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602B1 - 제면장치 - Google Patents

제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602B1
KR950012602B1 KR1019930007522A KR930007522A KR950012602B1 KR 950012602 B1 KR950012602 B1 KR 950012602B1 KR 1019930007522 A KR1019930007522 A KR 1019930007522A KR 930007522 A KR930007522 A KR 930007522A KR 950012602 B1 KR950012602 B1 KR 95001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powder
dough
rolling
supply mean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067A (ko
Inventor
가즈히꼬 다까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노 야스아끼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2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제면기에 있어서의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부착구조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
제 2 도는 제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 정면도.
제 3 도는 제면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 측면도.
제 4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종단 측면도.
제 5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주요부 확대한 개략적인 종단 평면도.
제 6 도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곡물분말 징량 공급수단의 개략적인 주요부 확대 평면도.
제 8 도는 분말종류 판별수단의 분말종류 선택검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9 도는 분말종류 판별수단의 분말종류 선택검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0 도는 분말종류 판별수단의 분말종류 선택검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1 도는 분말종류 판별수단의 분말종류 선택검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2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
제 13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14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설명도.
제 15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지지아암의 끼워 맞춤부의 설명도.
제 16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7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8 도는 곡물분말 혼합수단의 믹서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19 도는 밀가루 반죽 압연 수단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제 20 도는 밀가루 반죽 압력 수단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2 : 천정판
3 : 위치결정핀 4 : 나사구멍
10 :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 12 : 호퍼부
16 : 지지대부 17 : 곡물분말 낙하구
18 : 회전구동기구부 27 : 회전축
28 : 피구동기어 29 : 안내홈
30 : 고정노브 31 : 수나사부
32,32 : 손잡이부 33 : 구동전동기
34 : 구동기어 50 : 곡물분말 혼합수단
51 : 믹서 70 :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
72,73,74 : 압연로울러 7 : 면띠 절단수단
88,89 : 절단날 로울러 P : 곡물분말
W : 반죽물
본 발명은 예를들면 「우동」 「메밀국수」 또는「라면」 등의 면류를 자동적으로 제면하기 위한 제면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1대의 제면장치로 여러 종류의 면류를 제면하고 싶다고하는 고객의 요망이 많아지고 있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제면장치에 있어서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공개된 일본국 특개평 3-201956 호 공보에 게시된 구성을 갖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출원 발명에 있어서의 제면장치 특히 곡물분말 정량 공급장치에서는 장치본체상에 곡물분말이 저장되는 호퍼부 및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회전구동기구부를 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이때문에 다른 종류의 곡물분말로 면류를 제면하기 위해서는 전에 저장된 호퍼부 내의 곡물분말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예를들면 호퍼내의 상층 조장부의 곡물분말을 국자등으로 퍼낸후 그 하층 저장부에 잔류하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내의 곡물분말을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회전구동 기구부를 공회전시켜서 배출시키므로서 교체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에 의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이와같은 불합리한 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85159호 공보에 제시된 바와같이 장치 본체상에 여러 곡물분말 저장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곡물분말 저장 수단을 선택적으로 전환사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장치전체가 대형화하고, 더구나 고가가 될 뿐더러 고객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장비가 되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곡물분말이 각각 저장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을 필요에 따라 장치본체상에 교환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제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또한 호퍼부내에 저장된 곡물분말을 회전구동기구부를 거쳐서 정량 공급하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과 이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으로 정량 공급된 곡물분말을 믹서에 의해 반죽물과 함께 교반해서 이긴 상태의 밀가루 반죽을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과 이 곡물분말 혼합수단으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을 압연로울러간에 공급하여 압연해서 면띠를 형성하는 밀가루 반죽 압연 수단과 이 밀가루 반죽 압력 수단으로 압력된 면띠를 절단날로울러간에 공급하여 절단해서 국수발로 형성하는 면띠 절단수단를 구비한 제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은 상기한 호퍼부 및 회전 구동기구부가 조립되는 지지대부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부를 상기한 장치본체상에 안내위치 결정수단을 거쳐서 탑재시켜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시켜서 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장치본체측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회전구동 기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서 지지대부에 호퍼부 및 회전구동기구부를 조립한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이 지지대부를 장치본체상에 안내위치결정 수단을 거쳐서 탑재시켜서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곡물분말 정량 공습수단의 붙이고 떼는 것이 간단히 행해짐과 동시에 호퍼부내에 곡물분말을 저장한 채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 장치본체 측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회전구동기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이 경량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값싸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면장치의 전체구성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중(1)은 장치본체이다.
이 장치본체(1)상의 천정판(2) 상에는 곡물분말(p)을 저장해서 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은 제 1, 제 4, 제 5 및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단개방구부가 뚜껑판(11)로서 뚜껑이 설치된 투면한 원통형상의 호퍼부(12)와 이 호퍼부(12)내를 상층저장부(12a)와 하층저장부(12b)와로 간막이하도록 배치되어서 나사(13)(13)으로 고정된 간막이판(14)와 이 간막이판(14)로 간막이된 호퍼부(12)의 하층저장부(12b)측의 저면부가 나사(15)(15)를 거쳐서 조립지지되는 지지대부(16)과 이 지지대부(16)상의 상기한 하층저장부(12b)내의 곡물분말(P)를 곡물분말 낙하구(17)을 거쳐서 후술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의 믹서(51)내에 정량 공급하는 회전구동기구부(18)로서 분해조립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간막이판(14)는 상기한 호퍼부(12)의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의 중량이 하층저장부(12b)의 곡물분말(P)에 가해져서 그 곡물분말(P)의 밀도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외부원주부에는 상기한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를 하층저장부(12b)에 낙하공급하는 복수개의 개방구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곡물분말(P)를 정량 공급하는 회전구동기구부(18)은 상기한 지지대부(16)의 내부 저면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부설되고 또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곡물분말 낙하구(17)에 대응하는 곡물분말 낙하구(19a)를 갖는 스테인레스제의 활주판(19)와 이 활주판(19)상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된 회전체(20)과 이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돌출상태로 등간격으로 조립해서 일정한 용적을 갖는 공간부(21a)를 형성해서된 여러개의 스테인레스제의 판용수철 부재로된 회전돌기(21)과 상기한 회전체(20)상의 중심부에 동기회전 하도록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조립되고, 또한 그 머리부(22a)를 상기한 호퍼부(12)내의 상층저장부(12a)내로 향하게 한 교반체(22)와 이 교반체(22)의 머리부(22a)의 외부원주부에 상기한 간막이판(14)의 위쪽의 곡물분말(P)를 긁어 배분하도록 돌출 설치한 여러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교반봉(23)과 상기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곡물분말 낙하구(17)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한 회전돌기(21)의 상부에 배치한 차폐판(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차폐판(24)는 곡물분말(P)가 전기한 곡물분말 낙하구(17)로부터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있음과 동시에 그 일부를 상기한 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돌출 설치한 판용수철 부재로된 회전돌기(21)이 상기한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낙하구(17)상을 통과하는 때에 접촉하도록 아래쪽으로 굴곡시키므로서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구동기구부(18)의 회전체(20)은 상기한 지지대부(16)의 중심축부에 베어링(26)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상기한 호퍼부(12)내의 하층저장부(12b)내로 향하게 한 회전축(27)의 상단부(27a)에 불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서 조립하므로서 동력이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27)의 하단부(27b)에는 상기한 지지대부(16)의 아래쪽에 돌출시켜서 후술하는 동력전달 수단으로서의 제 1의 구동 전동기(33)의 구동기어(34)에 맞물리는 피구동기어(2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지지대부(16)의 대각선상의 한쪽의 구석부에는 위치결정용으로서의 안내홈(29)가 평면이 브이(V)자 형상으로 절단형성되어서 이 안내홈(29)에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한 나사구멍(4)에 나사조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32)(32)는 상기한 지지대부(16)상의 양측부에 설치한 손잡이로서 이 손잡이(32)(32)를 양손으로 파지하므로서 장치화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전체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의 이면에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의 제 1의 구동전동기(33)이 부착되어 있어서 이 구동전동기(33)의 구동기어(34)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돌출시키고 있다.
즉,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대부(16)에 설치한 손잡이(32)(32)를 양손으로 파지해서 들어 올리므로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탑재시킨다.
이어서 지지대부(16)에 설치한 안내홈(29)를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돌출설치한 위치결정핀(3)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고정 손잡이(30)의 수나사부(31)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형성한 나사구멍(4)에 나사조임하므로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을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위치결정 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구동기구부(18)의 회전축(27)에 설치한 피구동기어(28)을 제 1의 구동전동기(33)의 구동기어(34)에 맞물리도록 부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이 해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은 구동 전동기(33)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7)을 거쳐 회전구동기구부(18)의 회전체(20) 및 교반체(22)가 동기로 회전하고, 교반체(22)의 머리부(22a)에 설치한 교반봉(23)에 의해 호퍼부(12)내의 간막이판(14)의 위쪽의 상층저장부(12a)에 저장된 곡물분말(P)을 좌우로 밀어헤치면서 간막이판(14)의 외부원주부에 개방된 개방구부(14a)로부터 호퍼부(12)내의 간막이판(14)의 아래쪽의 하층 저장부(12b)에 낙하하고, 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판용수철 부재로 된 회전돌기(21)로 형성된 공간부(21a)로 들어 간다.
이들 공간부(21a)에 정량마다 들어간 곡물분말(P)은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체(20)의 회전과 함께 지지대부(16)의 내부저면에 부설된 활주판(19)상을 회전 반송되고 활주간(19)의 곡물분말 낙하구(19a)에 오면,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이 활주판(19)의 곡물분말 낙하구(19a)에 대응하는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 낙하구(17)로부터 곡물분말(P)가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상에 설치한 활주체(5)를 거쳐서 후술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의 믹서(51)내에 정량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체(20)의 외부원주부에 설치한 판용수철 부재로 된 회전돌기(21)은 곡물분말(P)의 화주판(19)의 곡물분말 낙하구(19a)에의 자중에 의한 낙하와 거의 동시에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 낙하구(17)의 상부에 설치한 차폐판(24)의 돌기부(25)에 접촉해서 휘고 또한 회전체(20)의 회전이동에 의해 차폐판(24)의 돌기부(25)로부터 탄성적으로 개방되어서 진동하고 이것에 의해 회전체(20)의 외부 원주와 회전돌기(21)과로 형성된 공간부(21a)의 주위에 부착되어 있는 곡물분말(P)는 완전히 흔들려 떨어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믹서(51)내에의 공급량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경우 상기한 믹서(51)에의 곡물분말(P)의 공급량의 조정은 1개분의 일정한 용적의 공간부(21a)에 수용된 곡물분말(P)의 양을 단위량으로 하고, 회전체(20)을 회전시켜서 활주판(19)의 곡물분말 낙하구(19a)에 대응 위치시키는 공간부(21a)의 수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20)의 회전시간을 타이머에 의해 설정해서 소정수의 공간부(21a)를 상기한 낙하구(19a)에 순차로 대응위치 시키면 소정량의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회전체(20)의 회전에 의한 공간부(21a)의 이동을 검지센서(도시생략)에 의해 검지 가능하게 하고, 회전체(20)의 회전에 의해 낙하구(19a)에 대응위치하는 공간부(21a)의 개수를 설정하므로서 소정량의 곡물분말(P)을 믹서(51)에 공급할 수 있다.
도면중(40)은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을 구성하는 지지대부(16)상에 설치한후 곡물분말(P)의 종류를 판별하는 분말 종류 판별 수단으로서 이 분말 종별 판별수단(40)은 제 8 도로부터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지지대부(16)상에 설치한 곡물분말(P)의 종류를 표시하는 복수(도시한 실시예에서 4종류)의 표시부(A)(B)(C)(D)와 이물 표시부(A)(B)(C)(D)에 대응하도록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한 분말 종류 선택레버(41)과 이 선택레버(41)에 대응하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에 설치한 곡물분말 종류 선택 검지 수단으로서의 제 1 및 제 2의 안내 로울러 부착 마이크로 스위치(42)(43)으로 조합구성되어 있다.
즉 분말 종류 판별수단(40)은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분말 종류 선택레버(41)을 표시부(A)에 표시부(A)에 위치시킨때 제 1의 마이크로 스위치(42)만을 「온」시키므로서 곡물분말의 종류가 (A)종류인 것을 판별하고,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분말종류 선택레버(41)을 표시부(B)에 위치시킨 때 제 1 및 제 2의 마이크로 스위치(42)(43)을 동시에 「온」시키므로서 곡물분말의 종류가(B) 종류인 것을 판별하고,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분말 종류 선택레버(41)을 표시부(C)에 위치시킨 때 제 2의 마이크로 스위치(43)만을「온」시키므로서 곡물분말의 종류가 (C)종류인 것을 판별하고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분말 종류 선택레버(41)을 표시부(D)에 위치시킨 때 제 1 및 제 2의 마이크로 스위치(42)(43)을 동시에 「오프」로 하므로서 곡물분말의 종류가(D) 종류인 것을 판별하도록 한 것으로써 이것에 의해 각각의 분말 종류에 적응하는 프로그램으로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 후술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 및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의 구동게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은 제 12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으로부터 정량 공급된 곡물분말(P)를 반죽물(W)와 함께 교반해서 이겨진 형상의 밀가루 반죽으로 생성하는 믹서(51)을 구비하고, 이 믹서(51)을 혼합반죽체(52)와 이 혼합반죽체(51)가 축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실린더(53)으로 상호 분리가능하게 조합 구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53)에는 상기한 혼합 반죽체(52)와의 사이에 곡물분말(P) 및 반죽물(W)를 공급하는 곡물분말공급구(54A) 및 반죽물 공급구(55)와 밀가루 반죽 배출구(54B)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공급구(54A)에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의 지지대부(16)의 곡물분말 낙하구(17)로부터 일정량 공급되는 곡물분말(P)를 받는 활주대(5)가 향하고, 또 반죽물공급구(55)에는 후술하는 반죽물(W)의 공급수단(92)에 접속된 반죽물 분사노즐(96)이 향하고, 다시 또 밀가루 반죽 배출구(54B)는 후술하는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축적부(71)에 향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믹서(51)은 제 13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장치본체(1)의 천정판(2)의 이면측에 좌우에 대향시켜서 고정된 고정지지아암(56)과 브래킷(57)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브래킷(57)과 고정지지아암(56)과의 사이에는 상기한 장치본체(1)의 전후 방향에 대한 좌우 방향에 상당하는 축방향으로 한쌍의 안내레일(58)(58)이 평행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58)(58)에는 상기한 브래킷(57)과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58A)(58A)로 항상 상기한 고정지지아암(56)측으로 힘이 가해진 가동지지 아암(59)가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동지지아암(59)에는 한쪽끝(60a)에 상기한 장치본체(1)의 고정틀(1a)에 축지지된 요동레버(60)이 편심칼라(61)을 거쳐서 안내레일(58)(58)의 바로 아래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 관총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요동레버(60)의 다른쪽 끝(60b)에 설치한 조작 손잡이(60A)의 회전에 의해 요동레버(60)을 약간 편심상승시켜서 안내레일(58)(58)에 접촉시키므로서 잠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믹서(51)을 구성하는 혼합반죽체(52)의 양단부에는 끝이 가늘고 굵은 위치결정용 테이퍼축(52A)(52A)가 회전 중심축에 또한 그 테이퍼축(52A)(52A)에 대해 직경방향의 외부원주에는 적어도 1개(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끝이 가늘고 가느다란 동력 전달용 테이퍼 핀(52B)(52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지지아암(56)내에 구동회전체(62)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이 구동회전체(62)는 풀리(63) 및 브리(V) 벨트(64)를 거쳐서 제 2의 구동 전동기(65)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회전체(62)의 회전 중심축상에 대향하는 가동지지아암(59)내에는 피구동회전체(66)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지지 아암(56) 및 가동지지 아암(59)과 각각 축지지된 구동회전체(62) 및 피구동회전체(66)에는 제 14 도 제 15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혼합 반죽체(52)의 d야단부에 돌출시킨 테이퍼 축(52A)와 테이퍼핀(52B)(52B)가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 구멍(76A) 및 고리형상의 걸어 맞춤홈(67B)가 형성되어서 이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홈(67B)내에는 테이퍼 핀(52B)(52B)가 원주방향으로 걸어 맞춰지는 스토퍼로서의 스프링 핀(68)(68)이 설치되어 있다.
즉 믹서(51)을 장치본체(1)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혼합 반죽체(52)의 양단부의 회전중심축에 돌출시킨 테이퍼 축(52A)를 고정 지지아암(56) 및 가동지지아암(59)에 축지지된 구동회전체(62) 및 피구동회전체(60)의 테이퍼 구멍(67A)(67A)에 각각 삽입하여 끼워맞추므로서 위치 결정하고, 또한 그 테이퍼 펀(52B)(52B)를 구동 회전체(62) 및 피구동 회전체(66)의 고리형상의 걸어맞춤홈(67B)내에 헐겁게 끼운 상태로 삽입하여 걸어 맞추어서 제 2의 구동전동기(65)에 의한 동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실린더(53)의 양단을 고정지지아암(56) 및 가동지지아암(59)간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요동레버(60)의 조작에 의해 가동지지아암(59)를 고정지지아암(56)측의 전방에 이동시켜서 잠금으로서 상기한 고정지지아암(56)과 가동지지아암(59)간에 상기한 믹서(51)을 스프링(58A)(58A)의 가하는 힘과 함께 끼워갖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한 믹서(51)을 장치본체(1)내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제 16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요동레버(60)의 조작손잡이(60A)를 회전시키므로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요동레버(60)의 한쪽끝(60a)를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레버(6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동지지아암(59)가 스프링(58A)(58A)의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안내레일(58)(58)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지고 믹서(51)의 일단부로부터 멀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믹서(51)를 파지해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 17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믹서(51)의 타단부가 고정지지아암(56)으로부터 떨어져서 제 18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믹서(51)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혼합반죽체(52)를 실린더(53)내로부터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때문에 이들의 교환 및 청소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와같이 해서 상기한 곡물분말 혼합수단(50)으로 이긴상태로 생성되어서 밀가루 반죽 배출구(54B)로부터 배출된 밀가루 반죽은 상기한 곡물분말 혼합수단(50)의 아래쪽에 설치된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축적부(71)에 공급된다.
이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 축적부(71)의 하부에는 제 19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철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된 경질의 로울러 소재의 표면에 이온 질화처리해서 된 제 1의 압연로울러(72)와 제 2의 압연로울러(73)이 간격(t1)을 두고, 대치시켜서 설치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의 하부에는 제 3의 압연로울러(74)가 간격(t2)(t3)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3 압연로울러(72)(74)는 장치본체(1)내에 고정된 지지틀(81)(82)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한 제 1의 압연로울러(72)는 체인벨트(75)을 거쳐서 제 3의 구동전동기(76)에 의해 회전구동 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제 1의 압연로울러(72)와 제 2의 압연로울러(73)과는 기어(77)을 거쳐서 상호 맞물려져서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제 3 압연로울러(74)는 체인벨브(78)을 거쳐서 제 4의 구동전동기(79)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압연로울러(72)(73)(74)의 회전속도를 거의 동등하게 하고 있다.
또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지지축(73a)는 장치본체(1)내에 고정된 지지틀(81)(82)간에 축(83)을 거쳐서 제 1 및 제 3 압연로울러(72)(74)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전후방향으로 경사회전가능한 회전지지아암(84)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다시 또 도면중(85)는 회전지지아암(84)를 지지하는 개폐레버로서 제 20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개폐레버(85)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므로서 상기한 회전지지아암(84)의 지지상태를 개방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나사 조임해서 설치한 스토퍼를 겸하는 조정 다이얼(86)을 회전시키므로서 회전지지아암(84)를 전후방향으로 경사회전시켜 이것에 의해 제 1, 제 2의 압연로울러(72)(73)와의 간격(t1) 및 제 2,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와의 간격(t3)의 미세조정(조정폭 : 1-3mm)을 가능하게 하고 면띠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2)(74)의 간격(t2)는 상호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근접시켜서 고정되어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과의 간격(t1)은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와의 간격(t3)와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즉 전기한 곡물분말 혼합 수단(50)으로 이긴상태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이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밀가루 반죽 축적부(71)에 공급되어 축적되면 밀가루 반죽은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의 회전과 동시에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 사이에 감겨 들어가서 제 1의 압연공정을 경유해서 면띠가 형성되어서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사이의 상류부로 도입된다.
이때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제 3의 압연로울러(74)간에는 간격(t3)가 형성되어 있으나 제 3의 압연로울러(7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면띠는 제 2의 압연로울러(73)과 제 3의 압연로울러(74) 사이를 통과하는 일이 없이 상류부에 차례로 밀어넣어져서 접어 개어져서 가압상태로 축적되어 충전된다.
이와같이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의 상류부에 가압상대로 축적된 면띠의 충전 타이밍을 잡아서 제 3의 압연로울러(74)의 회전을 개시시키면 가압상태로 접어개어져서 축적된 면띠는 제 2의 압연로울러(73)의 회전과 함께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가에 감겨들어가서 제 2의 압연공정을 경유해서 재차 면띠가 형성되어서 그 하류측에 배치한 면띠 절단수단(87)에 배출공급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압연로울러(72)(73)건에 압연되는 밀가루 반죽은 일단은 면의 띠로 형성되지만 제 3의 압연로울러(74)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면의 띠는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의 상류부에 가압상태로 접어개어져서 축적되기 때문에 제 3의 압연로울러(74)를 회전시켜서 면의 띠를 제 2 및 제 3의 압연로울러(73)(74)간에서 압연시킨 때에는 2매의 면의 띠를 중첩시켜서 압연하는 복합제면과 동등의 반죽 효과가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제면하고저 하는 면류가 예를들면 「우동」이나 「라면」등과 같은 끈기를 중시한 면에 아주 적당하며 이와같은 끈기가 있는 면은 느리기 어렵기 때문에 고객의 요구빈도에 맞추어서 미리 면을 여유를 갖고, 느려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 3의 압연로울러(74)의 회전개시 타이밍을 빨리하면 제 1 및 제 2의 압연로울러(72)(73)간에서 압연된 면띠는 그대로 연속적으로 제 2 및 제 3 압연로울러(73)(74)간에서 압연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끈기가 적은 면띠를 형성할 수가 있고, 예를들면 「메밀국수」 등과 같은 면류의 제면에 적당하고, 더구나 이와같은 면류는 가압이 적어서 공동이 많기 때문에 삶는 것이 빨라진다.
다시 또 면띠 절단수단(87)은 한쌍의 절단날 로울러(88)(89)로 구성되고, 이 한사의 전단날 로울러(88)(89)간에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에 의해 압연된 면띠를 공급해서 국수발로 절단한 후 이 국수발을 국수발 반송수단으로서의 체인 컨베이어(91)상에 낙하시켜서 장치본체(1)의 전면측 배출구로 향해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면띠 절단수단(87)의 절단날 로울러(88)(89) 및 국수발 반송수단의 체임 컨베이어(91)의 구동은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의 제 3의 압연로울러(74)를 구동시키는 제 4 도의 구동전동기(79)로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도면중(92)는 믹서(51)는 반죽물(W)를 공급하는 반죽물 급수수단으로서 이 반죽물, 급수수단(92)는 물탱크(93)내에 수용된 반죽물(W)를 펌프(94) 및 보유조정기(95)를 거쳐서 믹서(51)에 향하게 한 반죽물 분사 노즐(9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중(100)은 장치본체(1)내의 하부에 형성한 수납공간으로서 이 수납공간(100)에는 곡물분말 정량공급수단(10)의 장치가 수납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지대부에 호퍼부 및 회전구동 기구부를 조립한 곡물분말정량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이 지지대부를 장치본체상에 안내위치 결정 수단을 거쳐서 탑재시켜서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붙이고 떼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호퍼부내에 곡물분말을 저장한 채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있어서 장치본체측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의 회전구동기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을 경량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서 값싸게 제작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장치본체(1)과 그 장치본체(1)상에 설치되고 호퍼부(12)내에 저장된 곡물분말(P)를 회전구동 기구부(18)를 거쳐 정량 공급하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과 이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으로 정량 공급된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의해 반죽물(W)과 함께 교반해서 이긴상태의 면의 반죽으로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과 이 곡물분말 혼합수단(50)으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을 압연로울러 간에 공급하여 압연해서 면띠를 형성하는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과 그 밀가루 반죽 압연수단(70)으로 압연된 면띠를 절단날 로울러(88)(89)간에 공급하여 절단해서 국발로 형성하는 면띠 절단수단(87)를 구비한 제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은 상기한 호퍼부(12) 및 회전구동기구부(18)이 조립되는 지지대부(16)을 구비하고 이 지지대부(16)을 상기한 장치본체(1)상에 안내 위치결정 수단을 거쳐서 탑재시켜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장치.
  2. 장치본체(1)과 그 장치본체(1)상에 설치되고 또한 호퍼부(12)내에 저장된 곡물분말(P)를 회전구동기구부(18)을 거쳐 정량 공급하는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과 이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으로 정량 공급된 곡물분말(P)를 믹서(51)에 의해 반죽물(W)와 함께 교반해서 이긴상태의 밀가루 반죽으로 생성하는 곡물분말 혼합수단(50)과 이 곡물분말 혼합수단(50)으로 생성된 밀가루 반죽을 압연로울러간에 공급하여 압연하여 면띠를 형성하는 밀가루 반죽 압연 수단(70)과 그 밀가루 반죽압연수단(70)으로 압연된 면띠를 절단날 로울러(88)(89)간에 공급하여 절단해서 국수발로 형성하는 면띠 절단수단(87)를 구비한 제면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은 상기한 호퍼부(12) 및 회전구동기구부(18)에 조립되는 지지대부(16)을 구비하고, 이 지지대부(16)을 상기한 장치본체(1)상에 안내 위치결정 수단을 거쳐서 탑재시켜서 붙이고 떼는 것이 가능하게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장치본체(1)측에 상기한 곡물분말 정량 공급수단(10)의 회전구동 기구부(18)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면장치.
KR1019930007522A 1992-04-30 1993-04-29 제면장치 KR95001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37733A JPH05304870A (ja) 1992-04-30 1992-04-30 製麺装置
JP92-137733 1992-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067A KR930021067A (ko) 1993-11-22
KR950012602B1 true KR950012602B1 (ko) 1995-10-19

Family

ID=1520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522A KR950012602B1 (ko) 1992-04-30 1993-04-29 제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93212A (ko)
JP (1) JPH05304870A (ko)
KR (1) KR950012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850B1 (en) * 1999-12-03 2001-08-07 Multi-Fill, Inc. Multipathway produc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T249344Y1 (it) * 2000-12-21 2003-04-14 Imperia Trading S R L Macchina ad uso domestico per la fabbricazione, il taglio e la conformazione di paste alimentari.
US6863429B2 (en) * 2002-01-07 2005-03-08 Artos, S.A. Dough mixer with metering device
KR20040013582A (ko) * 2002-08-07 2004-02-14 이송환 자동 제면기
ITTO20070430A1 (it) * 2007-06-18 2008-12-19 Italiana Teknologie S R L Macchina per la laminazione di impasti molli per paste alimentari
SG174634A1 (en) 2009-04-17 2011-10-28 Zimplistic Pte Ltd Compact appliance for making flat edibles
JP5477665B2 (ja) 2011-09-20 2014-04-23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紐状体包装製品の製造方法
JP6021521B2 (ja) * 2012-08-28 2016-11-0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圧延装置
CN103704581B (zh) * 2012-09-29 2016-05-25 孟庆怀 一种全自动和面、制面条机
CN104026181B (zh) * 2014-06-04 2015-11-04 张星旺 多功能全自动面食制条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3351A (en) * 1938-12-06 1940-12-03 Francisci Joseph De Apparatus for producing alimentary paste products
NL7006351A (ko) * 1970-04-29 1971-11-02
US3712775A (en) * 1971-04-16 1973-01-23 Vistron Corp Hopper loading extrusion apparatus
SE423024B (sv) * 1978-03-01 1982-04-13 Bertil Persson Formningsmaskin
JPS6185159A (ja) * 1984-10-03 1986-04-30 Hoshino Bussan Kk 多種の麺を連続切替え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CA2033257C (en) * 1989-12-28 1998-11-17 Atsuo Hayashi Noodle making machine
JPH0775522B2 (ja) * 1989-12-28 1995-08-16 三洋電機株式会社 粉体定量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93212A (en) 1995-02-28
KR930021067A (ko) 1993-11-22
JPH05304870A (ja) 199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602B1 (ko) 제면장치
US4469230A (en) Sorting cylinder for seeds and other grains
US5158782A (en) Noodle making machine
US8397954B2 (en) Device for metering bulk material
US3979026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articulate and viscous liquid material
KR950012603B1 (ko) 자동제면기의 믹서부착구조
KR950012604B1 (ko) 자동제면기의 밀가루 반죽 압연장치
US4375336A (en) Machine for dispensing a doughy substance
US5862743A (en) Apportioning device for dough
US5516011A (en) Roller dispenser machine
JPH0775522B2 (ja) 粉体定量供給装置
US291727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heavy consistency fluid
JP2001197867A (ja) すし飯供給装置
JPH05304871A (ja) 自動製麺機のミキサー取付構造
JPH05304913A (ja) 自動製麺機の粉種判別装置
US3945538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US5931086A (en) Apparatus for the assembly of sandwich products
JP3325205B2 (ja) 冷菓製造機
JPH05304914A (ja) 殻粉定量供給装置
JPH057469A (ja) 粉体定量供給装置
JPH0646734A (ja) 自動製麺機の麺帯切断装置
EP1629717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to supply dosed amounts of flour and of bread improver to a dough mixing machine
JP2517418B2 (ja) 製麺装置
JPH05304921A (ja) 自動製麺装置
JPH0646731A (ja) 自動製麺機のミキサ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