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603B1 -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603B1
KR950012603B1 KR1019930007523A KR930007523A KR950012603B1 KR 950012603 B1 KR950012603 B1 KR 950012603B1 KR 1019930007523 A KR1019930007523 A KR 1019930007523A KR 930007523 A KR930007523 A KR 930007523A KR 950012603 B1 KR950012603 B1 KR 95001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grain powder
support arm
mix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068A (ko
Inventor
가즈히꼬 다까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2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1Maintenance of mixers us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제면기에 있어서의 곡물 분말혼합수단의 믹서 부착구조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
제 2 도는 제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 측면도.
제 3 도는 제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 측면도.
제 4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
제 5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종단 측면도.
제 6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횡단 평면도.
제 7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 8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개략적인 주요부 확대 평면도.
제 9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10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 부착상태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제 11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지지아암끼워 맞춤부의 설명도.
제 12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3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4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5 도는 면의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제 16 도는 밀가루 반죽 압연 수단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10 :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
12 : 호퍼부 16 : 지지대부
17 : 곡물분말 낙하구 18 : 회전구동기구부
50 : 곡물분말 혼합수단 51 : 믹서
52 : 혼합 반죽체 53 : 실린더
56 : 고정지지아암 57 : 브래킷
58,58 : 안내레일 58A,58A : 스프링
59 : 가동지지아암 62 : 구동회전체
66 : 피구동회전체 70 :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
72,73,74 : 압연로울러 87 : 면띠 절단수단
88,89 : 절단 날 로울러 92 : 급수수단
P : 곡물분말 W : 반죽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우동」「메밀국수」 또는 「라면」등의 면류를 자동적으로 제면하기 위한 자동제면기의 믹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자동 제면기에 있어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공개된 일본국 특개평 3-201959 호 공보에 제안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 있다.
이와같은 선출원 발명에 있어서의 자동제면기 특히 믹서에 의해 곡물분말을 반죽물과 함께 교반해서, 이긴 형상의 밀가루 분말을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으로서는 믹서를 혼합반죽물과 이 혼합반죽체가 삽입되는 실린더로 분해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믹서의 양단부를 장치 본체의 천정판 이면에 설치된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징과의 사이에 끼워갖는 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과에 각각 설치한 회전체에 혼합반죽체의 양단부의 회전 중심축을 축지지함으로서 매달아 지지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믹서 부착 구조에서는 실린더만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뿐이고, 혼합반죽체의 떼어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를 떼어 내는 때나 실린더를 떼어낸 상태에서 혼합반죽체를 세척하면 실린더내나 혼합반죽체에 밀가루 반죽이 장치내나 주위의 바닥면에 비산해서 더러워진다. 또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이 고정된 장치본체의 천정판에는 곡물분말이 저장되는 호퍼(hopper) 부등의 곡물분말 정량 공급장치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본체의 천정판이 변형되기 쉽고 이것에 의해 혼합반죽체의 회전 중심축이 틀어져서 회전부하가 크게 된다.
다시 또 가동지지아암을 조작해서 믹서를 부착시키는 경우 가동지지아암을 믹서측으로 밀어붙이면서 고정손잡이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손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믹서의 부착 및 떼어내는 조작이 귀찮을 뿐만 아니라 부착 정밀도가 조금이라도 틀리면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반죽체의 회전중심축이 틀어져서 회전부하가 크게 되어서 혼합반죽체에 덜커덩거림이 생기거나 혼합반죽체가 미끄러져서 동력의 전달이 원활히 행해지지 않는다.
더구나 상기한 선출원 발명에서는 실린더의 붙이고 뗌과 밀가루 반죽을 압연해서 면띠로 형성하는 압연로울러의 청소를 장치 본체의 정면(전면)으로부터 행하고 혼합반죽체나 내부기구의 청소를 장치본체의 측면(우측면)으로부터 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면기 자체의 설치시에 있어서의 규제가 많고, 사용의 편리성이 나쁘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믹서를 구성하는 혼합반죽체와 실린더와의 붙이고 떼는 것이 간단히 행해지고, 또한 장치 내부기구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면기자체의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한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상에 설치되고 또한 호퍼부내에 저장된 곡물 분말을 회전구동기구부를 거쳐 정량 공급하는 곡물분말정량 공급수단과의 곡물분말정량 공급수단으로 정량 공급된 곡물분말을 믹서에 의해 반죽물과 함께 교반해서 이긴 형상의 밀가루 반죽을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과, 이 곡물분말 혼합수단으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을 압연로울러간에 공급해서 압연하여 면띠로 형성하는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과, 그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으로 압연된 면띠를 절단날로울러간에 공급해서 절단해서 국수발로 형성하는 면띠 절단수단과를 구비한 자동제면기에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는 혼합반죽체와 이 혼합반죽체가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혼합반죽체 및 실린더를 상기한 장치본체에 설치한 고정지지 아암과 이 고정지지지아암에 대향시켜서 설치한 가동지지아암간에 끼워넣은 상태로 축지지하고, 또한 상기한 혼합반죽체의 양단부를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에 각각 설치한 회전체의 회전 중심축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해서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취함으로서 혼합반죽체와 혼합반죽체가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로된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장치본체에 설치한 고정지지아암과 고정지지아암에 대향시켜서 설치한 가동지지아암간에 끼워진 상태로 축지지하고, 또 상기한 혼합반죽체의 양단부를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에 각각 설치한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믹서의 부착 및 떼어냄이 간단히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믹서의 청소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 믹서의 떼어냄이 혼합반죽체와 실린더의 조립상태인 채로 행할수 있기 때문에 믹서를 떼어낼때에 밀가루 반죽이 주위에 흩어지는 일이없고 장치내를 더럽히는 일이없다. 또 믹서의 양단부를 장치본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축지지시켜서 되기 때문에 장치본체의 안쪽으로의 깊이가 얕아지고 장치본체의 전면으로부터의 조작 및 청소가 용이하게 행해지고, 장치본체의 사용의 편리성에 규제가 적다. 다시 또 혼합반죽체의 양단부를 회전체를 거쳐서 지지하고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과가 동일한 안내레일상에 위치하기때문에 혼합반죽체의 양단부의 중심내기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가동지지아암이 안내레일상을 미끄러져 움직이도록하고 있기 때문에 붙이고 떼어내는때에 혼합반죽체의 회전중심축이 틀어지지 않는다.
다시 또 믹서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우동」 또는 「메밀국수」등의 곡물분말의 종류에 따라 믹서의 형상 및 기능을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곡물분말 혼합수단으로서의 믹서가 부착된 자동제면기의 전체구성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2 도, 제 3 도중 (1)은 장치본체이다.
이 장치본체(1)상에 천정판(2)상에는 곡물분말(P)을 저장해서된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이 설치되어있다. 이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은 제 4, 제 5, 제 6 및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개방구부가 뚜껑판(11)로서 뚜껑이 설치된 투명한 원통형상의 호퍼부(12)와 이 호퍼부(12)내를 상층저장부(12a)와 하층저장부(12b)와로 간막이하도록 배치되어서 나사(13)(13)으로 고정된 간막이판(14)와 이 간막이판(14)로 간막이된 호퍼부(12)의 하층저장부(12b)층의 저면부가 나사(15)(15)를 거쳐서 조립지지되는 지지대부(16)과 이 지지대부(16)상의 하층저장부(12b)내의 곡물분말(P)를 곡물분말 낙하구(17)을 거쳐서 후술하는 곡물분말혼합수단(50)의 믹서(51)내에 정량공급하는 회전구동기구부(18)로서 분해조립가능하게 장치화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간막이판(14)는 상기한 호퍼부(12)의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의 중량이 하층저장부(12b)의 곡물분말(p)에 가해져서 그 곡물분말(P)의 밀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외부원주부에는 상기한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를 하층저장부(12b)에 낙하공급하는 복수개의 개방구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곡물분말(P)를 정량공급하는 회전구동기구부(18)은 상기한 지지대부(16)의 내부저면에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부설되고, 또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곡물분말 낙하구(17)에 대응하는 곡물분말낙하구(19a)를 갖는 스테인레스제의 활주판(19)와 이 활주판(19)상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된 회전체(20)과 이 회전체(20)의 외부원 주부에 돌출상태로 등간격으로 조립해서 일정한 용적을 갖는 공간부(21a)를 형성해서된 복수개의 스테인레스제의 판용수철 부재로 된 회전돌기(21)과 상기한 회전체(20)상의 중심부에 동기회전하도록 붙이고 떼는것이 자유롭게 조립되고, 또한 그 머리부(22a)를 상기한 호퍼부(12)내의 상층저장부(12a)내로 향하게한 교반체(22)와 이 교반체(22)의 머리부(22a)의 외부원주부에 상기한 간막이판(14)의 위쪽의 곡물분말(P)를 긁어 배분하도록 돌출설치한 복수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교반봉(23)과 상기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곡물분말 낙하구(17)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한 회전돌기(21)의 상부에 배치한 차폐판(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차폐판(24)는 곡물분말(P)가 전기한 곡물분말 낙하구(17)로 부터 직접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있음과 동시에 그 일부를 상기한 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돌출설치한 판용수철부재로 된 회전돌기(21)이 상기한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낙하구(17)상을 통고하는 때에 접촉하도록 아래쪽으로 굴곡시키므로서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구동부(18)의 회전체(20)은 상기한 지지대부(16)의 중심축부에 베어링(26)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상기한 호퍼부(12)내의 하층저장부(12b)내로 향하게한 회전축(27)의 상단부(27a)에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서 조립하므로서 동력이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27)의 하단부(27b)에는 상기한 지지대부(16)의 아래쪽에 돌출시켜서 후술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의 제 1의 구동 전동기(33)의 구동기어(34)에 맞물리는 피구동기어(2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지지대부(16)의 대각선상의 한쪽의 구석부에는 위치결정용으로서의 안내홈(29)가 평면이 브이(V)자형상으로 절단형성되어서 이 안내홈(29)에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한 나사구멍(4)에 나사조임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도면중(32)(32)는 상기한 지지대부(16)상의 양측부에 설치한 손잡이로서 손잡이(32)(32)를 양손으로 파지하므로서 장치화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 전체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의 이면에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의 제 1의 구동전동기(33)이 부착되어있어서 이 구동전동기(33)의 구동기어(34)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돌출시키고 있다.
즉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대부(16)에 설치한 손잡이(32)(32)를 양손으로 파지해서 들어올리므로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탑재시킨다.
이어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안내홈(29)를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돌출설치한 위치결정핀(3)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고정손잡이(30)의 수나사부(31)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형성한 나사구멍(4)에 나사조임함으로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붙이고 떼는것이 가능하게 위치결정 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구동기구부(18)의 회전축(27)에 설치한 피구동기어(28)을 제 1의 구동전동기(33)의 구동기어(34)에 맞물리도록 부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해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된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은 구동전동기(33)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7)을 거쳐 회전구동기구부(18)의 회전체(20) 및 교반체(22)가 동기로 회전하고, 교반체(22)의 머리부(22a)에 설치한 교반봉(23)에 의해 호퍼부(12)내의 간막이판(14)의 위쪽의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을 좌우로 밀어헤치면서 간막이판(14)의 외부원주부에 개방된 개방구부(14a)로부터 호퍼부(12)내의 간막이판(14)의 아래쪽의 하층저장부(12b)에 낙하하고, 회전체(20)의 외부 원주부에 판용수철 부재로 된 회전돌기(21)로 형성된 공간부(21a)로 들어간다.
이들 공간부(21a)에 정량마다 들어간 곡물분말(p)는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20)의 회전과 함께 지지대부(16)의 내부저면에 부설된 활주판(19)상을 회전반송되고, 활주판(19)의 곡물분말낙하구(19a)에 오면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이 활주판(19)의 곡물분말 낙하구(19a)에 대응하는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낙하구(17)로부터 곡물분말(P)가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한 활주체(5)를 거처셔 후술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의 믹서(51)내에 정량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설치한 판용수철부재로된 회전돌기(21)은 곡물분말(P)의 활주판(19)이 곡물분말낙하부(19a)에의 자중에 의한 낙하와 거의 동시에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 낙하구(17)의 상부에 설치한 차폐판(24)의 돌기부(25)에 접촉해서 휘고, 또한 회전체(20)의 회전이동에 의해 차폐판(24)의 돌기부(25)로부터 탄성적으로 개방되어서 진동하고 이것에 의해 회전체(20)의 외부원주와 회전돌기(21)과로 형성된 공간부(21a)의 주위에 부착되어있는 곡물분말(P)는 완전히 흔들려 떨어지기 때문에 때문에 후술하는 믹서(51)내에의 공급량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경우 상기한 믹서(51)에의 곡물분말(P)의 공급량의 조정은 1개분의 일정한 용적의 공간부(21a)에 수용된 곡물분말(P)의 양을 단위량으로하고, 회전체(20)을 회전시켜서 활주판(19)의 곡물분말낙하구(19a)에 대응위치시키는 공간부(21a)의 수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20)의 회전시간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해서 소정수의 공간부(21a)를 상기한 낙하구(19a)에 순차로 대응위치시키면 소정량의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회전체(20)의 회전에 의한 공간부(21a)의 이동을 검지센서(도시생략)에 의해 검지가능하게 하고, 회전체(20)의 회전에 의해 낙하구(19a)에 대응위치하는 공간부(21a)의 개수를 설정함으로서 소정량의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공급할 수 있다. 도면중(40)은 상기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을 구성하는 지지대부(16)상에 설치한후 곡물분말(P)의 종류를 판별하는 분말종류 판별수단으로서 이 분말종별판별수단(40)은 각각의 분말종류에 적응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의 후술하는 곡물분말혼합수단(50) 및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의 구동계를 제어할 수 있게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곡물분말혼합수단(50)은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으로부터 정량공급된 곡물분말(P)를 반죽물(W)와 함께 교반해서 이겨진 형상의 밀가루 반죽으로 생성하는 믹서(51)을 구비하고, 이 믹서(51)은 혼합반죽체(52)와 이 혼합반죽체(52)가 축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53)으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조합 구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53)에 상기한 혼합반죽체(52)와의 사이에 곡물분물(P) 및 반죽물(W)를 공급하는 곡물분말공급구(54A) 및 반죽물 공급구(55)와 밀가루 반죽 배출구(54B)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곡물 분말공급구(54A) 에는 곡물분말정량공급수단(10)의 지지대부(16) 의 곡물분말낙하구(17)로 부터 일정량공급되는 곡물분말(P)를 받는 활주대(5)가 향하고, 또 반죽물공급구(55)에는 후술하는 반죽물(W)의 공급수단(92)에 접속된 반죽물 분사노즐(96)이 향하고, 다시 또 밀가루 반죽배출구(54B)는 후술하는 밀가루반죽 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축적부(71)에 향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믹서(51)은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의 이면측에 좌우에 대향시켜서 고정된 고정지지아암(56)의 브래킷(57)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브래킷(57)과 고정지지아암(56)과의 사이에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전후방향에 대한 좌우방향에 상당하는 축방항으로 한쌍의 안내레일(58)(58)이 평행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58)(58)에는 상기한 브래킷(57)과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58A)(58A)로 항상 상기한 고정지지아암(56)측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지지아암(59)가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동지지아암(59)에는 한쪽끝(60a)에 상기한 장치본체(1)의 고정틀(1a)에 축지지된 요동레버(60)이 편심칼라(61)을 거쳐서 안내레일(58)(58)의 바로 아래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관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요동레버(60)의 다른쪽끝(60b)에 설치한 조작손잡이(60A)의 회전에 의해 요동레버(60)을 약간 편심상승시켜서 안내레일(58)(58)에 접촉시킴으로서 잠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믹서(51)을 구성하는 혼합반죽체(52)의 양단부에는 끝이 가늘고 굵은 위치결정용 테이퍼축(52A)(52A)가 회전중심축에 또한 그 테이퍼축(52A)(52A)에 대해 직경방향의 외부원주에는 적어도 1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끝이 가늘고 가느다란 동력전달용 테이퍼핀(52B)(52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지지아암(56)내에는 구동회전체(62)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이 구동회전체(62)는 풀리(63) 및 브이(V) 벨트(64)를 거처서 제 2의 구동 전동기(65)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되어있음과 동시에 구동회전체(62)의 회전중심축상에 대향하는 가동지지아암(59)내에는 피구동회전체(66)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지지아암(56) 및 가동지지아암(59)과 각각 축지지된 구동회전체(62) 및 피구동회전체(66)에는 제 10 도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반죽체(52)의 양단부에 돌출시킨 테이퍼축(52A)와 테이퍼핀(52B)(52B)가 끼워맞추어지는 테이퍼구멍(67A) 및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홈(67B)가 형성되어서 이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홈(67B)내에는 테이퍼핀(52B)(52B)가 원주방향으로 걸어맞추어지는 스토퍼로서의 스프링핀(68)(68)이 설치되어 있다.
즉 믹서(51)을 장치본체(1)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혼합반죽체(52)의 양단부의 회전중심축에 돌출시킨 테이퍼축(52A)를 고정지지아암(56) 및 가동지지아암(59)에 축지지된 구동회전체(62) 및 피구동회전체(66)의 테이퍼구멍(67A)(67A)에 각각 삽입하여 끼워맞춤으로서 위치결정하고, 또한 그 테이퍼핀(52B)(52B)를 구동회전체(62) 및 피구동회전체(66)의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홈(67B)내에 헐겁게 끼운 상태로 삽입하여 걸어맞추어서 제 2의 구동전동기(65)에 의한 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실린더(53)의 양단을 고정지지아암(56) 및 가동지지아암(59)간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요동레버(60)의 조작에 의해 가동지지아암(59)를 고정지지아암(56)측의 전방에 이동시켜서 잠금으로서 상기한 고정지지아암(56)과 가동지지아암(59)간에 상기한 믹서(51)을 스프링(58A)(58A)의 가하는 힘과 함께 끼워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해서 상기한 믹서(51)을 장치본체(1)내로부터 배어내기 위해서는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레버(60)의 조작손잡이(60A)를 회전시키므로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요동레버(60)의 한쪽끝(60a)를 지지점으로해서 요동레버(6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동지지아암(59)가 스프링(58A)(58A)의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안내레일(58)(58)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지고 믹서(51)의 일단부로부터 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믹서(51)를 파지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믹서(51)의 타단부가 고정지지아암(56)으로부터 떨어져서 제 1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믹서(51)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혼합반죽체(52)를 실린더(53)내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때문에 이들의 교환 및 장소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와같이해서 상기한 곡물분말혼합수단(50)으로 이긴 상태로 생성되어서 밀가루반죽배출구(54B)로부터 배출된 밀가루 반죽은 상기한 곡물분말혼합수단(50)의 아래쪽에 설치된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의 밀가루반죽축적부(71)에 공급된다. 이 밀가루반죽압연수단(70)의 밀가루반죽축적부(71)의 하부에는 제 1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철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경질의 로울러 소재의 표면에 이온질화처리해서된 제 1의 압연로울러(72)와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간격(t1)을 두고, 대치시켜서 설치되도록, 이들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의 하부에는 제 3의 압연로울러(74)가 간격(t2)(t3)를 두고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제 1, 제 3 압연로울러(72)(74)는 장치본체(1)내에 고정된 지지틀(81)(82)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한 제 1의 압연로울러(72)는 체인벨트(75)을 거쳐서 제 3의 구동전동기(76)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제 1의 압연로울러(72)와 제 2의 압연로울러(73)과는 기어(77)을 거처서 상호 맞물려져서 동기회전하도록 되어있는 한편 제 3 압연로울러(74)는 체인벨트(78)을 거쳐서 제 4의 구동전동기(79)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구동되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압연로울러(72)(73)(74)의 회전속도를 거의 동등하게하고 있다. 또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지지축(73a)는 장치본체(1)내에 고정된 지지틀(81)(82)간에 축(83)을 거쳐서 제 1 및 제 3 압연로울러(72)(74)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전후방향으로 경사회전가능한 회전 지지아암(84)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다시 또 도면중(85)는 회전지지아암(84)를 지지하는 개폐레버로서 제 1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폐레버(85)를 위쪽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한 회전지지아암(84)의 지지상태를 개방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나사조임해서 설치한 스토퍼를 겸하는 조정다이얼(86)을 회전시킴으로서 회전지지아암(84)를 전후방향으로 경사회전시켜 이것에 의해 제 1, 제 2의 압연로울러(72)(73)와의 간격(t1) 및 제 2,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와의 간격(t3)의 미세조정(조정폭 : 1-3mm)을 가능하게하고, 면띠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2)(74)의 간격(t2)는 상호 접촉하지 않을 정도를 근접시켜서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과의 간격(t1)은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와의 간격(t3)와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넓게되어있다.
즉 전기한 곡물분말혼합수단(50)으로 이긴 상태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이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 축적부(71)에 공급되어 축적되면 밀가루 반죽은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의 회전과 동시에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사이에 감겨들어가서, 제 1의 압연공정을 경유해서 면띠가 형성되어서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사이의 상류부로 도입된다. 이때 제 2의 압연로울러(73) 제 3의 압연로울러(74)간에는 간격(t3)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 3의 압연로울러(7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면띠는 제 2의 압연로울러(73)과 제 3의 압연로울러(74) 사이를 통과하는 일이 없이 상류부에 차례로 밀어 넣어져서 접어개어져서 가압상태로 축적되어 충전된다.
이와같이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의 상류부에 가압상태로 축전된 면띠의 충전타이밍을 잡아서 제 3의 압연로울러(74)의 회전을 개시시키면 가압상태로 접어개어져서 축적된 면띠는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회전과 함께 제 2 및 제 3의 (73)(74)간에 감겨들어가서 제 2의 압연공정을 경유해서 재차 면띠가 형성되어서 그 하류측에 배치한 면띠 절단수단(87)에 배출공급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간에서 압연되는 밀가루반죽은 일단은 면띠로 형성되지만 제 3의 압연로울러(74)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면띠는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의 상류부에 가압상태로 접어개어져서 축적되기 때문에 제 3의 압연로울러(74)를 회전시켜서 면띠를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에서 압연시킨때에는 2매의 면띠를 중첩시켜서 압연하는 복합제면과 동등의 반죽효과가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제면하고 저하는 면류가 예를 들면「우동」이나 「라면」등과 같은 끈기를 중시한 면에 아주 적당하며, 이와 같은 끈기가 있는 면은 느리기 어렵기 때문에 고객의 요구빈도에 맞추어서 미림면을 여유를 갖고, 느려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 3의 압연로울러(74)의 회전개시 타이밍을 빨리하면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간에서 압연된 면띠는 그대로 연속적으로 제 2 및 제 3 압연로울러(73)(74)간에서 압연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끈기가 적은 면띠를 형성할수가 있고, 예를 들면 「메밀국수」등과 같은 면류의 제면에 적당하고, 더구나 이와같은 면류는 가압이 적어서 공동이 많기 때문에 삶는 것이 빨라진다.
다시 또 면띠 절단수단(87)은 한쌍의 절단날 로울러(88)(89)로 구성되고, 이 한쌍의 절단날 로울러(88)(89)간에 밀가루 반죽압력수단(70)에 의해 압연된 면띠를 공급해서 국수발로 절단한후 이 국수발을 국수발 반송수단으로서의 체인컨베이어(91)상에 낙하시켜서 장치본체(1) 전면측 배출구로 향해 배출시키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면띠 절단수단(87)의 절단날 로울러(88)(89) 및 국수발 반송수단의 체인컨베이어(91)의 구동은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제 3의 압연로울러(74)를 구동시키는 제 4의 구동전동기(79)로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도면중(92)는 믹서(51)에 반죽물(W)를 공급하는 반죽물 급수수단으로서 이 반죽물 급수수단(92)는 물탱크(93)내에 수용된 반죽물(W)를 펌프(94) 및 부유조정기(95)를 거쳐서 믹서(51)에 향하게한 반죽물분사노즐(9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중(100)은 장치본체(1)내의 하부에 형성한 수납공간으로서 이 수납공간(100)에는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의 장치가 수납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혼합반죽체와 이 혼합반죽체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로 구성된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장치본체에 설치한 고정지지아암과 이 고정지지아암에 대향시켜서 설치한 가동지지아암간에 끼워넣은 상태로 축지지하고 혼합반죽체의 양단부를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에 각각 설치한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설치했기 때문에 믹서의 부착 및 떼어내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믹서의 용이하게 행할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상태로 항상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믹서의 떼어냄이 혼합반죽체와 실린더의 조립상태 인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믹서를 떼어낼때 밀가루 반죽이 주위에 흩어지는 일이없고, 장치내를 더럽히는 일이없다.
다시 또 믹서의 양단부를 장치본체의 전후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축지지해서 되어있기 때문에 장치본체의 안쪽길이를 얕게할 수가 있고, 장치본체의 전면으로부터의 조작 및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고, 장치본체의 사용의 편리성의 규제를 적게할 수가 있다.
다시 또 혼합반죽체의 양단부를 회전체를 거쳐서 지지하는 고정지지아암과 가동지지아암이 동일한 안내레일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혼합반죽체의 양단부의 축심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가동지지아암이 안내레일상을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했기 때문에 부치고 떼는 때에 혼합반축체의 회전중심축이 틀어지지 않는다. 또 믹서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수가 있음과 동시에 「우동」 또는 「메밀국수」등의 곡물분말의 종류에 따라 믹서의 형성 및 기능을 변환시킬수가 있고, 제면성을 높일수가 있다.

Claims (4)

  1. 장치본체(1)과 이 장치본체(1)상에 설치되고, 또한 호퍼부(12)내에 저장된 곡물분말(P)를 회전구동기구부(18)을 거쳐 정량공급하는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과 이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으로 정량공급된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의해 반죽물(W)와 함께 교반해서 이긴 상태의 밀가루 반죽으로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과 이 곡물분말 혼합수단(50)으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의 압연로울러간에 공급해서 압연해서 면띠를 형성하는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과 이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으로 압연된 면띠를 절단날 로울러(88)(89)간에 공급해서 국수발을 형성하는 면띠 절단수단(87)를 구비한 자동제면기에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의 믹서(51)은 혼합반죽체(52)와 이 혼합반죽체(52)가 회전이 자유롭고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53)으로 이루어지고, 이 혼합반죽체(52) 및 실린더(53)을 상기한 장치본체(1)에 설치한 고정지지아암(56)과 이 고정지지아암(56)에 대향시켜서 설치한 가동지지아암(59)간에 끼워넣은 상태로 축지지하고, 상기한 혼합반죽체(52)의 양단부를 고정지지아암(56)과 가동지지아암(59)에 각각 설치한 회전체(62)(66)의 회전중심축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면기의 믹서 부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믹서(51)의 양단부는 장치본체(1)의 전후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축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면기의 믹서 부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치본체(1)에 고정된 고정지지아암(56)과 브래킷(57)과의 사이에 안내레일(58)(58)을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58)(58)에 가동지지아암(59)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면기의 믹서 부착구조.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지지아암(59)와 브래킷(57)과의 사이의 안내레일(58)(58)에 스프링(58A)(58A)를 설치하고, 이 스프링(58A)(58A)로 상기한 가동지지아암(59)를 고정지지아암(56)측으로 항상 힘을 가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면기의 믹서 부착구조.
KR1019930007523A 1992-04-30 1993-04-29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KR95001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37736A JPH05304872A (ja) 1992-04-30 1992-04-30 自動製麺機のミキサー取付構造
JP92-137736 1992-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068A KR930021068A (ko) 1993-11-22
KR950012603B1 true KR950012603B1 (ko) 1995-10-19

Family

ID=1520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523A KR950012603B1 (ko) 1992-04-30 1993-04-29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13473A (ko)
JP (1) JPH05304872A (ko)
KR (1) KR95001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7A (ko) * 1999-11-25 2000-04-06 오순웅 제면기
US6863429B2 (en) * 2002-01-07 2005-03-08 Artos, S.A. Dough mixer with metering device
CA2516951A1 (en) * 2003-02-19 2004-09-02 Walzen Irle Gmbh Plasma-treated heat exchangers
KR101837472B1 (ko) * 2016-05-23 2018-03-12 김명상 쌀면 제조 장치
CN113712059A (zh) * 2020-05-26 2021-11-30 浙江天喜厨电股份有限公司 一种搅拌机构
CN112244047A (zh) * 2020-10-17 2021-01-22 永春科盛机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揉面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9529B (de) * 1967-12-05 1972-06-26 Kestermann Maschf Rolf Doppelschneckenstrangpresse
US3563515A (en) * 1968-09-05 1971-02-16 Baker Perkins Inc Mixing machine
CA2033257C (en) * 1989-12-28 1998-11-17 Atsuo Hayashi Noodle m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13473A (en) 1995-05-09
JPH05304872A (ja) 1993-11-19
KR930021068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223B1 (ko) 면류 제조장치
US4469230A (en) Sorting cylinder for seeds and other grains
KR950012602B1 (ko) 제면장치
KR950012603B1 (ko)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KR950012604B1 (ko) 자동제면기의 밀가루 반죽 압연장치
JP3739244B2 (ja) すし飯供給装置
CA2139609C (en) Roller dispenser machine
US5862743A (en) Apportioning device for dough
JPH05304871A (ja) 自動製麺機のミキサー取付構造
JPH0775522B2 (ja) 粉体定量供給装置
CN213604338U (zh) 一种馍片表层营养涂层的喷洒装置
JPH0646734A (ja) 自動製麺機の麺帯切断装置
US20220264898A1 (en) Cookie molding machine
KR100537638B1 (ko) 계피떡 자동 성형기
JPH06153761A (ja) デポジッターの充填方法および充填装置
JPH03201930A (ja) 製麺装置
JP2517418B2 (ja) 製麺装置
JPH05304921A (ja) 自動製麺装置
JPH05304913A (ja) 自動製麺機の粉種判別装置
EP1629717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to supply dosed amounts of flour and of bread improver to a dough mixing machine
US394553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JPH057469A (ja) 粉体定量供給装置
JPH05304914A (ja) 殻粉定量供給装置
JP2552557B2 (ja) 製麺装置
JPH03201931A (ja) 製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