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57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57B1
KR100491057B1 KR10-2003-0028774A KR20030028774A KR100491057B1 KR 100491057 B1 KR100491057 B1 KR 100491057B1 KR 20030028774 A KR20030028774 A KR 20030028774A KR 100491057 B1 KR100491057 B1 KR 10049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uide
drive member
sewing machi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554A (ko
Inventor
인덴다까시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직물 이송대를 Y 방향으로 이송하는 Y 구동 부재를 상기 직물 이송대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어 직물 이송대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재봉틀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직물 이송대를 X-Y 방향으로 구동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다음의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 즉, 베드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X축 고정 레일이 설치되고, 그 X축 고정 레일에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는 X축 이동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 X축 이동 레일 상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Y축 고정 레일이 설치되고, 이 Y축 고정 레일에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는 Y축 이동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 Y축 이동 레일 상에 직물 압박대가 고정되고, 이 직물 압박대의 후단부에 Y 구동대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Y 구동대를 Y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직물 압박대를 Y축 이동 레일의 가이드에 의해 Y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소화 57년 제5517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Y축 이동 레일을 가이드하는 2개의 Y축 고정 레일이 X축 이동 레일이라는 베드 내의 한정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Y축 고정 레일 사이가 좁아져 버린다. 그 결과, Y 구동대의 휨이나 진동 등이 Y축 이동 레일에 전달되어 Y축 이동 레일이 덜걱거리기 쉬워져, 이송 정밀도가 악화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이송대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가공 직물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직물 이송대가 배치된 베드와, 그 베드의 상방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과, 상기 직물 이송대를 Y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Y 구동 부재와, 상기 직물 이송대를 X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X 구동 부재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Y 구동 부재를 상기 직물 이송대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Y 구동 부재를 구동하면 이 자체가 가이드 기구에 의해 Y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직물 이송대도 Y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경우, Y 구동 부재가 상기 직물 이송대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이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기구 사이가 커 Y 구동 부재의 휨이나 진동이 억제되어, 그 결과 직물 이송대의 덜걱거림이 억제되어 직물 이송대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 부재와, 상기 베드와 아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 부재를 각각 Y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Y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Y 구동 부재를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직물 이송대의 X-Y 방향의 구동 범위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그 플레이트의 X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큰 플레이트에 가이드 레일을 부착할 수 있어 가이드 레일 사이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기구 사이의 크기 확보가 간단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아암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직물 이송대를 하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재봉틀에 구비된 기존의 압박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로서 새로운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 접촉하는 구름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안내 부재가 구름 이동 부재의 구름 이동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저항을 적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16)이 연장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그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틀 본체(10)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드(12)와, 베드(12)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리 기둥부(14)와, 다리 기둥부(14)로부터 베드(12)와 대향하도록 좌측으로 연장되는 아암(16)을 갖는다. 또한, 베드(12)의 선단부 부분은 비교적 큰 테이블(17)로 덮여 있다.
베드(12)의 상면에는 가공 직물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직물 이송대(18)가 X-Y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직물 이송대(18)는 L자 형상의 직물 압박대(20)와, 그 직물 압박대(20)의 하단부에 부착된 직물 압박 하부판(22)과, 그 직물 압박 하부판(22)과 협동하여 가공 직물을 협지하기 위한 직물 압박 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직물 압박 부재(24)는 부착 부재(26)에 의해 직물 압박대(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직물 압박대(20)의 측면에는 에어 실린더(28)가 부착되어 있고, 그 에어 실린더(28)는 로드(30)를 양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물 압박대(20)의 측면에는 크랭크 핀(32)이 그 축(3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크랭크 핀(32)의 일단부가 에어 실린더(28)의 로드(30)의 선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 핀(32)의 타단부는 부착 부재(26)의 결합 구멍(34)(도3 참조)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28)가 그 로드(30)를 출입함으로써 직물 압박 부재(24)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직물 이송대(18)를 X 방향으로 구동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 기구는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소화 57년 제55177호 공보의 기구와 대략 동일하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베드(12) 내에는 X 이송 모터(36)가 설치되어 있고, 그 모터(36)의 회전축(38) 선단부는 베드(12) 내에 고정된 역ㄷ자 형상의 지지 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8)의 선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풀리가 고정되어 있고, 그 구동 풀리와 도시하지 않은 종동 풀리 사이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이밍 벨트(42)가 걸쳐져 있다.
타이밍 벨트(42)의 상부측에는 X 구동 부재(44)가 고정되어 있고, X 구동 부재(44)의 상단부에는 직물 압박대(20)를 협지하여 Y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2개의 Y축 안내 부재(4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Y축 안내 부재(48)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하방에는 보조 안내 부재(50)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보조 안내 부재(50)는 베드(12) 내에 각각 고정된 X축 고정 레일(52)에 의해 Y축 안내 부재(48)와 함께 X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X 이송 모터(36)가 회전함으로써 X 구동 부재(44) 및 Y축 안내 부재(48)를 거쳐서 직물 이송대(18)가 X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직물 이송대(18)를 Y 방향으로 구동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다리 기둥부(14)의 측면에는 Y 이송 모터(54)가 부착되어 있고, 다리 기둥부(14) 내를 향해 연장되는 회전축(56)의 선단부에는 피니언(5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피니언(58)과 결합하는 래크(60)가 형성된 Y 구동축(62)이 다리 기둥부(14)를 관통하여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Y 구동축(62)의 직물 이송대(18)측 선단부에는 Y 구동 부재(64)가 고정되어 있다. Y 구동 부재(64)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 이송대(18)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역ㄷ자 형상의 Y 구동 본체(66)와, Y 구동 본체(66)가 돌출된 측벽부(66a)에 고정된 Y 안내축(6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Y 안내축(68)은 직물 압박대(20)의 후단부 부분을 X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Y 안내축(68)과 직물 압박대(20)는 X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Y 방향으로는 일체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Y 이송 모터(54)가 회전함으로써 Y 구동축(62) 및 Y 구동 부재(64)를 거쳐서 직물 이송대(18)가 Y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Y 구동 부재(64)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이 Y 구동 부재(64)의 Y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기구(69)는 안내 부재(70)와 가이드 레일(8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70)는 Y 구동 본체(66)의 각 측벽부(66a)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70)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L자 형상의 안내 본체(72)와, 안내 본체(72)의 수평부(72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축(7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체인 롤러(76)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16)의 하단부에는 플레이트로서의 압박판(78)이 고정되어 있고, 압박판(78)에 의해 직물 압박대(20)의 상단부에 부착된 압박부(80)를 항상 하방으로 압박하여 직물 압박대(20)가 베드(12)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압박부(80)는 통형 부재(82)와, 그 통형 부재에 삽입된 스프링(84)과, 그 스프링(84)에 의해 압박판(78)에 압박되는 결합 부재(8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박판(78)은 직물 이송대의 X-Y 방향의 구동 범위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직물 이송대(18)가 어떤 위치에 있어도 피압박부(8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88)은 이 압박판(78)의 X 방향의 양단부의 하단부에,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90)에 의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88)의 측면에 대해 상기 안내 부재(70)의 롤러(76)가 항상 미끄럼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압박판(78)에 대해 가이드 레일(88)의 나사 고정 위치가 X 방향으로 미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Y 구동 부재(64)를 구동하면 이 자체가 가이드 기구(69)에 의해 Y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직물 이송대(18)도 Y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경우, Y 구동 부재(64)가 상기 직물 이송대(18)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이 Y 구동 부재(64)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64)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6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기구(69) 사이가 커 Y 구동 부재(64)의 휨이나 진동이 억제되어, 그 결과 직물 이송대(18)의 덜걱거림이 억제되어 직물 이송대(18)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기구(69)가 상기 Y 구동 부재(64)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 부재(70)와, 상기 베드(12)와 아암(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 부재(70)를 각각 Y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Y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8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Y 구동 부재(64)를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88)이 부착되는 압박판(78)(플레이트)은 상기 직물 이송대(18)의 X-Y 방향의 구동 범위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므로, 가이드 레일(88) 사이를 크게 할 수 있어, 그로 인해 가이드 기구(96) 사이의 크기 확보가 간단해진다.
또, 가이드 레일(88)은 기존의 압박판(78)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로서 새로운 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88)은 기존의 압박판(78)에 부착되어 있지만, 압박판 이외의 전용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있어도 좋고, 또한 플레이트 이외의 프레임, 빔 등의 재봉틀 본체(10)에 고정된 것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박판(78)이 아암(16)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아암에 대해 승강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롤러(76)가 안내 부재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가이드 레일(88)측에 롤러(76)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 이송대를 Y 방향으로 이송하는 Y 구동 부재를 상기 직물 이송대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어 직물 이송대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재봉틀의 외관 상면도.
도2는 상기 재봉틀의 측면도.
도3은 상기 재봉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재봉틀 본체
12 : 베드
14 : 다리 기둥부
16 : 아암
17 : 테이블
18 : 직물 이송대
20 : 직물 압박대
22 : 직물 압박 하부판
24 : 직물 압박 부재
26 : 부착 부재
28 : 에어 실린더
30 : 로드
32 : 크랭크 핀
34 : 결합 구멍
36 : X 이송 모터
38, 56 : 회전축
40 : 지지 부재
42 : 타이밍 벨트
44, 64 : X 구동 부재
48 : Y축 안내 부재
52 : X축 고정 레일
54 : Y 이송 모터
66 : Y 구동 본체
66a : 측벽부
68 : Y 안내축
69 : 가이드 기구
70 : 안내 부재
72a : 수평부
74 : 축
76 : 롤러
78 : 압박판
84 : 스프링
88 : 가이드 레일
90 : 나사

Claims (5)

  1. 가공 직물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직물 이송대가 배치된 베드와, 그 베드의 상방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과, 상기 직물 이송대를 Y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Y 구동 부재와, 상기 직물 이송대를 X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X 구동 부재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Y 구동 부재를 상기 직물 이송대의 X 방향 이동 범위보다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이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상기 Y 구동 부재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Y 구동 부재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 부재와, 상기 베드와 아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 부재를 각각 Y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Y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직물 이송대의 X-Y 방향의 구동 범위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그 플레이트의 X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아암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직물 이송대를 하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미끄럼 접촉하는 구름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3-0028774A 2002-05-08 2003-05-07 재봉틀 KR100491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2540 2002-05-08
JP2002132540A JP4066707B2 (ja) 2002-05-08 2002-05-08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54A KR20030087554A (ko) 2003-11-14
KR100491057B1 true KR100491057B1 (ko) 2005-05-24

Family

ID=2941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74A KR100491057B1 (ko) 2002-05-08 2003-05-07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66707B2 (ko)
KR (1) KR100491057B1 (ko)
CN (1) CN12848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5455B2 (ja) * 2005-03-25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007244773A (ja) * 2006-03-17 2007-09-27 Brother Ind Ltd パターン縫いミシンの送り装置
CN103741378B (zh) * 2013-12-26 2016-03-30 苏州鑫帛泰纺织科研有限公司 纺织用缝纫装置
CN109610099A (zh) * 2018-11-29 2019-04-12 颍上县艺豪服饰辅料有限公司 一种服装缝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6707B2 (ja) 2008-03-26
CN1284894C (zh) 2006-11-15
KR20030087554A (ko) 2003-11-14
JP2003326048A (ja) 2003-11-18
CN1456726A (zh)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057B1 (ko) 재봉틀
JP4623423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CN107974770B (zh) 一种基于平缝机的曲线缝制装置
US6772703B2 (en) Eye-type buttonhole sewing machine
KR20070094537A (ko) 패턴 재봉틀의 이송 장치
CN207468850U (zh) 一种龙门式缝纫机的xy向传动机构
CN207468871U (zh) 一种龙门式缝纫机的机头传动机构
JP3016999B2 (ja) 縫製装置
KR950014367B1 (ko) 자수미싱
CN214244840U (zh) 一种带滑轨的自动换梭装置
US4932300A (en) Control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unch tool carriage stroke of a punch press
CN215970724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衣服打标装置
JP2819182B2 (ja) 移送装置
JPH0577075A (ja) レーザ加工機
CN108486759B (zh) 电脑针织横编机的摇床装置
CN115921753B (zh) 一种旋铆压头机构及触点旋铆装置
CN220298066U (zh) 一种转印机的印头机构
CN216066029U (zh) 工作台以及激光加工机床
CN106881551A (zh) 压紧定位机构
CN211940651U (zh) 一种键盘装夹用夹紧机构
JP2005065468A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の直動機構
KR101840236B1 (ko) 옷감 누름 부재 구동 장치
JPH09220699A (ja) ダイセット装置
KR100518915B1 (ko) 재봉기
KR900011210Y1 (ko) 볼 스크류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