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28B1 - 전자 사진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28B1
KR960007228B1 KR1019910012709A KR910012709A KR960007228B1 KR 960007228 B1 KR960007228 B1 KR 960007228B1 KR 1019910012709 A KR1019910012709 A KR 1019910012709A KR 910012709 A KR910012709 A KR 910012709A KR 960007228 B1 KR960007228 B1 KR 96000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veying
fixing means
im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349A (ko
Inventor
세쯔오 시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테크
구보 미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3814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72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테크, 구보 미쓰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테크
Publication of KR92000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사진 인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레이저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하는 제어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2 : 감광체 유닛
3 : 감광드럼 12 : 정착기
14 : 반송모터 19,20,21 : 용지센서
31 : CPU 44 : 히터
45 : 히터 제어회로 46 : 온도센서
본 발명은 전사 이미지가 용지에 열정착되는 전자사진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는 전자사진 인쇄 장치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 레이저 프린터는 감광체를 대전후 레이저 빔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함에 따라 감광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토너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이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이 토너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전사후, 용지는 정착기에 반송되고, 토너상은 이 정착기의 가열롤러 및 압력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인가되는 열 및 압력에 의해 용지에 정착된다.
레이저 프린터의 제어회로는 일반적으로 정착온도를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 정착온도를 소정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측정온도에 따라 가열롤러의 히터전력을 제어한다. 정착기의 과열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회로는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다시 용지의 반송도 정지시킨다.
그런데, 과열의 원인이 예를 들면 히터 구동회로에 설치되는 파워 트랜지스터의 고장인 적이 있다. 이 고장이 파워 트랜지스터를 항상 도통상태로 시켰을 경우, 과열을 검출하여도 히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가 없다. 혹시 과열의 검출시에 용지가 정착기를 통과중이면, 용지가 정착기내에서 계속하여 가열되고, 발화(發火)할 유려가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발화에까지 이르지 않아도, 용지가 타고, 다시 가열롤러 및 압력롤러에 부착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히터 구동회로를 수리하는 것만이 아니라, 가열롤러 및 압력롤러에서 눌러붙은 용지에 제거하여 정상으로 가능하도록 하지 않고서는 안되고, 보수작업에 수고와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기가 과열되었을 때의 안전성 및 보수성에 뛰어난 전자 사진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용지의 반송로와, 이 용지 반송로상에 배치되는 화상 캐리어와, 용지 반송로에 따라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화상 캐리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현상재상(現傷材傷)을 용지에 전사하는 화상형성부와, 용지 반송로상에 배치되어 전사상을 열 및 압력에 의해 용지로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정착기가 과열한 것을 검출하고, 용지가 이 정착기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용지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반송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인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전자사진 인쇄장치에는, 정착기의 과열 때문에 용지 반송이 정지되었을때 용지가 정착부에 남겨지지 않기 때문에 용지의 발화 혹은 눌러 붙음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레이저 프린터를 제1도에서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레이저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이 레이저 프린터는 상부가 회동에 의해 개방할 수 있는 캐비닛(1), 이 캐비닛(1)의 대략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체 유닛(2)을 가진다. 이 감광체 유닛(2)은 광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감광체 표면을 가지고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감광드럼(3)을 포함한다. 감광드럼(2)의 주위에는 대전챠져(charger)(4), 레이저 스캐너 유닛(5), 현상기(6), 전사챠져(7), 크리닝장치(8), 제전램프(9)가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프린트 동작을 행하기 위해 배치된다.
대전챠져(4)는 감광드럼(3)의 표면을 똑같이 대전하고, 레이저 스캐너 유닛(5)은 입력화상정보에 대응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노광함에 따라 감광드럼 표면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6)는 드럼 표면상의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시킴으로써 이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전사챠져(7)는 용지를 대전하여 그 정전인력(靜電引力)에 의해 토너상을 드럼 표면에서 용지로 전사하고, 크리닝장치(8)는 전사후 정전흡인에 대하하여 드럼표면에 남았던 토너를 제거하고, 제전램프(9)는 다시 대전체표면을 대전할 수 있도록 전사후 불필요한 전하를 드럼표면에서 제거한다.
이 레이저 프린터는 또한 반송롤러(CL), 급지부(10), 픽업롤러(11), 정착기(12), 배재롤러(13), 반송모터(14), 팬(15), 인토록 스위치(16), 직류전원장치(17), 용지반송로(18), 용지센서(19,20,21)를 가진다. 용지는 급지부(10)에 겹쳐서 수용되고 픽업롤러(11)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1매씩 꺼내게 되고, 반송롤러(CL)에 의해 반송로(18)를 통하여 전사챠져(7)에 공급된다. 정착기(12)는 반송롤러(CL)에 의해 반송로(18)를 통하여 전사챠져(7)에 공급된다. 정착기(12)는 반송롤러(CL)에 의해 전사부(7)에서 공급되는 용지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는 가열롤러 및 압력롤러(12A,12B)를 가지고, 전사된 토너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배재롤러(13)는 정착기(12)에서 공급되는 요지를 캐비닛(1)의 상면에 배출한다. 팬(15)은 캐비닛(1)의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이용되고, 인토록 스위치(16)는 캐비닛(1)의 상부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직류전원장치(17)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반송모터(14)는 감광드럼(3)과 함께 반송롤러(CL), 배재롤러(13) 및 픽업롤러(11)를 회전시키고, 용지를 반송로(18)에 따라 반송시킨다. 용지센서(19,20,21)는 픽업롤러(11) 근방과, 정착기(12)의 입구 및 출구에 배치되고, 급지부(10)에서 차례로 공급되는 용지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하, 픽업롤러(11)는 선행하여 급지부(10)에서 꺼내어진 용지가 배출되기까지 다음의 용지를 꺼내지 않는다.
제2도는 이 레이저 프린터의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이 제어회로는 프린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1), 이 CPU(31)의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테이블을 격납하는 ROM(Read Only Memory)(32),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보내지는 화상정보 및 각종 명령을 포함하는 CPU(31)의 각종 일출력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33), 후술할 주변회로를 CPU(31)에 접속하기 위한 I/O포트(34) 및 CPU(31), ROM(32), RAM(33) 및 I/O포트(34)를 상호 접속할 버스라인(35)을 가진다.
I/O포트(34)는 모터 드라이브회로(36), 레이저 스캐너 유닛(5), 고압전원회로(37), 센서회로(40), 조작부(41), 인터페이스(43), 용지센서(19,20,21), 히터제어회로(45) 및 온도센서(46)에 접속된다. 모터 드라이브회로(36)는 반송모터(14)를 구동하고, 고압전원회로(37)는 대전챠져(4) 및 전사챠져(7)에 고전압을 공급하고, 인터페이스(43)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보내지는 화상정보 및 각종 커맨드를 수신한다. 센서회로(40)는 현상기(6)내에 형성되는 토너앰프센서(38) 및 토너 플렌서(39)를 제어하고, 이들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들인다. 조작부(41)는 프린트 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된다. 인터록 스위치(16)는 24V의 전력을 직류전원장치(17)에서 레이저 스캐너 유닛(5), 모터 드라이브회로(36) 및 고압전원회로(37)에 공급하는 전원라인에 삽입되고, 캐비닛(1)의 상부가 개방되었을 때에 이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히터제어회로(45) 는 정착기(12)의 가열롤러(12A)에 형성되는 히터(44)에 접속되고, 그 가열동작을 제어한다. 온도센서(46)는 히터(44)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기(1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 CPU(31), ROM(32), RAM(33) 및 I/O포트는 직류전원장치(17)에서 공급되는 +5V의 전원전압하에서 동작한다. 용지센서(20)는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광학센서 및 그 검출회수를 유지하는 카운터로 구성되고, 용지센서(21)는 용지의 후단을 검출하는 광학센서 및 그 검출회수를 유지하는 카운터로 구성된다. 용지센서 20 및 21에 있어서, 카운터의 내용은 CPU(31)가 호스트 컴퓨터에서 인자개시명령을 받아들였을 때에 제로로 클리어 되고, 광학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증가된다.
다음으로 이 레이저 프린터의 인자동작을 설명한다.
인자 동작이 개시되면, 감광드럼(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대전챠져(4), 레이저 스캐너 유닛(5), 현상기(6), 전사챠져(7), 크리닝장치(8), 제전램프(9)에 의해 순차 처리된다. 대전챠져(4)가 감광드럼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면, 이 대전표면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5)에서 입력화상정보에 대응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으로 주사되어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이 노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노광드럼 표면상에 형성되면, 현상기(6)가 드럼 표면에 토너를 공급한다. 이 토너는 정전잠상에 대응하여 드럼 표면에 부착하고, 이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하여 가시화한다. 전사챠져(7)는 급지부(10)에서 공급되는 용지를 대전하고, 그 정전인력에 의해 토너상을 감광드럼 표면에서 용지로 전사한다. 전사후, 크리닝장치(8)가 정전흡인에 대항하여 드럼표면에 남았던 토너를 제거하고, 제전램프(9)가 불필요한 전하를 드럼 표면에서 제거한다. 제전후, 감광드럼(3)은 다시 대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용지는 전사후 정착기(12)에 의해 정착 처리를 받고, 배지롤러(1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인자 동작은 인자 개시 명령이 CPU(31)에 공급될때 마다 필요회수 반복하여 실행된다. 각 인자 동작에 있어서 CPU(31)는 제3도에 도시하는 정착 제어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가 개시되면, CPU(31)가 스텝 ST1에서 온도센서(46)에 의해 측정된 정착기(12)의 온도를 판독하고, 스텝 ST2에서 이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도 매우 높은 과열레벨에 있는지 체크한다. 측정 온도가 과열 레벨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ST3에서 정착기(12)의 온도가 이 기준치에 설정되도록 히터(44)의 통전량을 조정하고, 다시 스텝 ST1을 실행한다. 한편, 스텝ST2에서 정착기(12)의 과열이 검출되면, 스텝ST4에서 정착기(12)내에 용지가 없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용지센서(20,21)가 체크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용지센서(20,21)의 용지 검출회수와 용지센서(21)의 용지 검출회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용지가 정착기(12)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된다. 이 경우, CPU(31)는 스텝ST5에서 반송모터(14)를 재빠르게 정지하고, 히터(44)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또한 조작부(41)의 디스플레이에 정착기의 이상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한다. 화상형성 및 용지의 반송은 레이저 프린터의 보수작업이 행해질 때까지 중단된다.
또, 용지센서(20)의 용지 검출 회수가 용지센서(21)의 그것보다 1회 많을 경우에 용지가 정착기(12)내에 존재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 스텝 ST6에서 용지가 이 정착기(12)를 통과하는 것을 대기하고, 스텝 ST7에서 다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요하는 소정시간이 통과하고 나서 반송모터(14)가 정지된다. 화상형성 및 용지의 반송은 레이저 프린터의 보수작업이 행해질 때까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단된다.
상술한 레이저 프린터에는, 감광드럼상의 토너상이 급지부(10)에서 전사챠져(7)에 공급되는 용지로 전사되고, 정착기(12)에 공급된다. 정착기(12)가 과열되면, 이것이 온도센서(46)에 의해 검출되고, 용지의 반송이 중단된다. 정착기(12)의 과열이 검출되었을때, 용지가 정착기(12)내에 남겨져 있으면, 반송모터(14)의 동작이 적어도 용지의 배출 완료할때까지 유지되고, 그 후 정지한다. 즉, 용지를 정착기(12)내로 남겨둔 채로 용지의 반송이 정지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히터 제어회로(45)의 고장에 의해 히터(44)의 통전을 제어할 수 없었던 경우에서도, 용지가 원이으로 발화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용지가 가열롤러나 압력롤러에 눌러 붙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수 작업에 요하는 노력과 시간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CPU(31)가 항상 온도센서(46)를 이용하여 정착기(12)의 온도를 감시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 CPU(31)와는 독립으로 정착기(12)의 과열 검출회로를 형성하고, 이 검출회로에서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CPU(31)에 정착기(12)내에 용지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시켜도 좋다. 이 경우, 과열 검출회로에 정착기(12)의 과열 온도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형성하고, 온도센서(46)의 출력 전압과 이 기준전압 발생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면, 온도센서(46)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발생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면, 온도센서(46)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발생기의 출력전압을 넘었을 때에 과열 검출 신호가 얻어진다.
이 실시예의 정착 제어 처리에서는 정착기(12)의 과열이 검출되었을 때, 용지가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되지만, 정착기(12)내에서 용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지의 이송을 정지시켜도 좋다. 또, 용지반송로(18)에 분기로를 형성하고, 이 분기점에 정착기에서 제거되는 용지를 인도하여도 괜찮다.

Claims (7)

  1. 용지의 반송로(18)와, 이 반송로(18)상에 배치되는 화상 캐리어(3)와, 상기 반송로(18)에 따라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11,CL,13,14,36)과, 상기 화상 캐리어(3)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재를 부착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현상재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화상형성 수단(4,5,6,7)과, 상기 반송로(18)상에 배치되어 전자상을 열 및 압력에 의해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수단(12,44)을 구비하고, 다시 이 정착수단(12,44)이 과열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이 상태에서 용지가 상기 정착수단(12,44)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용지의 반송 정지를 상기 반송수단(11,CL,13,14,36)에 명령하는 제어수단(20,21,31-34,41,45,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21,31-34,41,45,46)은 과열상태에 있는 상기 정착수단(12,44)내에 존재하는 용지를 이 정착수단(12,44)으로부터 용지의 반송 정지전에 배출할 것을 상기 반송 수단(11,CL,13,14,36)에 명령하는 배출수단(3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21,31-34,41,45,46)은 상기 정착수단(12,44)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수단(46)과, 이 센서수단(46)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과열 레벨에 도달한 것을 상기 과열상태로서 검출하는 수단(3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31-34)은 용지의 반송 정지전에 상기 정착수단(12,44)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다시 소정 위치에 인도하는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의 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21,31-34,41,45,46)은 정착수단(12,44)의 과열 때문에 용지의 반송이 정지된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21,31-34,41,45,46)은 상기 정착수단(12,44)의 입구에 배치되어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고 그 검출회수를 계수하는 제1용지센서(20)와, 상기 정착수단(12,44)의 출구에 배치되어 용지의 후단을 검출하고 그 검출회수를 계수하는 제2용지센서(21)와, 상기 제1 및 제2용지센서(20,21)로부터의 계수치에 응답하여 이들 제1 및 제2용지센서(20,21)로부터의 계수치의 차로부터 상기 정착수단(12,44)내에 용지가 존재하는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인쇄 장치.
KR1019910012709A 1990-07-27 1991-07-24 전자 사진 인쇄 장치 KR960007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7853A JPH0484160A (ja) 1990-07-27 1990-07-27 電子写真装置
JP2-197853 199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349A KR920002349A (ko) 1992-02-28
KR960007228B1 true KR960007228B1 (ko) 1996-05-29

Family

ID=1638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709A KR960007228B1 (ko) 1990-07-27 1991-07-24 전자 사진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00981A (ko)
EP (1) EP0468492B2 (ko)
JP (1) JPH0484160A (ko)
KR (1) KR960007228B1 (ko)
DE (1) DE6911114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437B2 (ja) * 1994-01-26 2000-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US6438339B1 (en) * 2000-12-18 2002-08-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blower to cool a scanning unit
US6556794B2 (en) * 2001-08-23 2003-04-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Carr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76943B2 (ja) * 2004-09-10 2010-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54465B2 (ja) * 2006-10-23 2012-01-1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03241B2 (ja) * 2008-10-24 2013-10-0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9433809B2 (en) * 2011-05-11 2016-09-06 Ricoh Company, Ltd. Fire enclosure and safety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using a radiant dryer unit
WO2015185120A1 (en) 2014-06-03 2015-1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tigating printer damage risks
US10483007B2 (en) 2017-07-25 2019-11-19 Intouch Technologies, Inc. Modular telehealth cart with thermal imaging and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6450A (en) * 1969-04-10 1971-06-22 Ibm Failsafe system for copying machine
FR2108275A5 (ko) * 1970-09-30 1972-05-19 Agfa Gevaert Ag
GB1368484A (en) * 1971-11-17 1974-09-25 Gestetner Copiers Ltd Electrostatic copier
US3748088A (en) * 1972-06-02 1973-07-24 Xerox Corp Fuser control apparatus
US3804516A (en) * 1972-12-11 1974-04-16 Xerox Corp Fire detecting device for a 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US4118178A (en) * 1977-07-21 1978-10-03 Pitney-Bowes, Inc. Xerographic fusing apparatus
US4168903A (en) * 1978-08-29 1979-09-25 Pitney-Bowes, Inc. Fire detecting and extinguishing system for copying machine
US4402594A (en) * 1979-12-31 1983-09-06 Pitney Bowes In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electrophotocopier
JPS5638071A (en) * 1980-07-30 1981-04-13 Canon Inc Jam safety device of copying machine
US4613227A (en) * 1982-02-08 1986-09-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4569585A (en) * 1982-06-17 1986-02-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4740671A (en) * 1983-06-07 1988-04-26 Canon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heater in a copying machine or the like
US4956651A (en) * 1987-07-01 1990-09-1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heet detection and timing control
JPH01303252A (ja) * 1988-05-30 1989-12-07 Fujitsu Ltd 画像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84160A (ja) 1992-03-17
DE69111147T3 (de) 1998-09-17
DE69111147T2 (de) 1995-12-07
US5300981A (en) 1994-04-05
EP0468492A2 (en) 1992-01-29
KR920002349A (ko) 1992-02-28
EP0468492B2 (en) 1998-04-01
EP0468492A3 (en) 1993-10-06
DE69111147D1 (de) 1995-08-17
EP0468492B1 (en) 199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228B1 (ko) 전자 사진 인쇄 장치
KR940010600B1 (ko) 용지 사이즈 판정장치
US109697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01994B2 (ja)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駆動方法
KR0141676B1 (ko) 전자사진현상방식을 이용한 장치의 잼제거방법
JPH01303252A (ja) 画像印刷装置
JP4541514B2 (ja) 画像形成装置
EP3746847B1 (en)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JPH0624096A (ja) 電子写真装置
KR940002424B1 (ko) 전자사진 장치
KR950014875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프린터에 있어서 노광 타이밍 제어방법
JPH08262894A (ja) 定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003433B2 (ja) 電子写真装置
JPH0232632B2 (ko)
JPH03163482A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10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의 잼 제거방법
KR960014062B1 (ko) 프린터의 기록지 이송오류 자동복귀방법
JPH083248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24643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43761A (ja) 印刷装置
JPH05188678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62785A (ja) 画像形成装置
JPH02161473A (ja) 記録装置のフューザ制御装置
JP2003005570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21345A (ja) 搬送用紙のサイズ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