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341B1 -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341B1
KR101200341B1 KR1020050077120A KR20050077120A KR101200341B1 KR 101200341 B1 KR101200341 B1 KR 101200341B1 KR 1020050077120 A KR1020050077120 A KR 1020050077120A KR 20050077120 A KR20050077120 A KR 20050077120A KR 101200341 B1 KR101200341 B1 KR 10120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ropylene
film
copolymer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554A (ko
Inventor
노리히데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 히트 시일성, 내인열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을 제공한다.
수지 조성물은 시차주사열량계 (DSC)로 측정한 융점 (Tm (a))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을 갖지 않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a) 1 내지 50 중량% 및 에틸렌계 중합체 (b) 50 내지 99 중량%로 이루어지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JIS K6781로 측정되는 초기 탄성률이 300 ㎫ 이하이다.
수지 조성물, 필름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RESIN COMPOSITION AND FILM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투명성 및 히트 시일성이 양호하고, 유연성 및 내인열성도 우수한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포장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품 등의 보존에 있어서, 가정용 또는 업무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치 필름으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에는 원료 수지 중에 다량의 염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폐기, 소각 방법 에 따라서는 다이옥신 발생의 원인이 될 가능성도 있어서, 염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래핑 (wrapping) 필름용 조성물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염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스트레치 필름으로는, 종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각종 수지 등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의한 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한 단층 또는 다층 필름, 폴리프로필렌과 각종 수지 등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의한 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한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이 알려져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의한 필름에서는 투명성이 열악하고,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필름은 투명성이 양호하고 빳빳한 반면, 충격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고압 라디칼 중합법에 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투명성이 우수한 스트레치 필름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에 의해 필름으로 한 경우, 투명성은 불충분하고, 또한 히트 시일성이나 내인열성도 불충분하여, 포장하는 내용물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와,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박리성 보호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3과 같은 조성물에서는 점착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지고, 예를 들면 기재에 접착시켜서 보호할 목적의 박리성 보호 필름으로는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에서는 인열강도, 충격강도가 뒤떨어질 경우가 있고, 예를 들면 스트레치 필름과 같이, 내용물을 포장하고, 수송, 보관하는 것과 같은 포장 필름 용도에는 반드시 적합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투명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에서는 투명성에 관한 기재는 있지만, 투명성과 인열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조성물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1-22875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3-6673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평 9-13701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히트 시일성 및 내인열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필름을 부여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어느 특정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한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시차주사열량계 (DSC)로 측정한 융점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단 프로필렌을 제외) 공중합체 (a) 1 내지 50 중량% 및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b) 5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필름이며, 바람직하게는 JISK6781로 측정되는 초기 탄성률이 3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융점을 갖거나 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고, 또한 이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특정한 탄성률을 갖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DSC법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강온 속도 -20℃/min으로 -20℃까지 강온한 후, 다시 180℃까지 20℃/min으로 승온할 때에 관찰되는 흡열 피크)인 Tm (a)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범위인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9 중량%와,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b) 50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1 내지 9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1 내지 97 중량%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공중합체 (a)와 중합체 (b)의 합계는 100 중량%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Tm (a)이 상기 범위이거나 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열강도와 히트 시일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는 공지의 올레핀 중합용 촉매를 이용하여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공중합된 것이 필름의 점착성이 적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로부터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GPC의 측정 조건은 140℃, 오르토 디클로로벤젠 중,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한 값이다. 예를 들면, 장치로서 워터스 (Waters) 사제 GPC-150C를 이용하고, 분리 칼럼은 TSKgel GNH6-HT 및 TSKgel GNH6-HTL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과 함께 공중합되는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을 비롯한 적어도 1종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이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투명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 또는 1-부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공중합체 (a)는 프로필렌/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중합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 공중합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번호 WO95/14717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촉매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지만, 특히 WO2004/087775호 공보에 기재된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융점 Tm (a)(℃)과 13C-NMR 스펙트럼 측정에서 구해지는 코모노머 구성 단위 함량 M (몰%)이
146exp(-0.022M) ≥ Tm (a) ≥ 125exp (-0.032M)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M은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과의 합계를 100 몰%로 한 경우에 있어 서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함유량 (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과의 합계를 100 몰%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몰%이다.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 ㎏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 (이하, MFR (230℃)로 약기한다)는 1 내지 40 (g/10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g/10분)의 범위에 있다.
중합체 (b)로는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적어도 1종의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그 분자구조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장쇄 또는 단쇄의 측쇄를 갖는 분기상이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코모노머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1, 1-옥텐, 1-데센, 1-도데센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코모노머, 예를 들면 1,6-헥사디엔, 1,8-옥타디엔 등의 디엔류나, 시클로펜텐 등의 환상 올레 핀류 등을 소량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중합체(b)의 밀도 (ASTM D1505 23℃)는 통상 0.890 내지 0.960 g/㎤이며, 바람직하게는 0.890 내지 0.93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895 내지 0.93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95 내지 0.928 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95 내지 0.925 g/㎤이다. 이 범위에 있으면, 특히 내열성, 인열강도, 투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필름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중합체 (b), 특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이 경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로부터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GPC의 측정 조건은 140℃, 오르토 디클로로벤젠 중,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한 값이다. 예를 들면 장치로서 워터스 (Waters) 사제 GPC-150C를 사용하고, 분리 칼럼은 TSKgel GNH6-HT 및 TSKgel GNH6-HTL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동일 밀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비교하면,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다. 이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밀도에 대하여 융점이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자량 분포(Mw/Mn)를 나타내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중합체(b)는 시차주사열량계 (DSC)에 의해 측정한 흡열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피크 위치의 온도 (Tm (b) (℃))와 밀도 (d (g/㎤))가 Tm (b) < 400 × d - 248, 바람직하게는 Tm (b) < 450 × d - 296, 보다 바람직하게 는 Tm (b) < 500 × d - 343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중합체는 조성 분포가 좁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Tm (b)은 DSC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시료 약 5 ㎎을 알루미늄 팬에 채우고, 10℃/분으로 200℃까지 승온하고,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20℃/분으로 실온까지 강온하고, 이어서 10℃/분으로 승온할 때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구해진다. 여기에서, 흡열 곡선은 2번째의 승온 시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합계 100몰%로 한 경우에서의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함유량에는 제한이 없지만, 통상 0~20몰%, 바람직하게는 0.5~1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몰%이다.
상기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 및 중합체 (b)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결정핵제 등의 첨가물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다른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성분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예를 들면 헨셀 믹서, 밴버리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혼합기에서 블렌드한 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상으로 하여 후술하는 필름 성형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성분을 블렌드한 상태에서 필름 성형기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통상의 폴리올레핀의 필름 성형에 사용되는 T-다이 성형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기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유연성, 투명성, 히트 시일성 및 내인열성이 우수한 필름으로 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의 JISK6781에 준거하여, 인장속도 200 m/min에서 측정되는 초기 탄성률은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두께 50 ㎛의 필름으로 성형한 경우에, 필름의 ASTM D100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일축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수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금속박과의 적층체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필름이 적어도 1층으로 사용되면 된다. 적층체로서 이용할 경우의 다른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그의 연신 필름이나, 이들 필름에 알루미늄이나 규소 화합물을 증착한 금속 증착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적층 구조를 취할 경우에는, 공지의 공압출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필름 또는 그 연신 필름에, 직접 알루미늄이나 규소 화합물을 증착하여, 금속 증착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적층체, 예를 들면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통상의 폴리올레핀의 필름 성형에 사용되는 다층 T-다이 성형기,또는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 예를 들면 다층 필름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시켜, 연신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연신 필름은 열수축성이 우수하고, 쉬링크 포장용 필름이나 쉬링크 라벨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신 방법으로는 폴리올레핀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연신, 텐터 연신, 튜블러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로는 통상 1.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배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유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무 포장용의 용융 백, 유연성/투명성/가스 투과성,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다는 점 등에서 야채/과자, 빵 등의 식품이나 섬유 등의 포장용 필름, 또한 신축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스트레치 포장용 필름으로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는 점착성이나 방담성을 조정하기 위해, 점착부여제,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점착부여제로는 폴리부텐이나 올레핀계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 액상물, 유동 파라핀, 지방계 석유 수지, 지환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필름으로 성형한 경우에, 인열강도와 투명성 의 밸런스가 특히 우수하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법]
MFR190: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 kg 하중에서 측정했다.
MFR230: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 kg 하중에서 측정했다.
밀도: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헤이즈: ASTM D100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엘멘도르프 인열 강도: JIS P8116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히트 시일성: 필름의 시일층끼리를 마주 대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압력 0.2 ㎫, 시일 시간 1.0초의 조건에서 히트 시일을 행했다. 그 후에 15 ㎜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한 시험편의 층간을 180도 방향으로 300 ㎜/분의 속도로 박리시키고, 그 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히트 시일 강도 (N/15㎜)로 했다.
[실시예 1]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밀도 0.905 g/㎤, MFR190 3.6 g/10분, 시차주사열량계 (DSC)에 의해 측정한 흡열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피크 위치의 온도 (융점/Tm (b)) 98℃, 1-헥센 함량 7.6 몰%의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90 중량%,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MFR230 7.0 g/10분, 융점 (Tm (a)) 75℃, 1-부텐 함량 26 몰%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0 중량%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50 ㎜φ의 압출기를 구비한 다이 폭 300 ㎜의 T-다이 성형기에서 두께 50 ㎛ 단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3, 비교예 1, 2, 3]
수지 조성을 표 1 기재의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지 조성물
m-PBR-1 (wt%)
m-PBR-2 (wt%)
m-LLDPE-1 (wt%)
m-LLDPE-2 (wt%)

10
-
90
-

10
-
-
90

25
-
-
75

-
25
-
75

-
-
100
-

-
-
-
100
헤이즈 (%) 1.0 1.5 1.9 3.3 1.1 2.2
엘멘도르프
인열강도
MD/TD (N)


5.2/10.1


6.4/10.1


9.0/18.0


4.0/7.1


3.5/6.6


5.6/7.6
인장시험 (MD/TD)
파단점 강도 (㎫)
신율 (%)
초기 탄성률 (㎫)

46/48
450/700
100/110

49/51
550/700
150/160

53/55
550/700
190/200

53/54
500/600
220/240

43/47
500/600
100/120

46/49
480/590
150/160
히트 시일 강도 (N/15㎜)
80℃
90℃
100℃
110℃
120℃


2.49
5.81
7.66
8.66
9.22


3.12
5.70
7.10
9.24
9.78


2.51
3.95
6.85
8.40
9.01


1.25
2.60
5.84
6.94
7.56


2.35
5.01
7.09
8.02
8.36


0.87
1.55
4.69
6.10
7.22
m-LLDPE-1;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1-헥센 함량 = 7.6 몰%
밀도 0.905 g/㎤, MFR190 3.6 g/10min, Tm 98℃, Mw/Mn = 2.1
m-LLDPE-2;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1-헥센 함량 = 5 몰%
밀도 0.913 g/㎤, MFR190 3.6 g/10min, Tm 113℃, Mw/Mn = 2.1
m-PBR-1;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부텐 함량 = 26 몰%
융점 75℃, MFR230 7.0 g/10min, Mw/Mn = 2.1
m-PBR-2;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부텐 함량 = 15 몰%
융점 110℃, MFR230 7.0 g/10min, Mw/Mn = 2.1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은 인열강도와 투명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또한 히트 시일성도 우수하여, 스트레치 필름 등의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고, 그 산업상의 이용 가치는 매우 높다.

Claims (12)

  1. 시차주사열량계 (DSC)로 측정한 융점 (Tm (a))이 95℃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 1 내지 40 중량% 및 에틸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b) 6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b)의 밀도가 0.895 g/㎤ 내지 0.96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 1 내지 29 중량% 및 중합체 (b) 71 내지 99 중량%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단, 프로필렌을 제외한다) 공중합체 (a)의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b)의 GPC에 의해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a)가, 프로필렌/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중합체(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a)가, 융점(Tm(a))이 40~95℃인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단 프로필렌을 제외함) 공중합체(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a)가, α-올레핀의 함유량이 15~30몰%인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단, 프로필렌을 제외함) 공중합체(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JIS K6781로 측정되는 초기 탄성률이 3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050077120A 2004-08-25 2005-08-23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KR101200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5915 2004-08-25
JPJP-P-2004-00245915 200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554A KR20060050554A (ko) 2006-05-19
KR101200341B1 true KR101200341B1 (ko) 2012-11-12

Family

ID=3542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120A KR101200341B1 (ko) 2004-08-25 2005-08-23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8777B2 (ko)
EP (1) EP1630196B1 (ko)
KR (1) KR101200341B1 (ko)
CN (1) CN100351304C (ko)
AU (1) AU2005204230B2 (ko)
DE (1) DE602005003618T2 (ko)
TW (1) TW2006153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5007A1 (en) 2004-10-22 2007-07-11 Dow Gloval Technologies Inc. Improved microlayer structures and methods
EP1964885B1 (en) * 2005-12-09 2012-10-03 Mitsui Chemicals, Inc. Multilayer laminate for vibration control
JP4829010B2 (ja) * 2006-06-13 2011-11-30 関東化学株式会社 透明塩化ビニル管の補強方法
US8431234B2 (en) * 2006-09-12 2013-04-30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heat sealable matte layer
KR101280685B1 (ko) * 2008-03-27 2013-07-0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1981111A (zh) * 2008-03-31 2011-02-23 三井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和熔融袋
US9372397B2 (en) * 2008-04-25 2016-06-21 Northwestern University Polymer pen lithography
US8283400B2 (en) * 2008-06-09 2012-10-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US8431642B2 (en) * 2008-06-09 2013-04-3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242198B2 (en) 2008-06-09 2012-08-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US8431643B2 (en) * 2009-05-29 2013-04-3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20110054117A1 (en) * 2009-08-27 2011-03-03 Hall Gregory K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WO2015004314A1 (en) * 2013-07-12 2015-01-15 Upm Raflatac Oy Multilayer film for label and a method for providing such
WO2020099562A1 (en) * 2018-11-15 2020-05-22 Borealis A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0361B2 (ja) 1989-08-07 1998-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剥離性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組成物
JP3580428B2 (ja) 1993-11-29 2004-10-20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1−ブテン共重合体
JPH09137013A (ja) 1995-11-13 1997-05-27 Mitsui Petrochem Ind Ltd 剥離性保護フィルム用組成物およびそのフィルム
CA2280854A1 (en) * 1997-02-25 1998-08-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eat sealable films
SG67489A1 (en) * 1997-04-07 1999-09-21 Mitsui Chemicals Inc Laminating propylene/1-butene random copolymer composition and composite film using the same
EP0991716B1 (en) 1997-06-25 2004-01-28 Eastman Chemical Company Monolayer film
JPH1149903A (ja) 1997-08-01 1999-02-23 Nippon Porikemu Kk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KR100495176B1 (ko) 1998-02-10 2005-06-1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비연신 필름
JPH11228758A (ja) 1998-02-19 1999-08-24 Sumitomo Chem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
JPH11342568A (ja) 1998-05-29 1999-12-14 Mitsubishi Chemical Corp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CN1187404C (zh) 1999-04-13 2005-02-02 三井化学株式会社 软质间同立构聚丙烯组合物含它的层压片和成型产品
JP2003508570A (ja) * 1999-09-01 2003-03-04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通気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JP3578393B2 (ja) 1999-11-02 2004-10-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カレンダー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とそれより得られるフィルム
WO2001046277A2 (en) * 1999-12-22 2001-06-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based adhesive compositions
JP2002240210A (ja) 2000-03-02 2002-08-28 Ube Ind Ltd 食品包装用フィルム
JP4068978B2 (ja) * 2002-02-14 2008-03-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ュリンクフィルム
US6753381B2 (en) 2002-03-15 2004-06-22 Ethyl Corporation Polymer blends and their application as viscosity index improvers
CN101440179B (zh) 2003-03-28 2011-09-21 三井化学株式会社 聚烯烃树脂组合物
US6984696B2 (en) * 2003-03-28 2006-01-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lastic blends of semi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and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0426B (ko) 2008-09-01
CN100351304C (zh) 2007-11-28
DE602005003618D1 (de) 2008-01-17
AU2005204230A1 (en) 2006-03-16
TW200615320A (en) 2006-05-16
DE602005003618T2 (de) 2008-11-13
EP1630196B1 (en) 2007-12-05
KR20060050554A (ko) 2006-05-19
US20060047073A1 (en) 2006-03-02
US7488777B2 (en) 2009-02-10
CN1740223A (zh) 2006-03-01
AU2005204230B2 (en) 2010-04-08
EP1630196A1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JP527632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KR100491456B1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수축 필름
TW201841764A (zh) 用於可撓性封裝之聚乙烯層板
KR20130093643A (ko)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JP6454171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多層フィルム
JP2023010777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2019006461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TW202235285A (zh) 積層膜
JP5766206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系重合体多層フィルム
JP3795264B2 (ja) 低温雰囲気下でのヒートシール強度が優れた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20080089611A (ko) 폴리프로필렌계 단층 필름 및 그 용도
JP6717639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19006463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WO2007088775A1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フィルム、延伸フィルム、シュリンクフィルム、収縮包装体の製造方法
JP4611149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フィルム
JP4892784B2 (ja) レトルト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459868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4601988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フィルム
JP4574462B2 (ja) ポリプロピレン多層延伸フィルム
JP3900688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のシーラント層用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H0952328A (ja) ポリオレフィン積層体
JP2006248148A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6639306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4662614B2 (ja) 包装用エ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