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042B1 -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042B1
KR960000042B1 KR1019910003960A KR910003960A KR960000042B1 KR 960000042 B1 KR960000042 B1 KR 960000042B1 KR 1019910003960 A KR1019910003960 A KR 1019910003960A KR 910003960 A KR910003960 A KR 910003960A KR 960000042 B1 KR960000042 B1 KR 96000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
unsaturated carboxylic
catalyst
carboxylic acid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676A (ko
Inventor
요시까즈 시마
다까후미 아베
히로후미 히구찌
고이찌 기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니시까와 레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니시까와 레이지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스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87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at least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1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splitting-off hydrogen or functional groups; by hydrogenolysis of functional groups
    • C07C67/32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splitting-off hydrogen or functional groups; by hydrogenolysis of functional groups by elimination of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only in singly bound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좀더 상세하게는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원료로하여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공업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는 합성수지의 원료로서 공업적으로 비상하게 유용한 것이다.
특히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을 원료로하여 얻어지는 메타크릴산메틸은 내기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원료로서 공업적으로 중요한 용도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그룹은 먼저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 α-알콕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 및 β-알콕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로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에세테르를 원료로 사용하고,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촉매와 접촉 반응시킴으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 및/또는 그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일본국 특개평 2-196763호 공보).
그러나, 이 제조방법은 상당히 효율이 좋은 방법이지만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과 그 에스테르를 동시에 생성하기 때문에 이들 각 생성물을 증류 혹은 추출등의 분리 회수 조작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것이 제조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되기 때문에 좀더 경제적인 공정의 개량을 소망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로부터,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을 병산시키지 않고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만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를 계속하였다.
그 결과,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우선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촉매와 접촉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고체산촉매와 접촉반응시킴으로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고수율로 얻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에 접촉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고체산촉매로 접촉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제1의 촉매인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과 제2의 촉매인 고체산촉매의 각각의 존재하에 있어서,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순서대로 접촉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의 생성 및 그외의 부반응을 억제하고 착색도가 낮은 고품질의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고수율로 제조할 수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접촉반응은 원료와 촉매를 접촉하여 얻는 수법이라면 전부 채용되지만 특히 기체상 또는 기체/액체 혼합성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고 또 고정상 방식이나 유동상 방식 및 회분식 혹은 연속식등의 각종 반응방식이 채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원료인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에 그 에스테르의 알콕시부분에 상응하는 알코올을 용매로 가하여 원료용액을 조제한 후, 제1단계의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 촉매에 접촉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그대로 제2단계의 고체산촉매와 접촉반응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고품질의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고수율로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여기서 원료로 사용하는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들면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 및 락트산메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만을 목적으로한 경우에는, 대과잉의 알코올을 용매로 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알코올의 비율이 많아질 수록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분리에 요구되는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에 대하여 용매인 알코올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의 상황에 따라 정하면 좋으나 통상은 0-20배몰이며 바람직하게는 1-10배몰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용매를 가하지 않고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알코올의 혼합비율이 0배몰의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의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 촉매로서는 예를들면 x형 제올라이트 및 Y형 제올라이트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제올라이트로서는 몰레큘라시이브 13X 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의 고체산촉매로서는, 인산염을 함유하는 촉매, 고체인산촉매, 황산염을 함유하는 촉매, 및 실리카-알루미나, 실리카-티타니아, 실리카-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등의 산화물촉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반응관의 제1단계의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촉매를, 제2단계에 고체산촉매를 각각 소정량 충전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운반기체로서 질소를 소량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단계의 반응온도는 150-450℃, 바람직하게는 200-350℃의 범위로 선택, 또한 제2단계의 반응온도는 50-450℃, 바람직하게는 100-350℃의 범위로 선택한다.
다시또, 원료인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그대로 또는 알코올을 용매로한 농도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농도 30-85중량% 용액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한 각 단계에서 접촉반응시킨다.
원료의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도 좋고, α-알콕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 또는 β-알콕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와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생성액에 대하여 추출법이나 증류법을 적용함으로서 용이하게 고품질의 제품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분리회수할 수 있다.
또, 이 조작으로 분리회수되는 미반응원료는 반응에 재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출발원료로하고, 촉매로서 제1단계에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을, 제2단계에 고체산촉매를 사용하여 온화한 조건하에 접촉반응을 실시하여 고품질의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선택적으로 고수율로 제조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그 공업적인 의의는 극히 큰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경 15㎜×길이 450㎜의 석영 유리제품 반응관에 제1단계로 몰레큘라시이브 13X 및 제2단계로 실리카-티타니아(Si/Ti=85/15)를 각각 5g 충전하고 촉매층의 온도를 제1단계 240℃, 제2단계 150℃로 유지하였다.
메탄올을 촉매로한 농도 50중량%의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용액을 5g/시간으로 예열층을 통하여 기화시켜 촉매층에 공급하였다.
반응개시 4시간 후의 생성액을 분석한 결과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전환율은 99.8%였으며, 메타크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95.7%이고, 메타크릴산, 아세톤 및 α-메톡시이소부티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각각 1% 미만이었다.
반응개시 후 24시간을 경과하여도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전환율은 99.2%이며, 메타크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96%이었다.
또한 반응생성액의 착색도는 APHA 값으로 10이었다.
[실시예 2-6]
제1표에 나타낸 제2단계의 촉매를 사용하고 또한 제1표에 나타낸 반응온도로 설정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제1표에 나타낸 것과 같으나, α-히드록시이소부티로산메틸의 전환율은 99.6% 이상이며 또 반응생성액의 착색도는 APHA 값으로 10 이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 MMA : 메타크릴산메틸
** MS-13X : 몰레큘라시이브 13X
[비교예 1]
제2단계의 촉매를 충전하지 않은 것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행했다.
그 결과,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의 전환율이 99.6%에 있어서, 메타크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90.4%, 메타크릴산으로 선택율은 3.2%, 아세톤 및 α-메톡시이소부티르산메틸로의 선택율은 각각 약 1%로 되었고, 반응생성액의 착색도는 AHPA 값으로 50이 되었다.

Claims (7)

  1.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에 촉매에 접촉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고체산촉매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이 x형 제올라이트 또는 Y형 제올라이트인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고체산촉매가 인산염을 함유하는 촉매, 고체인산촉매, 황산염을 함유하는 촉매, 실리카-알루미나, 실리카-티타니아, 실리카-지르코니아 또는 제올라이트인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가, α-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메틸 및 락트산메틸인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원료인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알콕시부분에 상당하는 알코올을 반응용매로서 사용하는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반응용매로서 알코올을 α-히드록시카르복시산에스테르에 대하여 1-10배몰의 범위로 사용하는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촉매와의 접촉반응시의 온도가 150-450℃이며, 고체산촉매와의 접촉반응시의 온도가 50-450℃인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19910003960A 1990-03-15 1991-03-13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960000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2751A JP2906547B2 (ja) 1990-03-15 1990-03-15 α,β―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62751/1990 1990-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76A KR910016676A (ko) 1991-11-05
KR960000042B1 true KR960000042B1 (ko) 1996-01-03

Family

ID=1320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960A KR960000042B1 (ko) 1990-03-15 1991-03-13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75493A (ko)
EP (1) EP0446446B1 (ko)
JP (1) JP2906547B2 (ko)
KR (1) KR960000042B1 (ko)
DE (1) DE69013490T2 (ko)
ES (1) ES206546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858B2 (ja) * 1992-11-16 2001-07-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法
ES2157403T3 (es) * 1995-10-10 2001-08-16 Rohm & Haa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beta-trifluorometilcarboxilatos alfa,beta-insaturados y compuestos afines.
EP1186592A1 (en) * 2000-09-11 2002-03-1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Ltd. Production of methacrylates
JP4810770B2 (ja) * 2001-07-18 2011-11-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メタクリル酸アリルの製造方法
WO2005095320A1 (en) * 2004-04-02 2005-10-13 Ciba Specialty Chemicals Water Treatments Limited Preparation of acrylic acid derivatives from alpha or beta-hydroxy carboxylic acids
JP6694641B2 (ja) * 2015-06-30 2020-05-20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クリル酸等のα、β−不飽和カルボン酸、その誘導体の製造法
WO2023117754A1 (de) 2021-12-23 2023-06-29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kylmethacrylaten mit verbesserter ausbeute und verminderten emissionen flüchtiger organischer verbindungen
WO2023169810A1 (de) 2022-03-11 2023-09-14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pha-hydroxyisobuttersäuremethylester und dessen anwendung in der elektronik-industri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6704A (en) * 1943-10-01 1945-05-22 Goodrich Co B F Preparation of esters of alpha-beta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US2485510A (en) * 1946-02-13 1949-10-18 American Cyanamid Co Preparation of acrylic acid and esters thereof
DE1211153B (de) * 1957-10-29 1966-02-24 Escambia Chem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acrylsaeure und bzw. oder deren Estern durch Umsetzung der Daempfe von alpha-Oxyisobuttersaeure oder deren Estern
US3022337A (en) * 1958-06-03 1962-02-20 Wacker Chemie Gmbh Process for the catalytic production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esters
JPS5767534A (en) * 1980-10-16 1982-04-24 Mits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alpha,beta-unsaturated carboxylic ester and alpha,beta-unsaturated carboxylic acid
US4812593A (en) * 1986-08-27 1989-03-14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bifunctional compounds
JPH0727519B2 (ja) * 1987-10-09 1995-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数式編集方式
JP2727618B2 (ja) * 1989-01-26 1998-03-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64548A (ja) 1991-11-25
DE69013490T2 (de) 1995-03-23
EP0446446A3 (en) 1992-03-04
EP0446446B1 (en) 1994-10-19
ES2065462T3 (es) 1995-02-16
KR910016676A (ko) 1991-11-05
JP2906547B2 (ja) 1999-06-21
US5075493A (en) 1991-12-24
DE69013490D1 (de) 1994-11-24
EP0446446A2 (en) 199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038B1 (ko) 불포화 카르복시산 및 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960000041B1 (ko) 불포화 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3860234B2 (ja) メタクリル酸エステルの高収率製造方法
WO1992015548A1 (en) Production of hydroxy fatty acids and estolide intermediates
JP3189858B2 (ja) メタクリル酸メチルの製造法
KR960000042B1 (ko) α, β-불포화카르복시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2887011B2 (ja) 接触的アルケニルベンゼン環化
JPH01132543A (ja) アルファ‐イソホロンからベータ‐イソホロンを製造する方法
JP2939890B2 (ja) アクリル酸類の製造方法
CN1078881C (zh) 纯的5-甲酰戊酸酯的连续制备
JP2693160B2 (ja) 3−ペンテ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2884637B2 (ja)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US6093857A (en) Preparation of cyclopentanols
US2531512A (en) Process for making sorbic acid esters
EP0299743A1 (en) Recovery of acrylic acid and/or ethyl acrylate from black acid
JPH0346458B2 (ko)
JPH03115249A (ja) 有機酸エステルの連続製造法
KR930009980A (ko) 알킬 아디페이트의 제조방법
JPH03167156A (ja) 不飽和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JPH02229125A (ja) 2,6―ジ―tert―ブチル―4―メチル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US4772746A (en) Preparation of 4-pentenoates
JPH0446173A (ja) 環状ラクトンの製造方法
JPS6233134A (ja) トランス−3,7−ジメチル−5,7−オクタジエン−1−1イル エステル製造方法
CN1373119A (zh) 磷钨酸催化合成季戊四醇四庚酸酯的方法
JPS62169739A (ja) 1−フエニルプロパノ−ル及びスチレンオキサイドの同時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