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279B1 -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279B1
KR960000279B1 KR1019920703361A KR920703361A KR960000279B1 KR 960000279 B1 KR960000279 B1 KR 960000279B1 KR 1019920703361 A KR1019920703361 A KR 1019920703361A KR 920703361 A KR920703361 A KR 920703361A KR 960000279 B1 KR960000279 B1 KR 96000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wallpaper
wall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루스 콜린 맥크라우드
키스 알렉산더 버리
Original Assignee
지.피 리서치 리미티드
브르스 씨. 맥크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 리서치 리미티드, 브르스 씨. 맥크라우드 filed Critical 지.피 리서치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911Recycling consumer used articles or products
    • Y10S264/913From fiber or filament, or fiber or filament containing article or product, e.g. textile, cloth fabric, carpet, fiberboard
    • Y10S264/914From cellulose containing articles, e.g.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4/00Plastic and nonmetallic article shaping or treating: processes
    • Y10S264/911Recycling consumer used articles or products
    • Y10S264/915From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articles or products, e.g. hydro-set, cement, plaster, wire,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4Using roller for delamination [e.g., roller pairs operating at differing speeds or direction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aper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서 첨부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첨부한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석고벽체의 석고코아로부터 양측 벽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시스템의 측면도.
제2도는 전형적인 석고벽체의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 석고벽체의 선단측면도.
제4도는 주롤러의 압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롤러에 인접하게 1쌍의 지지롤러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벽지분리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롤러쌍이 제2롤러쌍에 평행하게 장착된 벽지분리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롤러가 서로 대향되게 다중으로 장착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7도는 석고벽체의 한쪽에 롤러가 장착되면서 다른쪽 면은 단단한 고정플레이트에 지지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는 석고벽체의 경사선단부로부터 벽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스푸울형태의 롤러쌍의 정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얇은 벽지가 입혀진 폐기석고벽의 석고를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기술]
일반적으로 석고코아의 외면에 편평한 얇은 벽지가 입혀진 석고벽은 구미의 건축업계에서 주거용 빌딩과 상업용 빌딩의 건축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 석고벽은 통상 1/2인치나 5/8인치 또는 3/4인치의 두께와 4피트의 폭 및 8피트의 길이로 만들어져 공급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전체석고벽판넬은 매우 적절하게 사용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석고벽판넬의 단지 일부분만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석고벽설치자에 의해 불필요한 부분이 절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부분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 결과 어떤 빌딩건축이나 빌딩개조작업에서 상당한 양의 석고벽이 폐기되고, 심한 경우에는 공급된 석고벽의 10%만큼이나 폐기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상기와 같은 폐기석고벽을 쓰레기 매립지에 매장시키면 유독성의 황화수소가스와 토양삼출액이 생성되기 때문에 캐나다의 남서부주에 있는 벤쿠버지역에서는 환경공해문제로 대두되었고, 이러한 유독성 가스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양 에 매립되고 있는 바, 이로 인해 많은 폐기처리경비가 소요됨과 더불어 대양에 매립시키기 위해 폐기석고벽의 분류와 저장 및 취급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현재에는 캐나다의 밴쿠버지역에서 1년에 대략 20,000t가량의 폐기석고가 대양에 매립시키는 것은 대양오염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한편 폐기석고벽으로부터 석고를 긁어내는 방안도 유용하지만, 이 경우에 외부벽지는 석고벽체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상당한 양의 벽지를 석고벽체상에 남겨두지 않고서는 석고벽체로부터 벽지를 충분하게 제거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완제품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잔류벽지로 인한 불량율을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석고벽제조업자는 석고벽의 전체 폐기량중에 단지 1%만을 재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현재 석고벽제조업체에서는 햄머밀과 차폐장치를 사용하여 석고벽체로부터 전체 벽지의 대략 65%정도까지 제거하고 있지만, 이것은 에너지소비가 심하고 바람직하지 못하게 석고먼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1978년 9월 14일자로 출원된 서독특허 제27,09,975호에는 판(20)위에서 탈피작용을 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표면이 거친 수평로울러쌍(28,30)이 게재되어 있지만, 코아에서 외층을 분리하는 방법은 게재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롤러수단과 이 제1롤러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수단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제1롤러수단 및/또는 제2수단은 동일한 동력원 또는 독립된 동력원으로부터 동시에 혹은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석고벽체로부터 얇은 벽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단은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롤러수단은 원통형 롤러로서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각 롤러의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얇은 벽지가 입혀진 석고벽체로부터 벽지를 떼어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롤러수단과 이 제1롤러수단으로부터 석고벽체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이경된 제2수단 및, 상기 제1, 2롤러수단 사이로 석고벽체가 통과되도록 제2롤러수단에 대해 제1롤러수단을 상대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수단은 축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롤러수단은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1, 2롤러수단은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지만, 각 롤러수단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 2롤러수단은 각각 독립된 동력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제1, 2롤러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거칠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롤러쌍은 제1 및 제2롤러와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롤러쌍도 제1 및 제2롤러와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롤러쌍들 사이의 간격은 롤러쌍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작고, 5쌍의 롤러가 연속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롤러쌍 사이의 간격의 중심선은 일직선을 이루게 되면서 각 롤러쌍 사이의 간격은 순차적으로 앞선 롤러쌍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수단은 넓고 편평하면서 단단한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벽지가 입혀진 석고벽체로부터 벽지를 분리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석고벽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롤러사이로 석고벽체를 통과시켜, 석고벽체와 벽지사이의 접착제를 분쇄시키면서 벽지가 파형을 이루도록 밀어서 석고벽체로부터 얇은 벽지를 떼어내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은 서로 평행하게 소정간격으로 두고 장착되는 1쌍의 롤러에 의해 형성됨과 더불어, 이들 롤러중 하나의 롤러는 회전되도록 구동되는 반면에 다른 롤러는 구동되지 않게 되며, 각 롤러는 또한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각각 별개의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도는 기존 석고벽의 석고코아 양측면에서 벽지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원통형 로울러시스템의 측면사시도로서, 상부로울러(2)가 샤프트(4)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특정실시예에서 이 상부로울러(12)는 구동되지 않으며, 하부로울러(5) 역시 샤프트(8)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이 샤프트(8)위에 장착된 구동기어(1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로울러(6)는 도면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기어(10)를 통해 적절한 구동장치로 구동되는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동 상부로울러(2)와 구동하부로울러(6)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이들 사이에 폐기석고벽(12)의 두께보다 조금작은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로울러(2,6)가 폐기석교벽(12)의 외면을 약간 가압함에 따라 기복작용으로 인해 2장의 벽지(14,16)가 석고코아(18) 양측면에서 분리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고 나면 벽지(14,16)에 석고 잔류물이 최소로 남겨진채 이 벽지(14,16)를 석고코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데, 한쌍의 로울러(2,6)에 의해 석고벽에서 일어나는 기복작용은 석고코아(18)를 으깨거나 분쇄하지 않으며 다만 처리가 간편한 일체의 코어(18)와 최소의 폐기물을 남기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동력원이나 2개의 구동메카니즘사이에 미끄럼클러치를 구비한 동일 동력원으로 양쪽 로울러(2,6)모두가 구동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2개의 로울러가 석고벽(12)내의 결함과 기복에 맞추어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가능하여 분리작용이 편리해지며, 벽지의 분리작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가속되거나 감속될 수 있는 독립적인 가변속구동모터가 사용된다.
제2도는 종래의 석고벽구조물의 측단면도로서, 상부벽지(14)와 하부벽지(16)가 석고코아(18)의 표면에 입혀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부벽지(14)는 석고벽의 뒷면에 있고 하부벽지(16)는 석고벽의 정면에 위치하며, 제2도에서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혹은 분산된 기포(3)가 석고벽의 형성중에 코아(18)내에 형성되고, 석고벽이 통상 수평생산라인을 따라 형성되므로 다수의 포획된 기포가 코어(18)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벽지(14) 배후의 인접한 부위에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기포(3)와 이 기포의 불균등한 산포성에 따라 폐기물 재생공정이 다양해지므로 한쌍의 로울러(2,6)사이의 간격은 그 폭이 가변적이여야만 하고, 마찬가지로 로울러의 속도도 석고벽의 결함에 맞추어 개별조절가능해야만 하며, 기존의 석고벽제조시에는 0.75mm(1인치당 30/1000)에 달하는 편차가 가능하다.
제3도는 종래의 석고벽의 선단측면도로서, 특히 종래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선단(22,24)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선단(22,24)이 석고벽에 형성되어, 방모서리의 형성작업이 석고판들의 결합시에 서로 덧대이는 부분을 형성하게 되어 판넬의 선단부를 덮어서 감추게 되며, 폐기석고벽에서 폐기벽지를 제거하는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폐기석고벽을 로울러(2,6)안으로 공급하기 전에 상기 두께가 얇은 선단(22,24)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직경이 작은 로울러들을 사용할 때의 문제점은 상기한 로울러들이 석고벽의 표준폭에 맞추어 4피트나 그 이상에 걸친 길이로 뻗어 있을때 로울러의 중심부가 석고벽으로부터 조금 휘어지거나 굴절되어 로울러 중심권외부보다 석고벽 중심부에 적은 힘이 가압되므로, 로울러의 전장과 석고벽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가압하기 위해서는 로울러의 석고벽 가압면으로부터 떨어져 로울러 측면에 장착된 고정베어링로울러들을 사용해야만 하고, 이러한 고정베어링로울러가 추가로 장착되며 직경이 작은 긴 로울러에서 발생하는 휘어짐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직경이 작은 로울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시스템이 고안가능한 바, 예컨대 로울러 가압면 반대쪽 로울러면에 한쌍의 보강로울러를 접촉되게 장착시킬 수 있고, 이 한쌍의 보강로울러는 석고벽분리공정중에 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운전중인 로울러를 보호하고 굴적을 최소화하며, 이러한 로울러배치구조는 제4도에 측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로울러(2)가 1쌍의 로울러(21,23)에 의해 보강됨과 더불어 하부로울러(6)도 1쌍의 로울러(25,27)에 의해 보강되어, 직경이 작은 로울러 두께를 증가시켜 로울러휨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상황에서는 벽지를 최대한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속적인 로울러쌍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한 목적으로 2쌍 또는 그 이상의 로울러쌍을 사용하되, 하부로울러쌍 사이의 간격은 상부로울러쌍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조절되어 벽지분리작용을 강화시키게 되며, 상기한 배치구조는 제5도에 측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제1로울러쌍(2,6)이 특정간격으로 장착되면서 제2종속로울러쌍 (26,28)은 벽지의 분리상황에 따라 상기 간격과 동일하거나 조금적은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제6도는 연속적인 4개의 로울러쌍을 사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하롤러 사이의 간격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게 장착된 일련의 대향로울러쌍 사이를 석고벽(12)이 통과하게 되는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쌍의 대향로울러(2,6)는 12.5mm(1/2인치)정도의 두께를 갖는 석고벽보다 0.25mm(10/1000인치)정도 작은 간격을 갖도록 장착되고, 그 다음 단계인 제2대향로울러쌍(30,32) 사이의 간격은 12.5mm(1/2인치)보다 0.5mm(20/1000인치) 작도록 장착되며, 그 다음 제3대향로울러쌍(34,36)사이의 간격은 12.5mm(1/2인치)보다 0.75mm(30/1000인치) 작도록 장착되는 한편, 마지막으로 제4대향로울러쌍(38,40)사이의 간격은 12.5mm(1/2인치)보다 1mm(40/1000인치) 작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보다 더 많은 수의 로울러를 적절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바, 연속적인 로울러쌍의 간격을 반드시 0.25mm(10/1000인치)차로 해줄 필요는 없으며, 일련의 로울러쌍 시스템은 융통성 있게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벽지가 석고코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어떤 특정한 석고벽에 대한 벽지분리의 시행착오는 최대의 작업성능을 얻도록 유동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속적인 로울러쌍은 석고벽으로부터 벽지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자는 석고벽을 두께의 허용범위내에서 취급할 수 있고, 다수의 연속적인 로울러상을 사용하면 한쌍의 로울러만을 사용할때 반드시 요구되던 간격조절 가능한 고정베어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데, 이 간격조절 가능한 고정베어링은 고가일뿐만 아니라 베어링이 마모됨에 따라 벽지분리능력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로울러쌍을 연속적으로 일련의 로울러쌍 사이의 간격이 협소해지도록 배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합리적으로 석고벽두께의 제조허용범위가 증가됨과 더불어 상·하부벽지면은 석고벽이 일련의 로울러쌍을 통과하는 그 부위에서 보다 얇게 되므로, 한지점에서 분리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더라도 이후 다른 쌍의 로울러를 통과해 가면서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사시도로서, 이 실시예는 단 하나의 로울러만이 사용되어 상부벽지층만이 분리되는데, 이는 석고벽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향로울러쌍을 통과하여 박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7도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2)는 석고벽(12)이 제7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로울러(2) 하부를 통과함에 따라 상부벽지(14)만을 분리시키게 되고, 견고하고 편평한 금속판(42)이 석고벽(12)의 반대면(하부면)에 구비되고, 로울러(2)가 석고벽(12)위를 통과함에 따라 상부벽지(14)가 석고코아(18)로 부터 분리되는데, 견고한 금속판(42)으로서는 넓고 편평한 강철판이나 편평한 콘크리트바닥, 견고한 테이블면 내지 석고벽을 놓을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면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석고벽을 뒤집어서 로울러(2)가 뒤집혀진 석고벽위를 구르게 되면 바닥벽지가 분리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제7도에 도시된 바, 석고코아(18)에서 양쪽 벽지 (14)를 분리하기 위해 로울러가 2번 사용되어야 함에 따른 운전시간의 증가는 특정상황에서는 위치나 설비 및 기타 다른 관점에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로울러(2)를 석고벽(12)의 한쪽면을 따라 이동시키고 난후에 석고벽을 뒤집어서 반대쪽 면을 따라 이동시키더라도 먼저 한쪽 벽지를 간단히 분리시키고 나서 석고벽을 뒤집어서 다른쪽 벽지를 분리시키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한편 제8도는 제2도와 제4도에 도시한 로울러쌍(2,6)이나 제5도에 도시한 2쌍의 로울러(2,6;26,28)내지 제6도에 도시한 4쌍의 로울러(2,6;30,32;34,36,38,40)의 하부에 설치한 “스풀형”로울러(44,46)쌍의 정면도로서, 제8도에 도시한 로울러의 원추형외선단(48,500)은 제3도에 도시한 석고벽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선단(22, 24)에 섬세한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하여, 상기 스풀형로울러쌍(44,46)을 사용하면 두께가 얇은 선단(22,24)위의 벽지도 석고(18)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바, 예컨대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로울러쌍(2,6)으로 석고벽을 공급하기 전에 이 석고벽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선단(22,24)을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되며, 하나의 스풀형로울러 (44)가 하부평면에 쌍으로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선단(22,24)에서 벽지와 석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실험예]
폐기석고벽으로부터 벽지를 완전하게 분리하는 문제에 관한 조사와 개발이 여러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시도되었다. 초기에 시도되어 그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게 된 종래 방법은, 대향분해하면서 체로 치고, 부분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분쇄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절단하고, 연마재로 갈아서 태우고, 휘저어 냉온수로 분리하고, 물을 분사하여 떼어내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공정의 재료의 취급 및 분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먼지가 일어나고 동력소비가 높으며 부산물을 조절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다른 기술에 대한 상당한 실험과 많은 실망이후에, 하나의 로울러를 구동시키면서 다른 하나의 로울러는 뒤따라 회전되는 직경이 유사한 작은 1쌍의 로울러를 석고벽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간격을 갖도록 적절하게 배치시켜, 이 로울러사이로 석고벽을 통과시키면, 석고벽이 가압되면서 벽지에 최소한 석고잔유물이 묻힌 채로 석고벽으로부터 벽지가 일관되게 효과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나머지 이동되는 석고 잔유물과 분리된 벽지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한 대량의 석고코아를 얻을 수가 있었다.
또한 상기 로울러들은 벽지를 석고코아에 접착시키는 석고의 미세입자들을 분쇄하는 것을 알았고, 벽지분리공정은 로울러쌍의 앞쪽에서 야기되는 “기복운동”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기복운동은 접착제입자를 주위의 공기포켓내로 가압하는 동시에 벽지를 밀어올려 석고코아로부터 벽지를 분리시킨다.
한편 실험에 의해 로울러가 가져야 하는 몇가지 임계조건과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로울러는 석고벽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하고, 만일 로울러사이의 간격이 너무 작으면 석고코아는 코아의 중심선을 따라 분쇄되어, 석고코아의 절반정도가 각 벽지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기 때문에 분리공정이 소용없게 된다.
2. 로울러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석고코아의 공기함유량과 석고벽의 두께가 제조자마다 다르고 제조일마다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로울러사이의 간격이 고정되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3. 로울러의 재질은 석고벽에 대한 높은 가압력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스틸과 같은 강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고, 가압력은 분리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정도로 가해져야 한다.
4. 로울러의 지름은 로울러의 굽힘을 방지하는 “고정베어링”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5. 로울러의 표면은 석고벽면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석고벽내에서 벽지가 기복운동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널링면이 형성된 로울러는 어느 정도 효과적이지만 벽지와 코아사이의 국부적인 접착제 분리측면에서 다소 불충분하다.
7. 어떤 경우에는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양쪽 로울러 모두가 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석고벽표면의 특성과 석고벽두께에 따라 적합하게 하나의 로울러는 구동되어야 하고 다른 로울러는 뒤따라 회전되어야 한다. 그런데 전형적인 석고벽은 배면에 공기기포가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설치와 파편제거과정에 석고벽표면에 손상이 있는바, 이러한 공기기포와 표면손상정도는 가변적일 뿐만 아니라 로울러의 석고벽에 대한 이동속도를 증감시키거나 로울러와 석고벽의 이동속도를 증감시키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는 양쪽 로울러가 최적의 분리작용이 일어나도록 각 분리된 모우터에 의해 한정미끄럼장치나 혹은 마찰클러치장치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
8. 석고벽의 두께가 12.5mm 내지 15.0mm(1/2인치 혹은 5/8인치)인 경우에는 1쌍의 로울러지름이 38mm(1.5인치)인 것이 가장 벽지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12.5mm(1/2인치)의 직경부터 30cm(12인치)의 직경을 갖는 각 로울러로 실험해 본 결과 25.4mm(1인치)에서 10cm(4인치)의 직경을 갖는 로울러가 가장 효과적으로 벽지를 분리시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9. 로울러는 또한 석고벽의 두께가 15mm(5/8인치) 및 12.5mm(1/2인치)인 경우에 나란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분류나 혹은 기계분류를 위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 수작업으로 크랭크를 돌려 운전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로울러의 회전속도는 160rpm∼100rpm이 적당하지만, 제품제조측면에서 대략 1,000rpm정도로 로울러를 운전시켜도 어떠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로울러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면 당연히 생산량도 증가할 것이고, 로울러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대개는 양쪽 로울러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운전특징]
벽지를 분리시킬 석고벽을 준비함에 있어서 석고벽의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경사선단부를 절단하는 것이 벽지분리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선단부가 경사진 석고벽을 가압하기 위해 로울러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된 다중로울러셋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분리장치와 그 분리방법을 사용하면 석고코아로부터 벽지를 100%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전체 벽지가 분리된 폐기석고벽지의 10%를 실질적으로 바로 재사용할 수 있으며, 소비동력이 작고 먼지가 적게 일어나며 소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만일 양쪽 로울러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운전이 정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 및 모우터가 마모될 수 있으며, 단지 하나의 로울러를 구동시킬때 보다도 운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각 로울러가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로울러사이에 미끄럼클러치를 개재하여 각 석고벽의 결함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단지 하나의 로울러가 구동되면서 다른 로울러는 피구동될 때에는 낮은 속도에서 석고벽의 다양한 두께에 무관하게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동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각각 상이한 속도로 2개의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편 석고벽의 기포가 집중된 면을 상향하게 하거나 하향하게 하는것 혹은 종속로울러보다 구동로울러와 마주보게 하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고 어떤 위치에서건 작동효과는 동일하지만, 2개의 로울러간의 간격이 너무 넓게 장착되어 석고벽위에 적절한 가압력을 주지 못한다면 석고코아의 기포가 집중된 면위의 벽지는 완전하게 분리되는 반면에 반대쪽 면위의 벽지는 완전하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는 반대로 2개의 로울러들 간의 간격이 너무 협소하게 장착되면 석고벽 양면에 손상이 생기게 되고 석고코아가 2장의 벽지사이에서 거의 동일간격으로 금이 생기기 쉽게 되어, 석고가 벽지에 잔류되고 순수한 석고코아만을 얻을 수 없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로울러들이 더 강하고 효과적으로 벽지를 석고로부터 분리하는 기복작용을 일으키므로 직경이 작은 로울러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이 큰 로울러를 사용한다면 로울러들 사이에서 석고벽상에 지엽적으로 집중된 금이 생기게 되고 벽지를 분리시키기에 필요한 기복작용은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나더라도 적절한 수준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상기한 직경이 큰 로울러를 사용하는 경우는 벽지가 석고코아에서 분리될지라도 분리된 벽지에 석고잔유물이 많이 남겨지게 되어 가능한 분리된 벽지에 적은 석고 잔유물을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지에서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지만, 작은 직경을 갖는 로울러를 사용하면 분리된 벽지에 석고잔유물 잔존량을 3%미만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표준적인 작동과정에 석고벽이 2개의 로울러사이의 간격을 통과함에 따라 석고벽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복작용으로 미세하게 가시될 수 있을 정도로 벽지가 들뜨게 되고 상기 기복작용은 벽지와 석고코아사이에 분리작용을 증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석고벽위에 로울러가 고압으로 가하면 분리된 벽지가 바깥으로 휘게 되어 이 벽지가 로울러 상부 이동면에서 집혀올려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이가 바깥으로 말려 로울러에서 집혀 올려지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해서는 블레이드나 포일을 설치해 주어야만 하며, 벽지를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가압력이 가해져 석고벽에서 분리된 벽지가 자체로 일체통합체를 이루는 석고코아와 대체로 직선을 이룬 상태가 이상적일 수 있는바, 석고코아분진이 편평한 벽지 사이에 유지되므로 상기한 상태에서 석고재생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주위석고분진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제1로울러수단과 이 제1로울러수단으로부터 석고벽의 두께보다 다소 작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제2수단 및 이 제2수단과 제1로울러수단 사이로 석고벽이 통과되도록 제2수단에 대해 제1로울러수단을 상대이동시키는 동력수단으로 구성된 장치의 상기 로울러 사이간격을 통해 석고코아에 벽지가 입혀진 석고벽을 통과시켜 석고벽으로부터 벽지를 분리시키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수단과 제2수단이 원통형로울러로 구성되면서 축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수단이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수단 및 제2로울러수단이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됨과 더불어 각 로울러수단이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수단이 각각 별개의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가 고정베어링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가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와 평행하게 1쌍의 제2로울러쌍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1쌍의 제3로울러쌍이 상기 제1로울러쌍과 제2로울러쌍에 평행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각 로울러쌍에서 로울러사이의 간격이 앞선 로울러쌍의 로울러사이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작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 몬b의 벽지분리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5쌍의 로울러가 소정간격을 두고 장착됨과 더불어 각 로울러쌍의 로울러사이간격의 중심선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면서 각 로울러쌍의 로울러사이간격이 순차적으로 앞선 로울러사이간격보다 약간 작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편평하고 단단한 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5. 석고벽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작도록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석고벽을 통과시킴으로써 석고코아의 벽지사이의 접착제를 분쇄시켜 석고코아로부터 벽지를 분리시키도록 된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공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장착된 1쌍의 로울러에 의해 형성됨과 더불어 1쌍의 로울러중에 하나의 로울러는 구동되면서 다른 하나의 로울러는 구동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각 로울러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18. 제1항과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1쌍의 스푸울형상의 로울러가 분리공정 하류에 장착됨과 더불어 이 스푸울형상의 로울러가 석고벽의 경사진 선단부에 접촉되어 이 경사선단부에서 벽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확장된 원추형선단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KR1019920703361A 1990-06-26 1991-01-08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960000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428990A 1990-06-26 1990-06-26
US7/544,289 1990-06-26
PCT/CA1991/000006 WO1992000152A1 (en) 1990-06-26 1991-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gypsum from waste wall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79B1 true KR960000279B1 (ko) 1996-01-04

Family

ID=241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361A KR960000279B1 (ko) 1990-06-26 1991-01-08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04276A (ko)
EP (1) EP0534972B1 (ko)
JP (1) JPH0815591B2 (ko)
KR (1) KR960000279B1 (ko)
AT (1) ATE116579T1 (ko)
AU (1) AU646237B2 (ko)
DE (1) DE69106512T2 (ko)
DK (1) DK0534972T3 (ko)
ES (1) ES2069273T3 (ko)
FI (1) FI925853A0 (ko)
NO (1) NO300258B1 (ko)
WO (1) WO19920001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67B1 (ko) 2016-06-21 2016-09-29 주식회사 유엘케미칼 폐섬유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8811A (en) * 1993-11-08 1998-08-0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coating from coated plastics and method for recycling plastics
JP3177403B2 (ja) * 1995-04-12 2001-06-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除去装置
KR960037237A (ko) * 1995-04-15 1996-11-19 한승준 수지성형물 분쇄 및 수지성형물의 도막분리 장치와 그 방법
JP3131554B2 (ja) * 1995-08-25 2001-02-0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方法及び塗膜剥離装置
JP3182074B2 (ja) * 1996-03-08 2001-07-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膜剥離装置の安全装置
US6164572A (en) * 1996-07-26 2000-12-26 Tudahl; Daniel L.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gypsum wallboard
JP3177456B2 (ja) 1996-10-04 2001-06-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装樹脂製品の塗膜剥離装置
JPH10128746A (ja) * 1996-11-01 1998-05-19 Mitsubishi Heavy Ind Ltd 樹脂成形物の塗膜除去装置
US6295794B1 (en) * 1998-01-09 2001-10-02 Universal Forest Products, Inc. Joint compound including recycled constituent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he same
US6136121A (en) * 1998-09-25 2000-10-24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claiming trim from a lamination machine
JP2001239178A (ja) * 2000-03-01 2001-09-04 Takahiro Furuta 石膏ボードの破砕分離装置
JP2002028509A (ja) * 2000-05-12 2002-01-29 Nsp Corp 石膏ボードの表装紙分離装置
JP2002144344A (ja) * 2000-11-16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泡樹脂及び発泡ガスの回収方法と、冷蔵庫の解体方法
FR2949361B1 (fr) * 2009-09-03 2011-09-23 Nantet Locabennes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cyclage de dechets de platre
JP2012229152A (ja) * 2011-04-13 2012-11-22 Tokuyama Corp 石膏ボード廃材からの石膏成形体用原料の石膏粉末の製造方法
JP6053004B2 (ja) * 2013-03-14 2016-12-27 恵和興業株式会社 石膏ボード廃材から再利用可能な造粒物を製造する方法
EP3055113B1 (en) 2013-10-07 2022-07-06 Knauf Gips KG Method for producing a gypsum plasterboard
US20160214895A1 (en) * 2015-01-27 2016-07-28 International Material Recover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gypsum
FR3048897B1 (fr) 2016-03-21 2018-03-02 Mecanokit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e panneau ou plaque
US11713581B2 (en) * 2019-08-23 2023-08-01 Marcus Allen Abel Drywall joint too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0399A (en) * 1931-01-16 1934-05-29 Bemis Ind Inc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artificial lumber
US2156311A (en) * 1938-04-09 1939-05-02 Bakelite Building Prod Co Inc Cement fiber product
GB994239A (en) * 1963-05-10 1965-06-02 Kodak Ltd Squeegee apparatus
US3951727A (en) * 1972-07-06 1976-04-20 Greenberg William B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10887B2 (ja) * 1976-02-02 1985-03-20 三井化学株式会社 金属・合成樹脂複合板の剥離方法
US4122457A (en) * 1976-09-13 1978-10-24 Bell & Howell Company Ink jet printer with deflected nozzles
DE2709975A1 (de) * 1977-03-08 1978-09-14 H & S Reinecke Kg Maschine zum abziehen von papierauflagen
US4130057A (en) * 1977-10-25 1978-12-19 Roland Offsetmaschinenfabrik Faber & Schleicher Ag. Dampening system for printing presses, particularly offset printing presses
DE3004052A1 (de) * 1979-12-21 1981-09-03 Schweizerische Aluminium AG, 3965 Chippis Verfahren zur trennung der deckbleche einer metall/kunststoff/metall-verbundplatte vom kunststoffkern
EP0073864A1 (en) * 1981-09-08 1983-03-16 N.V. GYPROC BENELUX, naamloze vennootschap A process of reclaiming gypsum from plasterboard
JPS59142115A (ja) * 1983-02-02 1984-08-15 Dainichi Nippon Cables Ltd ラミネ−トシ−ス条の分離方法
JPS63202409A (ja) * 1987-02-17 1988-08-22 Mitsubishi Kasei Vinyl Co 積層フイルムの剥離方法
JPH0697250B2 (ja) * 1987-08-29 1994-11-30 エ−テイ−アイ株式会社 部分放電電荷量測定装置
US5100063A (en) * 1990-06-19 1992-03-31 West Fab, Inc. Recovery of components of waste plaster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67B1 (ko) 2016-06-21 2016-09-29 주식회사 유엘케미칼 폐섬유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25853A (fi) 1992-12-23
AU646237B2 (en) 1994-02-17
EP0534972B1 (en) 1995-01-04
NO925004L (no) 1993-02-26
NO925004D0 (no) 1992-12-23
ES2069273T3 (es) 1995-05-01
DK0534972T3 (da) 1995-06-19
FI925853A0 (fi) 1992-12-23
NO300258B1 (no) 1997-05-05
WO1992000152A1 (en) 1992-01-09
US5304276A (en) 1994-04-19
JPH05507023A (ja) 1993-10-14
EP0534972A1 (en) 1993-04-07
JPH0815591B2 (ja) 1996-02-21
ATE116579T1 (de) 1995-01-15
DE69106512D1 (de) 1995-02-16
AU7046591A (en) 1992-01-23
DE69106512T2 (de) 199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279B1 (ko) 폐기석고벽의 벽지분리방법 및 그 장치
EP1208941A3 (en) Method and machine for grinding coated sheets of glass
EP0900637A3 (en) Rotary cutoff apparatus
JP2002144344A (ja) 発泡樹脂及び発泡ガスの回収方法と、冷蔵庫の解体方法
EP0845214A3 (en) Apparatus for forming sheets of material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cutting individual portions therefrom
JP4814648B2 (ja) Alcパネルの表面処理装置
CN2066377U (zh) 圆环刀具
JP2013177798A (ja) シート材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CN211588751U (zh) 一种限位及切割刀具
EP102224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2-up sheets
EP112021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ingots
CA12842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gypsum from waste wallboard
JP2000126746A (ja) 石膏ボードの紙剥離装置
JP2005205700A (ja) 畳芯材発泡合成樹脂板の表面削り装置
JP3045163U (ja) 表層材付きボード剪断・破砕装置
JP3624115B2 (ja) 粗大物の破砕装置
CN211807831U (zh) 一种气泡消除装置以及生产线
US6336543B1 (en) Method for forming a replaceable roll covering and apparatus
CN200941139Y (zh) 液晶面板lcd之瑕疵偏光板卷撕专用加工机构造
JPH01130808A (ja) 冷間圧延機用残留圧延油除去装置
GB2163094A (en) The production of thin marble sheets
KR100293093B1 (ko) 철판의 테두리부 라운딩 시스템
CN212758862U (zh) 一种土壤修复用破碎装置
JP4692350B2 (ja) 鋼板の端面機械加工方法及び装置
US20070011886A1 (en) Wallboard cuttt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