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643A -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643A
KR20130093643A KR1020137012523A KR20137012523A KR20130093643A KR 20130093643 A KR20130093643 A KR 20130093643A KR 1020137012523 A KR1020137012523 A KR 1020137012523A KR 20137012523 A KR20137012523 A KR 20137012523A KR 20130093643 A KR20130093643 A KR 2013009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mol
olefin
units deriv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2147B1 (ko
Inventor
이쿠오 아카이
도모히로 아베
다카유키 구로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저온 히트 시일성, 히트 시일 강도,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적어도 표면층[i]//중간층[iii]//코어층[ii]을 갖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으로서, 표면층[i]이, 특정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특정한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를 0 내지 50중량%,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50 내지 100중량%로 이루어지고〔단, 표면층에서의 (A), (E) 및 (B)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코어층[ii]이,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및 특정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지며〔단, 코어층에서의 (C) 및 (A)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중간층[iii]이,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특정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특정한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가 50 내지 5중량%〔단, 중간층에서의 (C), (B), (A)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POLYOLEFIN COMPOSITE FILM}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며, 저온 히트 시일성, 히트 시일 강도,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포장 용도 등에 사용되는 히트 시일성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층에 저융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층한 복합 필름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에, 융점이 15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1 내지 50중량%, 융점이 100℃ 이상 150℃ 미만인 프로필렌 공중합체: 10 내지 90중량%, 및 융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프로필렌 또는 1-뷰텐 공중합체: 1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열 융착층으로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특허문헌 1: 국제공개 WO2007/015415호 팜플렛), 프로필렌 중합체를 주체로 한 2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융점이 120 내지 140℃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융점이 80 이상 120℃ 미만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및 융점이 40 내지 100℃인 뷰텐-1·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오버랩(over-wrap) 포장 필름(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0554호 공보) 등의, 융점이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표면층(히트 시일층)에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층 필름 외에, 기재층인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융점이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사이에,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을 갖고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성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5-104151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제2005-305998호 공보), 또는 기재층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이용하고, 중간층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물, 표면층(열 융착층)으로서 융점이 150℃ 이하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제2006-305884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개 제2006-327183호 공보) 등, 3층 필름으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층으로서, 특허문헌 3 또는 특허문헌 4에 구체적으로 제안되어 있는 히트 시일성 적층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은 히트 시일성이 뒤떨어진다.
국제공개 WO2007/015415호 팜플렛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055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10415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3059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30588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32718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6에 제안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복합 필름에서는, 비교적 저온 영역에서의 히트 시일 강도가 불충분하여, 그 포장 필름으로서의 용도가 제한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저온 히트 시일성, 히트 시일 강도,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1층의 표면층[i]과, 코어층[ii], 및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는 중간층[iii]을 갖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으로서,
표면층[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며,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가
0 내지 50중량%임과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50 내지 100중량%로 이루어지고,
〔단, 표면층에서의 (A), (E) 및 (B)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코어층[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지며,
〔단, 코어층에서의 (C) 및 (A)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중간층[i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
와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가,
50 내지 5중량%
〔단, 중간층에서의 (C), (B), (A)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다른 태양」의 경우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적어도 1층의 표면층[i]과, 코어층[ii], 및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는 중간층[iii]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층[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15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0 내지 85중량%로 이루어지고,
코어층[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상 97몰% 미만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하이고 3몰%를 초과하여 함유하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지고,
중간층[i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
와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상 97몰% 미만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하이고 3몰%를 초과하여 함유하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가 50 내지 5중량%
〔단, (C), (D)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서의 「다른 태양」의 경우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설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의 융점이 11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융점이 120 내지 140℃이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의 융점이 60 내지 110℃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가,
(1)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되는 극한 점도가 0.1 내지 5dl/g이며,
(2)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1.5 이상 3 이하이며,
(3) 공중합 모노머 연쇄 분포의 랜덤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B값이 0.9 내지 1.5인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 미연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 2축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에서 표면층의 전체 두께의 비율이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에서 중간층의 전체 두께의 비율이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 표면층/중간층/코어층/중간층/표면층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5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가 10 내지 35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세로 또는 가로의 연신 방향의 인장 탄성률이 1.9 내지 5.0GPa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저온 히트 시일성, 히트 시일 강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식품, 산업재 등의 포장 필름으로서 넓은 용도에의 이용이 가능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표면층[i]을 형성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이다(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와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 상기 α-올레핀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60몰% 이상 함유하고, 또한 80몰% 이하로 함유하며,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 그 중에서도, 에틸렌 및 1-뷰텐으로부터 선택되는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20몰% 이상 함유하고, 또한 40몰% 이하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융점이 14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융점이 11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140℃를 초과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저온 히트 시일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로서는,
(1)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되는 극한 점도[η]가 0.1 내지 5dl/g이며,
(2)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1.5 이상 3 이하이며,
(3) 공중합 모노머 연쇄 분포의 랜덤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B값이 0.9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인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한편, 이 파라미터 B값은 콜맨 등(B. D. Coleman and T. G. Fox, J. Polym.Sci., Al, 3183(1963))에 의해 제안되어 있고,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B=P12/(2P1·P2)
여기서, P1 , P2는 각각 제1 모노머, 제2 모노머 함량 분율이며, P12는 전체 2분자 중 연쇄 중의 (제1 모노머)-(제2 모노머) 연쇄의 비율이다.
한편, 이 B값은 1인 때 베르누이 통계에 따르고, B<1인 때 공중합체는 블록적이며, B>1인 때 교대적이며, B=2인 때 교합 공중합체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의 MFR(용융 유량; ASTM D-1238 하중 2160g, 온도 230℃)은 필름으로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0.5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의 범위에 있다.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표면층[i] 및 중간층[iii]을 형성하는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몰% 함유하고, 또한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이다(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와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 상기 α-올레핀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융점이 60 내지 1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110℃를 초과하는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저온 히트 시일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는 한편, 융점이 60℃ 미만인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표면이 달라붙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1-뷰텐·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로서는,
(1")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되는 극한 점도[η]가 0.1 내지 5dl/g이며,
(2")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2 내지 6이며,
(3") 공중합 모노머 연쇄 분포의 랜덤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B값이 0.9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4인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의 MFR(용융 유량; ASTM D-1238 하중 2160g, 온도 230℃)은 필름으로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1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g/10분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B)>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표면층[i], 중간층[ii]을 형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몰% 함유하며, 그 융점이 12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이다(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와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 상기 α-올레핀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B)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융점이 120℃ 미만인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경우, 그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저온 히트 시일성과 시일 강도의 균형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B)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MFR(용융 유량; ASTM D-1238 하중 2160g, 온도 230℃)은 필름으로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0.5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의 범위에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코어층[ii] 및 중간층[iii]의 성분을 형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적어도 1종류의 단위를 0 내지 3몰%,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65℃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다(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와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융점이 150℃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코어층[ii]에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강성 및 내열성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예컨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등이 있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의 MFR(용융 유량; ASTM D-1238 하중 2160g, 온도 230℃)은 필름으로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0.5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D)>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으로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코어층[ii] 및 중간층[iii]의 성분을 형성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가 프로필렌계 중합체(D)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프로필렌계 중합체(D)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상 97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80몰% 미만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적어도 1종류의 단위를 50몰% 이하이고 3몰%를 초과하여,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이고 20몰%를 초과하여 함유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중합체이다. 상기 α-올레핀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프로필렌계 중합체(D)로서는, 그 중에서도,
(1')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되는 극한 점도[η]가 0.1 내지 5dl/g이며,
(2')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1.5 내지 4이며,
(3') 공중합 모노머 연쇄 분포의 랜덤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B값이 0.7 내지 1.5인 프로필렌계 중합체(D)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D)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융점이 140℃ 이상인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저온 히트 시일성 및/또는 히트 시일 강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D)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계 중합체(D)의 MFR(용융 유량; ASTM D-1238 하중 2160g, 온도 230℃)은 필름으로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보통 0.5 내지 20g/10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의 범위에 있다.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적어도 1층의 표면층[i]과, 코어층[ii], 및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는 중간층[iii]을 갖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이, 표면층, 코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서는, 「코어층」이라는 용어는 단지 심재(芯材)가 되는 층을 의미하는 것이고, 반드시 표면층과 중간층의 사이에 있고 중심을 구성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층[i]〉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표면층[i]은,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를 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중량%, 및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B)를 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중량% 포함하는(단, 표면층에서의 (A), (E) 및 (B)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X)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표면층[i]에는,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를 포함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가 배합되어 있는 경우는, 그것이 배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면, 저온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다.
〈코어층[ii]〉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코어층[ii]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및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 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단, (A) 및 (C)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Y)로 이루어진다.
코어층[ii]의 폴리머 성분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만을 이용하는 경우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 및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을 병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히트 시일 강도가 강하게 되는 개량 효과가 크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A)가 30중량%를 초과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내열성, 강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중간층[iii]〉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서의 중간층[iii]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중량%와 함께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B),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가 50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중량%〔단, 중간층에서의 (C), (B), (A)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 중간층[iii]에 있어서, 「및/또는」이란 의미는, 상기의 프로필렌계 중합체(B),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로부터 선택되는 각각 1성분을 이용하는 경우, 2성분을 조합시켜 이용하는 경우, 또한 3성분 전부를 이용하는 경우 중의 어떤 것도 포함하는 표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층[iii]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50중량% 미만인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히트 시일 강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는 한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이 95중량%를 초과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히트 시일 강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경우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이하와 같다.
즉, 표면층[i]은,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15 내지 100중량% 및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B) 85 내지 0중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30 내지 100중량%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B) 70 내지 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50 내지 100중량% 및 프로필렌계 중합체(B) 50 내지 0중량%(어느 쪽의 경우도 상기 (A) 및 (B)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의 비율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저온에서 우수한 히트 시일 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층[ii]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및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D)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코어층[ii]에는, 상기의 범위 내인 한, 코어층[ii]의 리사이클품, 추가로는 표면층[i]이나 중간층[iii]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리사이클품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코어층[ii]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중량%, 및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D) 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중량%로 이루어진다〔어느 쪽의 경우도 (C)와 (D)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층[iii]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와 함께,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D) 및/또는 상기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로 이루어지는 조성물(가) 5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진다〔(C)와, (D) 및, 또는 (E)로 이루어지는 조성물(가)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
중간층[iii]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은, 상기의 규정된 범위 내이면, 코어층[ii]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과 다른 것이어도 좋지만, 같은 것이어도 좋다.
중간층[iii]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는, 상기의 규정의 범위 내, 더욱이는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코어층[ii]에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와 다른 것이어도 좋고, 또한 같은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중간층[iii]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로서는,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1-뷰텐·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층[iii]으로서는, 상기의 (C)와 함께 상기의 (D)로 이루어지는 경우, 또한 상기의 (C)와 상기의 (E)로 이루어지는 경우, 또한 상기의 (C)와, (D) 및 (E)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 (A)가 50 내지 95중량%, (D) 및/또는 (E)를 50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도 (A)가 60 내지 90중량%, (D) 및, 또는 40 내지 10중량%가 적합하다〔(A)와 함께, (D) 및/또는 (E)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각 폴리머는, 상기의 범위 내에서 표면층으로서 규정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표면층에 사용되는 폴리머와 같은 폴리머를 이용할 필요는 없지만, 경제상 등에서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경우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주목하여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상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B),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D), 및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X) 및 (X'),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Y),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Z) 및 (Z')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방담제(防曇劑), 비이온성 대전 방지제, 고분자 대전 방지제 등의 대전 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활제, 핵제 등을 배합해 두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표면층[i], 코어층[ii], 중간층[iii]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iii]은,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i]//[iii]//[ii]로 이루어지는 3층 필름, [i]//[iii]//[ii]//[iii]//[i]로 이루어지는 5층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i]//[iii]//[ii]의 구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한편, [i]//[iii]//[ii]//[iii]//[i]로 이루어지는 5층 필름 등에서의 양측의 표면층[i]은, 반드시 같은 두께로 할 필요는 없지만,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양측의 중간층[iii]도 반드시 같은 두께로 할 필요는 없지만,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보통 표면층[i]의 두께는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코어층[ii]의 두께는, 보통 8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간층[iii]의 두께는 보통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에 있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는, 보통 9 내지 100㎛이며, 그 중에서도 10 내지 35㎛가 적합하다.
중간층의 두께가 0.5㎛ 미만에서는, 용도에 의해서 충분한 히트 시일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코어층[ii]의 두께에 대하여, 각각 표면층[i]의 두께가 1 내지 20%, 그 중에서도 2 내지 10%, 그 중에서도 3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며, 중간층[iii]의 두께가 1 내지 20%, 그 중에서도 2 내지 10%, 그 중에서도 3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이들의 규정은, 표면층[i], 중간층[iii]이 복수인 경우는 그들 개개의 층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그 강도와 히트 시일 강도가 모두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 연신된 연신 필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는, 용도에 따라, 다른 기재를 적층해 두어도 좋다. 이러한 기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나일론6, 나일론66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 필름,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폴리염화바이닐 필름, 폴리염화바이닐리덴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의 열가소성 수지제 필름, 또는 알루미늄 박, 종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는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이어도 좋다. 물론, 기재는 1층이어도 2층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 열가소성 수지제 필름은 알루미늄, 아연, 실리카 등의 무기물 또는 그의 산화물을 증착한 필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적층되는 층의 수지 조성의 종류에 상당하는 수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으로 공압출 성형에 의해 복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공압출한 후,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하여 연신 필름으로 하는 것도 행해진다. 이들의 연신 방법에는, 1축 연신 성형, 축차 2축 연신 성형, 동시 2축 연신 등이 있다. 또한, 2축 연신에서의 연신 배율은, 보통 세로 방향 3배 내지 12배, 가로 방향 3 내지 12배 정도가 보통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 2축 연신 필름이면,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저온 히트 시일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2축 연신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그의 인장 탄성률(MD, TD)이 3GPa 미만인 것뿐만 아니라, 인장 탄성률(MD, TD)이 3GPa 이상인 것이어도, 그의 우수한 강도와 함께 우수한 저온 히트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세로(MD) 또는 가로(TD)의 연신 방향의 인장 탄성률은 1.9 내지 5.0GPa, 그 중에서도 1.9 내지 4.5G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세로(MD), 가로(TD)의 양쪽의 연신 방향에서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서는, 또한 그 표면층끼리가 겹치도록 복합 필름을 겹쳐, 후기하는 방법으로 히트 시일을 행한 경우 180° 박리 강도에 따른 히트 시일 강도(히트 시일 바 상부의 온도 140℃)가 7.5N/15mm 이상이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7.5N/15mm 내지 75N/15mm이 적합하며, 그 중에서도 9N/15mm 내지 75N/15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표면 처리, 예컨대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이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 중에서 나타낸 각 물성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했다.
〔히트 시일 강도〕
측정하는 대상인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표면층끼리가 겹치도록 복합 필름을 겹쳐, 겹쳐진 복합 필름의 양면을 두께 50㎛의 불소 수지 시트(불소 수지(듀퐁사제 상품명: 테플론(등록상표))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끼운 시험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히트 시일 테스터(테스터산업주식회사제 TB-701B형)의 히트 시일 바를 폭 5mm×길이 300mm로 설치하고, 시일 바 하측을 70℃로 설정하고, 시일 바 상부의 온도를 변화시켜, 히트 시일 바 부분에, 상기 시험체(불소 수지 시트/복합 필름/복합 필름/불소 수지 시트)를 끼우고, 0.2MPa의 압력에서 1.0초간 히트 시일을 행했다. 불소 수지 시트를 분리하고, 히트 시일된 복합 필름 부분을 약 23℃의 실온 하에서 2일간 방치했다. 복합 필름의 히트 시일 부분을 포함하도록 15mm 폭의 슬릿을 넣고, 시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인장력 시험기(「INTESCO사제 IM-20ST」)에 척킹(chucking)했다. 300mm/분의 속도로 복합 필름의 18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상기 조작을 5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히트 시일 강도로 했다.
〔융점〕
190℃로 설정한 유압식 열프레스 성형기를 이용하여, 5분 예열한 후 2분간 가압하고, 곧바로 20℃로 설정한 냉각조에서 4분간 냉각하고, 3mm 두께의 프레스 시트를 작성했다. 이것을 시험 전에 23℃±2℃에서 10일간 보관한 후,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40℃까지 냉각하고 나서 승온 속도 10℃/분으로 200℃까지 승온시키고, 발열·흡열 곡선을 구하여, 최대 흡열 피크 위치의 온도를 융점으로 했다.
〔히트 시일 개시 온도〕
히트 시일 개시 온도는,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히트 시일 강도가 2N/15mm가 되는 시일 바 상부의 온도를 히트 시일 개시 온도(℃)로 했다.
〔인장 탄성률〕
JIS K7127에 준거한 방법으로, 필름의 세로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에 대하여, 각각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탄성률로 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는 이하의 중합체를 이용했다.
(1)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1-1) PBR
프로필렌 함유량: 75몰%, 1-뷰텐 함유량: 25몰%, 융점: 77℃, MFR(230℃): 7g/10분, 극한 점도[η]: 1.8dl/g, Mw/Mn: 2.0, 및 B값: 1.0의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PBR)를 이용했다.
(1-2) PER
프로필렌 함유량: 69몰%, 에틸렌 함유량: 31몰%, 융점: 96℃, MFR(230℃): 8g/10분, 극한 점도[η]: 1.7dl/g, Mw/Mn: 2.7, B값: 0.7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PER)를 이용했다.
(1-3) PBER(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D)이기도 하다.)
1-뷰텐 함유량: 20몰%, 에틸렌 함유량: 14몰%, 융점은 관측되지 않고, 극한 점도[η]: 1.8dl/g, MFR(230℃): 7g/10분, Mw/Mn: 2.0, B값: 1.0의 프로필렌·1-뷰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PBER)를 이용했다.
(2) 프로필렌계 중합체(B)
(2-1) r-PP
에틸렌 함유량: 2.2몰%, 1-뷰텐 함유량: 1.5몰%, 융점: 138℃, 및 MFR(230℃): 7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r-PP)를 이용했다.
(2-2) Ter-PP
에틸렌 함유량: 9.5몰%, 1-뷰텐 함유량: 3.9몰%, 융점: 131℃, 및 MFR(230℃): 6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Ter-PP)를 이용했다.
(3)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3-1) h-PP
융점: 160℃, MFR(230℃): 3g/10분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h-PP)를 이용했다.
(4)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
(4-1) BER
1-뷰텐 함유량: 95몰%, 에틸렌 함유량: 5몰%, 융점: 100℃, MFR(230℃): 9g/10분, 극한 점도[η]: 1.8dl/g, Mw/Mn: 3.4, B값: 1.0의 1-뷰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BER)를 이용했다.
(4-2) BPR
1-뷰텐 함유량: 75몰%, 프로필렌 함유량: 25몰%, 융점: 77℃, MFR(230℃): 9g/10분, 극한 점도[η]: 1.7dl/g, Mw/Mn: 4.9, B값: 0.9의 1-뷰텐·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BPR)를 이용했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성형〕
상기 각 중합체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층, 코어층 및 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3종 5층의 복합 필름(표면층//중간층//코어층//중간층//표면층)을 이하와 같이 하여 성형했다.
3종 5층의 구성이 되는 T 다이가 접속된 3대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표면층, 코어층 및 중간층에 나타내는 비율로 폴리머를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다이 및 수지 온도를 230℃로, 표피층//중간층//코어층//중간층//표피층의 두께가 1/1/21/1/1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압출량을 설정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 두께: 1000㎛의 미연신 필름을 수득했다.
또한, 상기 미연신 필름을 배치식 2축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 온도: 158℃에서 세로×가로=5배×8배로 연신하여 2축 연신하여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을 수득했다.
이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대하여, 「히트 시일 강도」 및 「히트 시일 개시 온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에 대하여, 「히트 시일 강도」 및 「히트 시일 개시 온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높은 히트 시일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은, 온도 140℃에서 히트 시일 강도가 7.5N/15mm 이상으로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고, 투명성도 우수하여, 식품, 산업재 등의 여러가지 포장 재료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1층의 표면층[i]과, 코어층[ii], 및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는 중간층[iii]을 갖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으로서,
    표면층[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가
    0 내지 50중량%임과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50 내지 100중량%로 이루어지고,
    〔단, 표면층에서의 (A), (E) 및 (B)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코어층[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지며,
    〔단, 코어층에서의 (C) 및 (A)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한다.〕
    중간층[i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
    와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가,
    50 내지 5중량%
    〔단, 중간층에서의 (C), (B), (A)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2. 적어도 1층의 표면층[i]과, 코어층[ii], 및 표면층[i]과 코어층[ii]의 양쪽에 직접 접하는 중간층[iii]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층[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7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3 내지 5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 15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0 내지 50몰% 함유하며, 융점이 120 내지 170℃인 프로필렌계 중합체(B) 0 내지 85중량%로 이루어지고,
    코어층[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70 내지 100중량%,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상 97몰% 미만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하이고 3몰%를 초과하여 함유하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 0 내지 30중량%로 이루어지고,
    중간층[iii]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97 내지 100몰%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을 0 내지 3몰% 함유하며, 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C) 50 내지 95중량%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상 97몰% 미만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몰% 이하이고 3몰%를 초과하여 함유하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계 중합체(D),
    및/또는
    1-뷰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95몰% 함유하고,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50 내지 5몰% 함유하는 1-뷰텐·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E)
    가 50 내지 5중량%
    〔단, (C), (D) 및 (E)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의 융점이 11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계 중합체(B)의 융점이 120 내지 140℃이며, 1-뷰텐·α-올레핀 공중합체(E)의 융점이 6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A)가,
    (1)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되는 극한 점도가 0.1 내지 5dl/g이며,
    (2) 겔 투과 크로마토그라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1.5 이상 3 이하이며,
    (3) 공중합 모노머 연쇄 분포의 랜덤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B값이 0.9 내지 1.5인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연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축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에서 표면층의 전체 두께의 비율이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에서 중간층의 전체 두께의 비율이 2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이 표면층/중간층/코어층/중간층/표면층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5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전체 두께가 1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의 세로 또는 가로의 연신 방향의 인장 탄성률이 1.9 내지 5.0GPa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KR1020137012523A 2010-11-10 2011-11-10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KR101452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1895 2010-11-10
JPJP-P-2010-251895 2010-11-10
PCT/JP2011/075984 WO2012063914A1 (ja) 2010-11-10 2011-11-10 ポリオレフィン複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43A true KR20130093643A (ko) 2013-08-22
KR101452147B1 KR101452147B1 (ko) 2014-10-16

Family

ID=4605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523A KR101452147B1 (ko) 2010-11-10 2011-11-10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66770B2 (ko)
EP (1) EP2639062B1 (ko)
JP (1) JP5755240B2 (ko)
KR (1) KR101452147B1 (ko)
CN (1) CN103153618B (ko)
BR (1) BR112013010919B1 (ko)
WO (1) WO2012063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5016689A (es) * 2013-06-04 2016-04-04 Treofan Germany Gmbh & Co Kg Pelicula de polipropileno sellable.
CN106255720B (zh) * 2014-05-06 2020-04-07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公司 多层膜无规丙烯-乙烯共聚物
RU2684463C2 (ru) 2014-05-27 2019-04-10 Амкор Флексиблс Роршах Аг Термосвариваем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алюминиевых однора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завариваемых напитков
EP3246158B1 (en) * 2015-01-16 2021-05-26 Prime Polymer Co., Ltd. Laminate, container, method for producing container, and sheet for laminate raw material
JP6898799B2 (ja) * 2017-07-14 2021-07-07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縦一軸延伸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並びに袋状物
TWI704054B (zh) 2018-12-25 2020-09-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蔬果防霧包裝袋
JP2020192696A (ja) * 2019-05-27 2020-12-03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体
JPWO2020246536A1 (ko) * 2019-06-06 2020-12-10
TWI733421B (zh) * 2020-04-24 2021-07-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透濕防水膜、透濕防水織物及其製法
CN112721372B (zh) * 2020-11-23 2021-12-17 上海若祎新材料科技有限公司 改性聚烯烃复合膜组合物和改性聚烯烃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991910A (zh) * 2021-10-20 2023-04-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4461C (en) * 1994-12-06 2000-08-08 Tatsuya Tanizaki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N1076282C (zh) 1995-03-02 2001-12-19 三井化学株式会社 聚丙烯复合膜
JP3417709B2 (ja) 1995-03-02 2003-06-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ィルム
DE19543679A1 (de) * 1995-11-23 1997-05-28 Hoechst Trespaphan Gmbh Niedrig siegelnd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019487B2 (ja) * 1998-02-27 2007-12-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ィルム
US20030211298A1 (en) * 1999-12-30 2003-11-13 Migliorini Robert A. Multi-layer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with modified core
JP4636479B2 (ja) 2000-11-17 2011-02-23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3910429B2 (ja) 2001-12-06 2007-04-25 東セロ株式会社 オーバーラップ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4136566A (ja) 2002-10-18 2004-05-13 Tohcello Co Ltd 熱融着性プロピレン系重合体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4167905A (ja) 2002-11-21 2004-06-17 Sumitomo Chem Co Ltd 積層体
JP4747538B2 (ja) 2003-09-12 2011-08-17 東洋紡績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包装体
EP1728626B1 (en) * 2004-03-26 2016-04-13 Toyobo Co., Ltd. Heat-sealable layered polypropylene resin film and package
JP4613571B2 (ja) 2004-03-26 2011-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6305884A (ja) 2005-04-28 2006-11-09 Toyobo Co Ltd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イルム及び包装体
CN101119845B (zh) * 2005-04-28 2011-11-30 东洋纺织株式会社 热封性层叠聚丙烯系树脂薄膜及包装体
CN101233185A (zh) 2005-08-02 2008-07-30 三井化学株式会社 聚丙烯树脂组合物、膜或片材、由该膜或片材制得的拉伸膜、叠层体和由该叠层体制得的拉伸膜
JP5041958B2 (ja) 2007-10-23 2012-10-0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防曇性多層フィルム
JP4898716B2 (ja) * 2008-01-24 2012-03-21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多層ブロー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BRPI0924024A2 (pt) * 2009-04-10 2016-07-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ícula de polipropileno biaxialmente orientada em multicama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3914A1 (ja) 2012-05-18
EP2639062B1 (en) 2019-05-22
KR101452147B1 (ko) 2014-10-16
CN103153618B (zh) 2015-09-02
BR112013010919B1 (pt) 2021-04-27
EP2639062A1 (en) 2013-09-18
BR112013010919A2 (pt) 2016-08-23
JP5755240B2 (ja) 2015-07-29
EP2639062A4 (en) 2015-11-18
US20130202864A1 (en) 2013-08-08
CN103153618A (zh) 2013-06-12
JPWO2012063914A1 (ja) 2014-05-12
US9566770B2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147B1 (ko)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JP527632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5709378B2 (ja) 積層フィルム組成物、それらから作製される包装品、および使用方法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CN111757809A (zh) 聚丙烯系复合膜及使用其的包装材料
TW201841764A (zh) 用於可撓性封裝之聚乙烯層板
JP645740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無延伸多層フィルム
KR20140083910A (ko) 폴리올레핀계 무연신 다층 필름
JP6454171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多層フィルム
CN115362199B (zh) 聚烯烃系树脂薄膜
US20170282507A1 (en) Biaxially oriented polyolefin film with high moisture vapor barrier and stiffness properties
JP4813438B2 (ja) 熱融着性積層フィルム
JP2019006461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4498913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多層フィルム
JP6717639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19006463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6470296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重合体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459868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4611149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フィルム
JP2010270227A (ja) 二軸延伸エチレ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
JP6639306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CN116669960A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层叠体
CN116710281A (zh) 层叠体和使用其的包装体
JPH1122189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