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898B1 -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898B1
KR100594898B1 KR1020040068831A KR20040068831A KR100594898B1 KR 100594898 B1 KR100594898 B1 KR 100594898B1 KR 1020040068831 A KR1020040068831 A KR 1020040068831A KR 20040068831 A KR20040068831 A KR 20040068831A KR 100594898 B1 KR100594898 B1 KR 10059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onomer
maleimide
si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087A (ko
Inventor
이병춘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8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2Alkyl substituted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수지 40 ∼ 70 중량부, (B) 고무상 중합체(b1) 10 ∼ 6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b21) 40 ∼ 90 중량 %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b22) 10 ∼ 60 중량 %로 이루어진 단량체(b2) 혼합물 95 ∼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중합체 10 ∼ 50 중량부, (C) 방향족 비닐 단량체(c1) 30 ∼ 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c2) 30 ∼ 50 중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c3) 1 ∼ 20 중량부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c4) 0 ∼ 50 중량부로 공중합 된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 20 중량부, (D)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 0.1 ∼ 10 중량부 및 (E)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5 ∼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아미드 수지, 그라프트 중합체,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유리섬유, 내충격강도

Description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스티렌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블렌드에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구조의 화합물을 투입하고 유리섬유로 보강하여 제조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치수안정성, 내크립성, 내열성 및 강성이 낮기 때문에 고강도 및 정밀성을 요구하는 부품의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 충진재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를 보강하게 되면 강성은 대폭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 충진재를 사용하는 경우 강성의 향상은 얻을 수 있지만 성형품의 외관과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는 보강재와 수지간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 결합력이 저하되면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가해지는 응력이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에 작용하여 계면을 중심으로 파괴가 진행되어서 목표로 하는 강성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충격강도 또한 지나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폴리아미드 수지는 내약품성, 성형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부품 등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격성, 특히 노치 충격강도가 낮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있는 고무질 중합체와 블렌드 함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수지의 충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있는 고무질 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수지를 블렌드 하더라도 수지 상호간 상용성 문제와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 결합력이 떨어지게 되면 충격강도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폴리아미드수지와 이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있는 고무질 중합체를 블렌드 시킨 후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혼합물과 보강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와 수지간의 계면결합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수지 40 ∼ 70 중량부; (B) 고무상 중합체(b1) 10 ∼ 6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b21) 40 ∼ 90 중량 %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b22) 10 ∼ 60 중량 %로 이루어진 단량체(b2) 혼합물 95 ∼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 50 중량부; (C) 방향족 비닐 단량체(c1) 30 ∼ 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c2) 30 ∼ 50 중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c3) 1 ∼ 20 중량부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c4) 0 ∼ 50 중량부로 공중합 된 말레이미드계 공 중합체 1 ∼ 20중량부; (D)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구조의 화합물 0.1 ∼ 10 중량부; 및 (E)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 5 ∼ 1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발명의 구체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A)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카프로락탐(nylon 6),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익 에시드)(nylon 11), 폴리라우릴락탐(nylon 12), 폴리 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nylon 6, 9), 폴리 헥사메틸렌 세바 카미드(nylon 6, 10),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노디아미드(nylon 6, 12) 등의 나일론(nylon) 6류와 이들의 공중합체인 nylon 6/nylon 6, 10, nylon 6/nylon 66, nylon 6/nylon 1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융점이 200 ℃ 이상이고 상대 점도(m-cresol 에 폴리아미드 수지 1 중량 %를 첨가하여 25 ℃ 에서 측정)가 2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상 중합체 10 내지 6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 90 중량 %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 60 중량 % 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95 ∼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에 이용되는 고무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플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삼원 공중합체(EPDM)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이 중 특히 디엔계 고무가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부타디엔계 고무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에 이용되는 고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중량 중 10∼ 60 중량부가 적당하다. 부타디엔계 고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보강 효과가 저하되고, 60 중량부 초과이면 모듈러스(modulus)의 저하가 크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그라프트 중합가능한 단량체 혼합물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이중 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상기 설명한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로서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1종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입 가능한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성분 중 고무의 중량비는 10 ∼ 60 중량부이며, 상기 고무에 그라프트 되는 단량체 혼합물 95 ∼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그라프트 공중합 하여 적용한다. 이 때 부타디엔 고무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보강 효과가 저하되고, 60 중량부 초과이면 모듈러스(modulus)의 저하가 크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90 ∼ 40중량 % 이고,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는 10 ∼ 60 중량 %로 이루어진다. 이 때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40 중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되며 90 중량% 초과이면 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의 경우 10 중량% 미만이면 수지의 내화학성이 저하되며 60 중량% 초과이면 광택과 성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에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고무 입자의 평균 크기는 0.1 ∼ 0.5 ㎛ 의 범위가 적합하다.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이 0.1 ㎛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0.5 ㎛ 초과이면 광택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C)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30 ∼ 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30 ∼ 50 중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1 ∼ 20 중량부 및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5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내열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되고 50 중량부 초과이면 유동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나일론과의 반응성이 떨어져 나일론과의 상분리가 발생되며 2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분자 사슬(chain) 간의 가교 반응(crosslinking)이 야기되어 물성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중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t-부틸스티렌이 있다.
상기 말레이미드 단량체로는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N-디클로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트리말레이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로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메틸 말레인산, 무수 1,2-디메틸 말레인산, 무수에틸 말레인산, 무수페닐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이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그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그리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불포화니트릴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이다.
이들 단량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및 기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를 암모니아 혹은 1급 아민과 반응시켜 무수물산을 이미드화 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고분자 사슬 중에 무수물 산기를 갖는 고분자물질과 아민 화합물과의 이미드화 반응이 많이 알려져 있다.
(D)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
본 발명에서 충격보강제로 사용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은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4039240174-pat00001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 32 인 알킬기이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A)+(B)+(C)) 100중량부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은 0.1 ∼ 10 중량부로 첨가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충격강도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충격강도의 향상이 증가되지 않으며 기타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E) 유리 섬유(Glass Fib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이다. 예를 들어 2.5 ∼ 6 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촙 유리 섬유를 말한다. 사출제품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는 E-glass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의 직경은 8 ∼ 20 ㎛ 이다.
유리 섬유 처리제(sizing compositions)는 섬유 제조시나 후공정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리 섬유 처리제로는 윤활제(lubricant),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된다. 활제는 유리 섬유 제조시 양호한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첨가제를 사용한다. 커플링제는 유리 섬유와 수지와의 양호한 접착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유리섬유 처리제를 사용되는 수지와 유리 섬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여 사용하면 유리 섬유 보강재료에 양호한 물성을 부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리 섬유에 처리하는 커플링제는 실란계 커플링제로 YRSiX3 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다. 여기서 Y는 매트릭스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이다. 유기 관능기는 일반적으로 비닐기, 에폭시기, 머케탄기, 아민기 및 아크릴기 등이다. R은 수소 또는 일반적인 알킬기이다. X는 에톡시기, 메톡시기 및 할로겐기 등으로 구성되는데, 공기중 또는 무기 재료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가수분해 실란올을 형성한다. 이 실란올은 무기 충진제와 결합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란계 커플링제는 수지상과 무기 충진제와 반응하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유리 섬유에 실란계 커플링제의 처리는 특별한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이 사용된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사용 방법은 무기 충진제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과 유기 매트릭스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성능을 십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기 충진재와 유기 매트릭스에 적합한 커플링제의 선택 및 함량 등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 섬유는 아민계, 아크릴계, 에폭시계인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γ-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N-(베타-아미노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N-(β-amino ethyl) 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록시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γ-methacryloxy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록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methacryloxy propyltrimethoxy silane), γ-글로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glycidoxy propyltriethoxy silane), 베타(3,4-에폭시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β(3,4-epoxyethyl) 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등의 커플링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 섬유(E)는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 에 대하여 5 ∼ 1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핵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및 무기물 첨가제를 더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폴리아미드 수지, (B)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C) 말레이미드계 수지, (D)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 (E) 유리섬유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아미드 수지
Nylon 6으로 KOLON사의 제품(상품명 KN-170)을 사용하였다.
(B)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수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150 g(고형분 기준), α-메틸스티렌 510 g, 스티렌 90 g 및 아크릴로니트릴 250 g 으로 구성된 조성물에 t-도데실메트캅탄 2 g, 과황산칼 륨 5 g, 말레인산 나트륨 5 g 을 넣고 유화중합 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C) 말레이미드계 수지
DENKA-IP사의 제품(상품명 NA, 스티렌/고무/=28/72 중량비 무수말레인산 첨가량 1 중량 %)을 사용하였다.
(D)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
KAO CORPORATION사의 제품(상품명85P)을 사용하였다.
(E) 유리섬유
니또보(Nitto boseki)사의 지름이 13 ㎛ 이고, 촙(chop) 길이가 3 mm 이며, 아미노 실란 및 메타록시 실란 등의 커플제와 활제, 집속제로 처리된 유리 섬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투입하여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사출기를 사용하여 물성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ASTM D256 규정에 따라 충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물성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3
비교실시예 1 및 2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이며, 비교실시예 3은 말레이미드계 수지 및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실시예 1-3 에서 제조된 수지의 조성 및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2099393-pat00004
상기 표1의 결과로부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을 첨가한 실시예 1-2의 경우, 수지와 보강제와의 계면 결합력이 향상되어첨가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3 에 비하여 우수한 충격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수지와 이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있는 고무질 중합체를 블렌드 시킨 후, 이와 유리섬유(glass fiber) 간의 계면 접착력을 트리글리세라이 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충격강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A) 폴리아미드 수지 40∼70 중량부;
    (B) 고무상 중합체(b1) 10∼60 중량부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b21) 40∼90 중량 % 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b22) 10∼60 중량 % 로 이루어진 단량체(b2) 혼합물 95∼2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중합체 10∼50 중량부;
    (C) 방향족 비닐 단량체(c1) 30∼70 중량부, 말레이미드계 단량체(c2) 30∼50 중량부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c3) 1∼20 중량부로 공중합 된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20중량부;
    (D)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구조의 화합물 0.1∼10 중량부;
    [화학식]
    Figure 112006012099393-pat00002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가 1∼32 인 알킬기임)
    (E) 상기 기초수지 (A)+(B)+(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5∼10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C)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c4)를 5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더 포함하여 공중합되며,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불포화니트릴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융점이 200 ℃ 이상이고 상대점도(m-cresol 에 폴리아미드 수지 1 중량 % 를 첨가하여 25 ℃에서 측정)가 2 이상인 것이고; 상기 고무상 중합체(b1)는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의 3원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b21,c1)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말레이미드 단량체(c2)는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헥실말레이미드, N-디클로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트리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c3)는 무수말레인산, 무수메틸 말레인산, 무수 1,2-디메틸 말레인산, 무수에틸 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c4)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그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그리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실란계 커플링제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아민계, 아크릴계, 에폭시계인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γ-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N-(베타-아미노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N-(β-amino ethyl) 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록시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γ-methacryloxy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록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methacryloxy propyltrimethoxy silane), γ-글로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glycidoxy propyltriethoxy silane), 베타(3,4-에폭시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β(3,4-epoxyethyl) 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핵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안료, 염료 및 무기물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40068831A 2004-08-31 2004-08-31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94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831A KR100594898B1 (ko) 2004-08-31 2004-08-31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831A KR100594898B1 (ko) 2004-08-31 2004-08-31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087A KR20060020087A (ko) 2006-03-06
KR100594898B1 true KR100594898B1 (ko) 2006-06-30

Family

ID=3712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831A KR100594898B1 (ko) 2004-08-31 2004-08-31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8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087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432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13321B1 (ko) 개선된 강성 및 인성을 갖는 유리 섬유 강화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조성물
US873549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properties
KR101320326B1 (ko) 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125954B1 (en) Composite of nylon polymer
US7026394B2 (en) Thermoplastic polymeric compositions
US4824905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amide,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rubbery polymer graft copolymer and aromatic vinyl/unsaturated nitrile/α-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
US1079371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KR100821066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나일론/abs/pmma 얼로이
KR100665804B1 (ko) 내화학성과 내크랙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 수지 조성물
KR100778012B1 (ko) 내브레이크 오일성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01592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72985C (zh) 玻璃纤维增强苯乙烯类热塑性复合材料
KR2019010555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594898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65879B1 (ko) 충격 강도가 향상된 난연성 열가소성 스티렌계 복합재료
KR100376049B1 (ko) 유리섬유 강화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KR100418494B1 (ko) 충격강도 및 난연성이 향상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KR100361161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446986B2 (ko)
JPH04255756A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0503576B1 (ko)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475009B1 (ko) 충격 강도가 향상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KR20100100511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0434640B1 (ko)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