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640B1 -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640B1
KR100434640B1 KR10-2001-0007242A KR20010007242A KR100434640B1 KR 100434640 B1 KR100434640 B1 KR 100434640B1 KR 20010007242 A KR20010007242 A KR 20010007242A KR 100434640 B1 KR100434640 B1 KR 10043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polyamide resin
aromatic vin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822A (ko
Inventor
유영출
박요한
Original Assignee
로디아폴리아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폴리아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디아폴리아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6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아마이드 수지 50~90 중량%,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30 중량% 및 (C) 열가소성 탄성체 1~20 중량%, 및 임의로는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 0~20 중량% 및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0~20 중량%를 포함하는,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내열성,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본 발명은 내열성,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용으로 유용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탈크, 카올린, 규회석, 탄산칼슘, 황산바륨과 같은 다양한 무기물을 사용하여 손쉽게 강화시킴으로써 매우 높은 강도와 탄성률을 갖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다양한 종류의 내충격 개질제를 첨가함으로써 저온에서부터 상온까지 매우 높은 충격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금속보다도 가공이 쉽고 경량화의 이점이 있으며 보다 자유로운 디자인 및 설계가 가능하여 자동차 뿐만 아니라,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까다로운 특성들이 요구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내열성과 내충격성이며, 특히 자동차의 외장 부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도장이 고온 (140~180℃)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열화, 열수축변형, 도장성, 도장 밀착성, 광택 및 물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해야만 한다. 또한, 폴리아마이드는 결정성 수지이어서 성형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성형 수축률을 가능한 한 줄여 변형이 적게 생기도록 하는 것이 제품의 디자인과 설계적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본 특개소 제63-202654호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알로이화시킨 조성물의 경우, 내충격성은 우수한 반면 내열성이 떨어져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도장시 도장성이 불량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일본 특개평 제1-146943호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내충격 개질제를 사용한 조성물은 내충격성, 외관 특성은 우수하나, 특히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5,139,817호의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3성분계 혼합 조성물은 종래의 도장 공정에 수반되는 세척 공정 및 하도 처리 공정을 생략하여도 도장성 및 도장 밀착성이 우수하며, 특히 공정 단축에 따른 제품의 제조 비용 절감 효과가 우수하나, 제품을 장기 사용할 때 내후성이 불량한 결점이 있다.
한편, 폴리페닐렌에테르에 폴리아마이드를 혼합한 종래의 조성물들(일본 특개평 제5-255586호, 유럽 특허 제0560447 A1호, 동 제0550506 A2호, 국제 특허 출원 공개 W0 제88/10285호)은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및 강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등의 품질은 우수하나, 대부분 성형 가공시 흐름성이 불량하여 성형 가공 온도가 높고, 장기 사용할 때에 내후성이 불량하여 도장 제품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 제5,248,726호의 경우,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ABS) 수지와 카르복실화 나이트릴 고무를 혼합하여 치수 안정성과 충격성을 보완하였으나, 내충격성이 크게 높지 않으며, 내충격성이 높을 경우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미국 특허 제5,010,138호의 경우에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α-메틸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t-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압출시켜 만든 상용화제를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SAN) 및 ABS 수지에 첨가하여 내충격성과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나, 내열성이 떨어지며 두 단계의 압출 공정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다른 미국 특허 제5,202,379호의 경우에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ABS 수지에 스타이렌/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상온까지 높은 충격 강도와 치수 안정성을발현시켰으나, 전체적으로 강도, 탄성률 그리고 내열성이 너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및 임의로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를 알로이화시킨 조성물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임의로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혼합시켜 얻은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내열성,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IR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A) 폴리아마이드 수지 50~90 중량%,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30 중량% 및 (C) 열가소성 탄성체 1~20 중량%, 및 임의로는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 0~20 중량% 및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0~20 중량%를 포함하는,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내열성,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특히 내열성 및 내충격성 및 고속낙하충격성이 매우 뛰어나고 사출 후 변형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자동차의 외장 및 내장용 부품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IR 분석한 차트를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1710cm-1부근에서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말레이미드의 카르보닐기()의 이중 결합의 진동 특성 피크가 전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A)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예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ε-카프로락탐, ω-도데카락탐 등의 락탐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마이드,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산에서 얻을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파라크실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아민과 아디핀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아젤라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5-메틸이소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예를 들면 폴리아마이드-6, 폴리아마이드-66, 폴리아마이드-610, 폴리아마이드-11, 폴리아마이드-12, 테레프탈산계 및 이소프탈산계 폴리아마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 중, 상대 점도(96% 황산 100ml 중 중합체 1g의 용액, 온도 25℃)는 2.0~3.7 범위 내이고 융점은 215 내지 265℃ 범위 내인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의 단복 단위를 가지는 폴리아마이드-66, 폴리아마이드-6, 그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아마이드-6
--[-HN-(CH2)5-CO-]--
폴리아마이드-66
--[-HN-(CH2)6-NHCO-(CH2)4-CO-]--
폴리아마이드-66/6 (공중합체)
--[-HN-(CH2)6-NHCO-(CH2)4-CONH-(CH2)5-CO-]--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 폴리아마이드-66과, 폴리아마이드-6 또는 폴리아마이드-66/6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의 중량비는 6~0.5 대 1, 바람직하게는 4~0.5 대 1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내열성, 내충격성 및 변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4 대 1을 초과할 경우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내충격성이나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 취성(脆性, brittle) 파괴거동을 보여주며 수축이 크게 발생하여 변형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중량비가 0.5 대 1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 연성(延性, ductile) 파괴거동을 보여주나, 내열성이 너무 떨어지는 단점이 생기며 도장시 열에 의한 변형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높이면서 저변형과 저수축 및 도장성을 향상시키고, (A)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후술하는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넓은 가공 범위에서 일정한 수준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공중합체를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내열성, 저변형성, 도장성의 효과가 미미하며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효과를 높일 수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임의 성분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박리가 발생하며 물성 저하가 심하게 발생한다. 반면,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내열성 효과는 매우 뛰어나나 취성을 갖게 되어 내충격성, 인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이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30~80 중량%, (B-2)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가지는 말레이미드 30~80 중량%, 및 (B-3)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및 임의로는 (B-4)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 공중합가능한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이외의 비닐계 화합물 0~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R1과 R2각각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3은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방향족 라디칼 또는 아릴방향족 라디칼, 구체적으로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스타이렌과 말레인산 무수물을 공중합한 후, 아닐린과 같은 아민을 통해서 100~300℃의 온도 범위에서 용액 또는 용융 상태에서 부분적인 이미드화 반응에 의해 말레인산 무수물 구조를 말레이미드 구조로 변성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반응된 말레인산 무수물은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대한 반응기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B-3)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1,2-디메틸말레산 무수물, 에틸말레산 무수물, 페닐말레산 무수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B-4)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이외의 비닐계 화합물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C) 열가소성 탄성체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상온 및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2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체를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내충격 효과가 미미하게 되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내열성과 강도 및 탄성률이 너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아래의 세가지 성분 중 한 성분을 사용하거나 또는 두 성분 이상을 적절하게 혼합 사용하여 우수한 내충격 효과를 낼 수가 있다.
(C-1) 폴리아마이드 수지와의 계면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0.5~5 중량%의 말레인산 무수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 함량이 30~75 중량%이고 프로필렌기 함량이 20~50 중량%이고 디엔 화합물 함량이 5~2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C-2)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톨루엔에서 선택된 비닐계 방향족 화합물과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1,3-펜타디엔에서 선택된 디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에 0.1~5 중량%의 말레인산 무수물이 화학적으로 그라프트되어 있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이때의 스타이렌과 에틸렌-부타디엔과의 중량비가 0.2~0.5 대 1 범위 내에 있어야 만족스러운 내충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및
(C-3)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과 같은 금속으로 이온화시킨 메타크릴산 1~10 중량%와 에틸렌 99-90 중량%의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상기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내열성이 매우 높은 비결정성 수지인 이 공중합체는 내열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 연성 파괴거동을 얻기 위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는 이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D-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10~60 중량%, (D-2)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가지는 말레이미드 10~50 중량%, 및 (D-3) 비닐 시아나이드 5~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D-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D-3) 비닐 시아나이드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각각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3은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방향족 라디칼 또는 아릴방향족 라디칼, 구체적으로는 페닐 라디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상기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고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만을 사용하게 되면 폴리아마이드 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하게 되고 박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는 반드시 일정 함량의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하여야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 좋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C-2)의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사용하게 되면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후술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적인 상용화제 역할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상기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고, 저수축, 저변형, 도장성과 내충격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이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E-1) 공액 디엔 고무 45~60 중량%, 및 (E-2)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60~80 중량%와 비닐 시아나이드 20~40 중량%의 혼합물 40~5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E-1) 공액 디엔 고무의 예로는 부타디엔, 스타이렌-부타디엔,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 이소프렌 고무 등이 있고, 이때 그라프트된 공액 디엔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는 0.2~1.0μm이 바람직하고, 상기 (E-2)의 혼합물 중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비닐 나프탈렌 등이 있으며, 상기 비닐 시아나이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구성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플라스틱 가공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방향족 아민계, 힌더드 페놀릭계, 인계, 유황계 등의 자외선흡수제 등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가공 분산제, 안료, 염료, 계면활성제, 이형제, 활제, 가소제, 광택제,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1~8과 비교예 1~4에서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과 대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제반 특성 즉, 기계적 물성(인장 강도, 굴곡 강도, 굴곡 탄성률, 아이조드 충격 강도, 고속낙하충격, 열변형 온도) 및 수축률 특성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각의 구성성분을 분류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기호로서 표기하여 나타내었다.
<폴리아마이드 수지>
A-1 :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핀산을 등몰비로 중축합하여 얻어진 폴리아마이드-66 중합체(상표명 Technyl 27A, 로디아(Rhodia) 제품: 상대 점도(96% 황산 100ml 중 중합체 1g의 용액, 온도 25℃) 2.7, 융점 260℃).
A-2 : ε-카프로락탐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아마이드-6 중합체(Toplamid(등록상표) 1021, 효성 제품: 상대 점도(96% 황산 100ml 중 중합체 1g의 용액, 온도 25℃) 3.3, 융점 220℃).
A-3 : 폴리아마이드-6의 원료 10 중량%에 폴리아마이드-66 원료 90 중량%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폴리아마이드-66/6 공중합체(상표명 Technyl 27B/10, 로디아 제품: 상대 점도 (96% 황산 100ml 중 중합체 1g의 용액, 온도 25℃) 2.7, 융점 245℃).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B : 스타이렌 46 중량%, N-페닐말레이미드 53 중량% 및 말레인산 무수물 1.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olyimilex(등록상표) PSX-371,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쇼꾸바이 제품).
<열가소성 탄성체>
C-1 : 말레인산 무수물이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N-Tafmer(등록상표) MPO620, 미쯔이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제품).
C-2 : 말레인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되어 있는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Kraton(등록상표) FG-1901X, 쉘 인터내셔날 페트롤리움 캄파니 리미티드 제품).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
D : 스타이렌/N-페닐말레이미드/아크릴로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olyimilex(등록상표) PAS-1460,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쇼꾸바이 제품).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E :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Terluran(등록상표) 996S,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제품).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 실시예와 비교예의 배합비에 따라, 상기 구성성분들 중 A, B 및 D를 먼저 슈퍼믹서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C 및 E 성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기의 경우 1축 또는 2축 스크류를 가진 압출기가 모두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2축 스크류 압출기(내경 30mm, L/D=30)를 사용하였고, 이때 압출기내 실린더 온도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구성성분 중 A-1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A-1과 A-2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260~280℃에서, 폴리아마이드 수지 구성성분 중 A-2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250℃에서 수행하고, 스크류 회전 속도 250~300 RPM 및 진공 펌프 압력 50~70cmHg으로 스크류 내 가스를 배출시키고, 이때토출량은 25~30kg/hr로 하여 압출기 실린더 내에서 잘 용융 혼합하여 형성된 레이스를 냉각 수조에서 냉각시킨 후 펠렛타이저를 사용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펠렛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분위기 오븐을 이용하여 85~9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함수율이 0.1%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건조시킨 펠렛을 80톤, 189.44 cc(6.4온스) 용량의 사출기(독일제, 엥겔)로 성형 온도 250℃ (A-2 폴리아마이드 수지만을 사용한 경우) 또는 280℃에서, 금형 온도 80℃, 사출 압력 50~80bar, 사출 속도 40~60mm/sec, 사출 시간 3초 및 냉각 시간 15초의 성형 조건으로 성형하여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평가 방법으로 제반 특성을 평가했으며, 그 결과도 표 1~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및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ㄱ) 인장 강도 : ASTM D-638의 시험 방법에 따라 인스트롱 (Instron)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함. 단위는 kgf/cm2임.
ㄴ) 굴곡 강도 및 굴곡 탄성률 : ASTM D-790의 시험 방법에 따라 인스트롱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함. 각각의 단위는 kgf/cm2임.
ㄷ) 아이조드 충격 강도 : ASTM D-256에 따라 아이조드 충격기를 사용하여 시험함. 단위는 kgfcm/cm임.
ㄹ) 고속낙하충격(Instrumented dart impact) : ASTM D-3763에 따라 3mm 원판 시편을 사용하여 6.5m/sec의 속도에서 시험함. 에너지값의 단위는 J이며, 파괴거동을 연성, 반연성(semi-ductile) 또는 취성으로 표기함.
ㅁ) 열변형 온도 : ASTM D-648에 따라 4.6kgf/cm2하중에서 측정함. 단위는 ℃임.
ㅂ) 수축률 : ASTM D-955에 따라 조성물의 수축률을 계산함. 단위는 %임.
구성성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A-1A-2A-3BC-1C-2DE 6016-893-4 4025-1510--10 4025-1010-510 3535-1010-55 -3040582510
인장 강도 (kgf/㎠)굴곡 강도 (kgf/㎠)굴곡탄성률 (kgf/㎠)아이조드 충격 강도(kgfcm/cm)고속낙하충격에너지 (J)파괴거동열변형 온도 (℃)수축률 (%) 57080020,0009553연성1701.4 55080020,8008548반연성1551.3 56082021,5009053연성1501.3 56083021,00010552연성1501.3 57080021,0009553연성1551.3
실시예 1 및 2에서는 각각 폴리아마이드-66 (A1)/폴리아마이드-6 (A2)의 비율을 3.75 및 1.6으로 하고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는 사용하지 않되,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 물성은 내충격성 50 이상, 내열성 150℃ 이상으로 모두 우수하며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도 매우 연성이거나 반연성인 파괴거동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가 (D)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데 반하여 (D)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 전체적인 물성은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는 (D)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2는 반연성 파괴거동을 보여주었으나 (D)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3은 연성 파괴거동을 보여주었으며, 실시예 3에 나타낸 조성물은 자동차의 계기판과 같은 부품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4는 폴리아마이드-66 (A1)/폴리아마이드-6 (A2)의 비율을 달리한 실시예이며, 실시예 5는 (A)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 폴리아마이드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보여주었다.
구성성분 (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A-1A-2BC-1C-2DE 56241055-- 53221555-- 56245555-
인장 강도 (kgf/㎠)굴곡 강도 (kgf/㎠)굴곡탄성률 (kgf/㎠)아이조드 충격 강도(kgfcm/cm)고속낙하충격에너지 (J)파괴거동열변형 온도 (℃)수축률 (%) 64090021,5006550연성1801.3 64091021,5005748연성1751.3 62087020,8007052연성1751.3
실시예 6 내지 8은 실시예 1 내지 5보다 내열성을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예로서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구성성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1A-2BC-1C-2DE -535105-27 -50510--35 -531052-30 4530-155-5
인장 강도 (kgf/㎠)굴곡 강도 (kgf/㎠)굴곡탄성률 (kgf/㎠)아이조드 충격 강도(kgfcm/cm)고속낙하충격에너지 (J)파괴거동열변형 온도 (℃)수축률 (%) 50570018,72011048연성1181.3 45070018,000100측정 불가취성1071.0 52379520,70028측정 불가취성1201.0 52079020,5509552연성1432.0
비교예 1 내지 3은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높은 함량으로 사용한 비교예로서, 내충격성, 내열성이 너무 많이 떨어지고(떨어지거나) 고속낙하충격 시험에서 취성 파괴거동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4는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로서, 상당히 높은 수축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특성 중 내열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내충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등한 수준의 내충격성을 가지는 다른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보다 수축률을 5~10/1000 이상 적게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이 가지고 있던 단점 중의 하나인 가공 과정에서의 후수축이나 열에 의한 변형 등을 쉽게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내충격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에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경우, 기존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보다 훨씬 좋은 표면 광택을 얻을 수가 있으며, 도장시 기존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보다 훨씬 우수한 도막 접착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하도 처리 공정을 생략해도 도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의 휠커버, 허브캡, 계기판 등과 같은 각종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용으로 적용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1)

  1. (A) 폴리아마이드-66과, 폴리아마이드-6 또는 폴리아마이드-66/6 공중합체와의 중량비가 4~0.5 대 1인 폴리아마이드 수지 혼합물인 폴리아마이드 수지 50~90 중량%,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30 중량%,
    (C) (C-1) 0.5~5 중량%의 말레인산 무수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 함량이 30~75 중량%이고 프로필렌기 함량이 20~50 중량%이며 디엔 화합물 함량이 5~20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C-2)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톨루엔에서 선택된 비닐계 방향족 화합물과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1,3-펜타디엔에서 선택된 디엔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에 0.1~5 중량%의 말레인산 무수물이 화학적으로 그라프트되어 있는 공중합체, 및 (C-3)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과 같은 금속으로 이온화시킨 메타크릴산 1~10 중량%와 에틸렌 99-90 중량%와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탄성체 1~20 중량%, 및
    임의로는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 0~20 중량% 및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0~20 중량%를 포함하는,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내열성, 내충격성, 고속낙하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성형 수축률이 작은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상대 점도 (96% 황산 100ml 중 중합체 1g의 용액, 온도 25℃)는 2.0~3.7 범위 내이고 융점은 215 내지 265℃ 범위 내인 폴리아마이드-66, 폴리아마이드-6,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가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30~80 중량%, (B-2)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가지는 말레이미드 30~80 중량%, 및 (B-3)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및 임의로는 (B-4)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 공중합가능한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이외의 비닐계 화합물 0~4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각각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3은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방향족 라디칼 또는 아릴방향족 라디칼을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3)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이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1,2-디메틸말레산 무수물, 에틸말레산 무수물, 페닐말레산 무수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B-4)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이외의 비닐계 화합물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비닐 시아나이드 공중합체가 (D-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10~60 중량%, (D-2)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를 가지는 말레이미드 10~50 중량% 및 (D-3) 비닐 시아나이드 5~5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과 R2각각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3은 수소 원자, 알킬 라디칼, 방향족 라디칼 또는 아릴방향족 라디칼을 나타낸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3) 비닐 시아나이드가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D)에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이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가 (E-1) 공액 디엔 고무 45~60 중량%, 및 (E-2)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60~80 중량%와 비닐 시아나이드 20~40 중량%의 혼합물 40~55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1) 공액 디엔 고무가 부타디엔, 스타이렌-부타디엔,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 및 이소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E-2)의 혼합물 중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이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및 비닐 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비닐 시아나이드가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KR10-2001-0007242A 2001-02-14 2001-02-14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KR10043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42A KR100434640B1 (ko) 2001-02-14 2001-02-14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242A KR100434640B1 (ko) 2001-02-14 2001-02-14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22A KR20020066822A (ko) 2002-08-21
KR100434640B1 true KR100434640B1 (ko) 2004-06-07

Family

ID=2769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42A KR100434640B1 (ko) 2001-02-14 2001-02-14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870B1 (ko) 2005-01-17 2014-04-1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열 안정화된 성형 조성물
WO2022019431A1 (ko) * 2020-07-23 2022-01-27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906A (en) * 1986-12-29 1991-01-01 Monsanto Kasei Company Heat and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5071910A (en) * 1986-12-20 1991-12-10 Stamicarbon B.V. Thermoplastic polymer mixtures
US5202379A (en) * 1988-06-17 1993-04-13 Monsanto Kasei Company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950011547A (ko) * 1993-10-19 1995-05-15 채오병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60017783A (ko) * 1994-11-16 1996-06-17 유현식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756576A (en) * 1995-12-29 1998-05-26 Dsm N.V. Rubber-modified polymer composition
KR19990019314A (ko) * 1997-08-29 1999-03-15 유현식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910A (en) * 1986-12-20 1991-12-10 Stamicarbon B.V. Thermoplastic polymer mixtures
US4981906A (en) * 1986-12-29 1991-01-01 Monsanto Kasei Company Heat and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5202379A (en) * 1988-06-17 1993-04-13 Monsanto Kasei Company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950011547A (ko) * 1993-10-19 1995-05-15 채오병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0140849B1 (ko) * 1993-10-19 1998-07-01 채오병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60017783A (ko) * 1994-11-16 1996-06-17 유현식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0147781B1 (ko) * 1994-11-16 1998-08-17 유현식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756576A (en) * 1995-12-29 1998-05-26 Dsm N.V. Rubber-modified polymer composition
KR19990019314A (ko) * 1997-08-29 1999-03-15 유현식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870B1 (ko) 2005-01-17 2014-04-1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열 안정화된 성형 조성물
WO2022019431A1 (ko) * 2020-07-23 2022-01-27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22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2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A2691872C (en) Thermoplas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aint adhesion
CA2493266A1 (en) Polymer blend based on polyamide
KR01470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31614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100434640B1 (ko)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JP3387220B2 (ja) 高流動性ナイロ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KR10086633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나일론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20050122086A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조성물
KR101139827B1 (ko)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7797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057753B2 (ja) 耐油性樹脂組成物
KR10050151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503576B1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
JPS631627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255756A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1143542A (ja) ポリアミド樹脂、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31585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686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94898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6106528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170998A (ja) 樹脂組成物
KR20120071208A (ko) 폴리이미드와 에이비에스를 포함하는 고유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67149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554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