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483B1 -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483B1
KR950013483B1 KR1019930016453A KR930016453A KR950013483B1 KR 950013483 B1 KR950013483 B1 KR 950013483B1 KR 1019930016453 A KR1019930016453 A KR 1019930016453A KR 930016453 A KR930016453 A KR 930016453A KR 950013483 B1 KR950013483 B1 KR 95001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acetate
polyacetate
emulsion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040A (ko
Inventor
이석호
안승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선경인더스트리
김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선경인더스트리, 김준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선경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19930016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483B1/ko
Publication of KR95000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or prote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천연 질감을 갖는 아세테이트 복합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사(이하 아세테이트사)를 방사, 권취하면서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이하 DTY사)를 복합하여 결과적으로 천연 질감을 가지며 후공정이 개선된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세테이트사는 목재의 펄프, 즉 셀룰로오즈 성분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섬유로서 그 자체가 천연 섬유인 실크 또는 재생 섬유인 레이온과 매우 유사한 직물 특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고유의 특성인 화려한 광택, 우수한 드레이프성, 드라이한 질감등 천연섬유에 버금가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강도가 1.7~5.2g/d인 레이온에 비하여 아세테이트의 강도는 1.2~1.4g/d로서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 때문에 아세테이트사 단독으로는 외의(外衣)로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주로 양복의 안감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등 용도전개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용도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큰 타소재와의 복합사를 만들어 강도를 보완하면서 아세테이트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는 강도가 4.3 ~9.0g/d인 폴리아세테이트인데 일반적으로 폴리아세테이트 필라멘트사는 제직후에 알카리로 감량하는 공정이 있다. 감량을 하지 않은 폴리아세테이트 직물은 표면 질감이 딱딱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폴리아세테이트 직물은 알카리 감량을 실시하여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반면에 에세테이트 섬유는 일반적으로 알카리 감량을 하지 않는다. 알칼리 감량을하게 되면 아세테이트사가 심하게 침해를 받아서 강신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써 직물의 파열강도가 저항됨은 물론 심하게는 직물의 형태를 상실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세테이트사와 폴리아세테이트 필라멘트사와의 복합은 이와같이 감량의 필요성 유무가 상반되기 때문에 쉽게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아세테이트 섬유 중에서 알카리 감량을 하지 않아도 그 자체가 신축성과 유연구조를 가지는 DTY사를 아세테이트사와 복합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질감을 가지는 아세테이트 복합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사와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가 교락(Interlacing)된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방사원액을 방사하여 사조를 형성시키고 이를 10~18%농도의 에멀젼 유제로 처리하여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와 함께 교락, 권취하여 아세테이트 복합사를 제조할 때, 교락직전에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를 0.20~0.28g/de′의 장력으로 진입시키고, 교락시 압력 2.2~2.5㎏/㎠의 압축공기로 교락을 부여한 다음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DTY사는 필라멘트사에 연을 부여한 후(가연공정)열처리를 하여 그 상태로 고정시킨 후 (열고정 공정) 다시 연을 풀어서(해연공정)섬유자체에 크림프와 유사한 비틀림을 부여함으로써 천연 섬유에 가까운 질감을 갖게 한 섬유이다.
따라서, 별도의 알카리 감량 공정이 없이도 아세테이트사와의 복합 직물로서 충분히 부드러움을 발현할 수 있다.
그러나, DTY사는 고유의 비틀림 구조로 인하여 일반 필라멘트사와는 다르게 벌키성을 갖게되며, 아세테이트 필라멘트와 잘 혼합되지 않으려는 성질을 나타낸다. 아세테이트사와 DTY사와의 혼합은 인터레이싱공정(교락 공정)의 공기압력과 적정 유제, 그리고 DTY사의 진입장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 최적조건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한 교락으로 만들어진 복합사로 제직한 직물은 합연이나 교직으로 만든 직물보다 질감이나 색감 등의 품질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섬유, 혹은 그 이상의 섬유가 혼합될때 교락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게 되면 각 소재의 필라멘트 하나 하나가 골고루 균일하게 혼합되므로써 최종 제품의 질감이나 색감이 균일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교락 공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조건중의 하나가 공기압력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력이 높으면 교락수 형성이 많아지고 공기압력이 낮아지면 교락수 형성이 적어진다. 그러나 공기압력이 너무 높으면 교락수가 많아지는 대신에 아세테이트 필라멘트사와 같이 약한 섬유가 끊어지게 되므로써 복합공정성이 매우 불량해짐은 물론, 복합사의 품질 자체도 불량하게 되어 후공정인 연가공정이나 제직공정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세테이트사와 DTY사의 복합시 공기압력을 2.2~2.5kg/㎠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2kg/㎠미만에서는 교락수 및 교락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므로써 후공정인 연사 공정에서 공정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유제는 포합성이 높은 스트레이트 오일(Straight Oil)보다는 포합성이 낮은 에멀젼(Emulsion)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합성이 높은 스트레이트 오일을 사용하게 되면 각 소재의 필라멘트가 압축 공기의 분사에 의해서 서로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교락수가 저하된다. 에멀젼유제 원액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그 농도는 10~18%정도가 적당하다. 10%미만에서는 윤활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絲)가 세라믹 가이드를 통과시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 필라멘트의 끊어짐이 발생하게 되며, 18%을 초과하면 사(絲)에 포함되는 유제의 양이 많아져 데니어를 증가시키게 되며 후공정에서 유제 제거시에 데니어 저하가 크게 되어 직물 설계가 어렵게 된다.
복합시 DTY사의 진입장력은 데니어당 0.20~0.28g 정도가 적당하다. 데이터당 0.20g미만에서는 DTY사가 벌키(Bulky)한 상태로 진입하게 되어 교락수는 많아지거나 교락강도가 저하하게 되어 후공정에서 사(絲)가 장력을 받으면 쉽게 교락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데니어당 0.28g을 초과한 장력으로 DTY사를 진입시키면 교락강도는 높아지나 교락수가 저하되어 후공정성이 불량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아세테이트사와 DTY사와의 복합사는 그 특유의 천연 섬유에 가까운 질감으로 인하여 여러가지 용도로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안감 이외의 용도, 즉 천연질감을 요구하는 여성용 정장류 및 남성 바지류, 그리고, 아세테이트 섬유의 높은 흡수성을 이용하는 캐쥬얼 및 스포츠 웨어로서 사용할 수 있어 천연 섬유에 버금가는 새로운 의류소재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세테이트 방사원액을 방사속도 650m/min, 120 데니어, 33가닥으로 건식 방사하여 사조를 형성시키고 16%의 농도를 가진 에멀젼 유제로서 유제처리를 하여 윤활성과 집속성을 부여한 후 압축공기로서 교락을 부여하고 권취(Winding)하면 약 1.3g/de'의 강도를 가진 아세테이트사가 만들어지는데 교락방사 직전 50데니어, 24가닥인 DTY사를 12.5(0.25g/de)의 장력으로 진입시켜 교락시 2.2kg/㎠의 압축공기로서 교락을 부여하고 보빈에 권취(Winding)하게 되면 강도가 2.4g/de', 교락수가 65개/m인 복합사가 만들어진다.
[실시예 2]
에멀젼 유제의 농도가 12%, DTY사의 진입장력을 11g(0.22g/de), 교락시 공기압력을 2.5kg/㎠로 하여 교락을 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에멀젼 유제의 농도가 22%, DTY사의 진입장력을 17.5g(0.35g/de), 교락시 공기압력을 1.8kg/㎠ 로 하여 교락을 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Claims (1)

  1.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방사원액을 방사하여 사조를 형성시키고 이를 10~18%농도의 에멀젼 유제로 처리하여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와 함께 교락, 권취하여 아세테이트 복합사를 제조할 때, 교락직전에 폴리아세테이트 가연사를 0.20~0.28g/de′의 장력으로 진입시키고, 교락시 압력 2.2~2.5kg/㎠의 압축공기로 교락을 부여한 다음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930016453A 1993-08-24 1993-08-24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KR95001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453A KR950013483B1 (ko) 1993-08-24 1993-08-24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453A KR950013483B1 (ko) 1993-08-24 1993-08-24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0A KR950006040A (ko) 1995-03-20
KR950013483B1 true KR950013483B1 (ko) 1995-11-08

Family

ID=1936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453A KR950013483B1 (ko) 1993-08-24 1993-08-24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790B1 (ko) * 1998-11-28 2005-12-21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503439B1 (ko) * 2001-09-13 2005-08-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태세사 / 셀룰로오스 이수축 혼섬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0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0903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ur-like pile cloth and device therefor
CA2367535A1 (en) Open end spun, cotton/rayon blended yarn
JP2007119938A (ja) 接着芯地用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芯地
KR950013483B1 (ko)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CN110894633A (zh) 一种仿麻纱线的制备方法
JP2687513B2 (ja) カサ高毛羽系の製造方法
US2954270A (en) Process of producing a shrinkable cellulose textile filament
JP2816846B2 (ja) 交絡混繊マルチフィラメント複合糸およびその糸を用いた嵩高織物の製造法
JPS6119736B2 (ko)
JP2011021311A (ja) 接着芯地用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芯地
KR960005833B1 (ko) 아세테이트/폴리에스테르 가연사/레이온 복합사의 제조방법
JP2867245B2 (ja) 嵩高織物
JPS5831416B2 (ja) ポリエステル嵩「だかし」
KR940010312B1 (ko) 신축성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JP2005089893A (ja) 複合糸
JPS6317933B2 (ko)
JPS60104543A (ja) 紡績糸様フイラメント糸
JPH0364546A (ja) 毛羽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1770472C (ru) Кручена пр жа
JPS62243837A (ja) 嵩高加工糸の製造法
JPH01139832A (ja) 綿絹混紡糸
JPH0327144A (ja) 合成繊維ミシン糸の製造方法
JPH03119132A (ja) 嵩高複合糸条
JPH03249231A (ja) 複合交絡糸
JPS60151329A (ja) 嵩高性混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