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272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272B1
KR960011272B1 KR1019880001415A KR880001415A KR960011272B1 KR 960011272 B1 KR960011272 B1 KR 960011272B1 KR 1019880001415 A KR1019880001415 A KR 1019880001415A KR 880001415 A KR880001415 A KR 880001415A KR 960011272 B1 KR960011272 B1 KR 96001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carboxylic acid
acid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061A (ko
Inventor
다다시 사에끼
기요시 이까와
세이지 구리따
가쓰지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다오 가따꾸 가부시끼가이샤
기요까와도시따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519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8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다오 가따꾸 가부시끼가이샤, 기요까와도시따까 filed Critical 스미또모다오 가따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특정 그라프트 중합체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개질된 특정 공중합체를 함유하며, 잘 조화된 충격강도(즉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성형성 및 장력강도, 그리고 외관 뿐만 아니라 용접강도를 갖는 복합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성형성, 내열성, 기계강도, 화학적 저항성 및 내구성에서 우수하며, 예를들면 기계부품, 전기 및 전기에 관한 부품 및 자동차 부품의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건조상태에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수분 흡수로 인한 치수변화 및/또는 장력강도의 저하로 곤란하게 된다.
대표적인 충격 저항 고무-개질수지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고무성분이 에틸렌-프로필렌 염기 고무로 치환된 ABS 수지를 포함하는 AES 수지 및 고무성분이 아크릴 고무로 치환된 ABS 수지를 포함하는 AAS수지가 자동차 부품, 전기 설비부품, 사무용 기기 부품의 재료로 공지되어 있고,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지가 충격강도 및 치수 안정성에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열등한 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며, 증가된 함량의 고무성분을 함유하는 고충격 등급은 저하된 장력강도 및 성형성을 갖는다.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혼합 폴리아미드를 ABS수지와 용융시키는 것이 제안되었었다 (참고. 일본국 특허공고 제23476/1963호). 그러나 폴리아미드와 ABS 수지간의 양립성이 본래 불량하므로, 성형품이 박리로 인하여 곤란하게 되며 낮은 충격강도를 갖는 제품을 제공한다.
ABS 수지중의 카르복실산기 및 아미드기와 같은 폴리아미드와 반응성 또는 친화력을 갖는 작용기를 도입하여 ABS수지를 개질하고 폴리아미드 및 ABS수지간의 양립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었었다 (참고. 일본국 특허공개 재11159/1979호, 제32656/1983호 및 제93745/1983호). 그러나 상기 작용기를 ABS 수지에 도입하는 것은 성형성의 상당한 저하 및 충격강도의 불만족한 개선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혼합수지로부터의 성형품은 보다 못한 용접강도(용접-선을 따른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성형성을 갖고. 조화된 충격강도 및 장력강도 그리고 양호한 용접강도를 갖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및 ABS 수지가 함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기의 것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A) 황산내에서 상대점도가 2.0 이상이고 3.0보다 작은 폴리아미드, B)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내지 90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 상기의 두 단량체와 공중합화 가능한 기타 다른 비닐 단량체 0 내지 40중량%가 공중합화되어 수득 가능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내지 89.5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내지 49.5중량%및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0.5 내지 20중량%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량에 대한 폴리아미드(A)의 중량비[A : (B+C)]가 90 : 10내지 10 : 90인 것에서,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북실산-개질 공중항체(C)의 전체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1.5중량%이고, 고무상 중합체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초로 하여 5 내지 30중량%이다.
폴리아미드 (A)
폴리아미드(A)의 예에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아민(예, 에틸렌디아민, 디아미노부탄,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1,3- 및 1,4-비스(아미노메틸) 시클로헥산,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m-크실릴렌디아민, p-크실릴렌디아민 등) 및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북실산(예,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락탐(예, ε-카프롤락탐, ω-도데카락탐 등)의 고리 열림 중합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6-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및 그의 공중합화되거나 또는 혼합된 폴리아미드가 있다.
대량 생산 및 경제적 생산의 이유때문에,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 6), 폴리도데카미드(나일론 12), 폴리테트라메 렌아미파미드(나일론 46),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나일론 66),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 610), 그의 공중합성 폴리아미드(예, 나일론 6/66, 나일론 6/610, 나일론 6/12, 나일론 66/12, 나일론 6/66/610/12) 및 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 메탄/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염기 폴리아미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아미드(A)는 활산(25℃에서 100ml의 98%황산내 1g의 폴리아미드 용액)내에서 2.0 이상이고 3.0 보다 적은 상대점도를 갖는다. 황산내의 상대점도가 2.0 보다 적거나, 3.0 또는 더 클 때, 성형품은 감소된 용접강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A)는 2.2 내지 9.8의 황산내 상대점도를 갖는다.
폴리아미드(A)의 분자구조는 결정적이지는 않고 직쇄 또는 측쇄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직쇄 폴리아미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반면에 측쇄 폴리아미드는 적어도 세가지의 폴리아미드-형성 작용기(예, 비스(ω-아미노헥실)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메스산, 비스락탐 등)을 갖는 적은 양의 다작용성 가지형성제의 존재하에 단량체(들)을 중합화하여 제조한다. 중합화는 용융 중합화, 계면 중합화, 용액 중합화, 벌크 중합화, 고체상 중합화 및 그의 복합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융 중합화가 적당하다. 단량체가 락탐일때, 폴리아미드가 음이은성 중합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B)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고무상 중합체로서, 예시된 것은 디엔 염기 고무상 중합체(예,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 및 비공액 디엔 염기 고무상 중합체(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아크릴 고무상 중합체, 염소화폴리에틸렌 등) 및 그의 혼합물이다. 고무상 중합체는 유화 중합화, 용액 중합화, 벌크 중합화 및 현탁 중합화와 같은 통상적인 중합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화 중합화가 사용될 경우, 입자크기 및 고무상 중합체의 겔 함량에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 고무상 중합체는 0.1 내지 1μm의 입자크기를 갖고, 0 내지 95%의 겔 함량을 갖는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예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비닐톤루엔, 디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디플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그들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예에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그들중, 아크릴로니트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화 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비닐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예,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케이트, 부틸 아크릴케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 말레이미드 화합물(예,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B)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90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 상기의 두 단량체와 공중합화 가능한 하나이상의 기타 다른 비닐 단량체 0 내지 40중량%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화에 의해 제조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고무상 중합체에 대한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비는 결정적이지 않다. 바람직하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상 중합체의 20 내지 80중량% 및 단량체 혼합물의 80 내지 20중량%를 함유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B)의 단량체 조성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났을때, 그라프트 공중합체(B)와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양립성이 불량하므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감소된 충격강도를 갖는다.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어떤 그라프트도를 가져도 좋다. 일반적으로, 그라프트도는 20 내지 100%이다.
그라프트 중합화 방법으로서, 유화, 현탁, 용액 및 벌크 중합화와 같은 모든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는 (1)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공중합화하여 제조한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11) 상기 공중합체 (1) 및 50 내지 90중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50 내지 10중량%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가 공중합화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로 구성된 공중합체 혼합물이다. 각각의 공중합체 (1) 및 (11)은 50 내지 89.5중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10 내지 49.5중량%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및 0.5 내지 20중량%의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평균 조성물을 갖는다.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단량체 조성물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은 저하된 성형성 또는 충격강도를 갖게 된다.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를 구성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예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B)의 제조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들이 있다.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예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필수 성분의 하나로서,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의 비개질화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또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와 같은 기타 다른 변형체로 개질된 방향족 비닐 단량체/시안화 비닐 단량체 공중합체도 양호한 충격강도, 성형성, 장력강도 및 용접강도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없다.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C)는 유화, 현탁, 용액 및 벌크 중합화 또한 그의 복합과 같은 모든 통상적인 중합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은 어떤 방법에서도 중합화계에 가해질 수 있다. 그것은 다른 단량체와 혼합되어 중합화계에 가해질 수 있거나 또는 수용액의 형태로 중합화계에 가해질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A),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를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량에 대한 폴리아미드(A)의 중량비[A : (B+C)]가 90 : 10 내지 10 : 90으로 되는 혼합비로 함유한다. 또한,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1.5중량%이며, 고무상 중합제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5 내지 30중량%이다.
폴리아미드(A)의 함량이 10중량부 보다 적거나 또는 90중량부 보다 클 경우에, 수지 조성물은 잘 조화된 충격 강도 및 장력강도를 수득할 수 없다. 성형품의 용접강도 및 외관적 측면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량에 대한 폴리아미드(A)의 중량비가 90 : 10 내지 30 :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α,β-불포화 모노카르북실산이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양을 기초로 하여 0.1중량%보다 적을 때, 두 공중합체(B) 및 (C)와 폴리아미드(A)와의 양립성이 불량하므로 성형품의 충격강도가 감소하며, 반면에, 함량이 1.5중량% 이상일때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성형품의 용접강도 및 외관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감소한다.
고무상 중합체의 함량이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5중량% 보다 적을 때, 성형품은 감소된 충격강도를 갖게 되며, 반면에 30중량% 보다 클 때, 성형품은 상당히 감소된 장력강도를 갖게 된다. 조화된 충격강도, 장력강도 및 성형성의 측면에서, 고무상 중합체의 함량이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10 내지 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A),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는 어떤 순서에 의한 어떤 형태에서든지 혼합 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분말, 환제 등의 형태로 그것을 동시에 혼합하거나 또는 그들중 두가지를 미리 혼합한 후, 혼합된 성분을 남은 한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흔합될 수 있다. 용융 혼합용으로 밴버리 혼합기, 로울 및 압출기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항산화재,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염료, 안료, 가소제, 방염제, 탈형제 및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또는 금속 플레이크와 같은 보강재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타 다른 열가소성 수지 (예,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며, 부 및 %는 특별한 지적이 없는 한 중량에 의한 것이다.
제조예 1(그라프트 공중합체(B))
그라프트 공중합체 B-1
평균입자크기 0.45μm 및 겔함량 83% (60부, 고형물 기준)인 폴리부타디엔 라텍스의 존재하에, 아크릴로니트릴(12부) 및 스티렌(28부)을 수성 유제중에서 65℃로 5시간 동안 중합화시켜 ABS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그라프트도 : 35%, 유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고유점도(디메틸포름 아미드중에서 30℃로 측정) : 0.33dl/g)를 수득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B-2
그라프트 공중합체 B-1의 제조에서와 동일한 방법이지만 50부의 폴리부타디엔, 15부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35부의 스티렌을 사용하여, 유화 중합화를 수행함으로써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그라프트도 : 55%, 유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고유점도 : 0.58dl/g)를 수득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B-3
평균 입자 크기가 0.3μm인 교차 결합된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라텍스(50부, 고형물 기준)의 존재하에, 아크릴로니트릴(15부) 및 스티렌(35부)을 수성유제에서 65℃로 5시간 동안 중합화하여 AAS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그라프트도 : 50%, 유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고유점도 : 0.72dl/g)를 수득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B-4
요오드가가 21이고, 무의점도가 75이며, 프로필렌 함량이 50%인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 보르넨(EPDM)의 존재하에,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을 n-헥산 및 에틸렌 디클로라이드(중량비 3 : 2)의 혼합 용매에서 67℃로 10시간 동안 중합화하여 50%의 EPDM, 15%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35%의 스티렌으로 구성된 AES 그라프트 공중합체 (그라프트도 : 52%, 유픽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의 고유점도 : 0.60dl/g)를 수득한다.
각각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B-1,B-2및 B-3에, 라텍스의 고체 함량에 기초하여 1부의 항산화제(수미또모 가가꾸 Co.에 의해 제조된 수밀리저(상품명)NW) 및 2부의 트리스 노닐페닐 포스파이트를 가한다. 혼합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염석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제를 분리 및 회수한다. 그라프트 중합체 B-4 라텍스를 메탄올에 쏟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침전시킨후 회수한다.
제조예 2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
공중합체 C-1
질소, 정수(120부) 및 과황산 칼륨(0.3부)으로 개끗이한 반응기를 충전시키고 교반하면서 65℃로 가열한다. 이어서 아크릴로니트릴(30부), 스티렌(70부) 및 t-도데실메르캅탄(0.3부)의 단량체 혼합물 및 소듐 도데실벤 젠술포네이트(2부)를 함유하는 수성 유화용액(30부)을 5시간 동안 계속 가한다. 그후에 중합화계를 70℃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켜 0.68dl/g의 고유점도(디메틸포름아미드중 30℃에서)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공중합체 C-2
공중합체 C-1의 제조시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지만 아크릴로니트릴(30부), 스티렌(65부) 및 메타크릴산(5부)을 사용하여 중합화를 수행함으로써 0.69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공중합체 C-3
공중합체 C-1의 제조시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지만, 아크릴로니트릴(30부), 스티렌(60부) 및 메타크릴산(10부)을 사용하여 중합화를 수행함으로써 0.69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공중합체 C-4
공중합체 C-1의 제조시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지만, 아크릴로니트릴(30부), 스티렌(55부) 및 메타크릴산(15부)를 사용하여, 중합화를 수행함으로써 0.70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공중합체 C-5
공중합체 C-1의 제조시에 사용된 방법과 동일하지만, 아크릴로니트릴(25부), 스티렌(50부) 및 메타크릴산(25부)를 사용하여, 중합화를 수행함으로써 0.70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각각의 공중합체 C-1 내지 C-5를 염화칼슘으로 염석하고 회수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아미드(A)의 환산내에서의 상대 점도는 하기와 같다.
Figure kpo00001
[실시예]
폴리아미드(A),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를 표1-6에 나타낸 조성으로 혼합하고, 용융 혼합하여 40mm의 직경을 갖는 쌍-스쿠루우 압출기로 환제화한다.
나일론 6의 경우에 혼합온도는 250℃이고 나일론 66의 경우에 혼합온도는 280℃이다.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은 하기와 같이 측정되며 표1-6에 나타낸다 :
충격강도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서 충격 강도를 측정한다.
용접강도 (낙하공 충격시험)
두개의 주입구를 갖는 주형을 사용하여, 용접선을 갖는 시험조각(60mm×60mm×3.18mm)을 성형한다. 다트(dart)를 시험 조각에 놓고, 강철공을 자유롭게 다트위로 떨어뜨린다. 결과는 시험조각을 파열시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나타낸다.
성형성(분산성)
수지 조성물의 분산성을 하기의 조건하에 코카(KOKA)-형 유동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나일론 6을 함유하는 조성물
250℃, 60kg/cm2
나일론 66을 함유하는 조성물
270℃, 60kg/cm2
장력강도
장력강도를 ASTM D-638에 따라 측정한다.
외관
제품(150mm×150mm×3.18mm)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하고, 그의 의관을 하기의 표준에 따라 시각적으로 측정한다.
○ : 표면에 불균일한 광택은 없고 균일하다, △ : 표면에 약간의 불균일한 광택 및 불규칙성을 갖는다. × : 표면에 심한 불균일 광택 및 불규칙성을 갖는다.
충격강도, 장력강도 및 외관의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조각을 3.5 온스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나일론 6의 경우에는 250℃의 실린더 온도로 또는 나일론 66의 경우에는 280℃의 실린더 온도로 제조한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
표1 및 2는 폴리아미드(A)의 황산내에서의 상대 점도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의 전체 중량중의 α,β-모노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수지 조성물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6∼9 및 비교실시예 10
표3은 폴리아미드 (A)의 양이 수지 조성물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10∼12 및 비교실시예 11
표4는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C)에서의 α,β-모노불포화카르복실산의 양이 수지 조성물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실시예 13∼16
표5는 다른 종류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사용 가능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7∼20 및 비교실시예 12∼15
표6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유리 섬유를 조성물에 가한 경우 양호한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주 : 1) 니또 보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3PE-471
(절단길이 3mm, 섬유 직경 10μm)

Claims (2)

  1. (A) 황산내에서 상대점도가 2.0 이상이고 3.0 보다 작은 폴리아미드, (B)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90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고무상 중합체의 존재하에 상기의 두 단량체와 공중합화 가능한 다른 비닐 단량체 0 내지 40중량%를 공중합하여 얻어질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89.5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 내지 49.5중량% 및 α,β-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0.5 내지 20중량%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C)의 전체량에 대한 폴리아미드 (A)의 중량비 [A : (B+C)]가 90 : 10 내지 10 : 90이며, α,β-불포화 모노카르북실산의 함량이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C)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5 중량% 이고, 고무상 중합체의 함량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및 카르복실산-개질 공중합체 (C)의 전체량에 대한 폴리아미드 (A)의 중량비가 90 : 10 내지 30 : 70 인 열가소성 수지.
KR1019880001415A 1987-02-13 1988-02-1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60011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4187 1987-02-13
JP31241/1987 1987-02-13
JP62-31241 1987-02-13
JP251913/1987 1987-10-05
JP62-251913 1987-10-05
JP62-251913A JPH01158A (ja) 1987-02-13 1987-10-05 熱可塑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061A KR880010061A (ko) 1988-10-06
KR960011272B1 true KR960011272B1 (ko) 1996-08-21

Family

ID=2636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415A KR960011272B1 (ko) 1987-02-13 1988-02-13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24905A (ko)
EP (1) EP0278500B1 (ko)
KR (1) KR960011272B1 (ko)
AU (1) AU600551B2 (ko)
CA (1) CA1307363C (ko)
DE (1) DE388153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5133C (en) * 1987-08-06 1995-04-04 David Viggers Howe Styrenic-polyamide-elastomer blends
CA2016995A1 (en) * 1989-05-30 1990-11-30 Thomas C. Yu Heat and impact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s
EP0409152B1 (en) * 1989-07-20 1994-03-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Resin composition and copolymer
US5373057A (en) * 1989-07-20 1994-12-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Resin composition and copolymer
IT1237127B (it) * 1989-11-09 1993-05-18 Montedipe Srl Composizioni termoplastiche a base di un copolimero vinil aromatico e di una resina poliammidica.
IT1237533B (it) * 1989-12-13 1993-06-08 Montedipe Srl Composizioni termoplastiche a base di un copolimero vinilaromatico e di una resina poliammidica.
US5248726A (en) * 1990-08-22 1993-09-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lymer blends of polyamides, styrenic resins, and impact modifiers
CA2050557A1 (en) * 1990-10-05 1992-04-06 Lawrence Yun-Shin Lo High impact nylon alloys
IT1245603B (it) * 1991-03-29 1994-09-29 Montedipe Srl Composizioni termoplastiche a migliorate caratteristiche meccaniche
JPH09124881A (ja) * 1995-11-06 1997-05-13 Denso Corp アクリル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69853B2 (en) * 1997-10-23 2007-01-3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Polyamide graft copolymers
US6703437B1 (en) * 1998-06-12 2004-03-09 Nippon A & L Inc. Resin composition for electrostatic coating
JP3715813B2 (ja) 1999-01-22 2005-11-16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車両用外装部品
AR033368A1 (es) * 2000-05-19 2003-12-17 Bayer Ag Mezclas de polimeros que contienen poliamida, y polimeros modificados con caucho, uso de las mezclas de polimeros en la produccion de cuerpos moldeados, y cuerpos moldeados, partes de gabinetes, placas de cubierta y piezas para el sector automotriz obtenibles a partir de las mezclas de polimeros
DE10233521A1 (de) * 2002-07-23 2004-02-05 Basf Ag Strahlungshärtbare Lacksysteme mit tieftemperaturelastischer Unterschicht
WO2004026960A1 (ja) 2002-09-17 2004-04-01 Umg Abs,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216A (en) * 1980-03-05 1981-10-20 Sumitomo Naugatuck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0051471B2 (en) * 1980-11-03 1991-11-21 Monsanto Company Tough thermoplastic nylo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DE3120803A1 (de) * 1981-05-25 1982-12-16 Basf Ag, 6700 Ludwigshafen Schlagzaehn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CA1196439A (en) * 1981-11-30 1985-11-05 Thomas S. Grant Alloys of styrenic resins and polyamides
US4713415A (en) * 1985-05-10 1987-12-15 Monsanto Company Rubber modified nylon composition
AU625751B2 (en) * 1987-02-13 1992-07-16 Dexter Corporation, The Blends of polyamides with graft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158A (en) 1989-01-05
US4824905A (en) 1989-04-25
DE3881537T2 (de) 1993-09-16
KR880010061A (ko) 1988-10-06
AU1167488A (en) 1988-08-18
CA1307363C (en) 1992-09-08
AU600551B2 (en) 1990-08-16
EP0278500B1 (en) 1993-06-09
EP0278500A2 (en) 1988-08-17
DE3881537D1 (de) 1993-07-15
EP0278500A3 (en) 198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2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4713415A (en) Rubber modified nylon composition
JP3936422B2 (ja) ゴム変性ポリマー組成物
EP0049103B2 (en) Polymeric material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JP531614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S6117175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7797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56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IT9020921A1 (it) Composizioni termoplastiche a base di un copolimero graffato vinil aromatico e di una poliammide
JP287329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27239B2 (ja) 低光沢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31799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255756A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0434640B1 (ko)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JP278450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1909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6892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06371B2 (ja) 新規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IT8922324A1 (it) Composizioni termoplastiche a base di un copolimero vinil aromatico e di una resina poliammidica.
JPH012631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585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554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330807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5396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604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