케이스 본체내로의 연료카드 34의 수용상태가 된다.
죠오 96은 가요편(片) 98을 통하여 부재 38에 설치되어 가요편 98의 탄성력에 의해 단부 82에 걸리어, 단부 82로의 걸림상태에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편 98의 탄성변형에 의해 단부 82에서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내로의 연료카드 34의 수용상태에서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카드 34의 일부가 케이스 본체의 홈 62, 64로부터 노출되는 한편 볼록 형상부 78이 안내홈 70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케이스 본체내로의 연료카드 34의 수용상태에서부터도 볼록형상부 78이 안내홈 70의 내벽 70B가 당잡할 때 까지는 연료카드를 홈 62, 64에서부터 눌려 넣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형상부 78에는, 단부 80, 82사이에 래치캡 84가 연료카드 삽입과 뽑아냄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단부 80, 82사이에는 삼각돌기 86이 형성되어 삼각돌기 86에 의해 래치캠 84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삼각돌기 86을 래치캠 84를 연료카드 뽑아냄 방향쪽의 단부 80에 맞닿는 위치까지는 연료카드 삽입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하는데, 그 반대방향(화살표 X방향과 반대방향)의 래치캠 84의 이동시에는 이동도중에 래치캡 84와 맞닿아 래치캡 84의 이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래치캡 84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형상이 대략자 형상으로, 양다리부 87사이의 중간부가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0, 82사이에 배치되어 양다리부 87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 및 삼각돌기 86을 올라타서, 단부 82 및 삼각돌기 86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양다리부 87사이의 중간부는 단부 82로의 맞닿음 상태에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82의 선단면과 거의 일면(一面)이 되도록 되어 있다.
래치캠 84에는 볼록형상부 78과 대향하는 부분에 삼각홈 90이 형성되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0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홈 90에 볼록형상부 78의 삼각돌기 86이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래치캠 84에는, 볼록형상부 78과 대응하는 부분에 경사면 92가 형성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92에 볼록 형상부 78의 평탄면이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 Z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이 동작에 의해 삼각돌기 86을 타고 넘어서 단부 82에 맞닿는 위치에서 부터 단부 80에 맞닿는 위치까지 연료카드 뽑아냄 방향(화살표 X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래치캠 84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부 87의 기초부 부근에 걸림홈 9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 94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사이의 중간부가 볼록형상부 78의 삼각돌기 86에 맞닿는 위치 및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사이의 중간부가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0에 맞닿는 위치에서 볼록형상부 78의 삼각돌기 86과 단부 80사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걸림홈 94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의 죠오 96이 끼워 맞춤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카드 케이스 30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의 횡벽 32의 표면 윗쪽의 취부 구멍 6에 케이스 본체를 삽입함에 따라 횡벽 32에 고정상태로 취부되어 연료카드 34의 수납용으로써 이용된다.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에 케이스 본체를 삽입할 때에는 죠오 56, 58이 취부구멍 36의 내주테두리에 맞닿아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 4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취부구멍 36을 관통하고, 취부구멍의 관통후에 부재 38, 40의 형상 복원에 의해 죠오 56, 58이 플랜지 52, 54사이에 횡벽 32의 취부구멍 36의 주변부를 끼워둔다. 이에 의해서, 카드 케이스 30이 횡벽 32에 고정상태로 취부된다.
연료카드 34의 비삽입상태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 72의 힘에 의해서 홀더 66이 안내홈 70의 연료카드 뽑아냄 방향쪽 내벽 70A에 맞닿는 위치(제5도의 위치)로 유지됨과 동시에 래치캡 84가 홀더 66의 복록형상부 78의 단부 82와 삼각돌기 86사이에서 연료카드의 삽입과 뽑아냄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롭게 배치된다.
연료카드 34의 수용시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카드 34가 케이스 본체내에서부터 크게 돌출된 삽입위치에서 홀더 66과 맞닿고, 압축코일 스프링 72의 힘에 대항하여 연료카드 34에 눌려서 홀더 66이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위치(제8도의 위치)를 거쳐 볼록형상부 78이 안내홈 70의 내벽 70B이 맞닿을 때까지 눌려 넣어진다. 즉, 홀더 66의 눌려 넣어짐에 의해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의 선단에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의 죠오 96이 맞닿아 래치캠 84가 연료카드의 뽑아냄방향(화살표 X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눌려서 볼록형상부 78의 삼각돌기 86에 맞닿는 위치(제5도 참조)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삼각돌기 86에 의해 단부 80에 맞닿는 방향으로의 래치캠 84의 슬라이드 동작이 제한되어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의 선단부가 죠오 96의 경사면에 의해 볼록형상부 78의 평탄면에 눌린다.
이러한 누르는 힘에 의해 볼록형상부 78의 평탄면에 래치캠 84의 경사면이 맞닿을때까지 래치캠 84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Z방향으로 요동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래치캠 84가 삼각돌기 86을 타고넘어, 그후에도 계속하여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의 선단부에 직사각형 판형상의 부재 38의 죠오 96이 맞닿아 래치캠이 연료카드의 뽑아냄 방향(화살표 X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눌려서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0과 맞닿도록 이동되어, 계속하여 홀더 66이 눌려 넣어진다.
이러한 눌려넣음에 의해, 부재 38의 죠오 96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를 타고 넘어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의 선단부로 미끄럼 접합하고, 케이스 본체로의 홀더 66의 걸림위치(제8도의 위치)에서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에 부재 38의 죠오 96이 걸리지 않아서, 이에 의해 홀더 66이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위치를 거쳐 안내홈 70의 내벽 70B에 맞닿는 위치까지 눌려 넣어진다.
홀더 66이 안내홈 70의 내벽 70B에 맞닿는 위치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0에 래치캠이 맞닿는 한편 래치캠 84의 걸림홈 94가 볼록형상부 78의 삼각돌기 86과 단부 80사이에 위치되어 래치캠 84의 걸림홈 94에 부재 38의 죠오 96이 가요편 98의 탄성력에 의해 끼워 맞춰진다.
여기서, 연료카드 34를 삽입하는 것을 멈추면, 압축코일스프링 72의 힘에 의해 홀더 66이 눌려 되돌아 간다.
이때 래치캠 84가 걸림홈 94로의 부재 38의 죠오 96의 끼워맞춤에 의해 홀더 66과 상대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홀더 66이 눌려 들어갈 끝에서 부터 약간 되돌아간 위치에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에 부재 38의 죠오 96이 걸린다.
이러한 걸림위치에서는 래치캠 84가 단부 82와 삼각돌기 86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서, 연료카드 34의 거의 전체가 케이스 본체내에 수납된 삽입위치에서 홀더 66이 단부 82로의 죠오의 걸림에 따라 케이스 본체에 걸려서 연료카드 34가 케이스 본체내에 수납된다.
연료카드 34의 수납상태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66이 양다리부 74사이를 통하여 양다리부 74사이의 중간부에 연료카드의 삽입방향쪽의 끝부분이 맞닿아 돌출부 76을 통해 양다리부 74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카드 34가 그 폭방향에서 끼워져 유지된다. 즉, 연료카드의 수용시에 연료카드 34가 양다리부 74의 돌출부 76에 맞닿아 양다리부 74를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휘게하여 양다리부 74사이의 중간부로의 맞닿은 상태에서 홀더 66을 계속 눌려 넣어 케이스 본체내에 삽입되어, 이 상태가 연료카드 34의 수용상태에서도 유지되어 돌출부 76을 통해 양다리부 74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카드 34가 그 폭방향에서 끼워져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카드 34의 수용상태에서는, 연료카드 34가 흔들리는 일은 없다.
연료카드 34을 꺼낼때에는, 연료카드 34을 케이스 본체내의 안쪽으로 눌려 넣으면 되며, 이러한 누름에 의해 홀더 66이 눌름의 마지막 위치까지 눌려 넣어지며, 래치캠 84가 삼각돌기 60에 눌려서 홀더 66과 함께 이동하여 홀더 66의 눌림 마지막 위치에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캠 84의 양다리부 87사이에 눌려서 래치캠 84의 걸림홀 94내에서 부터 부재 38의 죠오 96이 빠져나와 홀더 66의 단부 82로의 부재 38의 죠오 96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연료카드 34를 눌려 넣는 것을 멈추면, 압축코일 스프링 72의 힘에 의해 홀더 66이 눌름 마지막 위치에서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위치를(제8도의 위치)거쳐 초기위치(안내홈 70의 내벽 70A에 맞닿는 제5도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홀더 66에 눌려서 연료카드 34가 제5도의 위치까지 압출되어 연료카드를 끌어냄으로써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즉, 연료카드 34를 눌려 넣는 것을 멈추면, 압축코일 스프링 72에 힘이 가해져 홀더 66이 되돌아간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래치캠 84가 부재 38의 죠오 96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에 맞닿아 래치캠 84의 다리부 87사이의 중간부가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의 선단면과 거의 일면(一面)이 된다.
이에 의해, 홀더 66의 이동도중에 볼록형상부 78의 단부 82에 부재 38의 죠오 96이 걸릴 수 없게 되어 홀더 66이 초기위치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홀더 66의 초기위치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카드 34가 케이스 본체내에서 부터 크게 돌출되어 꺼낼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료카드 34의 수납시에는, 케이스 본체에 연료카드 34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케이스 본체내에 연료카드 34를 수납할 수 있고, 또 연료카드 34를 꺼낼때에는 연료카드 34를 눌려 넣는 것만으로 연료카드를 꺼낼 수 있게 되어, 그후 연료카드 34를 끌어내는 것만으로 연료카드 34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횡벽 32에 취부구멍 36을 형성하여 취부구멍 36에 카드 케이스 30의 케이스 본체를 삽입함에 따라 카드케이스 30을 횡벽 32에 취부하도록 했으나,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케이스 30의 케이스 본체에 클립 100을 착탈가능하게 취부하고, 제14도,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180 또는 점착 테이프 102에 의해 종벽 104에 취부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테이프 102는 클립 100을 떼어낸 상태에서 종벽 104에 붙어서, 종벽 104의 중간부에 카드 케이스 30을 취부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 클립 100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로의 취부상태에서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종벽 104를 끼워두는 구성이고, 종벽 104의 상단등의 단에 카드 케이스 30을 취부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클립 100은 케이스 본체로의 취부시에는 케이스 본체의 취부구멍 106에 삽입후에 화살표 S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취부구멍 106에 내주에 서로 대항하여 돌출된 돌출편 108(제13도에 도시)에 죠오 110이 걸림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의 취부구멍 106의 내주부에 형성된 홈 112내에 걸림편 114가 끼워 맞춰져 케이스 본체에 고정되고, 케이스 본체에서 부터 떼어낼 때에는 취부시와 반대의 작업으로 취부구멍 106에서 부터 이탈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실내의 횡벽 32와 종벽 104에 취부하여 연료카드 34의 수용용으로써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어테취 케이스 등에 취부되기도 하고, 또한 직접 의복의 주머니등에 넣어 휴대용으로써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은행에서 발행하는 현금카드 등 다른 카드의 수용용으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래치캠 84를 이용하여 홀더 66을 카드 수납위치에서 케이스 본체내에 걸음과 동시에 카드수납위치에서의 홀더 66의 눌려 넣음 동작으로 홀더 66의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했으나, 하트 캠을 이용하여 홀더 66을 카드 수납위치에서 케이스 본체에 걸음과 동시에 카드 수납위치에서의 홀더 66의 눌려 넣음 동작으로 홀더 66의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장의 카드를 수용하는 경우에 대해

Claims (4)

  1. 카드가 삽입될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내에 설치되어 카드에 눌려서 눌려 넣어지는 압입부재와 압입부재에 카드가 뽑혀나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를 가지는 카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재는 카드를 유지하는 홀더(66)와 홀더 양단의 수직의 다리부(74, 74)와 다리부의 말단 돌출부에서 내측으로 향한 누름축(77, 77)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66)의 중앙 하부에는 볼록 형상부(78)가 구비되어 상기 볼록 형상부(78)에 래치캠(84)을 계지하는 한편 상기 래치캠(84)이 카드 케이스(38)의 내측면의 가요편(98)의 죠오(96)에 계지되도록 하고, 상기 볼록 형상부(78)의 좌우 양측에는 압축코일 스프링(72, 72)으로 내삽하는 돌기 부를 형성시켜서 상기 압입부재를 카드수납위치에서 케이스 본체에 거는 한편 카드가 수납된 위치에서 압입부재를 눌려넣는 동작에 의해 압입부재의 케이스 본체로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의 케이스 본체가 피 취부 부재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의 피 취부 부재에는 취부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전기의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의 취부구멍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전기의 케이스 본체에는 피 취부부재에 걸리는 클립이 착탈가능하게 취부되고, 클립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피취부 부재에 취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KR2019900007217U 1989-12-28 1990-05-26 카드 케이스 KR9700000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53049U JP2554520Y2 (ja) 1989-12-28 1989-12-28 カードケース
JP1-153049 198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93U KR910011493U (ko) 1991-07-29
KR970000066Y1 true KR970000066Y1 (ko) 1997-01-04

Family

ID=1555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7217U KR970000066Y1 (ko) 1989-12-28 1990-05-26 카드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25505A (ko)
JP (1) JP2554520Y2 (ko)
KR (1) KR970000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492B1 (ko) * 2015-03-10 2016-07-08 황덕삼 차량용 rfid 카드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230A (en) * 1991-01-22 1996-05-28 Sumner, Iii; Yancey Pocket card holder with money clip
US5441251A (en) * 1991-04-19 1995-08-15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article containing cassette and system
US5522163A (en) * 1994-07-08 1996-06-04 Pro-Mold And Tool Company Card holder
US5524749A (en) * 1994-12-02 1996-06-11 Thompson; Rosemary Safety card case for machine readable cards
USD377416S (en) * 1995-05-15 1997-01-21 Chandler Aurora Pocket business cards holder
JPH097005A (ja) * 1995-06-14 1997-01-10 Kenji Tsuge 自動改札機に対する定期券出入装置
US5781980A (en) * 1995-08-07 1998-07-21 Golston Company Display with molded spring
NL1002032C2 (nl) * 1996-01-05 1997-07-09 Adviesbureau F G A Weggelaar B Inrichting ter beveiliging tegen verlies of zoekraken van kaartvormige voorwerpen, in het bijzonder bankpassen en creditkaarten.
SE9601825L (sv) * 1996-05-13 1997-05-20 Ohlson Kurt L Korthållararrangemang
DE19632215A1 (de) * 1996-08-09 1998-02-12 Fischer Artur Werke Gmbh Gehäuse zum Aufbewahren mehrerer Scheckkarten
USD386302S (en) * 1996-10-16 1997-11-18 Curtis Taylor Business card case
FR2763381A1 (fr) 1997-05-14 1998-11-20 Bernard Pichot Constructions modulaires pliantes obtenues par assemblage de panneaux
SE512124C2 (sv) * 1997-07-09 2000-01-31 Sven Anders Bladh Kassett för plastkort med magnetremsa eller magnetchips
US6121544A (en) * 1998-01-15 2000-09-19 Petsinger; Julie Ann Electromagnetic shield to prevent surreptitious access to contactless smartcards
USD404566S (en) * 1998-01-16 1999-01-26 Archer Design, Inc. Business card holder and dispenser
US6098328A (en) * 1998-02-20 2000-08-08 Congoleum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5992618A (en) * 1999-02-11 1999-11-30 Joh; Duksung Pocket carrier of index cards
US6308831B1 (en) * 1999-07-12 2001-10-30 J. E. Saxe & Co. Container and kit for protection and display of collectible items
US6155410A (en) * 1999-10-07 2000-12-05 Davis; Mathew Credit card case
EP1118958A1 (en) * 2000-01-22 2001-07-25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DE10107286C1 (de) * 2001-02-16 2002-05-23 Porsche Ag Innenausst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GB0127901D0 (en) * 2001-11-21 2002-01-16 Cheung Jason K Disc storage case
NL1020517C2 (nl) * 2002-05-02 2004-01-13 Tele Merchandising Internat B Werkwijze voor het visualiseren van afbeeldingen en inrichting daarvoor.
US8827111B2 (en) 2002-08-20 2014-09-09 Gamon Plus, Inc. Multi-chute gravity feed dispenser display
US10905256B2 (en) 2002-08-20 2021-02-02 Gamon Plus, Inc. Multi-chute gravity feed dispenser display
US20040251596A1 (en) * 2003-02-03 2004-12-16 Csaszar Douglas M. Cassette for storage phosphor medium
US20040154204A1 (en) * 2003-02-12 2004-08-12 Ultra Pro L.P. Display holders for flat items
US6981591B2 (en) * 2003-07-31 2006-01-03 Umbra Inc. Case with elastic-secured end cap
US20050198898A1 (en) * 2004-03-11 2005-09-15 Vogt Paul A. Plant basket divider
FR2876553B1 (fr) * 2004-10-20 2007-01-26 Louis Michel Jean Dispositif porte carte de credit permettant de simplifier le port et la mise a disposition d'une carte de credit pour usage
US7165349B2 (en) * 2004-12-13 2007-01-23 Allegiance Corporation Attachable card holder
JP4679287B2 (ja) * 2005-07-29 2011-04-27 株式会社ニフコ 蹴り出し機構及び収納装置
US7635089B2 (en) * 2006-07-03 2009-12-22 Identity Stronghold, Llc Device for shielding reading of a contactless smartcard
US7798329B2 (en) * 2007-04-19 2010-09-21 Meadwestvaco Corporation Insert package
US20080272010A1 (en) * 2007-05-02 2008-11-06 Friedman Bernard L Data card holder
US20080283434A1 (en) * 2007-05-17 2008-11-20 Gelardi John A Selectably Lockable Case
US20090065383A1 (en) * 2007-05-31 2009-03-12 Philip Morris Usa Inc. Package with tray enclosure
US7806270B2 (en) * 2007-08-16 2010-10-05 Anderson Packaging, Inc. Child-resistant, senior-friendly unit dose container
US20090084012A1 (en) * 2007-10-01 2009-04-02 Nifco Taiwan Corporation Low profile name card carrier
US20090184022A1 (en) * 2008-01-18 2009-07-23 One World Design And Manufacturing Group, Ltd. Child resistant container for housing a blister card
US20090266776A1 (en) * 2008-04-25 2009-10-29 Johnson Terry J Dispenser and Display Device
US7921890B2 (en) * 2008-08-13 2011-04-12 Wei-Teh Ho Credit card case
CN101740732B (zh) * 2008-11-12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固定装置
NL1036993C2 (nl) * 2009-05-27 2010-11-30 Geer Rene Johan Van Houder voor creditcards.
US7900772B2 (en) * 2009-06-01 2011-03-08 Anderson Packaging, Inc. Child-resistant, senior-friendly unit dose container
US20120267261A1 (en) * 2009-12-18 2012-10-25 Meadwestvaco Corporation Child resistant packaging system
USD667829S1 (en) * 2011-02-18 2012-09-25 Knut Berntsen Card holder
JP2013048715A (ja) * 2011-08-31 2013-03-14 Kokuyo Co Ltd マスク保管用ケース
CN202750891U (zh) * 2012-02-24 2013-02-27 勃来迪环球股份有限公司 具有弹出件的证件套
US9173474B2 (en) * 2012-06-26 2015-11-03 Chadd Steven Winterburg ID card holder
US10793342B2 (en) * 2012-07-16 2020-10-06 John Minson Credit card dispenser
US20150034525A1 (en) * 2013-07-31 2015-02-05 Evan Christopher Braxton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card sized objects
US20150033562A1 (en) * 2013-08-01 2015-02-05 Aletha Ann Posey Card holder with built in cutter
TWM487282U (zh) * 2014-05-20 2014-10-01 Nai-Qi Shi 收納裝置
US9876523B2 (en) * 2015-04-24 2018-01-23 Ahmad H. HODROJ Smartphone case with concealed card cache, and method of using same
JP6456777B2 (ja) * 2015-06-08 2019-01-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GB2544817A (en) * 2015-11-30 2017-05-31 Berk Marijn Spring-loaded card ejector for card holders
KR102486821B1 (ko) * 2016-09-27 2023-0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드 홀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907375B1 (en) * 2017-03-10 2018-03-06 Michael William Kitchen Electromagnetic shielding card case for contactless and chip and pin cards
DK3395196T3 (da) 2017-04-28 2021-11-01 Thomas Wingerter Kortholder til kreditkort eller andre kort
US10653222B2 (en) * 2017-05-23 2020-05-19 Rick Peter Gerard Scharnigg Card Holder
USD845623S1 (en) 2017-06-29 2019-04-16 Mark Gerrit Sullivan Minimalist wallet for storing and protecting RFID cards
KR200490749Y1 (ko) * 2018-01-05 2019-12-27 윤성현 카드 인출 수단을 구비한 카드 지갑
USD892933S1 (en) 2018-03-07 2020-08-11 Samsonite Ip Holdings S.A R.L. Personalization tag
US10878686B1 (en) * 2018-03-26 2020-12-29 Badge Messenger Inc. Badge holder with one touch communication
EP3590382B1 (en) 2018-07-03 2021-01-27 Samsonite IP Holdings S.ÀR.L. Identification tag for luggage article
CN209000417U (zh) * 2018-12-18 2019-06-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工牌及其壳体
US11547188B2 (en) * 2019-03-27 2023-01-10 Justin J. Myers Customizable card wallet
CA3080678A1 (en) * 2019-06-27 2020-12-27 Dongguan Lk Tin Packaging Co.,Ltd. Container with security lock
CN111055780B (zh) * 2019-12-12 2021-06-15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卡片槽及具有其的车辆
US11208839B2 (en) * 2020-03-03 2021-12-28 Gmi Holdings, Inc. Space venting upward acting door system and method
US11412825B2 (en) 2020-11-04 2022-08-16 Identity Stronghold, Llc Shielding card hold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5276A (en) * 1921-02-21 1922-05-09 Terner Edward Card holder
US3760486A (en) * 1970-04-06 1973-09-25 Ibm Integral storage container, shipping carton and extraction/insertion mechanism for multi-chip circuit modules
US3710929A (en) * 1971-06-14 1973-01-16 M Morales Automatic card dispenser
US3851505A (en) * 1973-05-01 1974-12-03 L Wilkinson Card holder for vehicles
US4170914A (en) * 1978-05-30 1979-10-16 Carrier Vernon J Chewing gum carrier and cutter
DE3110058A1 (de) * 1981-03-16 1982-09-30 Licinvest AG, 7002 Chur "behaelter fuer fotoabzuege"
US4450955A (en) * 1981-12-04 1984-05-29 Featherston Elmer F Card holder
DE3202928A1 (de) * 1982-01-29 1983-08-11 Licinvest AG, 7002 Chur Behaelter fuer fotoabzuege
JPS58153136U (ja) * 1982-04-09 1983-10-13 平野 康之 自動車用物品収納装置
SE433680B (sv) * 1982-09-10 1984-06-04 Ohlson Kurt L For ett kort, speciellt id-kort, avsedd hallare
JPS59155245U (ja) * 1983-04-04 1984-10-1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における物入れの取付構造
JPS59174032U (ja) * 1983-05-06 1984-11-20 有限会社 グロ−リ−工芸 ライセンス,カ−ド等のケ−ス
WO1985004313A1 (fr) * 1984-03-28 1985-10-10 Franz Josef Holdener Recipient pour carte de credit ou d'identification
JPS61150243U (ko) * 1985-03-12 1986-09-17
US4931622A (en) * 1985-08-09 1990-06-05 Daiichi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ard receiving device and ejection mechanism
US4843221A (en) * 1986-07-26 1989-06-27 Daiichi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ard receiving device
CH672402A5 (ko) * 1987-04-13 1989-11-30 Plaston Ag
US4792058A (en) * 1987-05-04 1988-12-20 Parker Robert J Business card dispenser
US4838422A (en) * 1987-11-23 1989-06-13 Empak, Inc. Data storage container
JPH072473Y2 (ja) * 1988-01-06 1995-01-25 株式会社カンセイ カード収納装置
FR2636215A1 (fr) * 1988-09-12 1990-03-16 Rodel Robin Porte-car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492B1 (ko) * 2015-03-10 2016-07-08 황덕삼 차량용 rfid 카드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90985U (ko) 1991-09-17
JP2554520Y2 (ja) 1997-11-17
US5125505A (en) 1992-06-30
KR910011493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066Y1 (ko) 카드 케이스
JP4592489B2 (ja) ロック機構及びラッチ装置
KR930004624Y1 (ko) 콤펙트디스크케이스의 원터치서랍식 개폐장치
JPS621929Y2 (ko)
JPH02272184A (ja) ラッチ装置
JPH0650523U (ja) 袋物・鞄などの蓋の係止具
JPH068811U (ja) なす環
KR0135551B1 (ko) 카드홀더
JP3652766B2 (ja) バックル
JP2710101B2 (ja) ラッチ
JPS5935009Y2 (ja) 物品収納部の蓋装置
JP3683465B2 (ja) ロック装置
KR200209378Y1 (ko) 사무용 소물품 보관통
JPH10248620A (ja) カードホルダー
JPH0513286Y2 (ko)
JP2543491B2 (ja) ラッチ
JP3051209U (ja) 携帯用灰皿
JP2543490B2 (ja) ラッチ
JP2553378Y2 (ja) カメラ
JPH0637766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134029B2 (ja) 扉の埋没式把手
JPH0655556B2 (ja) 綴 具
JP2543488B2 (ja) ラッチ
JPH07194416A (ja) 蓋体用止め具
JPH0882144A (ja) 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