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763B1 - 내열 랩필름 - Google Patents

내열 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763B1
KR960007763B1 KR1019930008640A KR930008640A KR960007763B1 KR 960007763 B1 KR960007763 B1 KR 960007763B1 KR 1019930008640 A KR1019930008640 A KR 1019930008640A KR 930008640 A KR930008640 A KR 930008640A KR 960007763 B1 KR960007763 B1 KR 960007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film
heat
buten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743A (ko
Inventor
야수시 나까세
마사미 고바야시
다쓰오 가또
신이찌 이무따
Original Assignee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3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열 랩필름
제1도는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점착성을 시험하는 방법의 개념도.
제2도는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내열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시험편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내열 랩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열성이 우수한 동시에 유연성 및 점착성이 우수한 내열 랩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식품의 보존, 조리등에 사용되는 포장재료로써 랩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종래의 랩필름은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염화비닐리덴의 박막으로 된 것이므로 내열 온도가 140℃ 전후의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이 랩필름의 용도의 확대에 수반되어 더 고온에서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것, 즉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4-메틸-1-펜텐계 중합체는 융점이 220~240℃이고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4-메틸-1-펜텐계 중합체를 필름으로 성형하면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랩필름이 얻어짐이 기대된다.
그러나 4-메틸-1-펜텐계 중합체의 필름은 유연성이 불충분하고 또 랩필름으로써 사용하는 경우에 중요한 성질인 점착성도 불충분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하에 행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4-메틸-1-펜텐계 중합체의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동시에 유연성, 점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내열 랩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등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4-메틸-1-펜텐계 중합체와 액상부텐계 중합체 및 부텐-1계 고체중합체를 각각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성형해서 된 필름이 내열성이 우수한 동시에 유연성 및 장착성도 우수하여 내열 랩필름으로써 적합함을 발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98-70중량부와 (B)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5000cSt인 액상부텐계 중합체 1~15중량부와, (C) 부텐-1계 고체중합체 1~15중량부 ((A)+(B)+(C)의 합계 100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된 내열 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내열 랩필름중에서도 상기 수지조성물을 성형해서 된 두께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을 구성하는 필수성분인 (A) 4-메틸-1-펜텐 중합체는 4-메틸-1-펜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고 예를들면 4-메틸-1-펜텐의 단독중합체, 4-메틸-1-펜텐과 4-메틸-1-펜텐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4-메틸-1-펜텐이외의 α-올레핀으로써는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헵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등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등을 들 수 있고 4-메틸-1-펜텐계 중합체중에 이들의 α-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4-메틸-1-펜텐계 중합체가 이들 α-올레핀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 함유량은 통상 1~10중량% 정도이다.
또 이 4-메틸-1-펜텐계 중합체의 데칼린 용매중 135℃에서 측정한 극한점도는 통상 1.0~3.0정도이고 바람직하기로는 2.0~2.5정도이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을 구성하는 제2필수성분인(B) 액상 부텐계 중합체는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고 예를들면 이소부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예를들면 40몰% 이하의 이소부틸렌이외의 다른 α-올레핀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이소부틸렌 이외의 다른 α-올레핀으로써는 예를들면 1-부텐, 2-부텐, 부타디엔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액상부텐계 중합체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이 액상부텐계 중합체는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5000cSt의 것이고 또 성형성과 품질이 우수한 내열 랩필름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등점도가 50~1000cSt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을 구성하는 제3필수성분인 (C) 부텐-1계 고체중합체는 부텐-1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정성 중합체이고 예를들면 부텐-1의 단독중합체, 또는 부텐-1과 부텐-1 이외의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부텐-1 이외의 다른 α-올레핀으로써는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C) 부텐-1계 고체중합체중에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 (C) 부텐-1계 고체중합체가 이 α-올레핀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 함유량은 통상 30몰%이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20몰% 이하이다. 이 (C) 부텐-1계 고체중합체는 상기 부텐-1 단독 또는 부텐-1과 상기 다른 α-올레핀을 지그라촉매의 존재하에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C) 부텐-1계 고체중합체는 결정화도가 통상 20~60% 정도의 것이고 유연성의 개량 효과가 큰 점에서 30~5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C) 부텐-1계 고체중합체의 멜트프로우레이트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랩필름이 얻어지고 또 이 (C)부텐-1계 고체중합체와, (A)4-메틸-1-펜텐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지므로 투명성이 우수한 랩필름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0.01~50g/10분, 바람직하기로는 0.05~20g/10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멜트플로우레이트는 ASTM D 1238E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은 상기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B) 액상부텐가 중합체 및 (C) 부텐-1계 고체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성형해서 된 필름이다.
이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B) 액상부텐가 중합체 및 (C) 부텐-1계 고체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을 성형해서 된 필름이다.
이 수지조성물에 있어서의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B) 액상부텐계 중합체 및 (C) 부텐-1계고체중합체의 합유 비율은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점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 (B) 액상부텐계 중합체의 블리드아웃이 거의 없는 내열 랩필름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A) 메틸-1-펜텐계 중합체 98~70중량부에 대해서 (B) 액상부텐계 중합체 1~15중량부, 및 (C) 부텐-1계 고체중합체 1~15중량부의 비율이고 구중에서도 점착성과 투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내열 랩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94~84중량부에 대해서 (B) 액상부텐계 중합체 3~8중량부 및 (C) 부텐-1계 고체중합체 3~8중량부 ((A)+(B)+(C)의 합계 100중량부)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지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충전제, 대전방지제, 흐림방지제, 내열안정제 등의 배합제를 필요에 따라서 1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의 제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들면 상기 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상기 배합제를 각각 소정의 비율로 별개로 압출기에 공급하거나 또는 사전에 각 성분을 혼합하여 수지조성물을 조제하여 이것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용융, 혼련하여 T-다이, 튜브다이등의 적당한 성형용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할 수 있다.
압출기에 있어서의 가열온도는 통상 240~300℃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중에서도 에이징후의 점착력이 1~7g/8cm 이고 또한 두께가 8~15㎛인 것은 실용조작성이 양호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점착력」이라함은 2매 필름의 180° 박리강도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후기의 점착력의 측정방법에 의한 측정치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은 내열성, 유연성, 점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고주파가열시의 랩필름등의 용도에 적합하고 특히 내열성이 요구되는 유성식품의 재가열 및 조리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는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 4-메틸-1 펜텐(미쓰이세끼유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제 MXO21) 90중량부와 액상 폴리부텐(A)(닛뽕 세끼유가가뀨(주)제 HV 300, 동점도(100℃) : 630cSt) 5중량부 및 폴리부텐-1(C-1)(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주)제, 뷰론 M 2181 ; 멜트플로우레이트 : 1.0g/10분, 밀도 : 0.900/㎤, 융점 : 71℃) 5중량부를 헨셜믹서로 혼합하여 수지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수지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성형온도 290℃에서 용융, 혼련하고 T-다이에서 압출하여 두께 12㎛, 폭 300mm의 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랩필름의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글로스치 및 점착력 및 내열온도를 하기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ASTM D 882에 준하여 행하였다.
인열강도
ASTM D1922에 준하여 행하였다.
(엘멘도르프 인열시험법)
헤이즈치
ASTM D1003에 준하여 행하였다.
글로스치
ASTM D 523에 준하여 60℃에서 행하였다.
점착력
성형후, 40℃에서 1주간 에이징하였다. 폭 8cm×길이 10cm의 필름 2매를 겹쳐서 프레스롤에 넣어 롤간압력 : 0.2kg/㎠로 한쪽 끝단에서 폭 2cm를 남기고 밀착시켜서 시험편을 만들었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험편(1)의 밀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필름(1a)의 단부(2)를 지지대(3)에 고정된 지지체(4)의 단부(5)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했다.
또 온도 : 23℃, 습도 : 50%의 분위기중에서 시험편(1)의 밀착되어 있지 않는 쪽의 한쪽의 필름(1b)의 단부(6)에 추(7)를 걸어 순차로 무게를 바꾸어 하중을 가해가 시험편(1)을 겹친 필름(1a)과 필름(1b)이 서로 박리되어 추(7)가 움직이기 시작할때의 중량(g/8cm)을 점착력으로써 특정하였다.
내열온도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 3cm×길이 14cm의 내열 랩필름(11)의 상단(12a) 및 하단(12b)에 폭 3cm×길이 2.5cm의 바둑판모양의 종이를 (13a,13b)의 각각이 겹쳐지게 양면 테이프로 접착하여 시험편을 만들었다.
이 시험편의 상단(12a)을 지구에 고정시키고 하단(12b)에 10g의 하중을 가하고 에어오븐중에 신속하게 집어넣어 시료가 절단될때까지 1시간마다 가열온도를 5℃ 간격으로 변화시켜 가열하고 시료가 절단되지 않는 최고의 온도를 내열 온도로 하였다.
실시예 2
폴리 4-메틸-1-펜텐과 액상폴리부텐 및 폴리부텐-1(C-1)의 배합비를 각각 85중량부, 5중량부 및 10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내열 랩필름을 제조하여 그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그로스치 및 점착력 및 내열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폴리부텐-1(C-1) 대신에 폴리부텐-1(C-2)(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제, 뷰론 M3080 ; 멜트플로우레이트 : 0.2g/10분, 밀도 : 0.890/㎤, 융점 : 98℃)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내열 랩필름을 제조하고 그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글로스치 및 점착력과 내열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폴리 4-메틸-1-펜텐과 액상폴리부텐 및 폴리부텐-1(C-1) 대신에 폴리부텐-1(C-2)의 배합비를 각각 85중량부, 5중량부 및 10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내열 랩필름을 제조하여 그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그로스치와 점착력 및 내열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폴리 4-메틸-1-펜텐과 액상폴리부텐 및 폴리부텐-1(C-1) 대신에 폴리부텐-1(C-2)의 배합비를 각각 85중량부, 7중량부 및 8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내열 랩필름을 제조하여 그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그로스치와 점착력 및 내열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수지조성물 대신에 폴리 4-메틸-1-펜텐 90중량부와 액상폴리부텐 10중량부로 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항복점강도, 파단점강도, 신율, 모듈러스치, 인열강도 및 헤이즈치, 글로스치 및 점착력 및 내열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L=길이방향 T=가로방향
**( )내의 모든 수치는 중량부임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은 종래의 랩필름이 140℃ 전후의 내열온도를 갖고 있는데 대해서 190~195℃의 높은 내열온도를 갖는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내열 랩필름은 종래의 랩필름에서은 도저히 사용할 수 없었던 고온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고 용도의 확대등이 기대되는 등 실용적 가치가 크다.

Claims (8)

  1. (A) 4-메틸-1-펜텐계 중합체 98-70중량부와 (B)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5000cSt인 액상부텐계 중합체 1~15중량부와, (C) 부텐-1계 고체중합체 1~15중량부 ((A)+(B)+(C)의 합계 100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로 형성한 내열 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로 형성한 필름의 두께가 5~20㎛인 내열 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메틸-1-펜텐계 중합체의 극한점도[1η]가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하여 1.0~3.0의 범위인 내열 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부텐계 공중합체의 동점도가 50~1000cSt인 내열 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계 고체중합체의 결정화도가 20~60%인 내열 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계 고체중합체의 결정화도가 30~50%인 내열 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텐-1계 고체중합체의 멜트플로우레이트가 0.01~50g/10분인 내열 랩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 및 성분(C)의 각각이 성분 (A) 94~84중량부에 서 3~8중량부인 내열 랩필름.
KR1019930008640A 1992-05-20 1993-05-20 내열 랩필름 KR960007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27089 1992-05-20
JP12708992 1992-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743A KR940005743A (ko) 1994-03-22
KR960007763B1 true KR960007763B1 (ko) 1996-06-12

Family

ID=14951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640A KR960007763B1 (ko) 1992-05-20 1993-05-20 내열 랩필름
KR1019930008641A KR960007764B1 (ko) 1992-05-20 1993-05-20 수지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641A KR960007764B1 (ko) 1992-05-20 1993-05-20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382620A (ko)
EP (2) EP0573172B1 (ko)
JP (2) JP3230896B2 (ko)
KR (2) KR960007763B1 (ko)
CN (2) CN1048029C (ko)
CA (2) CA2096581C (ko)
DE (2) DE69308385T2 (ko)
DK (2) DK0573173T3 (ko)
TW (2) TW2735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93A (ja) 1994-07-13 1996-01-30 Sumitomo Chem Co Ltd 自己粘着性包装用フィルム
EP0816428A4 (en) * 1995-03-13 1999-05-06 Mitsui Petrochemical Ind 4-METHYL-1-PENTHENE POLYMER COMPLEX
US5789484A (en) * 1995-05-26 1998-08-04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4-Methyl-1-pentene polymer compositions
US5973077A (en) * 1996-02-01 1999-10-26 Mitsui Chemicals, Inc. 4-methyl-1-pentene resin composition and a laminated body using the resin composition
JP3724129B2 (ja) * 1996-09-30 2005-12-07 三井化学株式会社 ゴム改質剤
US6062271A (en) * 1998-05-22 2000-05-16 Markel Corporation Polymethylpentene cable liner
GB2364771B (en) 2000-07-13 2002-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US20050031883A1 (en) * 2001-09-19 2005-02-10 Masanori Sera Wrapping film and shrink film each comprising butene polymer
JP6299233B2 (ja) * 2014-01-22 2018-03-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及び同軸ケーブル
CN112406146B (zh) * 2020-10-26 2022-07-01 安徽铜峰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拉伸聚4-甲基1-戊烯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2712A (en) * 1967-07-28 1972-09-19 Ici Ltd Alpha-olefin polyme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3455871A (en) * 1968-01-29 1969-07-15 Eastman Kodak Co Poly-1-butene master batches
GB1494332A (en) * 1974-07-09 1977-12-0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Self-sealing films
JPS5846142B2 (ja) * 1977-07-05 1983-10-1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ポリ4−メチルペンテン−1組成物
JPS57133137A (en) * 1981-02-10 1982-08-17 Dainichi Nippon Cables Ltd Preparation of poly-4-methylpentene-1 composition
US4471085A (en) * 1982-03-08 1984-09-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aphragm material for loudspeakers
JPS58171425A (ja) * 1982-04-02 1983-10-08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4−メチル−1−ペンテン組成物
JPS59164350A (ja) * 1983-03-08 1984-09-17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メチルペンテン組成物
JPS6018316A (ja) * 1983-07-11 1985-01-30 Mitsui Petrochem Ind Ltd ゴムホ−ス製造用マンドレル
JPS6028442A (ja) * 1983-07-26 1985-02-13 Mitsui Petrochem Ind Ltd ポリ4−メチル−1−ペンテンフイルム
JPS60238342A (ja) * 1984-05-11 1985-11-27 Mitsui Petrochem Ind Ltd 制振材
JPH0745603B2 (ja) * 1986-03-11 1995-05-17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H0729405B2 (ja) * 1987-05-28 1995-04-05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イルム
JP2592500B2 (ja) * 1988-06-01 1997-03-19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6581C (en) 2001-02-20
EP0573173A1 (en) 1993-12-08
EP0573173B1 (en) 1997-03-05
DE69308386D1 (de) 1997-04-10
JPH0632952A (ja) 1994-02-08
JPH0665448A (ja) 1994-03-08
EP0573172B1 (en) 1997-03-05
KR940005744A (ko) 1994-03-22
CA2096608A1 (en) 1993-11-21
JP3328371B2 (ja) 2002-09-24
TW257773B (ko) 1995-09-21
KR940005743A (ko) 1994-03-22
CN1048029C (zh) 2000-01-05
CN1082072A (zh) 1994-02-16
TW273562B (ko) 1996-04-01
DK0573172T3 (da) 1997-09-01
DK0573173T3 (da) 1997-05-05
DE69308385T2 (de) 1997-07-10
CA2096581A1 (en) 1993-11-21
KR960007764B1 (ko) 1996-06-12
CN1042342C (zh) 1999-03-03
CA2096608C (en) 2002-06-25
CN1083770A (zh) 1994-03-16
US5338792A (en) 1994-08-16
US5382620A (en) 1995-01-17
DE69308385D1 (de) 1997-04-10
EP0573172A1 (en) 1993-12-08
JP3230896B2 (ja) 2001-11-19
DE69308386T2 (de)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424B1 (ko) 포장용다층필름
KR100592838B1 (ko) 실런트용 수지 조성물, 실런트 필름 및 그의 용도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KR100763501B1 (ko)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CN101233185A (zh) 聚丙烯树脂组合物、膜或片材、由该膜或片材制得的拉伸膜、叠层体和由该叠层体制得的拉伸膜
KR960007763B1 (ko) 내열 랩필름
KR100418110B1 (ko)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기재의 신장성 다층 필름
EP1216824A1 (en) Sealant for polypropylene and easily openable hermetically sealed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19980080327A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필름
JP3982862B2 (ja) シール用樹脂組成物
JP3020623B2 (ja) 耐熱ラップフィルム
JP3794034B2 (ja) 積層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
JP6095540B2 (ja) 積層体
JP2000006338A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H09235430A (ja) 樹脂組成物
JP2003246901A (ja) 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2002275335A (ja) ラップ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およびラップフィルム
JPH09254341A (ja) 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H09267454A (ja) ヒートシールフィルム
JP2001172408A (ja) ラップフィルム
KR20050040665A (ko) 폴리에틸렌 랩
JPH025182B2 (ko)
JP2003055509A (ja) 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JPH094809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体
JPH09143339A (ja) 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