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45B1 - 디지틀신호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틀신호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45B1
KR960005945B1 KR1019920001732A KR920001732A KR960005945B1 KR 960005945 B1 KR960005945 B1 KR 960005945B1 KR 1019920001732 A KR1019920001732 A KR 1019920001732A KR 920001732 A KR920001732 A KR 920001732A KR 960005945 B1 KR960005945 B1 KR 96000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code
high efficiency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401A (ko
Inventor
치요꼬 마쯔미
타까히로 나까무라
스스무 야마구찌
히데끼 오오타까
료이찌 호시아이
마사카즈 니시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69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074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010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7950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09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5/926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protection control signal, e.g. a record inhibi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틀신호전송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송출력데이터의 포맷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송출력데이터의 포맷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보조데이터분리기 및 보조데이터다중화기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의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의 기록포맷을 나타내는 포맷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전송데이터의 배치도.
제10도는 전송정보다중화기(71)의 내부구성도.
제11도는 전송정보분리기(70)의 내부구성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편집기의 블록도.
제13도는 편집기를 통과함이 없이 전송에 의한 전송정보의 변경을 도시한 설명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편집처리기의 전송정보갱신기기의 구성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의 블록도.
제17도는 제16도의 다중화기/분리기의 내부구조도.
제18도는 제17도의 제어플래그발생기(193)의 출력비트의 구성예를 도시한 비트구성도.
제19도는 저속재생모드에서 자기헤드의 트랙을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영상신호 A/D변환기 12 : 고능률부호기
13 : 오류정정부호기 14 : 음성신호 A/D변환기
15 :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 16 : 변조기
17 : 자기기록재생기기 18 : 복조기
19 : 오류정정복조기 20 : 영상신호은폐처리기
21 :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 22 : 음성신호은폐처리기
23 : 고능률복호기 24 : 영상신호 D/A변환기
25 : 음성신호 D/A변환기 26 : 다중화기
27 : 분리기 50 : 보조데이터분리기
51 : 보조데이터다중화기 70 : 전송정보분리기
71 : 전송정보다중화기 80,90,153 : 복수부호검출기
81,91 : 복사부호발생기 82,152,155 : 가산기
92,150 : 편집부호검출기 93 : 편집부호발생기
151, 154 : 비교기 190 : 음성신호절환기기
191 : 영상신호절환기기 192 : 다중화/분리처리기
193 : 제어플래그발생기
본 발명은 고능률부호화기술을 이용한 디지틀영상신호, 디지틀음성신호의 기록재생기기 사이의 디지틀신호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틀기술을 사용한 영상신호, 음성신호의 기록기술과 재생기술에 있어 최근의 발전은 상당히 진전되어 있지만, 가정용 VTR에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량이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예를들면, 전송된 영상신호의 전송률은 4:2:2의 규격이면 216Mbps로 되고, 이 상태로 직접 장시간동안 기록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 대해서 여러가지의 고능률부호화방식이 제안되고, 또한 고능률부호화기술을 사용한 기록재생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고능률부호에 대해서, 예를들면 영상신호는, 1989년 8월에 발생된 IEEE Trans. on-Cons. Elec., 제35권 제 3 호 450-457페이지에 기재된 "가정용 디지틀 VTR에 대한 실험연구"에서 야마미쯔 C.등이 제안한 이산코사인변환에 의해서 실현되고, 또한 음성신호는, 1990년 CCIR Report 1199에 기재된 "저비트율 디지틀 음성부호화기기"에 개시된 서브밴드 부호화방식(sub-band coding method)으로 나타나 있다.
그런데, 고능률부호를 사용한때에 발생하는 과제로서, 기록에 의해 왜곡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영상신호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신호를 직교변환하여 얻은 주파수성분에 대해서 부호화가 실시되나,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에 있어서는, 연산자리수나 출력자리수에 관련하여 자리수부족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음성신호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연산오차가 예측된다.
종래의 디지틀오디오기기 또는 디지틀비디오기기에 있어서는 A/D변환된 상태에 있는 음성신호나 영상신호를 전송하였다. 종래의 디지틀신호전송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영상신호 A/D변환기, 고능률부호기, 오류정정부호기, 음성신호 A/D변환기,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 변조기, 자기기록재생기기, 복조기, 오류정정복호기, 영상신호은폐처리기,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 음성신호은폐처리기, 고능률복호기, 영상신호 D/A변환기, 음성신호 D/A변환기를 포함하는 기록재생기기 사이에 디지틀신호전송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입력영상신호는, 영상신호 A/D변환기에 의해 A/D변환되고, 고능률부호기에 의해 부호화되고, 오류정정부호의 패리티심볼은 오류정정부호기에서 부가된다.
한편, 입력음성신호는, 음성신호 A/D변환기에 의해 A/D변환되고 셔플링(Shuffling) 및 오류정정부호화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위한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로 전송되고 영상신호에 대해 다중화된다. 다음에, 상기 신호는 변조기에서 변조되고,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된다.
자기기록재생기기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복조기에서 복조된다. 자기기록재생기기에서 발생한 오류를 오류정정복호기에서 정정하고, 정정불가능한 오류는 영상신호은폐처리기에서 은폐된다. 다음에, 고능률복호기에서 고능률복호화를 행한다. 이때에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영상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복조한 후에,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에서 디셔플링(deshuffling) 및 오류정정복호화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실행하고, 음성신호은폐처리기에서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은폐한다. 이때에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음성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최종적인 출력으로서, 영상신호 D/A변환기에 의해 D/A변환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D/A변환기에 의해 D/A변환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재생기기쪽으로부터 기록기기쪽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재생기기쪽의 영상신호은폐처리기와 음성신호은폐처리기의 출력을 기록기기쪽으로 전송하고, 이들 출력이 고능률부호기와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에 각각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1회의 전송에 대하여 본래의 신호에 대한 직교변환 및 역직교변환의 회수는 각각 1회씩 증가하여, 직교변환과 역직교변환에 기인한 왜곡이 누적되므로, 고능률부호화와 고능률복호화에 기인한 왜곡도 또한 발생하게 된다.
출력영상신호의 전송률은, 예를들면 4:2:2의 규격에서 216Mbps이므로, 이것은 직렬전송이 곤란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병렬전송시의 문제는 전송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형상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음성신호의 전송이 영상신호의 규격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에 대한 문제와 전송률에 대한 문제가 한층 더 심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록재생기기 사이에 디지틀신호를 전송할때에, 직교변환 또는 역직교변환에 기인한 왜곡이 없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고능률복호화를 행하기 전에 영상신호의 데이터공백기간동안 시간축으로 압축된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여 얻은 신호를 재생기기쪽에서 디지틀전송출력으로 사용하고, 또한 상기 디지틀전송출력을 기록기기쪽에서 디지틀전송입력으로 사용하고,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디지틀음성신호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록기기쪽에서 전송신호를 감시하기 위하여 전송 및 기록하는데 불필요한 부분에서 재생처리를 실행한다.
디지틀신호기록/재생의 종래 전송방법에서는, 전송을 행할때마다, 직교변환의 회수와 역직교변환의 회수가 각각 1회씩 증가하여, 직교변환의 왜곡과 역직교변환이 왜곡이 누적된다. 따라서, 고능률부호화와 고능률복호화에 기인한 왜곡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재생기기로부터 기록기기에 전송된 디지틀영상신호는 고능률복호화를 행한후의 신호이므로, 기록기기에서는, 재생기기로부터 전송된 고능률복호화 디지틀영상 신호는 고능률부호화된 다음에 기록된다. 따라서, 한쪽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여 다른쪽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해 전송하는 동안, 영상신호는 고능률복호화와 고능률부호화를 모두 행하므로, 고능률복호화와 고능률부호화에 기인한 부가적인 왜곡이 부가된다. 또한 디지틀신호의 전송률이 200Mbps 이상이므로, 직렬전송이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고능률부호화된 상태에서 전송출력을 전송함으로써, 직교변환과 역직교변환을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왜곡을 누적함이 없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기기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영상신호는, 고능률복호화를 행하기전의 고능률부호화상태 그대로 기록기기에 전송되고 기록기기의 다른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된다. 따라서, 한쪽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여 다른쪽의 기록매체에 기록하기 위해 전송되는 동안 신호는 고능률부호화와 고능률복호화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고능률복호화와 부호화처리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어떠한 부가적인 왜곡도 부가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의 블록도가 제 1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11)은 영상신호 A/D변환기이고, (12)는 고능률부호기이고, (13)은 오류정정부호기이고, (14)는 음성신호 A/D변환기이고, (15)는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이고, (16)은 변조기이고, (17)은 자기기록재생기기이고, (18)은 복조기이고, (19)는 오류정정복호기이고, (20)은 영상신호은폐처리기이고, (21)은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이고, (22)는 음성신호은폐처리기이고, (23)은 고능률복호기이고, (24)는 영상신호 D/A변환기이고, (25)는 음성신호 D/A변환기이고, (26)은 다중화기이고, (27)은 분리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디지틀신호의 기록재생기기에서는, 입력영상신호는, 영상신호 A/D변환기(11)에서 A/D변환되고, 고능률부호기(12)에서 고능률부호화되고, 오류정정부호의 패리티심볼이 오류정정부호기(13)에서 부가된다. 입력음성신호는, 음성신호 A/D변환기(14)에서 A/D변환되고,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15)에서 셔프링 및 오류정정부호화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하고, 오류정정부호기(13)로부터의 영상신호와 다중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신호에 대해 고능률부호화를 행하지 않았지만, 상기 처리를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 할 때와 마찬가지이다.) 음성신호의 오류정정부호가 영상신호의 오류정정부호의 일부 또는 전체와 공통인 경우, 공통부분의 음성신호에 대한 오류정정부호화처리는 오류정정부호기(13)에서 행하여도 된다.
다음에, 신호는 변조기(16)에서 변조되어, 자기기록재생기기(17)에서 기록된다.
자기기록재생기기(17)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복조기(18)에서 복조되고, 복조된 데이터중에서 영상데이터 부분은 오류정정복호기(19)에서 정정되고, 또한 정정불가능한 오류는 영상신호은폐처리기(20)에서 은폐된다. 이 시점에서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영상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복조된 데이터중에서 음성데이터부분은 오류정정복호화와 디셔플링 등의 음성신호처리를 행하는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21)에 공급되고, 정정불가능한 오류는 음성신호은폐처리기(22)에서 은폐된다. 이 시점에서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음성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음성신호의 오류정정복호화방법이 영상신호의 오류정정복호화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와 공통인 경우, 공통부분의 음성신호의 오류정정복호화처리는 오류정정복호기(19)에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고능률복호기(23)에서 복호화되고 또한 영상신호 D/A변환기(24)에서 D/A변환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D/A변환기(25)에서 D/A변환된 음성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다중화기(26)는, 영상신호은폐처리기(20)로부터의 출력과 음성신호은폐처리기(22)로부터의 출력의 시간축에 대해서 다중화된 신호를 전송출력으로서 전송한다. 영상신호은폐처리기(20)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공백기간을 포함하고, 음성신호은폐처리기(2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상기 공백기간동안 다중화되도록, 시간축에 대해 압축된다.
재생기기쪽의 다중화기(26)로부터의 전송출력은, 기록기기쪽의 분리기(27)에 전송입력으로 공급되어, 영상신호부분과 음성신호부분으로 분리된다. 이들은 각각 고능률부호기(12)의 출력과 음성신호 A/D변환기(14)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부분과 음성신호부분으로 각각 절환되고, 오류정정부호기(13)와 음성신호부호기(15)로 공급되어 신호처리된다. 다음에, 이들 신호는 변조기(16)에서 변조되고 자기기록재생기기(17)에 기록된다. 분리기(27)는, 정류입력의 영상신호와 전송입력의 영상신호를 서로 임의로 절환하고 또한 정규입력의 음성신호와 전송입력의 음성신호를 서로 임의로 절환하고, 이에 의해 정규입력의 신호와 입력전송신호를 고호적으로 기록하도록 이들 출력을 절환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빈번하게 전송되어도, 고능률부호화의 회수는 최초기록시에 1회뿐이고, 또한 고능률복호화의 회수도 최종출력시에 1회뿐이다. 따라서, 직교변환이나 고능률화에 기인하여 왜곡이 누적되지 않는다. 즉,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동일한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로의 라인수를 적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영상신호를 압축하여도, 음성신호보다 1자리수 정도만큼 데이터량이 많으므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로이면 문제없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한 그대로 전송하면, 전송률이 낮아지므로, 전송로의 코스트가 낮아지고, 또한 고능률부호의 복호화/부호화를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고능률부호의 왜곡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전송출력의 포맷의 일예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전송데이터출력의 포맷은 전송데이터와 기준신호로 분할되어 있다. 프레임개시신호가 기준신호로 사용된다.(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개시신호를 사용하였으나, 프레임개시신호 대신에 피일드개시신호 또는 컬러위상개시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송출력의 포맷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송데이터의 기준신호는, 동기화패턴(Sync) 및 식별코드(ID)의 형태로 피일드마다 전송데이터에 대해 다중화되어 있다. 또 Sync, ID의 구간은 1프레임 또는 임의적이다.
또한, 제2도와 제3도에 도시한 보조데이터(AUX)는, 신호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기록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이와같은 보조데이터는, 기록된 영상신호의 방송시스템의 유형(525선, 60피일드시스템, 또는 625선, 50피일드시스템), 암호화의 온/오프, 복사방지, 편집회수, 복사회수, 명칭 및 문자정보이어도 되고, 또한 음성신호의 경우에는, 표본화 주파수 및 비트폭이어도 된다. 한편,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VIDEO, AUDIO, AUX의 위치는 임의적이며, 전송률과 데이터량도 임의적이다. 이들 포맷은 각종 방송시스템의 데이터를 영상데이터로 채택할 수 있고, 음성신호의 채널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AUX는, VIDEO나 AUDIO의 독립영역을 가지거나 또는 VIDEO나 AUDIO의 데이터와 혼합되어도 된다.
또는, BLANK는 기록기기쪽의 PLL(위상로크루프)의 편의상 특정패턴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전송하는 신호의 일예로서, 1개의 기준신호선과 1개의 데이터신호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신호선은 27Mbps이므로 데이터신호선을 복수개로 하여 1개당의 전송률을 낮추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는, 전송하는 신호의 일예로서, 기준신호를 다중화하면, 1개의 기준신호선을 감소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제4(a)도는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15)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4(b)도는 오류정정복호기(19)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4(c)도는 음성신호 D/A변환기(25)의 구성을 도시한다. (40)은 셔플링 오퍼레이터(shuffling operator)를 나타내고, (41)은 시간축조정메모리이고, (42) 음성오류정정부호부호화 오퍼레이터이고, (43)은 오류정정오퍼레이터이고, (44),(45)는 시간축조정메모리이고, (46)은 D/A변환회로이다.
자기기록재생기기(17)에 기록된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는, 디지틀 VTR 사이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능률화의 동일포맷을 채택하여, 시간차의 특정관계를 유지한다. 기록시에는, 회로의 신호처리시간은 음성신호처리시에 비해서 영상신호처리시에 한층 더 길게 소요되므로, 영상데이터는 음성데이터보다 지연된다. 따라서,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15)에서는, 입력음성데이터는, 셔플링 오퍼레이터(40)에 의해 재배열되고, 시간축조정메모리(41)에 의해 지연되고, 음성오류정정부호부호화 오퍼레이터(42)에 전송되어 오류정정부호화처리를 행한다. 재생시에는, 시간차의 특정관계로 유지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자기기록재생기기(17)로부터 재생되고, 오류정정복호기(19)에서, 시간축으로 음성데이터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오류정정오퍼레이터(43)의 영상출력을 시간축조정메모리(44)에 전송하고, 시간축으로 조정된다. 영상신호은폐처리기(20)와 음성신호은폐처리기(22)로부터의 출력이 전송출력이므로, 전송영상데이터출력과 전송음성데이터출력은 기록하기 위해 입력될때와 마찬가지의 시간차로 유지된다. 최종출력인 경우, 영상데이터는 고능률복호기(23)에서 처리되어, 영상데이터는 음성데이터보다 지연된다. 따라서,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시간축으로 일치하기 위하여, 음성신호 D/A변환기(25)의 시간축조정메모리(45)에 의해 음성데이터를 지연시킨다. 이상 설명한 구성은 일예에 불과하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시간축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와같이 해서, 시간축조정메모리와 함께 각 기능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전송입력에 대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축관계와 전송출력에 대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축관계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고, 또한 정규의 최초입력에 대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축관계와 정규의 최종출력에 대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 사이의 시간축관계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종래의 VCR에서는 더빙, 편집 등을 행하면 리프레싱(refreshing)의 어긋남이라는 문제가 있다. 즉, 영상신호를 재생하면서 음성신호를 편집하는 경우(또는 그 반대인 경우), 영상과 음성의 타이밍이 맞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들면, 음성을 기록한 후에, 영상에서 입의 움직임과 말의 시작/종료의 타이밍이 맞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거하여, 영상과 음성의 타이밍을 꼭 맞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 5 도는 제 5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제 6 도는 보조데이터분리기 및 보조데이터다중화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50)은 보조데이터분리기이고, (51)은 보조데이터다중화기이다. 제5도에서, 기타의 기능블록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전송출력데이터는, 다중화기(26)에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전에 보조데이터다중화기(51)에 의해 개별데이터에 관계되는 정보를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해 다중화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보조데이터분리기(50)에서는, 전송된 보조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보조데이터가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면,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는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음성데이터의 각각에 대해 설정되면, 각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록재생기기에서 암호화가 가능한 경우, 보조데이터다중화기(51)는, 전송출력용 데이터에 대해서 출력데이터로 처리하지 않고, 암호화상태의 출력데이터로 처리하거나 기술후의 출력데이터로 처리하고, 또한 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다중화한다. 보조데이터분리기(50)는, 전송된 전송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참조하여 직접 입력데이터를 전송하고, 암호화를 행하여 출력하고, 암호화키이를 절환함으로써 출력하고, 또한 보조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도 필요에 따라 전송되고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데이터라고 하는 것은 제2도, 제3도에서 설명한 AUX(Auxiliary data)이고, 이 보조데이터가 없으면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도 본래의 신호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보조데이터도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신호나 음성신호와 함께 전송할 필요가 있다. 보조데이터의 양은 영상신호나 음성신호에 비해서 상당히 적으므로, 동일한 신호선에 간단하게 다중화함으로써, 보조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암호화 등의 처리를 행하면 저작권의 관점으로부터 문제가 되는 영상신호의 복사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보조데이터를 각각 독립하여 취급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그 자체도 독립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신호의 내용을 설명하는 보조데이터는 또한 전송신호에 대해 다중화될 수 있고, 또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전송신호의 내용을 설명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처리는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이어도 가능하다.
제7도는 제6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포맷도이고, 제9도는 제6실시예의 전송데이터의 배치도이고, 제10도는 전송정보다중화기(71)의 내부구조도이고, 제11도는 전송정보분리기(70)의 내부구조도이다. 제7도에서, (70)은 전송정보분리기이고, (71)은 전송정보다중화기이다. 제10도에서, (80)은 복사부호검출기이고, (81)은 복사부호발생기이고, (82)는 가산기이다. 또한, 제11도에서, (90)은 복사부호검출기이고, (91)은 복사부호발생기이고, (92)는 편집부호검출기이고, (93)은 편집부호발생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디지틀신호전송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입력영상신호는, 영상신호 A/D변환기(11)에서 A/D변환되고 고능률부호기(12)에서 고능률부호화되고, 오류정정부호기(13)에서 정정되고 또한 부호화된다.
한편, 입력음성신호는, 음성신호 A/D변환기(14)에서 A/D변환되고, 셔플링과 오류정정부호화등의 음성신호처리를 위한 음성신호부호화처리기(15)에 전송되어, 오류정정부호기(13)로부터의 영상신호와 다중화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신호에 대해 고능률부호화를 행하지 않았지만, 상기 처리는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할때와 마찬가지이다.) 음성신호의 오류정정부호가 영상신호의 오류정정부호의 일부 또는 전체와 공통인 경우, 공통부분의 음성신호에 대한 오류정정부호화처리는 오류정정부호기(13)에서 행하여도 된다. 다음에, 신호는 변조기(16)에서 변조되어, 자기기록재생기기(17)에서 기록된다. 자기기록재생기기(17)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포맷이 일예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포맷에서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각각 독립된 보조데이터영역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정규입력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기록될 복사회수의 부호와 편집회수의 부호의 데이터로서 음성보조데이터영역과 영상보조데이터영역에 각각 0이 기록된다.
자기기록재생기기(17)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복조기(18)에서 복조되고, 오류정정복호기(19)에서 정정되고, 또한 정정불가능한 오류는 영상신호은폐처리기(20)에서 은폐된다. 이 시점에서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영상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음성신호복호화처리기(21)에서 오류정정부호화와 디셔플링등의 음성신호처리를 행한후에, 정정불가능한 오류는 음성신호은폐처리기(22)에서 은폐된다. 이 시점에서 얻은 신호는 전송출력의 음성신호부분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전송출력신호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복사회수부호와 편집회수부호를 검출한다. 복사회수부호가 복사부호검출기(80)에 의해 검출되면, 복사부호발생기(81)가 동작을 개시한다. 동작이 개시된 복사부호발생기(18)는 회수부호의 가산값 1을 가산기(82)에 전송한다. 가산기(82)에서는, 복사부호발생기(82)의 출력신호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복사회수부호에 가산함으로써, 복사의 회수를 갱신하여 다중화기(26)에 전송한다.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가 다시 고능률복호화되지 않는한 편집회수부호는 갱신되지 않으므로,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편집회수부호의 값이 그대로 전송된다. 음성데이터신호와 영상데이터신호는 다중화기(26)에 전송되고, 복사회수부호와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예를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열내에 배열되고 전송출력으로서 전송된다. 재생쪽으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는 분리기(27)에서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로 분리되고,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는 전송정보분리기(70)에서 복사회수부호와 편집회수부호를 각각 검출한다. 전송된 전송데이터로부터, 복수부호가 복사부호검출기(90)에 의해 검출될 경우, 복사부호발생기(91)에서 재생된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의 복사부호값은,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의 일부로 되도록, 데이터열로 변환되어,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의 전송정보영역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편집회수부호가 편집부호검출기(92)에서 전송데이터로부터 검출될 경우,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의 편집부호값은,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의 일부가 되도록 데이터열로 변환되어,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의 보조데이터영역에 기록된다.
재생쪽에서 음성데이터나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에 대한 채널 1이나 채널 2를 전송출력으로서 기록쪽에 전송하는 경우, 복사회수부호와 편집회수부호를 각각 가지고 있으므로, 전송될 데이터의 복사회수부호와 편집회수부호는 재생쪽에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시마다 복사회수부호를 갱신함으로써, 전송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에 대해서 각각 복사회수, 편집회수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작권문제등에서 복사회수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사용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을 전제로 하여 편집을 행하면 영상의 왜곡이 증가하는 것을 예상하고, 그 회수를 파악하여 화질/음질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기록포맷은 일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디지틀신호전송법은 기록포맷을 특정함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12도는 제7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제13도는 편집기에 의존함이 없이 전송에 의해 전송정보의 변경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14도는 제8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제15도는 제7실시예의 편집처리기기의 전송정보갱신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2도에서, (100)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이고, (101)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VTR-a2이고, (102)은 베이스밴드디지틀기록 VTR이고, (103)은 애널로그기록 VTR이고, (104), (105)는 고능률복호기이고, (106)은 영상신호 A/D변환기이고, (107)은 편집처리부이고, (108)은 고능률부호기이고, (109)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b이고, (110)은 편집기이다. 제13도에서, (120),(121)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이고, 제14도에서, (130), (132)는 영상 고능률복호기이고, (131),(133)은 음성고능률복호기이고, (134)는 음성 A/D변환기이고, (135)는 영상고능률부호기이고, (136)은 음성고능률부호기이다. 제15도에서, (150)은 편집부호검출기이고, (151)은 비교기이고, (152)는 가산기이고, (153)은 복사부호검출기이고, (154)는 비교기이고, (155)는 가산기이다.
고능률부호화기록 VTR 사이의 재생신호의 전송은, 전송출력을 처리함이 없이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이터열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송정보데이터로서, 복사회수부호만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갱신된다. 고능률부호화기록 VTR 사이의 전송영상데이터의 임의의 화상에 대해 특정처리를 하거나 합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기를 사용한다. 전송데이터의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고, 또한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신호를 편집하기 위해 고능률복호화처리가 요구된다. 이하, 편집기를 통과하는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100)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는 편집기(110)에 전송되고, 영상데이터는 고능률복호기(104)에서 고능률복호화되고, 영상신호에 대해 특정한 처리를 편집처리부(107)에서 행한다. 편집처리부(107)에서 편집된 후, 다시 고능률부호기(108)에서 고능률부호화되어,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b(109)에서 전송데이터로서 기록된다.
편집기에서 고능률부호화된 직후에, 압축상태에서 오류정정을 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편집처리부 직전의 전송데이터와 함께 처리된다.
이하, 전송시에 편집기를 사용하여 전송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100)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는 제12도, 제13도, 제14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송출력의 전송정보데이터중에서 복사회수부호(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값에 1만큼 증분한 값)만을 갱신한다. 편집기(110)에서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는 고능률복호기(104)에서 고능률복호화되고, 편집처리부(107)에서 편집되고, 고능률부호기(108)에서 다시 고능률부호화되어 전송된다. 그러나, 일단 고능률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와 부호화는, 제 1 복호화를 행하기전의 데이터에 비해서, 고능률복호화 및 고능률부호화의 반복으로 왜곡이 누적됨에 따라 화질이 열화된다.
편집처리부(107)에서 편집된 데이터의 전송정보데이터의 편집회수부호를 1회씩 증분함으로써 갱신된 편집회수부호를 전송하고, 고능률부호기(108)를 통하여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b(109)에 기록함으로써, 기록된 데이터의 열화상태는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편집할때의 편집부호를 탐색함으로써 알 수 있다.
전송출력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모두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100)의 전송출력으로부터 고능률부호화될 경우,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편집기(110)에 의해 분리되고, 영상데이터는 영상고능률복호기(130)에서 고능률복호화되고, 음성데이터는 음성고능률복호기(131)에서 고능률복호화되고, 편집처리부(107)에서 편집을 종료한 후, 영상데이터는 영상고능률부호기(135)에서 고능률부호화되고, 음성데이터는 음성고능률부호기(136)에서 고능률부호화되고,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모두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b(109)에 기록된다. 또한, 전송데이터의 데이터열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므로, 편집회부호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해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재생기기로서 편집기에 접속된 복수의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100)과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2(101)가 재생기기로서 접속되는 경우(예를들면, 2개의 재생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편집을 위해, 부호화된 데이터는 복호화되어야하므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1(100)과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a2(101)로부터의 전송출력은 각각 고능률복호기(104),(105)에서 고능률복호화되어, 편집기(110)에 입력된다. 편집기(110)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편집처리부(107)의 출력시에, 편집회수부호값이 갱신되나, 각각의 편집회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편집회수부호는 편집기(107)에 입력된 전송데이터의 복수의 집합으로부터 편집부호검출기(150)에 의해 검출되고, 비교기(151)는 검출된 편집회수부호에 의해 동작을 개시하여 복수의 편집부호값이 비교되고, 편집부호의 최대값이 유지되고, 가산기(152)에 유지된 편집회수부호가 갱신되어 편집기(110)에 전송됨으로써, 전송데이터와 함께 편집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그 상태에서 기록된다. 또한, 복사회수부호도 상이할 수 있으므로, 편집회수부호에서와 같이, 복사회수부호는 복수부호검출기(153)에 의해 전송데이터로부터 검출되고, 비교기(154)는 검출된 복사회수부호에 의해 동작을 개시하여, 복수의 복사부호값을 비교하고 복사부호의 최대값이 유지되고, 가산기(155)에 유지된 복사회수부호는 갱신되어 편집기의 출력으로서 기록된다. 음성데이터가 고능률부호화된 상태로 편집기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편집처리부(107)에 제15도의 구성을 결합시킴으로써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전송데이터의 데이터열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므로, 편집회수부호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해 각각 분리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 사이의 전송데이터를 편집할 경우, 편집시에 사용된 편집회수와 복사회수중에서 최대회수의 전송정보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기록할 신호의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할 경우의 데이터상태를 알 수 있다. 즉, 복수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복사회수와 편집회수도 그 소스의 각각이 가진 값중에서 최대치를 선택하여 신규하게 얻은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가지는 복사회수와 편집회수로 함으로써, 어느 소스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복사회수나 편집회수를 보증할 수 있다.
다음에, 복수의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 고능률부호화기록이 없는 베이스밴드 디지틀기록 VTR 또는 애널로그기록 VTR이 편집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인 제8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의 전송출력의 데이터열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고, 또한 예를들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단지 A/D, D/A변환되고 기록되어 재생되는 베이스밴드디지틀기록 VTR(102) 또는 애널로그기록 VTR(103)에서는, 기록되는 데이터의 제어정보는 존재하지 않고, 또한 이들 입력이 편집기(110)로 공급될 경우, 이들은 편집처리부(107)에서 원래의 신호로서 간주되고, 편집회수부호와 복사회수부호는 0으로 신규 설정되고, 편집처리부(107)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기록 VTR의 음성데이터는 고능률부호화된 상태에 있고, 편집기에 입력되는 경우, 제15도에 도시된 구성을 제14도에 도시된 편집처리부(107)에 결합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송데이터의 데이터열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고, 편집회수부호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해 분리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기록시에 입력된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사이에 유지된 시간차의 관계는 정규의 출력에서도 또한 재생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정규의 출력시에 이런 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본 실시예의 내용이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지금까지는, 고능률부호화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취급한 VTR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상기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베이스밴드디지틀기록 VTR이나 애널로그기록 VTR의 신호도 취급할 수 있다.
이하, 전송시에 기록쪽의 기기에서 감시하는 제9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제17도는 다중화기/분리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18도는 제어플래그 발생기(193)의 출력의 비트열의 일예를 도시한 비트열선도이고, 제19도는 저속재생모드시에 자기헤드의 추적을 도시한다.
(170a),(170b)는 영상신호 A/D변환기이고, (171a),(171b)는 고능률화처리기이고, (172a),(172b)는 다중화기/분리기이고, (173a),(173b)는 음성신호 A/D변환기이고, (174a),(174b)는 음성신호처리기이고, (175a), (175b)는 오류정정처리기이고, (176a), (176b)는 변조기/복조기이고, (177a), (177b)는 자기기록재생기기이고, (178a),(178b)는 영상신호 D/A변환기이고, (179a),(179b)는 음성신호 D/A변환기이고, (190)은 음성신호절환기기이고, (191)은 영상신호절환기기이고, (192)는 다중화/분리처리기이고, (193)은 제어플래그발생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기록재생기기에 있어 정규의 기록재생동작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기록시에, 입력영상신호는 영상신호 A/D변환기(170a)에서 A/D변환되고, 고능률화처리기(171a)에서 고능률화부호화된다. 고능률부호화된 영상데이터는 다중화기/분리기(172a)를 통하여 오류정정처리기(175a)에 전송된다. 동시에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A/D변환기(173a)에서 A/D변환되고, 다중화기/분리기(172a)를 통하여 음성신호처리기(174a)에서 서플링되어 오류정정처리기(175a)에 전송된다. 오류정정처리기(175a)에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오류정정부호화하고 다중화한 후에, 데이터는 변조기/복조기(176a)내에서 변조되고, 자기기록재생기기(177a)에서 기록된다.
재생기에, 자기기록재생기기(177a)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는 변조기/복조기(176a)에서 복조되어 오류정정복호화처리와 오류은폐처리를 행하기 위한 오류정정처리기(175a)에 전송되고, 영상데이터는 다중화기/분리기(172a)의 영상신호절환기기(191)로부터 고능률화처리기(171a) 및 다중화기/분리기(172a)의 다중화/분리처리기(192)의 양쪽으로 전송된다. 다중화/분리처리기(192)에서, 음성데이터는 영상신호와 다중화되고, 영상신호는, 고능률화처리기(171a)에서 고능률복호화되어, 영상신호 D/A변환기(178a)에서 D/A변환된 후 출력된다. 오류정정복호화된 음성데이터는 디셔플링처리와 오류은폐처리를 행하기 위한 음성신호처리기(174a)에 전송되고, 다중화기/분리기(172a)의 음성신호절환기기(190)로부터 음성신호 D/A변환기(179a) 및 다중화기/분리기(172a)의 다중화/분리처리기(192)의 양쪽으로 전송된다.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D/A변환기(179a)에서 D/A변환된 후 출력된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다중화기/분리기(172a)로부터 다중화기/분리기(172b)에 전송될때에, 기록기기쪽은 다중화기/분리기(172b)의 다중화/분리처리기(192)에 의하여 입력전송신호를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로 분리한다.
분리된 음성데이터는 음성신호절환기기(190)에 의해 음성신호처리기(174b)와 음성신호 D/A변환기(179b)의 양쪽에 전송되고 , 영상데이터는 영상신호절환기기(191)에 의해 오류정정처리기(175b)와 고능률화처리기(171b)의 양쪽에 전송된다. 음성신호처리기(174b), 오류정정처리기(175b) 및 변조기/복조기(176b)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하고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전송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재생상태에서 전송신호의 기록과 처리에 불필요한 기능블록을 기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음성데이터는 음성신호 D/A변환기(179b)에 의해 D/A변환되어 출력되고, 또한 영상데이터는 고능률화처리기(171b)에서 고능률복호화되고, 영상신호 D/A변환기(178b)에 의해 D/A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기록기기쪽에 의해 전송데이터가 감시될 수 있다.
재생기기쪽이 트릭플레이모드에 있을때,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재생기기쪽에 의해 편집개시점을 발견하기 위하여 탐색, 저속 또는 프레임전진등의 트릭플레이를 행할때에, 재생기기쪽에서 어느 트릭플레이가 행해지는지를 기록쪽의 장치가 알지 못하는 경우, 기록기기쪽에서 감시하기 위한 재생처리용 블록을 감시할 수 없다. 재생기기쪽이 트릭플레이모드에 있을때, 자기기록재생기기(177a)의 트릭플레이모드 제어신호는 다중화기/분리기(172a)의 제어플레그발생기(193)에 전송되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플레그의 비트열로 변환된다. 변환된 제어플레그는 다중화/분리처리기(192)에서 전송데이터에 대해 다중화된다. 기록기기쪽에서는, 입력되는 전송데이터출력으로부터, 제어플래그가 다중화기/분리기(172b)에서 분리되고, 기록기기쪽의 고능률부호화처리기(171b)는 제어플래그에 따라 제어된다.
이하, 저속재생모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1프레임의 단위로 고능률화되고, 저속재생모드의 최종출력은 피일드단위로 실현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재생모드시에, 자기헤드가 복수의 데이터트랙에 대해 이동되므로, 데이터는 각각의 트랙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두개의 메모리 즉, 오류정정처리기(175a)에 의해 점유된 메모리와 고능률화처리기(171a)에 의해 점유된 메모리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이 1피일드단위로 정확이 전송되도록 처리된다. 우선, 오류정정처리기(175a)의 메모리에서는, 재생된 데이터의 ID(식별)신호에 의해 나타난 트랙수와 데이터수에 의해, 메모리어드레스가 발생되고, 이 메모리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록된다. 동시에, 트랙 ID 신호에 의해, 데이터의 재생상태는 1/2프레임단위로 검출된다. 즉, 1/2프레임부분의 데이터의 재생단부가 검출될때, 종료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된다. 고능률화처리기(171a)에서, 종료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될 때에만, 데이터가 고능률복호화되고, 그 결과가 메모리에 기록되고, 또한 최종출력용 피일드가 동시에 절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1피일드의 데이터량과 1/2프레임의 데이터량은 종료플래그가 ON일때 서로 같으므로, 메모리로부터 최종적으로 판독되는 1피일드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안 1/2프레임데이터는 동시에 판독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기록된다. 종료플래그가 OFF일때, 현재 전송되는 피일드는 반복하여 전송된다.
이 방법에서는, 1/n배의 저속감축인 경우에, 출력피일드는 평균적으로 n피일드의 주기마다 절환될 수 있다.
기록기기쪽에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재생기기쪽이 저속재생모드인 것을 표시하는 제어플래그 및 종료플래그가 기록기기쪽에 전송된다. 기록기기쪽이 고능률화처리기(171b)에서는, 전송된 종료플래그에 의거하여, 재생기기쪽에서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한편,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재생기기쪽이 저속재생모드에 있을 때에는 음성신호를 전달할 필요는 없으므로, 음성신호 D/A변환기(179b)에 출력이 중지된다.
또는, 재생기기쪽이 역재생모드에 있을때에는 전송데이터는 정규재생의 역순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즉, 피일드단위로 1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데이터는 제2피일드와 제1피일드의 순서로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역재생모드를 나타내는 제어플래그는 기록기기쪽에 전송되고, 영상데이터는 제2피일드데이터와 제1피일드데이터의 순서로 기록기기쪽의 고능률화처리기(171b)의 메모리에 의해 영상신호 D/A변환기(180b)에 전송된다.
제18도에 도시한 제어플래그는 일예에 불과하고, 제어플래그, 비트열 및 비트패턴의 구성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능률화의 단위는 1프레임이나, 그것이 1피일드의 정수배인 한 마찬가지의 처리가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재생기기쪽이 트릭플레이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기록기기쪽은 영상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VTR 사이에 복사할 때에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고려되고 있다. 재생기기쪽에서, 재생출력을 감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정확하게 접속하여 정확하게 데이터가 입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기록기기쪽에서 확인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분의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재생기기쪽에서 특수재생을 행한 때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기록기기쪽에 전송함으로써, 기록기기쪽에도 특수재생에 응답한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laims (45)

  1. 기록매체상에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디지틀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 제1기기와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제2기기 사이에서 디지틀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각각 얻기 위하여, 상기 제 2 기기의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단계와, 다중화된 전송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2기기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와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송신호를 상기 제1기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의 상기 제1기기에서 수신된 전송신호를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상기 제1기기의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오류를 얻기 위하여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에 포함된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오류중에서 정정가능한 오류를 정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오류중에서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은폐하는 단계를 상기 재생단계와 상기 전송단계의 사이에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다중화단계에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는,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의 상기 전송신호중에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는,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와 재생된 고능률부호화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다중화된 전송신호는, 단일의 전송선 또는 복수의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되고, 기준신호는 다른 단일의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다중화단계는,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와 다중화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에 대해 기준신호를 시분할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탈음성신호에 관한 부가정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다중화단계는, 상기 부가정보신호가 상기 정보신호에 그대로 포함하도록 상기 부가정보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영상신호채널용 정보신호와 음성신호채널용 정보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정보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정보신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다중화전송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복사보호상태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복사보호상태를 나타내는 복사보호정보신호는, 복사보호상태가 변경될때에,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사보호정보신호는 영상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와 음성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복사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수신된 전송신호로부터 상기 복수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1기기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신규의 복사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추출된 복사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스텝은 상기 다른 기록 매체상에 상기 추출된 그대로의 편집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복사회수보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와 각각은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의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부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편집의 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 영상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와 시분할다중화한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상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디지틀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된 음성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다중화된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스텝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 위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회수부호는 영상신호채널용 영상편집회수부호와 음성신호채널용 음성편집회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편집회수부호와 상기 음성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스텝은, 복수의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 복수의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및 복수의 부가정보신호를 얻기 위하여, 복수의 기록매체로부터 복수의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복수의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각각은, 미리 작성된 복사의 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수의 복호화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영상신호의 각각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복사회수부호중에서 최대복사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편집회수부호중에서 최대편집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최대편집회수보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편집된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복호화 영상신호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복사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된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와 신규의 복사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 1기기에서 상기 최대복사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을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상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의 각각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수의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의 각각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편집회수부호중에서 최대편집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최대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복호화음성신호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된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상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 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부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고능률부호화된 디지틀영상신호와 고능률부호화되지 않은 비부호화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록매체로부터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신호와 비부호화된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복사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 전송방법은, 상기 재생된 비부호화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에 때한 부가정보신호의 상기 복사번호부호와 상기 편집부호에 0을 설정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음성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 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위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 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에 관한 부가정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시분할 다중화단계는, 부가정보신호가 상기 전송신호에 그대로 포함되도록 상기 부가정보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 음성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한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상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영상신호채널용 정보신호와 음성신호채널용 정보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정보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정보신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6. 제 3 항에 있어서, 도중화된 전송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복사보호상태는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보호상태를 나타내는 복사보호정보신호는, 복사보호상태가 변경될 때에,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복사보호정보신호는 영상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와 음성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복사보호정보신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복사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수신된 전송신호로부터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신규의 복사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추출된 복사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상기 추출된 그대로의 편집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복사회수부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 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채널용 부호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부호화 영상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의 시분할 다중화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 전송방법은,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디지틀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음성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 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회수부호는 영상신호채널용 영상편집회수부호와 음성신호채널용 음성편집회수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편집회수부호와 상기 음성편집회수부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복수의 재생된 고능률부호 디지틀영상신호와 복수의 재생된 영상신호 및 복수의 부가정보신호를 얻기 위하여, 복수의 기록매체로부터 복수의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영상신호와 복수의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각각은, 미리 작성된 복사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수의 복호화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의 각각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복사회수부호중에서 최대복사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편집회수보호중에서 최대편집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최대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편집된 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화영상신호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복사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영상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와, 신규의 복사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 1기기에서 상기 최대복사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보호의 각각을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의 각각은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수의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의 각각을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정보신호의 편집회수부호중에서 최대편집회수부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최대편집회수부호를 증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복호화음성신호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하는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의 각각은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고능률부호화된 디지틀영상신호와 고능률부호화되지 않은 비부호화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록매체로부터 고능률부호화된 영상신호와 비부호화된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부가정보신호는 미리 작성된 복사회수를 나타내는 복사회수부호와 미리 작성된 편집회수를 나타내는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상기 재생된 비부호화 애널로그 또는 디지틀영상신호에 대한 부가정보신호의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에 0을 설정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는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음성신호이고, 상기 디지틀신호전송방법은,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디지틀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편집된 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복호화음성신호를 편집하고,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회수부호를 하나씩 증분하는 단계와, 신규의 편집회수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정보신호와 시분할 다중화하는 상기 고능률부호화 편집디지틀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편집된 음성신호를 고능률부호화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고, 상기 기록단계는, 상기 신규의 편집회수보호를 상기 제 1기기의 상기 다른 기록매체에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회수부호와 상기 편집회수부호는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로 분리되고, 상기 영상신호채널용 부호와 상기 음성신호채널용 부호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0. 기록매체상에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디지틀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 제 1기기와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제 2기기 사이에서 디지틀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각각 얻기 위하여, 상기 제 2기기의 기록매체로부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단계와, 다중화된 전송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 2기기에서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와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기로부터 상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송신호를 상기 제 1기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기에서 수신된 전송신호를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상기 제 1기기의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복호화영상신호와 복호화음성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를 상기 제 1기기에서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된 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음성신호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검출된 오류를 얻기 위하여,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에 포함된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오류중에서 정정가능한 오류를 정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오류중에서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은폐하는 단계를 상기 재생단계와 상기 전송단계 사이에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다중화단계에서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는, 상기 기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영상신호와 상기 기록된 디지틀음성신호가 생성되었던 원래의 음성신호 사이의 시간차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기가 트릭플레이모드에서 상기 재생단계를 행하는 경우, 상기 시분할 다중화단계는, 사이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및 제어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다중화전송신호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 1기기를 제어하고 또한 트릭플레이모드를 나타내는 제어데이터를 다중화하고, 상기 분리단계는 제 1기기에서 수신된 전송신호를 상기 재생된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와 상기 재생된 디지틀음성신호 및 상기 제어데이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복수의 피일드를 단위로 하여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 함으로써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얻는 경우와 상기 제 2기기가 저속동작모드에서 상기 재생단계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시단계는, 상기 제어데이터에 의거한 제어하에서 상기 단위의 복수의 피일드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45. 제43항에서 있어서, 복수의 피일드를 단위로 하여 영상신호를 고능률부호화 함으로써 고능률부호화 디지틀영상신호를 얻는 경우와 상기 제 2기기가 역동작모드에서 상기 재생단계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시단계는, 상기 제어데이터에 의거한 제어하에서 복수의 피일드의 정규 순서의 역순서로 상기 단위의 복수의 피일드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신호전송방법.
KR1019920001732A 1991-02-07 1992-02-07 디지틀신호전송방법 KR960005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9091 1991-02-07
JP91-16190 1991-02-07
JP91-169931 1991-07-10
JP3169931A JPH05207411A (ja) 1991-07-10 1991-07-10 ディジタル信号ダビング方法
JP20922591 1991-08-21
JP91-209225 1991-08-21
JP92-10663 1992-01-24
JP4010663A JP2679507B2 (ja) 1991-08-21 1992-01-24 デジタル信号編集方法および編集装置
JP91-10663 1992-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401A KR920017401A (ko) 1992-09-26
KR960005945B1 true KR960005945B1 (ko) 1996-05-03

Family

ID=2745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732A KR960005945B1 (ko) 1991-02-07 1992-02-07 디지틀신호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79299A (ko)
EP (1) EP0498617B1 (ko)
KR (1) KR960005945B1 (ko)
DE (1) DE692253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578A (en) * 1992-02-06 1997-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between bit rate reduction encoded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s
KR950009586B1 (ko) * 1991-09-28 199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테이프복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편집방법 및 장치
JP2963960B2 (ja) * 1992-01-29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EP0632445B1 (en) * 1993-06-07 2002-01-23 Hitachi, Ltd.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0165656B1 (ko) * 1993-07-08 1999-03-20 모리시타 요이찌 데이터전송장치
US5748763A (en) 1993-11-18 1998-05-05 Digimarc Corporation Image steganography system featuring perceptually adaptive and globally scalable signal embedding
JP3216061B2 (ja) * 1993-12-28 2001-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記録装置
EP1261215B1 (en) * 1994-01-20 2007-05-30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s
JPH07226022A (ja) *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3321972B2 (ja) * 1994-02-15 2002-09-0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3329063B2 (ja) * 1994-03-29 2002-09-3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3289045B2 (ja) * 1994-04-12 2002-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EP1968059B1 (en) * 1994-07-08 2014-11-12 Sony Corporation Receiving controlled-access broadcast signals
JPH0856356A (ja) * 1994-08-10 1996-02-27 Fujitsu Ltd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0152788B1 (ko) 1994-11-26 1998-10-15 이헌조 디지탈 영상 시스템의 복사 방지 방법 및 장치
KR0136458B1 (ko) 1994-12-08 1998-05-15 구자홍 디지탈 자기 기록재생 시스템의 복사 방지장치
CA2168327C (en) * 1995-01-30 2000-04-11 Shinichi Kikuchi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is recor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according to navigationd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on a recording medium.
JP3617115B2 (ja) * 1995-03-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5745643A (en) * 1995-04-06 1998-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ducing playback data appropriately by the use of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playback data
KR100215130B1 (ko) * 1995-04-06 1999-08-16 니시무로 타이죠 재생 데이타와 재생 데이타의 속성 정보를 함께 기록한 기록매체
JPH08289287A (ja) * 1995-04-12 1996-11-01 Ricoh Co Ltd 音声信号・映像信号処理装置
JPH0917127A (ja) * 1995-06-30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媒体記録方法、装置及び媒体再生装置
JP3701051B2 (ja) * 1995-07-04 2005-09-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DE69630060T2 (de) * 1995-07-14 2004-07-08 Sony Corp.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igitalen Daten und Aufzeichnungsmedium
JP2766466B2 (ja) * 1995-08-02 1998-06-18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方式、その再生方法、並びにその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媒体への記録方法
US6507953B1 (en) * 1996-02-02 2003-01-14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5901178A (en) * 1996-02-26 1999-05-04 Solana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 Post-compression hidden data transport for video
EP0860823A4 (en) * 1996-07-15 2001-05-02 Toshiba Kk DEVICE WITH DIGITAL INTERFACE, NETWORK SYSTEM WITH THIS DEVICE AND COPY PROTECTION PROCEDURE
JPH10108135A (ja) * 1996-09-25 1998-04-24 Sony Corp 編集装置及びデータ編集方法
US6584275B1 (en) 1996-12-20 2003-06-24 Thomson Licensing Sa Control of consumer recording equipment
GB9626574D0 (en) * 1996-12-20 1997-02-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of consumer recording equipment
US7336712B1 (en) * 1998-09-02 2008-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signal transmission
EP1032203A3 (en) * 1999-02-26 2002-11-06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O2003073426A1 (fr) * 2002-02-28 2003-09-04 Sony Corporation Dispositif, procede et programme de traitement de donnees
US7460684B2 (en) 2003-06-13 2008-12-02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ing watermarks
JP4438056B2 (ja) * 2003-06-26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節部材の製造方法
AU2005270105B2 (en) 2004-07-02 2011-03-31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xing compressed digital bit streams
JP4464255B2 (ja) * 2004-11-17 2010-05-1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ビデオ信号多重化装置、ビデオ信号多重化方法及び映像再生装置
WO2008045950A2 (en) 2006-10-11 2008-04-17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mbedding codes in compressed audio data strea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785A (en) * 1978-09-28 1980-07-01 Bell & Howell Company Tape replay system
US5193010A (en) * 1989-08-29 1993-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rror concealment contro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79299A (en) 1995-12-26
EP0498617A2 (en) 1992-08-12
EP0498617A3 (en) 1993-08-11
DE69225346T2 (de) 1998-09-03
DE69225346D1 (de) 1998-06-10
EP0498617B1 (en) 1998-05-06
KR920017401A (ko) 199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945B1 (ko) 디지틀신호전송방법
US5621578A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between bit rate reduction encoded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s
KR100367195B1 (ko) 데이터를전송,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JP3321972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EP0858230B1 (en) Recording and producing an MPEG information signal on/from a record carrier
US6292621B1 (en) Recording apparatus for newly recording a second encoded data trai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encoded data train is recorded
EP0712256A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995707A (en) Speed change reproduction recording apparatus for VCR of digital HDTV and method thereof
JP3158740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送信方法及びダビング方法
KR940008463A (ko) 상이한 압축 방법에 따라 압축된 화상 데이타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JPH07327199A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7226026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20010050137A (ko) 디지털신호 기록장치 및 기록매체
JP3792770B2 (ja) 記録再生装置
JP3430613B2 (ja) 情報信号再生方法及び装置
JP3651334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07393B1 (ko) 디지탈 멀티 채널 기록 및 재생 장치
JP3271429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3572651B2 (ja) ディジタル画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3777916B2 (ja) 記録再生装置
JP3409650B2 (ja) 記録再生装置
EP0312006A2 (en) Luminance encoded digital audio system
JP2000244915A (ja) 多段画像符号化伝送装置及び多段画像符号化伝送方法
JP2000341654A (ja) 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
Lilley The interfacing of AES/EBU serial digital audio signals with D-1, D-2, and D-3 format digital television tape rec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