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367B1 - 자수미싱 - Google Patents

자수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367B1
KR950014367B1 KR1019930004246A KR930004246A KR950014367B1 KR 950014367 B1 KR950014367 B1 KR 950014367B1 KR 1019930004246 A KR1019930004246 A KR 1019930004246A KR 930004246 A KR930004246 A KR 930004246A KR 950014367 B1 KR950014367 B1 KR 95001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embroidery
embroidery sewing
elev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891A (ko
Inventor
고우 시노다
히사또 사까끼바라
요시히로 무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바루단
시바따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074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517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바루단, 시바따 요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바루단
Publication of KR93001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수미싱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자수미싱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자수미싱을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3실시예의 자수미싱의 테이블 부근을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제4실시예의 자수미싱을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동 자수미싱의 테이블의 지지수단 등의 사시도.
제9도는 동 지지수단 등의 정면도.
제10도는 동 지지수단 등의 측면도.
제11도는 동 지지수단 등의 평면도.
제12도는 승강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는 제5실시예의 자수미성의 단면도.
제13도는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는 동 자수미싱의 단면도.
제14도는 승강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는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15도는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는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16도는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는 동 자수미싱의 부분사시도.
제17도는 승강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는 제6실시예의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18도는 승강테이블을 하강시킨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19도는 승강테이블을 하강위치에서 유지한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우측면도.
제21도는 승강테이블을 더 하강시키는 도중의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22도는 승강테이블을 상승시키기 전의 동 자수미싱의 부분정면도.
제23도는 승강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는 제7실시예의 자수미싱의 단면도.
제24도는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는 동 자수미싱의 단면도.
제25도는 동 자수미싱의 유지수단의 사시도.
제26도는 종래의 자수미싱의 문제점을 지적한 설명도.
제27도는 제26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틀 3 : 통형상베드
4 : 자수틀 5 : 가공직물
11 : 고정테이블 12 : 승강테이블
12a : 전연부 13 : 지지다리
14 : 고정다리 15 : 가동다리
17 : 래크 21 : 모터
22 : 피니언 26 : 힌지
27 : 어태치먼트 41 : 지지다리
42 : 고정다리 44 : 가동다리
53 : 클램프기구 58 : 수동핸들
60 : 워엄 61 : 워엄휘일
64 : 피니언 65 : 래크
71 : 커플링부재 77 : 상부크랭크아암
78 : 하부크랭크아암 80 : 상부코일스프링
81 : 하부코일스프링 93a-93c : 계지홈
94 : 제 1계지부재 95 : 제 2 계지부재
100 : 유지용코일스프링 104 : 계지돌기
105 : 요동부재 107 : 유지용코일스프링
108 : 로크장치 120 : 지지틀
121 : 슬라이드체 123 : 레일
125 : 실린더 127 : 고정구
128 : 계지체
본 발명은 자수미싱, 특히 자수헤드의 하측에 통형베드를 갖춘 자수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 T셔츠,스웨터 등과 같은 완성품의 자수가공에 사용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수헤드(31)의 하측에 통형상베드(32)가 마련되고, 이 통형상베드(32) 위에서 자수틀(33)이 전후좌우로 이동된다.자수틀(33)에는 가공직물(34)의 일부가 깔려있고, 자수헤드(31)에 마련된 바늘(35)과 통형상베드(32)에 내장한 가마(도시생략)와의 협동에 의해 가공직물(34)에 솔기가 형성된다. 가공직물(34)의 다른 부분은 자체무게로 자수틀(33)에서 늘어지게되지만 종래의 자수미싱에 있어서는 이 늘어진 부분을 받치는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때문에, 종래의 자수미싱에 의하면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수틀(33)이 가공직물(34)의 무게로앞으로 늘어지게된 상태로 이동되고, 가공직물(34)이 통형상베드(32)의 전단에서 강한 힘으로 접혀지는 것에 의해 서서히 이완하여 가공정밀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가공직물의 무게에 의해 자수틀이 앞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는 자수미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기틀의 상부에 테이블과 통형상베드를 마련하고, 이 통형상베드 위에서 자수틀을 이동시켜 자수틀에 펼쳐진 가공직물에 솔기를 형성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기테이블을 고정테이블과 승강테이블로 분할 형성하고, 승강테이블을 통형상베드와 대략 같은 높이의 상승위치와, 이 상승위치의 아랫쪽에서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하강위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승위치와 적어도 2개의 하강위치에서 각각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마련한 구성을 채택하였다.
상기 지지수단은 에를들면 승강테이블에 결합된 가동다리와 기기틀에 결합되어 가동다리의 승강을 안내하는 고정다리를 포함한다. 가동다리의 상단은 승강테이블의 대략 중심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상기 승강테이블을 승강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예를들면 상기 가동다리에 마련된 래크와, 이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유지수단은 상기 모터에 마련된 브레이크기구로 할 수 있다.
상기 승강테이블의 전연부를 힌지에 의해 아랫쪽으로 절곡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형상베드의 윗쪽에 자수틀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자수틀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어태치먼트를 상기 승강테이블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구동수단은 가동다리에 마련된 래크와, 이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과 함께 회전가능한 워엄휘일과, 이 워엄휘일에 맞물리는 워엄과, 이 워엄을 회전시키는 수동핸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수단은 워엄휘일 측에서의 회전력에 의해서는 회저되지 않는 워엄이다. 또,상기 고정다리에 가동다리를 조이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수단은 승강테이블을 평행운동시키는 평행크랭크기구로 할 수 있다. 상기 평행크랭크기구는예를들면 상기 승강테이블에 고정된 커플링부재와, 상기 기기틀의 일부와, 일단이 커플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기틀의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크랭크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평행크랭크기구를 채용한 경우 상기 승강테이브의 승강구동을 보조하는 구동보조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보조수단은 예를들면 상기 한쌍의 크랭크아암의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어 승강테이블에 항상 상향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 상기 구동보조수단은 한쌍의 크랭크아암의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어서 승강테이블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에는 승강테이블에 상향력을 가하고,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을때에는 승강테이블에 하향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평행크랭크기구를 채용한 경우, 상기 유지수단은 예를들면 상하 위치에 상이한 복수의 계지홈을 갖춘 제1계지부재와, 이 계지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계지돌기를 갖춘 제2계지부재를 포함하며, 이 제1계지부재와 제2계지부재는 승강테이블과 기기틀에 상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1계지부재는 요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계지홈과 계지돌기와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이 제1계지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2계지부재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계지홈과 계지돌기와의 계합을유지하도록 이 제2계지부재의 요동을 억제하는 로크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지지수단은 승강테이블의 기기틀에 부착된 슬라이드체와, 상기 기기틀에 부착되어 슬라이드체의승강을 안내하는 래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승강테이블의 승강구동을 보조하는 구동 보조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보조수단은 예를들면 상기 승강테이블에 결합되어서 승강테이블에 항상 상향력을 가하는 실린더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의 상기 유지수단은 예를들면 상기 승강테이블의 기기틀에 마련된 고정구와, 상기 기기틀에 상하위치를 변경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고정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계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수미싱을 사용하여 손수건 등의 평평한 가공직물을 자수가공하는 경우에는 승강테이블을 지지수단을 따라 통형상베드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상승위치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이 승강테이블을 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상승위치에서 유지하여 이후의 돌발적인 하강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형상베드 위에서 자수틀을 이동시켜서 이 자수틀에 펼쳐진 가공직물에 솔비를 형성하면 좋다.
또, 봉제한 T셔츠 또는 스웨터 등의 통형상의 가공직물을 자수가공하는 경우에는 승강테이블을 지지수단에 따라 높이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하강위치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하강시키과 동시에 유지수단에 의해그 선택한 하강위치에 유지하여 이후의 돌반적인 승강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형상베드 위에 자수틀을 설정하고 이 자수틀에서 늘어진 통형상의 가공직물의 내측으로 통형상베드를 통과시켜서 이 가공직물의 늘어진단부를 승강테이블의 윗면에서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 가공직물의 늘어진 단부 레벨은 가공직물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것이 있으나 상기와 같이 승강테이블은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하강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하강·유지될 수 있으므로 색다른 가공직물에 대응하여 그 늘어진 단부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 가공직물의 하중 일부를 부담할 수 있다. 그 결과가공직물에 의한 자수틀을 인하시키는 힘이 경감되어서 이 자수틀이 앞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형상베드 위에서 자수틀을 이동시켜서 가공직물에 솔기를 형성할 때에 가공직물과 통형상베드의전단이 강하게 접혀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가공직물을 자수틀의 정규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솔기를 정밀도가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자수미싱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틀(1)의 상부에 복수의 자수헤드(2)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각자수헤드(2)의 하측에는 통형상베드(3)가 전방으로 돌설되어 있다. 통형상베드(3) 위에는 자수틀(4)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들의 후부에 연결된 공통의 구동프레임(도시생략)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된다. 그리고, 자수틀(4)에는 가공직물(5)의 일부가 펼쳐져 있고, 이 부분에 바늘(6)과 가마에 의해 솔기가 형성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틀(1)은 좌우의 측벽(8)을 상부 비임(9) 및 하부 비임(10)으로연결한 형태로 구성되고, 그 좌우 양측 및 후측의 윗면에는 평면 ㄷ자형의 고정테이블(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테이블(11)으 내측에는 각 자수헤드(2)의 자수틀에서 늘어진 가공직물(5)을 받아들이는 승강테이블(12)이 배치되어 지지수단인 3개의 지지다리(13)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승강테이블(12)에는 이것이 상승위치까지 상승하였을때에 상기 통형상베드(3)가 수납되는 복수의 절개부(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각 지지다리(13)는 하부비임(10)에 고정된 고정다리(14)와, 그 내측에 삽입된 가동다리(15)와, 가동다리(15)를 윗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다리(15)의상단은 승강테이블(12)의 대략 중심위치에서 결합되고, 또 가동다리(15)의 의측면에는 래크(17)가 부착되어있다. 스프링(16)은 후술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작용과, 가동다리(15)를 원활하게 승강시키는 작용과, 가동다리(15)의 하강시의 완충작용을 가지며, 이들의 작용은 모터를 예를들면 수동핸들로 대신하였을때에도 유효하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비임(10)에는 복수의 베어링(19)에 의해 샤프트(20)가 지지됨과 동시에 이 샤프트(2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21)에는 유지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20) 위에는 각 지지다리(13)의 래크(17)에 맞물리는피니언(22)이 고정되고, 모터(21)의 정역회전에 의해 가동다리(15)를 개재하여 승강테이블(12)을 스강 구동하며, 아울러 모터(21)의 정지후에는 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을 상승위치와 어느 하강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다리(15)는 고정다리(14)의 내면 4귀퉁이에 접하는 복수의 롤러(23)를 갖추며, 이것에 의해 고정다리(14)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 원활하게 승가 안내된다.
제1도에 있어서, 24는 모터(21)를 정회전, 역회전,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정밀한 눈금조작에 의해승강테이블(12)의 위치마춤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수미싱에 있어서, T셔츠 또는 스웨터 등의 완성품을 자수가공하는 경우에는 모터(21)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이 가공직물(5)의 들어진 단을 받아들이는 하강위치(제1도에서는 실선위치, 제2도에서는 쇄선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테이블(12)이 가공직물(5)이 하중 일부를 부담하기때문에 자수틀(4)을 끌어내리는 힘이 경감되어서 직물이 늘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가공직물(5)과 통형상베드(3)의 전단이 강하게 접혀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가공직물(5)을 자수틀(4)의정규위치에서 유지한 상태로 솔기를 정밀도가 높게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승강테이블(12)은 모터(21)에의해 상승위치를 연속적인 형태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하강위치로 구동되며, 이에따라 가공직물(5)의 종류 또는 크기를 변경한 경우에서도 그에따라가공직물(5)의 늘어진 부분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승강테이블(1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가동다리(15)의 상단이 승강테이블(12)의 대략 중심위치에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테이블(12)을 요동없이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손수건 등의 평평한 가공직물(도시생략)을 자수가공하는 경우에는 모터(21)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이 상승위치(제1도에서는 쇄선위치, 제2도에서는 실선위치)에 배치되고, 승강테이블(12)의 윗면은 고정테이블(11) 및 통형베드(3)의 윗면과 대략 동일한 면이 된다.
다음에,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승가테이블(12)의 전연부(12a)가 힌지(26)에 의해 아랫쪽으로 절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서만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이것에 의하면 자수가공 중에는 전연부(12a)를 포함하는 승강테이블(12)에서 가공직물(5)을 받아들일 수 있고, 상기한 효과를 얻는 것에 더하여 가공후는 전연부(12a)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의 안쪽 길이를 작게하고, 실교환 또는 보수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다음 기구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만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승강테이블(12)에 전후로 연장한 홈(12b)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각 홈(12b)에는 자수틀(4)이 앞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어태치먼트(27)가 롤러(28)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어태치먼트(27)는 연결난간(2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결난간(29) 위에는 자수틀(4)의 앞부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면(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27)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의상기한 작용효과와 함께 대형의 가공직물(5)의 경우에서도 자수틀(4)이 앞으로 늘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승강테이블(12)의 지지수단,유지수단 및구동수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상위하다. 즉, 승강테이블(12)은 지지수단으로서의 3개의 지지다리(41)에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다리(41)는 하부비임의 윗면에 고정된 통형상의 고정다리(42)와 이 고정다리(42) 내의 안내구멍(43)에 상하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삽입된 가동다리(44)로 구성되어있다.
가동다리(44)의 상단 플랜지(48)는 승강테이블(12)의 정확한 중심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다리(42)는하단플랜지(45)의 긴구멍(46)을 통과한 볼트(도시생략)를 하부비임(10)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조절가능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하단플랜지(45)의 암나사구멍(47)에 나사결합된 블트(도시생략)를 하부비임(10)에 접촉시켜 수준조절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고정다리(42)에는 가동다리(44)의 클램프기구(53)가 마련되어 있다. 즉, 고정다리(42)의 상부에는 감(49)과 이것을 직각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구멍(50)에는 조이볼트(51)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조임볼트(51)에는 레버(52)가 부착되어 있다.그리고, 승강테이블(12)이 원하는 높이로 되었을때에 이 클램프기구(53)의 레버(52)를 돌려서 가동다리(44)를 강하게 조이고 승강테이블(1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본 실시예의 구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3개의 다리 중 그 중앙의 지지다리(41)에 있어서, 고정다리(42)의 좌측면에는 하우징(55)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55)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입력축(56)이 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있고, 이 입력축(56)의 전방돌출 단부에는 돌기(57)가 형성되어 있다.이 돌기(57)에 수동핸들(58)의 결합요부(59)를 결합시켜서 수동핸들(58)을 손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입력축(5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입력축(56)의 중앙부에는 워엄(60)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5) 내에는 워엄(60)에 맞물리는 워엄휘일(61)이 좌우방향으로 뻗은 통형상의 축(62)과 함께 회전가능하계 축착되어 있다. 63은 통형상축(62)의 베어링이다.
또, 안내구멍(43)의 후방에 연속한 고정다리(42)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축(62)에는 이것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64)이 부착되어 있고, 이 피니언(64)은 가동다리(44)의 후면에 형성된 래크(65)에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축(62), 베어링(63), 피니언(64) 및 래크(65)는 좌우의 지지다리(41)에도 마련되어 있다.3개의 지지다리(41)의 통형상축(62)에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1개의 샤프트(66)가 통과하고 있다.통형상축(62) 중 고정다리(42)로부터우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 부분에서180도 떨어진 2개의 장소에는 슬릿(6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의 외주에는 조임링(67)이 장착되고, 이조임링(67)에는 갭(68)과 이것을 직각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구멍(69)에조임볼트(70)를 나사결합하여 조임링(67)을 통형상축(62)으로 조이면, 통형상축(62)이 상기 슬릿(62a)에있어서 축경샤프트(66)를 물기 때문에 샤프트(66)와 각 통형상축(62)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의 지지다리(41)의 입력축(56)에 수동핸들(58)을 결합하고, 이 수동핸들(58)을 손으로돌려서 입력축(56) 및 워엄(60)을 회전시키면, 워엄휘일(61), 통형상축(62), 샤프트(66) 그리고 각 지지다리(41)의 피니언(64)이 천천히 회전하고, 이 회전이 래크(65)의 상하 움직임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각 지지다리(41)의 가동다리(44)가 동시에 상하로 움직이고, 승강테이블(12)을 상승위치와 연속적으로 변경가능한어느 하강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후 임력축(56)에서 수동핸들(58)을 떼어내어도 워엄(60)은 워업휘일(61)측의 회전력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 워엄(60)이 승강테이블(12)의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또한, 상기 클램프기구(53)로 가동다리(44)를 조이면 후술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제1실시예로부터 승강테이블(12)이 지지수단, 유지수단 및 구동수단의 부품개수가 감소하고, 조립부착성이 향상하여 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2) 승강테이블(12)의 정확한 중심위치에 가동다리(44)의 상단이 결합하고 있으므로 이 승강테이블(12)을보다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3) 상기와 같이 가동다리(44)를 조이면, 그 낙하방지 뿐만 아니라 자수미싱 운전시 승강테이블(12)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4) 지지수단, 유지수단 및 구동수단이 하부비임(10)으로부터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방해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12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승강테이블(12)의 지지수단, 유지수단 및구동보조수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상위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수단은 평행크랭크기구로서 승강테이블(12)의 하측에 고정된 커플링부재(71)와,기기틀(1)의 후방기둥(72)과, 전단이 축(73,74)에 의해 커플링부재(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이축(75,76)으로 후방기둥(7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하 한쌍의 크랭크아암(77,78)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크랭크아암(77)은 L자형을 이루고 있으나 그 축(73)과 축(75)을 잇는 선과 하부 크랭크아암(78)의 축(74)과 축(76)을 잇는 선은 평행하다.
또 축(73)과 축(74)을 잇는 선과 축(75)과 축(76)을 잇는 선은 둘다 수직이며, 축(75)과 축(76) 사이의후방기둥(72)은 고정마다이다. 따라서, 이 평행 크랭크기구는 크랭크아암(77,78)의 요동에 따라 승강테이블(12)을 평행운동시킨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테이블(12)을 수동력으로 승강구동하지만 그 승강구동을 작은 힘으로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동보조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전동, 공압, 유압 또는 다른 작용에 의한 구동수단을마련할 수도 있다. 구동보조수단은 상부코일스프링(80) 및 하부코일 스프링(81)을 포함한다. 상부코일스프링(80)은 전단이 하부크랭크아암(78)의 전단부근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82)에 대하여 나사조절부재(83)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후단이 상부크랭크아암(77)의 후단 부근에 용접 등으로 브라켓(84)(축(75)의 약간 아랫쪽)에 대하여 결합되어 있다. 나사조절부제(83)는 상부코일스프링(80)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코일스프링(80)은 제12도의 단축 상태에서는 하부크랭크아암(78)의 전단부근을약하게 끌어올리고, 제13도의 신장상태에서는 하부크랭크아암(78)을 강하게 끌어올려서 항상승강테이블(12)에 상향력을 가한다.
하부코일스프링(81)은 전단이 하부크랭크아암(78)의 중앙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85)에 대하여나사조절부재(86)를 재재하여 결합되고, 후단이 후방기둥(7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87)에 대하여결합되어 있다. 나사조절부재(86)는 코일스프링(8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12도의 승강테이블(12)의 상승시에는 하부코일스프링(81)과 브라켓(87)과의 결합점이 축(74)과 축(76)을 잇는 선보다 윗쪽으로 오기 때문에 이 하부코일스프링(81)은 하부크랭크아암(78)의 전단부근을 끌어올려서 승강테이블(12)에 상향력을 가한다. 한편, 제13도의 승강테이블(12)의 하강시에는 하부코일스프링(81)과브라켓)과의 결합점 축(74)과 축(76)을 잇는 선보다 아래쪽로 오기 때문에 이 하부코일스프링(8l)은하부크랭크아암(78)을 끌어내려서 승강테이블(12)에 하향력을 가하고 승강테이블(12)을 하강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승강테이블(12)이 제12도의 상승위치와 제13도의 하강위치의 직전까지의 사이에 있을때 상부 및하부의 코일프링(80,81)에 의한 상향력이 승강테이블(12)의 중량보다 약간 강하도록(이 양자의 차 부분을이하 "잉여력"이라함), 이 코이스프링(80,81)의 장력이 나사조절부재(83,86)에 의해 조절되어 있다. 또한,코일스프링(80,81)의 잉여력은 평행크랭크기구의 각 부의 마찰강도에 상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하부 크랭크아암(78)의 후단은 축(76)을 넘어서 후방으로 뻗어 있으며, 이 후단과 기기틀(11)의 하단에마련된 브라켓(88)과의 사이에는 유압 또는 가스로 작동하는 실린더(89)가 접속되어 있고, 승강테이블(12)의 승강운동을 완충하는 수단으로 되어있다. 후방기둥(72)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브라켓(90)에는 제12도의승강테이블(12)의 상승시에 하부크랭크아암(78)의 후단부 하면에 접촉하여 그 요동을 제한하는 스토퍼(91)가 나사조절부재(92)를 재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유지수단은 상하 위치가 상이한 3개(2개나 4개 이상도 가능하다)의 계지홈(93a,93b,93c)을 갖춘 상하로 긴 제1계지부재(94)와, 이 계지홈(93a) 등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계지부재(95)로서의 계지돌기를 포함한다.
계지홈(93a) 등의 하변은 수평하나, 상변은 모두 경사변(103)으로 되어있다. 제1계지부재(94)는 부착판(97)에 축(98)으로 요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부착판(97)은 승강테이블(12)의 하측에 고정된 테이블비임(99)의 앞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계지돌기인 제2계지부재(95)는 부착판(96)에 고정되고, 이 부착판(96)은 기기틀(1)의 하부비임(10)의 앞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 제1계지부재(94)의 상단과 테이블비임(99)과의 사이에는 유지용 코일스프링(100)이 장착되고, 상기 계지홈(93a) 등과 제2계지부재(95)와의결합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제1계지부재(94)의 요동을 억제하고 있다. 부착판(97)에는 제1계지부재(94)의요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101)가 마련되어 있다. 제1계지부재(94)의 하단에는 상기 계지홈(93a) 등과 제2계지부재(95)와의 결합을 수동으로 떼어내기 위한 파지봉(102)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다음과 같은 점이 보충되어 있다. 즉, 승강테이블(12)을 제12도 및 제14도에 실선으로 도시한(제15도 및 제16도에는 2점쇄선으로 도시함) 상승위치에서 제13도, 제15도 및 제16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하강위치로 수동력에 의해 하강시킬때 상기와 같이 상부및 하부의 코일스프링(80,81)에 의한 상향력이 승강테이블(12)의 중량보다 약간 강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중량을 지탱할 필요가 없으며, 코일스프링(80,81)의 잉여력에 저항하여 승강테이블(12)을 하향으로 가볍게누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또 실린더(89)가 승강테이블(12)의 급격한 하강을 완충하므로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테이블(12)의 하강시에는 먼저 제1계지부제(94)의 하단의 경사변(103)이 제2계지부재(95)에 접촉하여 횡방향으로 눌리기 때문에 약간의 요동에 의해 이 제1계지부재(94)는 보조지지용 코일스프링(100)에 의해 빠져나오고, 가장 아래의 계지홈(93a)이 제2계지부재(95)에 결합한다(그 상태는 도시생략).
따라서, 승강테이블(12)이 그 하강위치에서 상부코일스프링(80)에 의해 상승하게되는 현상을 방지한다.한편, 승강테이블(12)의 하강은 주로 상부코일스프링(80)이 방지하며, 이때 승강테이블(12)의 하강위치는 3단계중 가장 높은 곳에 있다.
따라서, 상기 하강위치를 보다 낮게 하였을때는 승강테이블(12)을 다시 눌러서 하강시키고, 계지홈(93a)등의 바로 위의 경사변(103)을 제2계지부재(95)에서 접히게 하며,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홈(93b) 또는 계지홈(93c)과 계지돌기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맨 위의 계지홈(93c)과 제2계지부재(95)가결합하였을때 상기와 같이 하부코일스프링(81)은 하부크랭크 아암(78)을 끌어올리기 때문에 승강테이블(12)의 유지에 기여한다.
한편, 상기 하강위치를 보다 높게하였을때 또는 상승위치로 하였을때에는 파지봉(102)을 파지하여 제1계지부재(94)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계지홈(93a)과 제2계지부재(95)와의 결합상태를 분리하고 승강테이블(12)을 수동력으로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의 코일스프링(80,81)에 의한 상향력이 승강테이블(12)의 중량보다 약간 강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러한 중량에 대해 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고, 코일스프링(80,81)의 잉여력에 도움을 주어서 승강테이블(12)을 상향으로 가볍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또, 슬린더(89)가 승강테이블(12)의 급격한 상승을 완충하므로 안전하게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80,81)의 잉여력을 평행링크기구의 각부의 마찰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하면, 승강테이블(12)은 이 잉여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승구동된다. 따라서, 이 경우 코일스프링(80,81)은 상승을 위한 구동수단이 된다. 단지 이 경우 승강테이블(12)의 하강에 내해서는 보다 큰 수동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승강테이블(12)의 하강위치는 3단계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직물(5)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그 늘어진 단부를 받아들이도록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제17도 내지 제2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6실시에는 승강테이블(12)의 유지수단에 있어서만 제5실시예와 상위하다. 본 실시예의 유지수단에 있어서는 제1계지부재(94)가 부착판(97)에 나사로 고정되고, 계지홈(93a) 등의 상변은 수평한 부분과 경사변(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제2계지부재(95)는 계지돌기(104)에 설치된 요동부재(105)로 구성되고, 이 요동부재(105)는 부착판(96)의 상부에 축(106)으로 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요동부재(105)와 부착판(96)의 좌단부 사이에는 유지용 코일스프링(107)이 장착되고, 상기 결합홈(93a) 등과 계지돌기(104)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요동부재(105)를 가압하고 있다.
요동부재(105)의 하부에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크장치(10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로크장치(108)는 요동부재(105)를 나사로 부착하는 숫나사 부착의 통형상부(109)와, 이 통형상부(109)의 로크너트(110)와이 통형상부(109)의 내부를 이동하는 플랜지부착의 로크핀(1l1)과, 이 플랜지지에 접촉하여 로크핀(111)을부착판(96)측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112)과, 로크핀(111)을 바로 앞측으로 끌어당기는 조작노브(113)와,이 조작노브(113)를 끌어당긴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114)를 포함한다. 또, 부착판(96)에는 결합홈(93a)등과 계지돌기(104)와의 결합시에 로크핀(11l)이 삽입가능한 로코구멍(l15)과, 결합홈(93a) 등과 계지돌기(104)와의 이탈 시에 로크핀(111)이 삽입가능한 원호구멍(1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지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12)이 상승위치에 있을때에는 로크핀(111)을 원호구멍(l16)의 하단에 삽입하여 놓는다. 이 상태에서 승강테이블(12)을하강시키면, 제1계지부재(94)의 하단의 경사변(103)이 계지돌기(104)를 횡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요동부재(105)는 약간 요동하면서 유지용 코일스프링(107)에 의해 복귀하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돌기(104)는 계지홈(93a)에 계지하여 걸린다. 그리고, 로크핀(111)을 원호구멍(116)에서 빼내서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부재(105)를 요동시키고, 계지돌기(104)를 계지홈(93a)에 완전히 계지시켜로크핀(111)을 로크구멍(115)에 삽입한다. 이 로크에 의해 계지돌기(104)와 계지홈(93a)과의 이탈이 방지되고, 승강테이블(12)의 이후의 승강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이때 승강테이블(12)의 하강위치는 3단계 중 제일 높은 곳에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위치를 보다 낮게 하였을때에는 제20도에 쇄선 및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핀(111)을 로크구멍(115)에서 빼내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구멍(116)의 하단에 삽입한 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 상태에서 승강테이블(12)을 하강시키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돌기(104)는 계지홈(93a)의 상변에서 이탈하고, 이 계지홈(93a)의 바로 위의 경사변(103)을 거쳐 제1계지부재(94)의 우변과 함께 접힌 후 위쪽의 계지홈(93b)에 결합한다(이 결합상태는 도시하지 않음).
한편, 상기 하강위치가 상승위치로 되돌아 왔을때에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핀(111)이 원호구멍(116)의 상단부근까지 미끄럼 이동하도록 요동부재(105)를 요동시킨다. 그러면, 계지돌기(104)가 계지홈(93b)의 하면에서 완전히 이탈하므로 승강테이블(12)을 수동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다음에, 제23도 내지 제2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승강테이블(12)의 지지수단, 유지수단 및 구동보조수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은 승강테이블(12)의 지지틀(120)의배면측에 부착된 상하 한쌍의 슬라이드체(121)와, 기기틀(1)의 다리부 외장판(122)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체(121)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하방향의 레일(123)을 포함한다.
구동보조수단은 상단이 기기틀(120)에 결합되고 하단이 기기틀(1)의 브라켓(124)에 결합된 실린더(125)이며, 유압 또는 가스에 의해 작동하여 승강테이블(12)에 항상 상향력을 가한다.135는 기기틀(1)에 고정된스토퍼로서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테이블(12)의 상승위치에서 기기틀(120)의 상승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 유지수단은 기기틀(120)의 테이블비임(126)에 부착된 고정구(127)와 기기틀(1)의 다리부 외장판(122)에 상하위치를 연속하여 변경가능하게 부착하여 고정구(127)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계지체(128)를 포함한다. 계지체(128)는 슬라이드부재(l30)에 부착되고, 이 슬라이드부재(130)는 각부 외장판(122)에 부착된레일(129)에서 승강 안내된다. 슬라이드부재(130)에 돌설된 브라켓(131)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조정나사(132)가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진행불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조정나사(132)의 하부는 다리부 외장판(122)에부착된 브라켓(133)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조정나사(132)의 하단에는 회전손잡이(134)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테이블(12)을 하강시키기 전에 또는 하강시킨 후에 회전손잡이(134)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계지체(128)의 상하위치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승강테이블(12)의 하강위치를 연속적으로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 부분의 형상 및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여 구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제1실시예의 모터를 대신하여, 로크기구부착의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기도 하고, 제4실시예의 구동수단을 대신하여 스크류-샤프트 등에 의한 수동식 구동수단을 사용하기도 하는 것.
(2) 승강테이블과 통형베드 등의 사이에 돌발적으로 물체 등이 끼워지지 않도록 승강테이블을 상승단부위치의 바로 앞(예를들면 상승단부 보다 5cm 낮은 위치)에서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도 하고, 물체 등에 끼워지는 현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기도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수미싱에 의하면 가공직물의 종류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가공직물의늘어진 단부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승강테이블의 하강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직물의 무게에 의해 자수틀이 앞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자수가공의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Claims (23)

  1. 기기틀의 상부에 테이블과 통형상베드를 설치하고, 이 통형상베드 위에서 자수틀을 이동시켜 자수틀에 렬쳐진가공직물의 솔기를 형성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을 고정테이블(11)과 승강테이블(12)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승강테이블(12)을 통형베드(3)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상승위치와, 이 상승위치의 아랫쪽에서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하강위치에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승강테이블(12)을 상기 상승위치나 적어도 2개의 하강위치에서 각각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승강테이블(12)에 결합된 가동다리(15)와 상기 기기틀(1)에결합되어 이 가동다리(15)의 승강을 안내하는 고정다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다리(15)의 상단을 상기 승강테이불(12)의 대략 중심위치에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12)을 승강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동다리(15)에 설치된 래크(17)와, 이 래크(17)에 맞물리는피니언(22)와, 이 피니언(22)을 회전시키는 모터(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모터(21)에 마련된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12)의 전연부(12a)를 힌지(26)에 의해 아랫쪽으로 절곡가능하게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메드(3)의 윗쪽에 자수틀(4)을 이동가능하게 마련하고, 이 자수틀(4)을하측에서 지지하는 어태치먼트(27)를 승강테이블(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가동다리(15)에 마련된 레크(17)와,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22)과, 이 피니언(22)과 함께 회전가능한 워엄휘일(61)과 이 워엄휘일(61)이 맞물리는 워엄(60)과, 이 워엄(60)을 회전시키는 수동핸들(58)을 초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워엄휘일(61) 측으로부터 회전력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는 워엄(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리(14)에 상기 가동다리(15)를 조이는 클램프기구(53)를 설치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승강테이블(12)을 평행운동시키는 평행크랭크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크랭크기구는 상기 승강테이블(12)에 고정된 커플링부재(71)와, 상기 기기틀(1)의 일부와, 일단이 상기 커플링부재(7l)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기틀(1)의 일부에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크랭크아암(77,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12)의 승강구동을 보조하는 구동보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미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보조수단은 상기 한쌍의 크랭크아암(77,78)의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어서승강테이블(12)에 항상 상향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보조수단은 상기 한쌍의 크랭크아암의 적어도 한쪽에 결합되어서, 상기승강테이불이 상승위치에 있을때에는 승강테이블에 상향력을 가하고, 승강테이블이 하강위치에 있을때에는승강테이블의 하항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하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계지홈(93a,93b,93c)을 갖춘 제1계지부재(94)와, 이 계지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계지돌기(104)를 갖춘 제2계지부재(95)를 포함하며,이 제1계지부재(94)와 제2계지부재(95)는 상기 승강테이블(12)과 기기틀(1)에 상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지부재(94)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계지홈(93a,93b,93c)과 계지돌기(104)와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제1계지부재(94)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수미싱.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지부재(95)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계지홈(93a,93b,93c)과 계지돌기(104)와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제2계지부재(95)의 요동을 로크하는 로크장치(10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승강테이블(12)의 지지틀(120)에 부착된 슬라이드체(121)와,상기 기기틀(1)에 부착되어 슬라이드체(121)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수미싱.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테이블(12)의 승강구동을 보조하는 구동보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수미싱.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보조수단은 상기 승강테이블(12)에 결합되어서 이 승강테이블(12)에 항상상향력을 가하는 실린더(125)인 것을 특정으로 하는 자수미싱.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승강테이블(12)의 지지틀(120)에 마련된 고정구(127)와 상기기기틀(1)에서 상하위치의 변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
KR1019930004246A 1992-03-21 1993-03-19 자수미싱 KR950014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79792 1992-03-21
JP92-94797 1992-03-21
JP25396492 1992-08-28
JP92-253964 1992-08-28
JP35981592 1992-12-28
JP92-359815 1992-12-28
JP36074292A JP3425173B2 (ja) 1992-08-28 1992-12-29 刺繍ミシン
JP92-360742 1992-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91A KR930019891A (ko) 1993-10-18
KR950014367B1 true KR950014367B1 (ko) 1995-11-25

Family

ID=2746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246A KR950014367B1 (ko) 1992-03-21 1993-03-19 자수미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3412A (ko)
KR (1) KR950014367B1 (ko)
CN (1) CN1039548C (ko)
DE (1) DE4308515C2 (ko)
ES (1) ES2078140B1 (ko)
FR (1) FR2689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382A (en) * 1994-09-15 1998-11-24 Tice Engineering And Sales, Inc. Electronically geared sewing machine
US5458075A (en) * 1994-09-15 1995-10-17 Tice Engineering And Sales, Inc. Electronically geared sewing machine
JPH0994367A (ja) * 1995-09-28 1997-04-0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05A (en) * 1896-09-01 School seat and desk
US944560A (en) * 1908-01-27 1909-12-28 Henry S Cahn Table and support.
US1346586A (en) * 1917-09-28 1920-07-13 John V Mcmanis Table-supporting mechanism
US2570183A (en) * 1948-05-22 1951-10-09 Weber John George Elevating device for table tops
US2738248A (en) * 1952-02-25 1956-03-13 Berker Otto Furniture housing for a portable sewing machine
DE1932966U (de) * 1965-12-07 1966-02-17 Carl Zangs Aktien Ges Maschf Stickmaschine mit einer spreiz- und spannvorrichtung fuer schlauchfoermiges stickgut.
US3726237A (en) * 1972-02-14 1973-04-10 Roberts Mfg Work table for open-arm sewing machine
US3946682A (en) * 1974-10-25 1976-03-30 The Singer Company - Patent Department Swingaway convertible bed cabinets
US3993008A (en) * 1975-11-24 1976-11-23 Parsons Sr Joe T Power lift for a sewing machine head
US4018487A (en) * 1976-03-25 1977-04-19 Keyston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am adjustment for tension spring of sewing machine head lifter mechanism
US4089573A (en) * 1977-02-07 1978-05-16 Desoto, Inc. Hinge assembly for mounting sewing machine in cabinet
US4157851A (en) * 1977-06-17 1979-06-12 Yasushi Tomuro Ascent and descent means of a free-arm sewing machine
US4123124A (en) * 1977-07-07 1978-10-31 The Singer Company Convertible sewing machine cabinet
US4135463A (en) * 1977-12-21 1979-01-23 Rejean Lacasse Mounting arrangement for a sewing machine
US4201427A (en) * 1978-08-07 1980-05-06 Keyston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Sewing machine positioner device
US4202284A (en) * 1978-12-29 1980-05-13 Parsons Joe T Sr Sewing machine table
IT8022033V0 (it) * 1980-06-12 1980-06-12 Rockwell Rimoldi Spa Tavoletta portapezzi per macchine per cucire.
US4357885A (en) * 1981-08-12 1982-11-09 Liberty Embroidery, Inc. Fabric holding device for multi-head embroidery machines
DE8138223U1 (de) * 1981-12-31 1982-05-19 Horst Häusser Metallwaren GmbH, 7062 Rudersberg Hoehenverstellbare arbeitsplatte
US4386573A (en) * 1982-10-20 1983-06-07 The Singer Company Embroidery attachment for electronic sewing machine
US4691888A (en) * 1984-08-06 1987-09-08 Cotterill Michael J Keyboard support
US4690466A (en) * 1986-05-30 1987-09-01 Delta Wood Products, Inc. Sewing machine cabinet and lift
US4850563A (en) * 1987-06-06 1989-07-25 Ergonomic Equipment Pty. Ltd. Adjustable desk frame
JPS6411752A (en) * 1987-07-01 1989-01-17 Yoshinari Okita Machining size control device
US4993333A (en) * 1989-05-08 1991-02-19 Moore Iii Edgar F Sewing apparatus
GB2257717B (en) * 1991-07-18 1996-02-28 Barudan Co Ltd Sewing machine table
JP3219809B2 (ja) * 1991-11-06 2001-10-15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ミシン
US5249533A (en) * 1991-07-18 1993-10-05 Barudan America, Inc. Sewing machine table
US5228401A (en) * 1991-09-19 1993-07-20 Barudan America Inc. Sewing machine and pantograph drive, bracket, boom, and hoo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48C (zh) 1998-08-19
ES2078140A2 (es) 1995-12-01
DE4308515C2 (de) 1996-11-14
DE4308515A1 (en) 1993-09-23
CN1079014A (zh) 1993-12-01
FR2689525B1 (fr) 1995-01-20
ES2078140B1 (es) 1997-11-16
US5383412A (en) 1995-01-24
KR930019891A (ko) 1993-10-18
FR2689525A1 (fr) 1993-10-08
ES2078140R (ko) 199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051A (en) Guide device for the workpiece of a sewing machine
KR950014367B1 (ko) 자수미싱
JPH0240351B2 (ko)
JPH06313259A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構造
JP3219809B2 (ja) 刺繍ミシン
JP3425173B2 (ja) 刺繍ミシン
CN112962227B (zh) 一种用于智能缝纫机的自动导布装置及其工作方法
KR100491057B1 (ko) 재봉틀
US3340836A (en) Knee shift mechanisms for sewing machines
EP0732070B1 (en) A bed, in particular nursing bed
JPH0438588B2 (ko)
JP7466997B2 (ja) 刺しゅう装置
JP3107846B2 (ja) ミシン
JP3268606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CN219180166U (zh) 一种可调式背景板
JPH07189110A (ja) 刺繍ミシンの刺繍枠保持装置
JPH049993Y2 (ko)
CN216107571U (zh) 自动绣花机
JP4769355B2 (ja) ミシンの押え上げ装置
JPH077894Y2 (ja) ミシン
JP2871285B2 (ja) ミシンの回転数制御装置
JPH0719426Y2 (ja) ミシンの先引きローラ装置
JP3951987B2 (ja) 帽子枠装置
JPS6321251Y2 (ko)
JP3016999B2 (ja) 縫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